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여성노인의 다차원성공적노화에서 운동의 기여

        백소영(BaekSo-young),윤영길(YunYoung-kil)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1

        본 연구는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의 다차원성공적노화의 구성개념인 신체적건강, 심리적건강, 사회적건강, 개인적성장에 있어서 운동의 기여를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운동에 참여하는 60대 여성노인 7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를 진행하였다. 포토보이스는 포토보이스 액션, FGI, 맥락화, 주제화로 구성하였으며, FGI는 SHOWeD 기법을 응용하여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참여적 데이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은 여성노인의 신체적건강, 심리적건강, 사회적건강, 개인적성장에 기여한다. 신체적건강과 관련해 운동은 여성노인의 신체기능 개선과 만성질환 완화를 통하여 신체적건강에 기여하고, 성공적노화의 토대가 된다. 심리적건강과 관련해 운동은 여성노인에게 긍정정서와 심리적 젊음을 경험하게 해 심리적건강에 기여하고, 심리적 건강은 성공적노화의 동력이 된다. 사회적건강과 관련해 운동은 여성노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부부 유대감 회복에 도모하여 사회적건강에 기여하며, 사회적건강은 성공적노화의 버팀목이 된다. 개인적성장과 관련해 운동은 여성노인의 삶의 의미 회복과 자기계발을 촉진해 개인적성장을 견인하고, 개인적성장 경험은 성공적노화의 디딤돌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의 다차원성공적노화를 위한 운동의 긍정적 기여와 나아가 운동이 다차원성공적노화 진입의 실천적, 제도적 방안이 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ribution of exercise in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health, and personal growth which are compositions of multidimensional successful aging of elderly women. For this study, seven 60’s elderly women,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various exercises, participated in Photovoice. Photovoice was composed of Photovoice action, Focus Group Interview(FGI), contextualizing, and codifying themes. FGI was conducted based on SHOWeD technique. Also, Participatory Data Analysis(PDA) was used to examine data collected through Photovoice. As the first result, exercise contributes to physical health through an improvement of physical function and an alleviation of chronic disease and, they become the fundamental of successful aging. Second, exercise contributes to psychological health by making elderly women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and psychological youthfulness, and they become the motive of successful aging. Third, exercise contributes to social health by promoting social interactions and restoring their marital bonds, and they become the support of successful aging. Last, exercise leads to personal growth by recovering the meaning of life and promoting self improvement, and they become the steppingstone of successful aging. This study shows that exercise positively contributes to elderly women’s multidimensional successful aging. Also, it demonstrates a possibility that exercise can be an action plan for multidimensional successful aging.

