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격몽요결(擊蒙要訣)에 나타난 인성교육론

        김미라(Kim, Mi-Ra),이미림(Lee, Mi-Lim) 동양사회사상학회 2017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2

        최근 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인성’에 관한 문제는 한국 사회에서 만연하고 있는 여러 가지 병리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실상 과거의 우리 교육은 가시적인 성과 위주와 지식 위주의 몰입교육으로서그 한계점이 있었다. 즉 참다운 인간을 기르기 위한 교육과정은 아니다. 따라서 그 대안을 우리 전통교육에서 찾아 분석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특히 율곡의 격몽요결은 오늘날 우리 교육에 적용 가능한 인성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격몽요결에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입지(立志)’는 인간의 삶을 지속하기 위한 본질적인 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 즉 뜻을 세우기 위해서는 동기 부여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것이야 말로 실패와 좌절을 마주했을 때 탄력적으로 회복가 능한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요소이다. 이는 오늘날 우리의 교육문제에서도 가장 핵심가치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를 알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있어 동기부여 과정은 필수이다. 이렇듯 격몽요결에서 율곡은 초학자가 갖추어야 할 자세로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뜻을 세우고, 그 일에 최선을 다하며 스스로를 반성하는 성찰의 과정이라고 역설한다. 따라서 오늘날 인성교육의 핵심가치와 방향을 설정하고자 할 때 격몽요결에 나타난 전통 교육원리는 인성교육의 토대 마련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tter of ‘character’ that recently has become a social discussion topic is being pointed out as the reason for different social ills prevalent in the Korean society. Actually, education in Korea in the past has its limits as immersion education centered on tangible outcome and knowledge. That is, it is not the curriculum to raise true humans. Therefore, it would be very meaningful to find alternatives in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and analyze them. In particular, Yulgok s <Gyeokmongyogyeol> included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oday s education in Korea. For example, Ipji(立志)’, what is most emphasized in <Gyeokmongyogyeol>, can be an essential educational method to maintain human life. In other words, in order to set an aim in life, the process of motivation is necessary, and this is the very factor that can be the driving force to recover flexibly from failure and frustration. It will be able to play its role as a key value for today s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For the children who don t know the reason to study, the process of motivation is a must. In this way, in <Gyeokmongyogyeol>, Yulgok stressed that as for the attitude for a novice scholar to have, one should set an aim at what one is going to do, do one s best at the work, and reflect oneself as the process of self-examination. Therefore, when the core values and methods of today s character education are to be established, the traditional educational principles in <Gyeokmongyogyeol> will be able to be an alternative to set the foundation of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격몽요결』 「입지장」의 초등 도덕과교육적 특징과 의미 탐색

        조석환(Cho, Sug Hoa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4 인간연구 Vol.-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도덕과교육의 관점에서 격몽요결의 첫 장인 입지장을 탐색하여 초등 도덕과교육에 갖는 특징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율곡이 격몽요결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학문의 목적은 성인이라는 목표의 확립에서 출발한다. 이것은 도덕성 함양을 통한 도덕적 인간의 지향이라는 지금의 초등 도덕과교육의 목표와 상통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입지장의 도덕과교육적 의미는 입지장이 입지라는 주제 아래 도덕적 지향성과 도덕적 주체성 그리고 도덕적 실천성이 서로 맞물리며 초학자들이 견고하게 도덕적 자기 완성을 향해 가는 힘을 갖출 수 있는 가르침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그 각각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첫째, 도덕적 지향성을 갖게 되면, 학생들은 도덕적 목표가 생기고, 도덕적 기준이 생기며 이를 통해 일상의 선택과 행위를 도덕적 목표와 합치되는 방향으로 이끌 수 있게 된다. 둘째, 도덕적 주체성을 갖게 되면 학생들이 자신이 도덕적 주체임을 인식함으로써 자신의 행동과 결정이 자신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다 깊이 생각하게 된다. 셋째, 도덕적 지향성과 도덕적 주체성이 확립되었다면, 이 모든 것은 학생들의 직접적인 일상 속의 도덕적 실천을 통해 실현되어야 한다. 율곡의 격몽요결과 입지장은 지금의 도덕과교육이 당면한 여러 가지 문제점의 해결에 대한 중요한 해답을 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pter of Ibji” (立志章), the first chapter of Gyeokmongyogyeol (擊蒙要訣), from the perspective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to elucidate its features and significance within this context. Yulgok’s objective in creating Gyeokmongyogyeol was to establish the goal of becoming a sage (聖人), which aligns with the current aim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focusing on the cultivation of morality and the orientation toward moral human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educational and moral significance of the “Chapter of Ibji” lies in its encapsulation of teachings that intertwine moral orientation, moral subjectivity, and moral praxis under the theme of Ibji(立志). These teachings enable students to develop a robust drive toward moral self-completion. Specificall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by developing a moral orientation, students can form moral objectives and standards that guide their daily choices and actions in alignment with these moral goals. Second, attaining moral subjectivity allows students to recognize themselves as moral agents and to contemplate more deeply on the impact of their actions and decisions on themselves and society. Third, once moral orientation and subjectivity are established, they should manifest through students’ direct moral practices in daily life. Yulgok’s Gyeokmongyogyeol and the “Chapter of Ibji” hold vital solutions to various challenges faced by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offering profound insights into addressing these issues.

