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과정에서 건축학부생의 인문학적 소양 강화 필요성 고찰

        함복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2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on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to strengthen the knowledge of humanities of architectural undergraduates in college liberal arts subject. To encourage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o cultivate the competence of humanities is not only a way for them to view their majors in diversified perspectives, but also to meet the needs of society in need of fusion and convergence talents In an era where cultural product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become the center of life, humanities allow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o internalize flexible thinking, imagination, human philosophy and values. Considering that most studies ultimately contribute to human happiness or satisfaction, it is important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to experience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and recognize the relevance of humanistic imagination and majors. In Korea, the philosophy of architecture has been excluded from the development-oriented industrialization process. In architecture, human are pushed from the center,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identity of human spirit especially in recent architecture. The reason for this can be found in that the Westernized functions and European structures has been accepted uncritically. The architectural space connects the past and the future by recording human life, capturing memories, and accumulating them. Therefore, architectural space should have consideration considering human and space, human and human, communication and culture of human and nature. Also, since architecture defines the way of life, the discourse of architectural philosophy embodying the human spirit should be done educationally and academically.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have a convergence education of architecture and humanities, but it is not easy due to the various conditions of Korean universities. This study is desire to consider why humanities course indwelling humanities spirit are necessary for the architectural under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convergence education.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concepts used in this study are not the concepts of traditional and modern, old and new, but consideration of why it is necessary to understood the identity of a building as a place where human happiness can be enhanced. 이 연구의 목표는 대학 교양과정에서 건축학부생의 인문학적 소양을 강화시키는 교육을 담당해야 하는 필요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인문학적 역량을 키우도록 하는 것은 이들이 전공을 다양한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할뿐더러 융복합형 인재를 필요로 하는 사회의 요구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문화적 산물이 삶의 중심이 되는 시대에 인문학은 이공계 학생들에게 유연한 사고와 상상력, 인간적 철학과 가치를 내재화할 수 있도록 한다. 대부분의 학문이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행복이나 만족에 기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공계 학생들이 인문학의 중요성을 경험하고 인문학적 상상력과 전공의 관련성을 인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개발 위주의 산업화 과정에서 건축에 철학이 배제되어온 경향이 있다. 건축에서 인간이 타자로 밀려나고, 특히 최근 건축에서는 우리 정신의 정체성을 찾기 어렵다. 서구화된 기능과 유럽형 구조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것에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건축공간은 인간의 삶을 기록하고 기억을 담아내어 집적(集積)함으로써 과거와 미래를 잇는다. 따라서 건축공간에는 인간과 공간,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소통과 문화를 고려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또한 건축은 삶의 방식을 규정하기도 하므로 인문정신이 구현된 건축철학 담론이 교육적으로나 학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건축학과 인문학의 융합교육이 필요한데 우리나라 대학의 여러 여건상 쉽지 않다. 이 연구는 건축학부생들에게 인문정신이 깃든 인문학 수업이 융합교육적 차원에서 왜 필요한지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건축철학 개념은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의 개념이 아니라 인간의 행복이 증진될 수 있는 공간으로써의 건축물의 정체성을 이해시키는 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고찰이다.