      • KCI등재

        초기 노안의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 조사

        최가을,이명희,안영주 대한시과학회 2023 대한시과학회지 Vol.25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levels of aging perception and eye health care in individuals with presbyopia. Methods : An online survey was used targeting 171 middle-aged adults in their 40’s or older suffering from early presbyopia, and the 6 questions on aging awareness and 11 questions on eye health care awareness ranged from 'not at all' to 'very much'. Responses were made on a 5-point scale. Independent t-tests and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ging perception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based on age groups (early, mid, and late 40‘s) and gender.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perception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Results :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43.92±2.42 years, and 95 were male (55.6%) and 96 were female (44.4%).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ging awareness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according to age group. In aging perception, it was found that males (3.40±0.97)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ging awareness than females (3.87±0.93) in one question (question no. 4). In eye health care awareness, it was found that women had higher health care awareness than men in three questions (questions 1, 6, and 7) (female: 4.05±0.67, male: 3.52±0.81, female: 3.83±0.77, male: 3.51±0.99, female: 4.01±0.70, male: 3.77±0.83). The higher the aging awareness, the higher the eye health care awareness(r=0.161, p=0.035). Conclusion : There were differences in aging awareness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based on gender, and higher levels of aging percep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eye health care awareness. 목적 : 초기 노안에서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초기 노안을 겪는 40대 이상의 중년 성인 17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이용하여 노화 인식에대한 설문 6문항과 눈 건강관리 인식에 대한 설문 11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5점척도로 응답하게 하였다. 독립표본 t-검정과 ANOVA 분석으로 노화 인식 정도와 눈 건강관리 인식의 연령대(40 대 초반, 중반, 후반)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인식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의 평균나이는 43.92±2.42세로 남자는 95명(55.6%), 여자는 96명(44.4%)이었다. 연령대에 따라노화 인식 정도와 눈 건강관리 인식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화인식의 경우 한 가지 문항(문항 4번)에서 남자(3.40±0.97)가 여자(3.87±0.93)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노화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눈 건강관리 인식은세 가지 문항(문항 1, 6, 7번)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은 건강관리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각각여: 4.05±0.67, 남: 3.52±0.81, 여: 3.83±0.77, 남: 3.51±0.99, 여: 4.01±0.70, 남: 3.77±0.83). 노화인식도가 높을수록 눈 건강관리 인식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r=0.161, p=0.035). 결론 : 성별에 따라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은 차이를 보였고, 노화 인식도가 높을수록 눈 건강관리 인식정도가 높았다.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정보기술사용능력과 건강노화의 관계: 연령집단별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엄사랑,김수경,김지원,신혜리,김영선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nd the Healthy Aging of Older Adults in Korea. The data used in the study was derived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10,058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10,299. And for the analysis of age group, age group was classified as young-olds (65-74), old-olds (75-84), and oldest-old(85+).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nd Healthy Aging.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h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lationships among all domains of Healthy Aging, which includes physical, cognitive, mental, and social health. Hence, the higher level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the lower number of chronic diseases,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the lower level of depression, and the higher levels of social activity was shown.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e group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erms of Healthy Aging. The oldest-olds, however,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nd physical health. This study results imply that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is a strong factor for various domains of Healthy Aging of young-olds and old-olds, on the other hand, only cognitive, mental, and social domains apply to the oldest-olds.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nd the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in Korea, and it showed the differences among various age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mportant database for implementing practical interventions to encourage older adults in three different age groups to use technology which could lead to the improvement of Healthy Aging.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정보기술사용능력과 건강노화와의 관계를 연령집단에 따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전체응답자(n=10,299명) 중 10,058명의 응답자를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연령집단은 연소노인(65-74세), 고령노인(75-84세), 초고령 노인(85세 이상)으로 분류 하였다. 이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한국노인의 정보기술사용능력과 건강노화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정보기술사용능력은 건강노화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기술사용능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주관적 건강을 가지고, 만성질환 개수는 적었으며, 인지기능 수준은 높았고, 우울수준은 낮았으며, 사회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연령집단별 차이가 존재하였는데, 연소노인과 고령노인은 건강노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진 반면, 초고령 노인의 경우 건강노화 중 신체적 건강 영역은 정보기술사용능력과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소노인과 고령노인의 경우 정보기술사용능력이 건강노화의 다양한 영역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초고령 노인의 경우 건강노화의 인지적・정신적・사회적 건강에서만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차원에서 노인의 정보기술사용능력과 건강노화와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연령집단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령집단별 건강노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기술사용을 장려하는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변인 간 관계를 중심으로

        김지연 ( Ji-yeon Kim ),홍준희 ( Jun-hee Ho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의 지표인 참여여부,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 정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설문조사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 남녀 노인 16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고,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른 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차이 검증을 수행하는 한편,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10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생활체육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세 심리적 변인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모형과 두 가지 대안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여 연구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한 후, 가정한 변인 간관계가 유의한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여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매개효과와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주관적 건강 수준은 생활체육 참여 노인이 생활체육 비참여 노인보다 더 좋았지만, 노화태도와 삶 만족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경우, 생활체육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 수준이 더 좋고, 노화태도가 더 긍정적이고, 전반적인 삶 만족도가 더 높았지만, 생활체육 참여빈도와 참여시간은 세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둘째, 가정한 연구모형이 대안모형에 비해 더 적절하였으며, 각 변인의 관계는 가정과 일치하였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기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related variables on subjective health,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Methods: Using 166 older adults’ data from the surve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related variables on subjective health,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hypothese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ercise participation was associated with subjective health and the period of exercise participation predicted subjective health,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hypothetical model among variables showed reasonable model fi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exercise participation and attitude toward own aging was mediated by subjective health,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exercise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not mediated by subjective health and attitude toward own aging.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related variables on subjective health,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Also, this study ascert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exercise participation, subjective health,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lif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노화의 개념