      • KCI등재후보

        격몽요결의 학문론 연구

        문태순 안암교육학회 2004 한국교육학연구 Vol.10 No.2

        격몽요결은 일차적으로 학문의 목적을 사람다운 사람이 되는 데에 두고 있다. 이러한 성격의 학문론에서는, 오늘날의 학문이 지식이나 사태에 대한 이해라는 정도의 피상적 연구를 위해 이바지 하는 방법과는 달리, 사람다운 사람이 되겠다는 구체적 방법, 즉 입지, 몸가짐을 삼감, 궁행과 성정의 조화 등의 구체적 실천방법들이 제시되었다. 한 인간이 학문을 했을 때 그 결과는 일상생활의 실천으로 나타나야 했다. 결국 학문의 실천성은 효행, 조화로운 인간관계, 사회참여 등으로 나타나야 했다. 율곡은 이러한 인간으로 '이통기국'의 인간형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율곡의 마음공부와 합심주의 문화

        유승무,박수호,신종화,이민정 동양사회사상학회 2014 사회사상과 문화 Vol.29 No.-

        이 논문은 율곡의 마음사상 및 마음공부의 요체를 담고 있는 격몽요 결에 나타난 마음의 용례를 분석함으로써 합심주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경험적, 이론적 탐색을 시도하였다. 율곡의 고유한 마음사상은 마 음의 구성요소들을 분석적으로 해체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결합관계 를 총체적으로 인식하게 하며, 조선 중기 이후 확립된 성리학적 사회질 서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합심주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 한 사상적 자원이라고 할 수 있고, 격몽요결은 성리학의 핵심을 꿰뚫 은 유학자들의 필독서이자 지행합일을 실천한 율곡의 삶과 사상이 고스 란히 녹아 있는 책이기 때문이다율곡의 마음사상과 마음공부를 합심주의 문화와 결부시키기 위해 우 선 율곡이 살았던 16세기 조선의 시대적 상황과 그 속에서 치열한 삶을 살았던 율곡의 생애를 살펴보면서 율곡이 관심을 기울였을 것으로 생각 되는 합심의 대상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격몽요결에 나타난 마음의 용 례를 성인 및 본심과의 합심, 규범 및 예와의 합심과 변심, 가족과의 합 심, 타자와의 합심 등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합심 유형이 율곡의 마음사 상 및 실천수양론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율곡의 마음사상이 갖고 있는 고유한 사상체계와 특징, 수 양론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고, 합심주의 문화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 다. 특히 율곡의 마음사상에 대한 고찰 및 격몽요결에 나타난 마음 용 례의 분석 결과는 합심의 대상 및 방법의 구체화, 변심의 내재적 가능성 등에 대한 논의를 촉발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과 율곡의 마음공부 논의 가 합심의 과정론(거경-궁리-역행)과 합심을 향한 내재적 추동력에 대한 사상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 것은 이 논문이 갖는 중요 한 성과이다. 이를 통해서 합심주의 문화의 사상적 근거와 작동메커니즘 에 대한 이론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foundation of Confucian thoughts on the culture of conheartism and its mechanism. For this, we argues that Yul-Gok’s thought on heart is not to analytically dissolve the components of heart, but to totally recognize their combinational relations. At the same time, his writings provide us to important intellectual resources for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conheartism in that they contributed to build Neo-Confucian social order since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In this paper the authors intend to do emprical and theoretical exploration for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conheartism in a way of analyzing the textual usages of ‘heart’(心) in On the Secret of Expelling Ignorance(Gyeogmongyogeol) which contains the cores of Yul-Gok’s thought on heart and the cultivative study of heart.This paper summarizes, first, Yul-Gok’s thought on heart and the cultivative study of heart representing as Gibal-Yiseung and geukGi-bokYe and second, the theory of cultivation in general. Also the paper draws out the objects of conheartism in the sixteenth century of Chosun Dynasty with a brief introduction of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Chosun society. As a result of the historical reading of the text, some types of conheartism are suggested: conheart with the saints and true heart, conheart and turnaway from conheart with a moral standard and courtesy, conheart wit family, conheart with others, and so forth. We assert that with this research that the themes, like the object of conheart and the methodological concretization, and the possibility of internal turnaway from conheart, would be more clarified. Additionally, the possible theoretical construction of the process of conheart and internal impetus toward conheart are newly suggested for the themes in conheartism.

