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비만도와 건강체력의 관계

        이양구(Yang Gu Lee),오수학(Su Hak Oh)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특정 지역 제한과 소수의 연구 대상을 이용한 연구 설계 및 운동관련 체력요인 간의 차이 비교에만 치중하였던 연구의 제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국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청소년들의 비만도와 건강체력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6개 시·도 각 3개교 중·고등학교 총 18개교(3,047명)의 학생건강체력평가 측정 기록을 토대로 실시하였고, 청소년들의 건강체력 등급에 따른 체지방률 평가기준(NYC & ACSM) 간의 차이와 비만도와 체지방률 평가기준에 따른 건강체력 기록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건강체력에 따른 비만도 여부와 건강체력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체력 등급별 체지방률은 청소년들 모두 NYC와 ACSM 기준을 적용하였을 경우 건강체력은 아주 높은 1등급부터 보통인 3등급까지 체지방률 분포는 정상 또는 과체중에 속해 있다. 둘째, 체지방률 평가기준별 건강체력은 NYC와 ACSM 기준을 적용하였을 경우 비만도는 체지방률 평가기준에 따라 건강체력 요인별 기록 패턴의 차이가 있다. 셋째, 비만도와 건강체력 요인별 관계에서는 중학교 남학생은 심폐지구력과 근지구력에서, 고등학교 남학생은 근지구력에서 비만군의 건강체력 수준이 정상군에 비해 낮게 나타나고 있어 비만도 여부에 따라 건강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ies to have researched the difference of factors related physical fitness of local area were proceeded, which had the limitation that these results could not represent the a popul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of whole country teenagers. For the purpose, we choose the 18 schools 3,047 students including middle school(1,993), high school(1,054) which were located in 6 city. With the students`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record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ccording areas. We used SPSS 12.0 program for data management.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fat mass according to the level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to research the difference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he valuations(NYC & ACSM), one-way ANOVA was used and for the relation between obesity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he results were followed as below : On the %fat mass according the level of health with two valuations(NYC & ACSM), it showed that %fat mass of distribution from 1 to 3 magnitudes were belonged to normal group or overweight group, which indicated that students who were not obesity had mor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han obese group. On th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he valuations(NYC & ACSM), There was some different %fat mass patten on factors of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Test of hypothesis result about statistical significance about relation by body condition and health & fitness factor. On the relation between obesity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here was model which might indicat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with obesity in male students, but not females. However, obese group of cardiorespiratory endurance in muscular endurance in middle school, and of the muscular endurance in high school had lower health level than normal students, which showed that obesity might affect th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teenagers.

      • KCI등재

        체육활동 활성화 전개를 위한 '운동하는 초등학생'의 건강관련체력과 비만의 관련성

        이양구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일정 지역 선정의 제한과 소수의 연구 대상을 이용한 연구 설계 및 운동관련 체력요인 간의 차이 비교에만 치중하였던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수도권과 지방권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체육활동 활성화 전개를 위한 '운동하는 초등학생'의 건강관련체력과 비만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과 지방권 4개 시·도 초등학교 각 2개교, 총 8개교(333명)의 초등학생 아동의 건강관련체력평가 측정 기록을 토대로 실시하였고,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비만에 따른 NYC %Fat 수준별 건강관련체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wo-way ANOVA, M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년별 아동 모두 NYC %Fat 마른 집단의 기록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NYC %Fat 집단 간에는 유연성을 제외한 모든 건강관련체력 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지역별 아동 중 수도권 학생은 NYC %Fat 비만 집단이, 지방권 학생은 NYC %Fat 마른 집단의 기록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NYC %Fat 집단 간에는 근력과 근지구력 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NYC %Fat 수준별 초등학교 아동들의 집단 특성에 따라 건강관련체력 하위 요인 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노인의 건강관련체력과 인지기능 및 고립감의 관계

        이경하,최재원,이나은,강성구,정혜연,천명업,유하나,박지수,박정수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서울·경기 소재 65세 이상 노인 308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체력요인과 인지기능 및 고립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사회인구학적특성(연령, 학력, 음주유무, 배우자유무, 운동참여유무)과 건강관련체력(상지근력, 하지근력, 유연성, 평형성), 인지기능(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숫자외우기검사) 그리고 고립감(사회적·정서적 고립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인의 사회인구학적특성에 따라 건강관련체력, 인지기능, 고립감에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건강관련체력, 인지기능에는 정적상관관계, 건강관련체력, 인지기능과 고립감에는 부적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건강관련체력은 인지기능에 통계적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넷째, 노인의 건강관련체력은 고립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노인의 인지기능은 고립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미래 노인복지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확장 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cognitive function and isolation on 308 elderly over 65 years old in Seoul and Gyeonggi do. The measuring instrument were as follows demographic characteristics(age, education level, drink, spouse, participation on in exercise)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grip strength, leg strength, flexibility, balance), cognitive function (MMSE-K, digit span test) and emotional/soci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was measured. As a results, first, depending on the degre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lderly had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are positive correlat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isolation. Thir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of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Fourth, health-related fitness of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solation. Fifth,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sol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aged man welfare studies and contribute to extended studies.