        전진숙(Jin Sook Cheon)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7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3 No.2

        2005년도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여성 85.5세, 남성 75.1세, 전체 78.5세로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에 육박하고 있다. 수명 연장과 더불어 노인병도 증가일로에 있으며, 따라서 장애와 기능적 의존 없이 건강한 노화를 맞는 것은 우리 모두의 바람이자 이상이라고 볼 수 있다. 노인환자와 늙어가는 우리 정신과의사 모두를 위해서 어떻게 하면 성공적 노화를 맞이할 수 있을지 그 해답을 찾아보기 위해서 노화의 정의, 기전에 관한 여러 이론과 근거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건강한 노화의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1990년부터 2007년 현재까지 노화기전, 노화개념, 성공적 노화, 수명 등의 단어가 포함된 발표논문을 인터넷으로 검색하여 문헌고찰을 하였다. 1. 노화의 정의 생물학적 노화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생식력이 감퇴되고 사망률은 증가되는 진행성의 기능상실로 정의된다. WHO는 건강한 노화는 질병과 장애에서 벗어나야함을 강조하였다. 2. 노화의 기전 분자설, 세포설, 계통설, 진화론, 분자염증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노화 이론이 제시되었다. 3. 노화에 관한 최신지견 여러 개체에서 공통적인 노화의 기전으로서는 산화손상,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의 합성, insulin-IGF 축의 변화, 에너지 균형의 변화가 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효모, 윤충, 초파리, 쥐에서 칼로리 제한과 연관된 유전자 경로가 수명의 조절에 관여함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인간의 조로증에 관계되는 유전자 이상의 규명, telomere 단축, 장수유전자의 관련성 규명 등도 노화의 이론에 대한 근거들을 제공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노화는 유전자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지배받도록 예정된 과정이 아니다. 인간의 노화과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현격한 진전은 보지 못했다. 현재까지, 인간의 노화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는 방법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노화에 관한 기초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 노화에 관한 연구목표는 결과와는 무관하게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두어서는 안 되며, 장애와 기능적 의존성으로 부터 자유로운‘건강수명(active longevity)’을 증진시키는데 두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In 2005,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Koreans reached 78.5 years(males 75.1 years, females 85.5 years), which was near to the mean value of all OECD countries. With expanding life span, age-related diseases are also increasing. Therefore, having active ageing without disability and functional dependence seems to be our hope and ideal. This article is tried to look for a proper answer how we ageing psychiatrists as well as our aged patients get into a path to a successful ageing. Through comprehensive review of many theories and clues about definition of ageing and causes and mechanism, what is essential for the maintenance of healthy ageing may be suggested. Methods:Articles and documents published from 1990 through 2007, containing words like ageing mechanism, ageing concept, successful ageing and longevity were searched via internet and reviewed. Results:1) Definition of ageing : biological ageing can be defined as the progressive loss of function to decrease fertility and to increase mortal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ge. The WHO insisted active ageing must be devoid of disease and disability. 2) Mechanism of ageing : Various mechanism of ageing such as molecular, cellular, system, evolutionary and molecular inflammatory theories were reported. 3) Update issues on ageing : As the universal ageing mechanism, theories including oxidative damage, synthesis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change of insulin-IGF axis, and change of energy balance were suggested. At present, results of animal experiments showed that genetic pathways related to the calorie restriction in the yeasts, nematodes, fruit flies and mice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control of life span. Otherwise, the theories of ageing can be supported by such clues as the identification of gene abnormality in relation with human progeria, telomere shortening and search for the longevity genes. Conclusion:Ageing is not a preprogrammed process to be directly governed by genes. Prominent progress to understand ageing is not achieved. Until now, there is no way found to delay ageing process in human. Therefore, further interest is needed to do basic research on the ageing. The target for the study on the ageing should not to postpone human life span despite of results, but to promote ‘active longevity’ free from disability and functional dependence.