      • KCI등재

        디지털 휴먼 시대 건축을 보는 다양한 시선과 융·복합적 교육 접근 모색

        정옥희(Okhee JEONG),이주연(Jooyon LEE)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9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과학기술 시대에는 인간의 창의력과 새로운 지식에의 접근, 다양한 학문을 통한 융·복합적 아이디어의 발견, 기술적 상상력과 더불어 인문학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디지털 휴먼 시대에 건축을 보는 다양한 시선을 4가지 학제적(기술공학적, 도시경제환경적, 조형예술적, 인문학적) 측면으로 도출하고 이를 학교교육으로 변환하기 위한 융·복합적 접근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기초건축교육이 국민교육을 위한 공교육으로의 도입을 시도했던 것과 달리, 현재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건축교육은 사회·경제·환경·문화적 변화에 따른 메가트렌드를 건축과 연결 하여 도시재생 및 발전에 공헌하는 건축으로의 인식 변화를 꾀하고 궁극적으로 문화적·산업적 경쟁력 향상과 건축문화 진흥의 토대 마련을 위한 교육에 집중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건축 정책에서 제외된 건축이 함유한 조형예술적 의미와 인문학적 가치를 환기하여 학교교육에서의 학교급별 건축교육을 제안하면서, 디지털 휴먼 시대 인류 미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견인하는 데 있어 스마트 도시환경 정책을 실현함과 동시에 인문학적 부흥을 꾀할 수 있는 중요한 융·복합 분야가 바로 건축 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creativity and access to new knowledge, the discovery of convergence ideas through various studies and humanistic thinking are required as well as technological imag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four academic aspects of architecture in this digital human era with the diverse perspectives(technical engineering, urban economic environment, formative arts, and humanities) and to explore a convergent and complex approach for application to school architecture education. Unlike previous attempts to introduce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as public education, basic architecture education currently promo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nnects megatrends to architecture, ultimately focusing on improving cultural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us, this study proposes architectural education to school education by recalling the structural artistic meaning and humanities values excluded from the current architectural policy, emphasizing that architecture is an important convergence field in driving sustainable growth and current smart-urban environment towards future society.

      • KCI등재

        인간을 위한 도시재생과 응용인문학의 실천

        안상경(An Sang-Gyeong),박범준(Park Bum-Joo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8

        지방 중소도시일수록 도시재생을 통해 도시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그러나 실상은, 단기간에 가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물리적 환경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도시와 인간 사이의 거리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경쟁력 확보’는 인간이 살기 좋은 도시, 그래서 인간이 살고 싶은 도시를 창조할 때라야, 그것을 진정한 의미에서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경쟁력 확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사회학적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인문학적 관점을 수용하여 ‘인간을 위한 도시재생’이라는 창조적 사유와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2009년 국토해양부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충주 향기 나는 녹색수공원 가꾸기’의 기본계획에는 이러한 인식이 관통하고 있다. 인문?사회학적 관점에서 구도심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실상을 바탕으로 추출한 일종의 문화원형을, 건축디자인을 설계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적극 수용하여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일련의 과정을 진행함에 앞서, 과연 ‘도시’란 무엇이며 ‘도시와 인간의 관계’는 무엇인지 그 철학적 가치인식을 도출하고자 하였고, 선진사례를 통해 ‘도시재생’의 생성배경 및 전개과정을 추적하기도 하였다. 응용인문학의 실천으로써 도시재생이라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개척했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천으로써 ‘인간과 인간을 위한 관계 모색’, ‘과거와 현재를 위한 관계 모색’, ‘인간과 환경을 위한 관계 모색’ 등 도시의 철학적 가치인식을 바탕으로, 구도심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실상에 대한 재해석을 건축디자인 설계와 프로그램 개발의 모티브로 삼았다. 지방 중소도시마다 역사와 문화가 다르고, 그것을 영위하고 향유하고 인식하는 사회적 태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직시하였다. 도시와 인간의 상생적 관계를 모색하여 도시재생의 새로운 방법론을 개척하는, 문화콘텐츠학과 연계하여 연구영역을 확장하려는 응용인문학의 실천적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Local small cities are actively attempting to gain the more competitiveness. But the real aspect, That is achieved in the short term visible effects to improve the physical focused environment.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city and the people has great gap. ‘Urban competitiveness through urban regeneration’ is liveable cities for humans and cities to want live. It is important to balance between sociological perspective and a humanistic perspective. It has need of creative thinking and idea of the transition to ‘urban regeneration for humans’. This perception is penetrating in the master plan of ‘Chungju Sweet Green Water-park Making’ undertaken as one of ‘Pilot project in 200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e basic plan is developed to based on a kind of extracted cultural prototype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perspective of the old downtown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reality. Prior to a series of courses, recognition of the philosophical values has been suggested about what is ‘urban’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es and humans’. And we checked through best practices ‘urban regeneration’ creation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It is a significant event that is to find a new research methodology as action of the applied humanities as Urban renewal. Program design and architectural design as a concrete action based on recognize the philosophical values for ‘looking for a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man’, ‘looking for a relationshi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Looking for a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e motive is made of the reinterpretation about Old city’s historic, cultural and social reality. There are different history and culture for small and medium cities and we could recognized different social attitudes lead, and to recognize and enjoy that. This is very import that practical examples to extend the applied humanities in connection with 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and to find the new methodology of urban renewal for Cities and human relationships of mutual.