      • KCI등재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과 수면 및 스트레스간의 관계

        김이체,박수연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 건강 체력과 수면 및 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하고 이들 간에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초등학생 5학년 195명을 대상으로 학생 건강 체력 평가(PAPS)를 시행하였고 수면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는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설문지를 이용해 자기 평가 기입법으로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자료해석을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성별에 따른 건강 체력과 수면, 스트레스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독립 표본 t-test를 사용하였고, 체력과 수면, 체력과 스트레스, 수면과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건강 체력과 수면 및 스트레스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건강 체력과 수면,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건강 체력과 수면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건강 체력과 스트레스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수면과 스트레스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건강 체력은 수면에 유의한 영향이 있으며, 그 중 심폐지구력이 영향을 미쳤다. 넷째, 건강 체력은 스트레스에 영향이 없었다. 다섯째, 스트레스는 수면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스트레스 또한 수면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과 수면은 유의한 상관도와 영향력이 있으며 스트레스와는 상관도와 영향력이 없었고 수면과 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도와 영향력이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effect between physical fitness, sleep, and str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195 fif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and examined using a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Pittsburgh’s sleep quality questionnaire(PSQI) and korean children’s daily stress questionnaire. The independent sample-test was us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health related fitness, sleep, and stress depending on gender,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related fitness, sleep, and stress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effects among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related fitness, sleep and stress level based on gender. Health related fitness and sleep were correlated, health related fitness and stress were not, and sleep and stress were correlated. Health related fit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leep, of which cardiopulmonary endurance has been affected(p<.01). Health related fit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ress. Stres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leep(p<.001). Based on the results, health related fitness and stress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very important to improve sleep which has a vital factor for growing.

      • KCI등재

        학생건강체력평가(PAPS) 사후관리를 위한 건강체력교실의 운영현황 및 참여자 학습경험 분석

        허선희,함명환,유지은 한국체육교육학회 202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8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건강체력평가(PAPS) 사후관리를 위한 건강체력교실의 운영현황 및 건강체력교실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코로나19 발생 후 최근 3년 간 건강체력교실을 운영한 399개 학교의 가정통신문과 운영계획서를 통해계획과 실행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참여자의 학습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ADDIE 수업설계 모형(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에 근거하여 7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5명의 심층 면담을 통해 건강체력교실참여 과정의 경험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로 도출하였다. 결과: 건강체력교실의 ‘운영계획’은 저체력학생 우선 선발(73.7%), 1·2학기 연속 운영(38.85%), 1개월 이상 3 개월 미만(35.33%)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건강체력교실의 ‘수업 실행’은 방과 후(39.35%), 60분 미만(58.9%), 교내 체육시설(65.41%), 체력향상 운동(21.3%), 2개 종목 병행(30.58%) 교사 단독지도(49.62%) 로 가장 많이 운영되었다. 이러한 건강체력교실을 경험한 학습자는 비자발적 신청과 부정적 편견 속에서 시작했으나, 체력향상에 도움이 되는 수업 환경, 참여하고픈 마음과 시간적 한계 사이의 간극, 운동의 즐거움을 느끼고, 다양한 혜택과 보상의 과정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건강체력교실 수업 설계 시 학습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보다 체계적으로 수업설계를 보완한다면 저체력 학생들의 참여도 제고 및 내실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health physical fitness class for follow-up management of the Health Physical Fitness Test (PAPS) and the empirical meaning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physical fitness class. Methods: Planning and implementation were analyzed through home correspondence and research reports of 399 schools' health and fitness classes. Afterwards, based on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79 people were surveyed for their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health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ope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people to analyze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s in depth. Results: The health system of health care classification was the highest proportion 73% of low body power student first and second semester (35.33%), and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semester.The "class execution" in the health school room, was less than 60 minutes), and physical fitness centers (65.41%), and physical fitness centers (65.41%), and physical fitness movement (29.6 percent), and physical exercise (2learners who experienced such health care classrooms and negative prejudice and negative prejudice, but it was found that helps to participate in physical fitness orientation, but experienced various benefits and activities. Conclusions: If we understand the learner's perspective and supplement the class design more systematically when designing the health and fitness class, we expect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of low-strength students and operate a substantial classroom.