      • KCI등재

        1900~10년대 최남선의 ‘고전/번역’ 활동과 전통에 대한 인식

        김남이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39 No.-

        이 글은 六堂 崔南善(1890:고종27∼1957)이 1900~1910년대 벌였던 동서양의 고전/텍스트를 수집, 소개, 번역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그의 고전과 전통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기 내적 인식의 길로서 전통의 재발견과 복원이 이루어지는 지점과 방식, 그리고 그 안의 논리가 이 글이 관심을 갖고 살펴 보고자 하는 점이다. 최남선은 이이의 격몽요결을 1910년대 조선의 맥락으로 다시 불러 오되, 특정한 산정 과정을 통해 시대적 맥락에 맞도록 내용을 변화시키고자 했고, 서양의 교훈, 그리고 일본의 수신서와 혼합된 텍스트로 구성하였다. 논어는 <소년논어>으로 잡지에 연재되면서 한문 원문이 없는 국한문혼용체의 언해 텍스트로 제시되었다. 원문을 직역하지 않았고, 언해된 본문만 보고서는 그에 상응하는 원문을 짐작하기가 쉽지 않은 곳도 있다. 이러한 ‘고전’의 ‘번역’ 양상은 일차적으로 옛 텍스트가 근대적 교양인을 위한 독서물로 변환되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이것은 궁극적으로 최남선이 조선광문회를 출범하며 했던 ‘眞朝鮮’이라는 말이 시사해주듯이, ‘조선’을 향한 것이었다. 조선과 신문명과의 만남은 서구의 유형적 부와 공간적 팽창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여기서 최남선은 서구/혹은 외부(일본)와 동일한 방식의 팽창을 시도하기 보다는 조선의 ‘부유한 시간’과 그로부터 축적되어 온 무형의 자산들을 당대의 지점으로 소환하는 방식을 취했다. 1900~1910년대 최남선의 고서 수집과 고전의 번역 활동은 이러한 생각과 판단 위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 방식은 ‘현실중심적인 시각에서 과거를 재배치하는 형식’이었다. 그리고 그 현실에는 근대라는 지표, 그리고 眞朝鮮을 구성해야 한다는 목표가 작동하고 있었다. In the lead of new civilization theory of Joseon since early 1900s, Yookdang Namsun Choi (1890; Gojong 27~1957) planned ‘New Korea’ and attempted to realize his dream through collecting, introducing, and translating the classic text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this aspect the word that symbolizes the activities of Namsun Choi in 1900~10 can be defined as ‘classics’ and ‘translation’. This writing attempts to pay attention to such activities of Namsun Choi and study the acknowledgement of tradition presented by bringing up the tradition of Joseon as a valuable one in the reality of 1900s. Namsun Choi collected the antique books of Jos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published them. The ultimate goal was the new civilization of Joseon. Nonetheless, the plan of new civilized Joseon by Namsun Choi did not side dot on the organization of a ‘western new civilization’ completely sever from the old Joseon. In other words, in the contents of ‘new Korea’ equipped with the new civilization, the values of the old Joseon are placed as a factor of an axis of new civilization as the essence of the people. It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magazines Namsun Choi published for the new civilization of Joseon called ‘Sonyun’ and ‘Chungchoon’ carried traditional three verse ,Chinese poetry, and Eastern classics along with the new civilization knowledge. Namsun Choi brought up the [Gyukmongyogyul] of Yoolgok Yiyi as the best classics for boys of Joseon to develop themselves. Although Namsun Choi brought up the Gyukmongyogyul in the context of Joseon in 1910s, he made it go through a process of a certain appraisal to modify the details according to the periodic context. In addition, he arranged it along with the lessons and receptions of the West and Japan. By doing so, [Gyukmongyogyul] was allowed to be approved as a value to be generalized in the context of Asia or the world rather than being only limited to the classic within Joseon. The most distinguishable factor in the selection of classics in [Sonyun] is the [Sonyunnonuh]. By beginning the serial publishing of [Sonyunnonuh], the [Nonuh] was established as a classic with ‘the most precious and constructive lesson’. Likewise, the approval and reinstatement of intelligent, traditional values within Joseon and the East is together with the acceptance of the western materialism and knowledge in Joseon’s efforts for the civilization of Joseon. According to Namsun Choi, the meeting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new civilization has come with the tangible wealth and the special expansion of the West. Namsun Choi took a method of summoning the intangible assets accumulated from the ‘ rich time’ of Joseon rather than attempting to expand with the same way as the West or the external (Japan). The method of summoning it to the current moment was, as mentioned in the above, ultimately ‘a form of re-arrangement of the past in the view dominated in the present’. The Yoolgok’s Gyukmongyogyul was presented not as a stale book with Confucian lessons that need to be discarded but a new text of lessons of the East and the West after appraisal while Nonuh was presented newly as the Sonyunnonuh which goes beyond the serious consideration and calling the original version as the noble one and eliminates the Chinese-character based original one and conveys the significant lessons easily for the ‘Sonyun(the youth)’, or the future of civilized Joseon. Consequently, the tradition was newly proposed in the ‘present’ as a crystal with the essence of the people within the accumulation of time.