      • 노화관련 frailty(쇠약)와 sarcopenia(근손실) 평가의 적용

        정원정,김우경,박휴경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8 Coach Vol.25 No.1

        노화는 전세계 국가에서 건강, 보건의 측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이슈이다. 다양한 학문에서 노화와 관련된 연구분야와 접근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체육학 분야에서도 건강관리, 건강증진, 건강복지의 측면에서 노인인구에 대한 논의는 우선순위에 있는(Kruger et al, 2007)중요 과제이다. 건강한 노화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에서 질병이 없고 높은 인지 능력과 신체적 기능을 유지하며 삶에 적극 참여하는 것(Rowe Kahn, 1998)으로 노화가 시작되는 시기에 노화방지 및 건강한 노화를 위한 체육학 및 운동학 분야의 중재방법은 제안되어야한다. 이 연구는 미국 노년학회에서 제시한 노화의 단계 중 Middle age(75~85세)에 속한 신체적 장애발전 단계와 Final stage(85~ 이상)의 전적으로 의존하는 단계(Shephard, R, J., 1998)에 해당되는 시기에 발생하는 frailty와 sarcopenia 에 대한 관심과 정보제안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화관련 연구분야에서 frailty와 sarcopenia에 대한 영역은 노화과정에서 근육과 골격계의 변화가 일상생활 미치는 영향을(고연화, 2016)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다. frailty는 허약, 쇠퇴, 허약 등의 의미로 해석된다. 연령증가에 따른 생리학적 기능 감소와 일상적 스트레스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이 감소되는 것으로 설명 할 수 있으며 신체적 허약함과 인지적 손상이 동시에 존재하는 특징을 나타내는 이질적인 임상적 징후(panza et al, 2018)로 정의 할 수 있다. frailty는 노인의 질병발생과 관련성이 높으며 일상생활능력도 감소되고, 낙상, 체력저하, 의기소침, 사망률 등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급속한 노화과정에서 발생하는 sarcopenia도 생리학적 측면에서 고려하여야할 요인의 하나이다. sarcopenia는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근육의 질량과 힘의 손실을 정의되며 노년기에 발생하는 frailty와 기능장애의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한다. 노화의 과정에서 신체의 장기에도 구조적 기능적인 변화가 동반되며 전체 체중의 40%를 차지하는 골격근도 양적으로 질적으로 퇴화하기 시작한다. 이처럼 골격근은 다양하게 신체적, 신진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sarcopenia가 시작되면 근력과 근육량의 현저한 손실로 이어진다(Kim, K. M., Jang, H. C., Lim, S., 2016). 최근에 frailty와 sarcoponia와 관련 된 운동의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에어로빅 운동과 저항성 근력운동의 병행 프로그램이 근육량과 근기능을 강화시키는 중재 방법으로 제안되어(Su-Zi Yoo et al, 2018) frailty와 sarcoponia를 판단하는 측정도구를 검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접근으로 판단된다. 2014년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에서 1045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fraity와 관련된 것으로 발표되는 요인 중 당뇨(22.6%), 골다공증(14.0%), 우울(2.8%), 치매(2.1%), 골절(2.4%), 영양상태(39.4%), 우울(40.8%), 수단적 생활수행능력: IADL(11.3%), 일상적 생활수행능력: ADL(6.9%)에 문제가 있으며 치매선별용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 검사: MMSE-DS 결과에서도 전체 노인의 평균점수는 23.7/30점으로 나타나 인지저하가 발생한 비율은 31.5%이다. 2018년 중국에서 최근 보고된 frailty 유병률은 3.7%로 표준 유병률 2.7% 대비 약간 높은 발생률을 나타내고 있다(L. Ma P. Chan, 2018). 현재 한국에서 frailty를 판단을 위한 측정도구에 대한 척용은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학술연구정보서비스, 2018).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통계청에서 공공데이터로 개방하고 있는 정보 중 노인실태조사(2014)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제적으로 제안되는 frailty 측정도구를 한국에 적용 가능한 타당한 도구를 확인하여 노인체육관련 트레이닝의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로 판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차적으로 3가지 frailty 판단요소는 lost≥ 10 lb(4.54 kg)감소, walking speed≥(9 s), grip strength(kg)악력 등 신체적 쇠약(physical frailty)과 주관적 인지 저하(subjective cognitive decline) 점수를 Frailty summary score ≥3으로 판단한다. 그 밖의 현재 Frailty를 측정도구로 적용하고 있는 척도는 Tilburg Frailty Indicator; TFI,(Robbert, et al, 2010), The Groningen Frailty Indicator(Hoogendijk, E. O., Van Hout, H. P. J., 2012), a simple frailty questionnaire(FRAIL) Morley, J. E., Malmatrom, T. K. & Miller, D. K., 2012), 7 point Clinical Frailty Scale; The CSHA Clinical Frailty Scale(Rockwood, K. et al, 2005),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CGA & a frailty index: FI(Jones, D. M. Song, X., & Rockwood, K., 2004), The Frail scale includes five components(Van Abellan, K. G., Rolland, Y. M., & Morley, J. E., 2008), The CHS scale consists of five components(Fried, L. P., 2001), ADL or weight loss, mentioned in the frailty definitions(Sternberg, S. A. et al, 2011), CHS model frail (Franklin, W. et al, 2005), Avila-Funes’s instrument frail (Wou, F., 2013), Rothman’s instrument frail(Vries, N. M. et al, 2010), Folstei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Edmonton Frail Scale: EFS(Petty, D. R. et al, 2006) 등으로 요약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위의 측정도구의 구성요소들을 확인하여 체육의 현장에서 frailty를 측정에 적용이 가능한 최적측정도구를 제안이 요구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frailty와 sarcopenia가 발생하는 노화의 최종단계의 범위의 인구에 대한 노화진행 방지 운동프로그램의 개발하여 체육의 장에서 활용하는 연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2016년 건강영향평가 사업 운영 - 노화 관련 건강결정요인과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및 건강영향평가의 제도적 도입 지원 연구