      • KCI등재

        평가등급 동등화를 통한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의 재조명

        김용익,신승윤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7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9 No.3

        This study aims to compare grades calculated from cardiopulmonary endurance items of PAPS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in an inter-compatible way and to implement equalization of evaluation grades in order to have equal evaluation of individual physical levels irrespective of selection of any item. Survey was conducted on total 664 students composed of 322 male students and 342 male students on the 1st, 2nd, and 3rd grade of middle school located in Yongin-si, Gyeonggi-do. Measurement of PAPS was performed according to PAPS manual suggest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Sport Science in 2009. The results are as below. According to verification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to check measurement of similar factors between cardiopulmonary endurance items of PAPS, it was found that cardiopulmonary endurance had relatively high correlation between shuttle long-distance running, long-distance running, and walking but that it had low correlation with step test. According to verification of correlation evaluation grades between cardiopulmonary endurance items of PAPS through a frequency analysis and Cramer' V of chi-square, it was found that cardiopulmonary endurance had correlation between shuttle long-distance running, long-distance running, and walking but that it had low correlation with step test.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equalization between cardiopulmonary endurance items of PAPS, distribution of evaluation grade revealed gradual coincidence with linear equating through log transformation. However, coincidence result confirmed from Kappa of chi-square showed that coincidence became better between shuttle long-distance running, long-distance running, and walking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incidence did not appear between step test items. Consequently, it is found that all the students cannot get the same evaluation if the same student performs 3 items of the cardiopulmonary endurance factors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ould suggest questions abou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various test items for physical factors of cardiopulmonary endurance in PAPS. It is required to correct different evaluation between items of the same physical factors in PAPS which purpose is an important evaluation of physical strength in order to make health students through evaluation and continuous management of their physical strength. It seems to be required to revise and supplement various items of the factors in PAPS through subsequent researche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심폐지구력 종목들에서 산출된 등급을 상호 호환적으로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고, 어느 종목을 선택하느냐에 관계없이 개인의 체력수준을 동일하게 평가받을 수 있도록 평가등급의 동등화를 실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자는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중학교 1개교 1, 2, 3학년 남학생 322명여학생 342명 총 6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생건강체력평가 측정은 2009년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 연구소에서 제시한 학생건강체력평가 매뉴얼에 따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심폐지구력 검사종목 간 서로 유사한 구인을 측정하고 있는지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심폐지구력은 왕복 오래달리기와 오래달리기-걷기 종목 간의 상관은 비교적 높았지만 스텝 검사 간에는 상관이 낮게 나타났다.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심폐지구력 검사 종목 간의 평가등급의 상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 분석 및 카이 제곱의 Cramer의 V를 실시한 결과, 왕복 오래달리기와 오래달리기-걷기 종목 간의 상관을 나타났지만, 스텝 검사 간에는 상관이 낮게 나타났다.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심폐지구력 검사 종목 간의 동등화를 실시 한 결과, 평가등급의 분포는 선형 동등화와 로그변환을 통해 점차적으로 일치함을 나타냈다. 하지만 카이 제곱의 카파(Kappa)를 통해 확인한 일치도 결과는 왕복오래달리기와 오래달리기-걷기 종목 간에는 일치도가 나아졌지만, 스텝 검사 종목 간에 일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일치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학생이 심폐지구력 요인 내 세 종목을 실시할 경우 모든 학생이 동일한 평가를 받지 못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생건강체력평가 내의 심폐지구력 체력 요인의다양한 검사 종목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에 대한 의문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학생들의 체력을 평가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서 건강한 학생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체력 평가인 학생건강체력평가가 동일 체력 요인내의 종목들 간의 평가가 다르다는 것은 수정되어야 한다. 추후 연구를 통해서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요인 내의 다양한 종목들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필요 하리라 생각된다.