      • KCI등재후보

        초학(初學) 수신서(修身書)에 나타난 화법 내용 고찰

        정상섭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전통 화법 연구의 일환으로 조선시대 초학(初學) 수신서의 화법 내용을 고찰하는데 있다. 화법교육이 우리 국어교육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지만 이론적으로나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나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화법교육은 관련 배경 학문의 연구가 미흡해 서양화법 이론에 많은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다 보니 우리 사회의 문화적 배경과 맞지 않은 부분도 있었고, 실질적인 의사소통의 증진에 여러 가지 한계점이 많았다. 그래서 우리 사회의 문화적 배경에 적합한 화법교육을 위해 조상대대로 내려온 화법 전통에서 우리 화법교육의 길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조선시대의 초학 수신서인 소학과 격몽요결에 나타난 화법 교육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 책들에 나타난 화법의 기본정신은 성실성 및 책임성, 공손성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이 화법관의 핵심은 언행일치, 화자의 진실성, 신중한 언어 태도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신은 언어 기능적 차원에 머물러 있는 화법교육에 화자의 진실성, 말의 책무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철학적 관점을 제공해줄 수 있다. 수신서에 나타난 말하기의 실천 원리에서는 말의 내용을 중시하는 관점을 찾을 수 있었고 듣기 원리에서는 듣기의 성찰과 올바른 도리의 실천이라는 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 또 화법 예절의 중요성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다양한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렇게 초학 수신서를 통해 살펴본 화법 내용과 교육적 의의는 화법교육의 철학과 교육 내용 선정에 기여하는 바가 클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언어행위가 거칠어지는 오늘날의 화법문화를 반성하게 하고 진실을 전하는 대화, 언행이 일치되는 화법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mentality and methods of in the choson Dynasty\ s speech represented in Sohak and Kyukmongyokyul. The speeching methods represented in Kyukmongyokyul and Sohak emphasized responsibility for what you have said rather than how to be a fluent speaker, and also it told us to be short and careful. Our traditional speeching culture attaches importance to worth and attitudes when speaking and listening. We should establish our own speeching and Listening methods considering the speech mentality and contents represented in Sohak and Kyukmongyokyul.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speeching culture is to cultivate and nourish children\ s internal\ s life while working in daily life.