      • KCI등재

        밀양의 누정자료 조사연구와 그 콘텐츠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정용수 ( Yong Su Je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6 石堂論叢 Vol.36 No.-

        본고는 우리의 누정문화를 통해서, 현재 남아있는 영남루, 촉석루, 함벽루 등 영남3루 누정시문의 콘텐츠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그 연장선에서 최근 지상매체에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울산의 태화루를 오히려 새로운 시각에서 고층으로 차별화할 필요도 있을 것으로 생각해 보았다. 오늘날 우리 산업에 불고 있는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에는 인문학도로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기술이 선도할 수밖에 없는 현대문명사회에서 IT 기술이나 그 실용성에 있어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다만, 오늘날 문화콘텐츠를 논의하는데 있어 앞서가는 기술을 뒤에서나마 바르게 가게 하는 것이 인문학적 접근의 가장 중요한 요목이란 점을 말하고 싶을 뿐이다. 우리나라 현대 도시건축물의 타워 문화와 가든 문화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우리의 누정문화를 문화콘텐츠로 개발하는 것이야말로 탄탄하고 찬란한 우리의 전통적 기반을 보여주며, 세계화에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 수 있는 것이다. 가든은 수평적이고 타워는 수직적 세계이다. 우리의 누정문화에 이미 이러한 전통이 내재하고 있기에, 우리식 누정문화가 콘텐츠화 될 수 있다고 본다. 이것을 파편화해서는 성공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것을 결합하고 이것을 새롭게 하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현대 도시건축물이 수직적 건축물과 기술력을 결합한 것이라면, 전통에 기반한 우리의 정자문화는 그것 자체로써 콘텐츠가 될 수 있고 이웃 나라와 변별력을 갖출 수 있다. 다만 이것을 소개하거나 우리식 새로운 타워를 지을 때는 그 속에 우리에게 맞는 콘텐츠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이러할 때 현대 도시건축물을 짓는 지자체에서는 도시 타워나 도시 가든의 콘텐츠로써 누정문화를 참고해야 할 것으로 본다. 그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본고에서 하나하나 제시하였지만, 앞으로의 논의과정을 통해서 더욱 새로운 시각과 콘텐츠의 개발이 가능하리라 본다. 이런 연구가 보다 개방적으로 논의되면 더 많은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리라 믿고 있다. 단편 연작시, 팔경시, 십경시와 같이 문학적 향유 전통을 콘텐츠화 하여 지방화 시대를 맞은 우리 도시에 `새로운` 타워와 가든을 건립한다면 세계에서 하나밖에 없는 관광명소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paper will attempt to investigate the data of towers and pavilions in Milyang and discuss a couple of related issues about how to use the data. The poems inscribed on Youngnamru, Chogseogru, and Hambyougru are so well-preserved that they can be utilized as cultural contents. Taehwaru, however, does not currently remain, so a new point of view is needed-for instance, using the area for a multistoried building. The tower and pavilion culture presents us a way to combine the tower culture and the garden culture in modern urban constructions. If the tower and pavilion culture can be developed into cultural contents, our glorious traditional foundation can be spread out to the world and our culture can be globalized. Modern urban buildings are to integrate vertical art and modern technology. Those cultural features are already imminent in our tower and pavilion culture. For the differentiation of a culture from another, the culture should be contentualized. Therefore, in trying to introduce new contents and build a genuine Korean new town, we should discover or create our own contents to be able to show the Korean tower and pavilion culture. It is also recommended that the municipalities refer to the traditional tower and pavilion culture for urban tower and garden contents when they build modern urban buildings. The paper has suggested some concrete ways of using the contents for modern urban architecture. A further discussion is to ensure us to be in a better position for a newer perspective and contents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