      • 시각장애 청소년 건강 컨설팅 관점의 학생건강체력평가 분석

        권오형,장홍영 한국컨설팅학회 2023 컨설팅융합연구 Vol.3 No.4

        본 연구는 시각장애 청소년과 비장애 청소년의 PAPS 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 청소년과 비장애 청소년의 체력의 차이 를 비교하여 시각장애 청소년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향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인천 지역 의 비장애인 중학교 1·2·3학년 3개의 학교(888명)와 전국 지역 시각장애 특수학교 중학생 1·2·3학년 8개의 학교(173명) 총 11개 학교의 1,058명을 대상으로 기초체력 증진 활동에 일환으로 실시된 PAPS 측정 기록을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시각장애 학생 과 비장애 학생의 학생건강체력평가를 통해 산출된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비만, 건강체력평가 총점수의 시각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그룹과 학년 및 성별의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wo-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장애 유 무에 따른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건강체력평가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 비만 점수에 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학년에 따른 심폐지구력, 근력 및 근지구력, 건강체력평가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 유연성, 순발력, 비만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성별에 따른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 력 및 근지구력, 순발력, 건강체력평가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비만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p<.05). 시각장애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 동기 부여와 더불어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측정 환경 조성과 건강관리, 체력검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를 통하여 건강관련 체력의 다면적인 발달을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hysical fitness differences between visually impaired adolescents and non-visually impaired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APS (Presidential Physical Fitness Award Program)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policy directions to promote the health of visually impaired adolescents. The study's participants included a total of 1,058 individuals from 11 different schools in the Seoul, Gyeonggi, and Incheon regions. This group comprised 888 non-visually impaired middle school students in grades 1, 2, and 3, as well as 173 visually impaired middle school students in grades 1, 2, and 3 from 8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ross the country. The study used PAPS (Presidential Physical Fitness Award Program) measurement records conducted as part of basic physical fitness promotion activities. Data processing involved the use of two-way ANOVA to test differences based on visual impairment status, grade, and gender for various aspects of students' physical health assessments, including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gility, obesity, and the total health and physical fitness assessment score. This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p<.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gility, and overall health and physical fitness assessment score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abiliti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obesity scores. Regarding grade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nd overall health and physical fitness assessment scor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exibility, agility, or obesity scores. In terms of gen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gility, and overall health and physical fitness assessment scor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besity scores. There is a demand for approaches that can facilitate comprehensive physical development related to health among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is includes motivating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nd creat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their needs, as well as ensur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ealth management, including fitness assessment too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PAPS-D에 의한 건강체력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학생의 기초체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정경희 ( Kyeong Hee Jung ),정훈영 ( Hoon Young J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본 연구는 PAPS-D에 따른 건강체력 프로그램을 지체장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기초체력에서 심폐기능, 근기능, 순발력, 유연성의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활연령이 12∼15세인 3명의 지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 실험을 통하여 기초선에서는 4개영역을 검사하였고, 중재기간은 20주 동안 40차시의 건강체력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도하였으며, 유지검사는 중재가 종료된 4주 후에 건강 체력프로그램에 따라 중재의 유지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PAPS-D에 따른 건강체력프로그램은 지체장애 학생의 체력요인별 기초체력에서 심폐기능,근기능, 순발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연성에 있어서는 의미 있게 향상된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또한 건강 체력프로그램으로 인하여 향상된 체력요인별 건강체력은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도 잘 유지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은 충남 천안시 소재 N특수학교에 초등학교과정에 재학 중인 3명의 지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방과후 체육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중다기초선 설계를 통하여 20주 동안 40차시의 건강체력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PAPS-D의 6가지 체력 요인 중 심폐기능, 근기능, 유연성, 순발력 4가지 영역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심폐기능, 근기능, 순발력 3가지 영역에서는 향상을 보였으나, 유연성 영역에서는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PAPS-D에 의한 건강체력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학생의 기초체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This study is going to find the effects of health and physical program by PAPS-D on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physical strength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y physical strength factor. Based on the above objectives, it attempted to apply the health and physical program by PAPS-D to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find th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cardio pulmonary function, muscular function, quick adaptation and flexibility in basic physical strength. For this, through the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experiment on 3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t the chronological age of 12~15, 4 areas were tested in the baseline and a health and physical program composed of 40 classes for 20 weeks was devised, applied and guided for the intermediary period, and the maintenance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aintenance effect of mediation 4 weeks after mediation completion according to the health and physical program.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health and physical program by PAPS-D improved cardio pulmonary function, muscular function and quick adaptation in basic physical strength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y physical strength factor. However, it did not acquire significant improvement on flexibility.