      • KCI등재

        ‘아동교육서’로서의 『격몽요결』의 성격과 의의

        장정호(Chang, Jung Ho) 교육사학회 2018 교육사학연구 Vol.28 No.2

        본 논문에서는 아동교육서로서 『격몽요결』이 지닌 성격을 규명하고 그 의의와 가치를 재음미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 고찰한 바에 따르면, 『격몽요결』은 어린 아동들에게 유학적 삶과 학문의 방향을 지시하고 준비시키기 위한 기본교육서이다. 입지장과 독서장에서도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율곡 이이는 『격몽요결』을 통해 굳건하고 견실한 몸과 마음의 준비 태세를 갖추는 데에 아동교육의 중요성을 두고 있다. 이어, 본 논문에서는 『격몽요결』과 「소아수지」와 「학교모범」, 『성학집요』등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그 아동교육서로서의 성격과 의의를 전면적으로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따르면, 우선「소아수지」는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을 강조하는 『격몽요결』의 기본 취지를 행동 강령의 차원에서 구체화한 것이다. 또한, 『격몽요결』과 「학교모범」, 『격몽요결』과 『성학집요』의 관계는 각각 학교 중심의 제도교육과 성인교육으로 확대 · 심화되어 가는 아동교육의 연계 교육적 성격을 잘 보여준다. 결국, 『격몽요결』은 어린 시절의 교육은 몸과 마음의 태세를 준비시킨다는 의미에서 기본에 충실한 것이어야 함을 강조한다. 교육의 출발선상에 해당하는 아동교육은 그 자체로 일시적이거나 단절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유학의 학문적 구조 속에서 그 원형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가는 본질적 성격의 교육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and appreciate its significance and value. According to this study, Gyeokmongyogyeol is a basic educational book for instructing and preparing children Confucian life and scholarship. As shown by determination〔立志〕and reading〔讀書〕, Yulgok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firm and solid basic attitude through Gyeokmongyogyeol. Then, this study considered Gyeokmongyogyeol in relation to Soasuji(小兒須知), Hakkyomobeom (學校模範) and Seonghakjipyo(聖學輯要). First, Soasuji embodies the basic purpose of Gyeokmongyogyeol, which emphasizes practice in daily life, in terms of the code of conduct.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Gyeokmongyogyeol and Hakkyomobeom indicates that child education is extended to school-based institutional education.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Gyeokmongyogyeol and Seonghakjipyo indicates that the content of child education is deepened by adult education. Based on Gyeokmongyogyeol, child education at the beginning of education is not itself temporary or disconnected. It is to cultivate the fundamental competence of the body and mind to support future education.