      • KCI등재

        초·중등 건강체력교실 운영 현황 및 활성화를 위한 탐색

        이영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2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중단되었던 건강체력교실이 2022년도에 어떻게 운영되었고 활성화하는 방안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경기교육청은 체력증진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학교 지원 자문단을 운영하기에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29개교와 서울시 소재 중학교 19개교를 대상으로 건강체력교실 운영 현황을 살펴보았다. 관련 문헌, 반구조화된 질문지,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귀납적 범주화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건강체력교실 담당자의 가장 큰 고민은 낮은 참여율과 높은 중도 하차율이었다. 건강체력교실에서 실행하는 종목은 PAPS 반복 연습, 줄넘기 비율이 높았다. 운영은 방학이나 2학기 단기간에 집중되었다. 초등학교는 지도자 섭외로 인한 지도비에, 중학교는 다양한 활동을 위한 교구비에 많은 예산을 집행하였다. 건강체력교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해당 학생과 부모에게 건강체력교실의 본질적 취지를 설명하여 주도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학생의 신체활동 요구도를 파악하여 실행 모델을 선정하도록 한다. 흥미로운 교구로 쉽고 안전하게 참여할 수 있는 게임 및 뉴스포츠 기반의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한다. 수강을 희망하는 일반 학생들을 수용하여 건강체력교실을 계획, 실행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건강, 보건, 영양에 관한 지도 및 관리 시스템을 병행하여 종합적으로 운영하도록 한다. 특히 초등담당자에게는 체육 전문성 확보 기회를 제공하여 담당 업무의 지속성을 높이게 한다. 우수 사례를 적극적으로 보급함으로써 좋은 정책이 실질적으로 정착되어 균형잡힌 건강체력교실의 확대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health and physical fitness class, which was suspended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operated in 2022 and what are the ways to revitalize it. The Seoul and Gyeonggi Offices of Education comprehensively support the physical fitness program and operate an advisory group for school support, so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and physical fitness classes targeting 29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nd 19 middle school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the person in charge and analyzed through an inductive categorization process. The biggest concerns of the person in charge of health and physical fitness classes were low participation rates and high dropout rates. The items implemented in the health and physical fitness class were high in PAPS repetition practice and jump rope rate. The operation was concentrated during vacation or short period of the second semester. Elementary schools spent a lot of money on guidance due to recruiting leaders, and middle schools spent a lot of money on teaching aids for various activities. In order to revitalize the health and physical fitness class, the student and parents should be explained with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health and physical fitness class to induce leading participation, and to select an implementation model by grasping the student's physical activity needs. Develop and distribute games and new sports-based programs that can easily and safely participate with interesting teaching aids. Accept general students who wish to take the course and plan and implement a health and physical fitness class. In addition, health, health, and nutrition guidance and care system should be comprehensively operated. In particular, elementary school managers ar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secure athletic expertise to enhance the continuity of their work. By actively distributing excellent cases, good policies are practically established and balanced health and physical fitness classes are expected to be expanded.

      • KCI등재

        노인 1인가구의 건강행태가 건강상태 및 체력상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오세숙(Sae-Sook Oh) 한국여가문화학회 2022 여가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1인가구를 전기노인(65세~74세)과 후기노인(75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두 집단의 건강행태가 건강상태 및 체력상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21 국민생활체육조사를 원자료로 하여, 전기노인 936,439명, 후기노인 546,330명으로 총 1,482,768명의 65세 이상 노인 1인가구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우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및 체력상태 인식의 차이분석을 위해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사후검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건강행태가 건강상태 및 체력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학력, 도시규모, 월평균 가구소득, 규칙적인 생활체육참여)에 따른 건강상태 및 체력상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건강행태(규칙적인 체육활동, 충분한 휴식 및 수면, 규칙적인 식사 및 영양보충, 금주 및 금연)는 건강상태 및 체력상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은 공통적으로 자신이 규칙적인 체육활동을 하고 있을수록, 휴식과 수면, 그리고 식사와 영양보충이 충분할수록 건강하고 체력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개별적으로 차이가 있었던 건강행태도 있었는데, 전기노인은 금주와 금연을 잘 하지 않아도 건강하며 체력이 좋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기노인은 금주와 금연을 할수록 건강하지만, 체력은 좋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 single elderly households into young-old(65-74 years old) and old-old(75 years old and older) and to analyzed how the health behaviors affect on the perception of health status and physical fitness statu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a total of 1,482,768 single elderly households aged 65 or older with 936,439 young-old and 546,330 old-old using the 2021 National Sports Survey as a raw data. First of all,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with Scheffe pos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 of health status and physical fitness statu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two age-separated group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how the health behaviors affect on the perception of health status and physical fitness status.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health status and physical fitness statu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educational level, size of residenc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differs depending on the two age-separated groups. Second, the health behaviors (regular sports activities, sufficient rest and sleep, regular meals and nutrition supplementation, no drinking and no smoking) of the two age-separated groups were found to affect the perception of health status and physical fitness status. To put it all together, the young-old and the old-old think that the more they are doing regular sports activities, the more they rest, sleep, and the more regularly sufficient meals and nutrition the healthier and better physical fitness they ar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young-old felt healthy and good physical fitness even if they did not quit drinking and smoking, and the old-old felt healthier when stopped drinking and smoking, but their physical fitness was not g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