      • KCI등재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편찬과 성리학적 이념의 실천

        이민경 (사)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2 No.-

        Yulgok(栗谷) Yiyi(李珥)'s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a text that has been studied a lot so far, but it has mostly focused on pedagogical approaches, and wide discussions about the text and the periodic context surrounding the text have not been made. accordingly we believe that fundamental reconsideration is necessary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until now,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has been treated as an elementary school material with the existing children's textbooks(童蒙書) or recognized as an elementary textbook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Sohak(小學)』.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has a very strong character of a children's practice manual for entering into a Neo-Confucian ideology as well as its own format and orientation. Second, the overall structure of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to go to the problem of a country village community(鄕村社會), not the stage of chi-guk(治國) from su-sin(修身)-je-ga(齊家). A And the contents are closely related to su-sin(修身), je-ga(齊家), edification of a country village community(鄕村社會), and local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 new approach 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m. Third,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ntext of the times in which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placed.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a practical text that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historical horizon of the late 16th century, where the Joseon‘s Neo-confucianism was establis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historical horizon from the late Myeongjong(明宗) where Yulgok(栗谷) lived to the beginning of Seonjo(宣祖), his personal situation, and the context of the period of academic sympathy with some of his fellow students in three dimensions.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the compilation process and the context of the period of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by paying deeper attention to this reflective point, and on the basis of it, we will try to grasp neo-confucianism intention and practice pattern that Yulgok(栗谷) intended to include in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which has been recognized only as a simple elementary school material, was a practical product of a Neo-Confucian scholars(儒敎知識人) who sought to realize neo-confucianism ideal society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was part of a grand plan to establish an academic system of Joseon Dynasty Zhuxi’s Studies(朝鮮朱子學).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은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텍스트이지만, 대부분 교육학적 접근에 집중되어 텍스트와 텍스트를 둘러싼 시대적 맥락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다음 몇 가지의 측면에서 근본적인 재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첫째, 지금까지 『격몽요결』은 기존의 동몽서들과 나란히 초학교재로 다루어지거나, 『소학』의 난해함을 해결하기 위한 초보적 교재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격몽요결』은 성리학적 이념으로 들어가기 위한 아동용 실천 매뉴얼의 성격이 매우 강하며, 독자적인 체재와 지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격몽요결』의 전체적인 구조는 수신-제가에서 치국의 단계가 아니라 향촌사회의 문제로 나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 내용은 수신, 제가, 향촌사회 교화, 그리고 지역교육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다. 때문에 이들과의 긴밀한 연관관계 속에서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격몽요결』이 놓인 시대적 맥락에 주목해야한다. 『격몽요결』은 이른바 조선성리학이 정립되었다고 평가되는 16세기 후반의 역사적 지평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실천적 텍스트이다. 때문에 율곡이 살았던 명종 후반으로부터 선조 초반에 이르는 역사적 지평과 그가 처한 개인적 상황, 그리고 뜻을 같이 하던 몇몇 同學과의 학문적 공감이라는 시대적 맥락에 유념하여 입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런 반성적 지점에 깊이 유념하여 『격몽요결』의 편찬과정과 시대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를 토대로 율곡이 『격몽요결』에 담아내고자 했던 성리학적 지향과 그 실천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제까지 단순한 초학교재로만 인식되어 왔던 『격몽요결』이 16세기 후반 성리학적 이상사회를 실현하고자했던 한 유교지식인의 실천적 산물이자 조선주자학의 학문체계를 구축하고자 했던 원대한 기획의 일부였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擊蒙要訣』의 務實 지향적 특색

        노인숙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율곡 이이는 성리학적 가치관에 대한 철저한 이론탐구와 도학정치의 이념을 현실에서 구현하려는 양면을 갖추고 있었다. 율곡의 실천적이고 실질적인 학문의 특색도 이러한 도학전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의 목적은 율곡사상의 기저가 되는 무실(務實) 지향적 특수성을 율곡의 저서 중 『격몽요결』을 중심으로 재조명하는 것이다. 그간 『격몽요결』은 주로 아동용 계몽서, 초학입문서, 교육서로 간주되었으며 연구의 방향 역시 그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격몽요결』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대상이 어린사람이나 초학자에게 국한되지 않는 일종의 자기 계발서이자 예서(禮書)임을 알 수 있다. 이 글은 자기수양, 효의 실천, 그리고 경세론으로 이어지는 각 단계의 세부지침이 어떻게 율곡의 무실사상을 보여주는지 조명한 이후, 궁극적으로 『격몽요결』이 현대 사회에 주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우리가 주목해야할 것은 격몽(擊蒙)의 요체가 고담준론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행동지침에 있다는 점이다. 형이상학적 담론이나 이념이 아니라 삶의 비근한 현실로부터 시작하여, 이기(理氣)와 체용(體用)이 불가분인 율곡의 인식이 바로 『격몽요결』이 현대사회에서 무실적으로 해석될 때 조명 받아야할 부분일 것이다. Yulgok(栗谷) Yi I(李珥) pursued not only a thorough study on ideals of confucianism, but also an administrative practicing of those ideas. Such pragmatic approach can be found by reviewing his work,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which is often considered as just an introduction. In fact,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not just for beginners. It is a book of self-help and practical guide to way of life. By reviewing its significance and pragmatic approach, this paper pursued a reinvented meaning of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n modern context. ‘Gyeokmong(擊蒙)’ of Yi I differentiates itself from similar academic approaches by emphasizing more concrete, pragmatic guidelines, just like his theoretical uniqueness of not separating Yigi(理氣) and Cheyong(體用). These are the things we should remember and reappraise when understanding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when finding its value nowa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