        김정선,서미경,최은진,오미애,이난희,윤시몬,강아람,정진욱,손애리,김성민,송기민,김민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건강영향평가는 공공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건강 결과를 예측하는 사업으로, 우리 원에서 하는 건강영향평가 사업의 목표는 건강영향 평가를 우리나라에서 제도화하는 것임. 이를 위한 준비 과정으로 다음의 세 가지 방향에 따라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첫째, 건강영향평가 도입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중앙단위 정책에 대한 평가시범사업을 실시하고, 둘째, 건강영향평가 인프라 구축을 위해 건강결정요인별, 지역별 특성에 따라 건강영향평가 시범사업을 선정해 실시하고, 건강결정요인별 건강영향평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며, 셋째, 정책연구 수행을 통한 제도화 방안을 제시하고, 아시아태평양지역 건강영향평가의 중심 역할을 수행함. 특히 공공정책의 현장에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건강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음. 이에 따라 2016년도에는 지자체의 제도화를 위해 서울시 서초구와 긴밀하게 공동연구를 수행하였고, 반딧불센터 운영사업과 양재천 종합정비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수행해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권고사항들을 제시함. 또한 초고령 사회로 치닫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해 고령자와 같은 취약인구집단 또는 잠재적 취약인구집단의 건강결정요인과 관련한 지표를 생산할 수 있는 조사를 실시하여 고령자의 건강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기초자료와 건강의 형평성과 관련한 지표를 생산함. 한편 고령자 관련 보행환경 개선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수행하고 대상사업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 2. 주요 연구 결과 및 시사점 우리나라는 환경보건법에 따라 건강영향평가를 실시하기는 하나, 이는 일부 개발사업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며,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 수행하는 정책, 사업에 포괄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아직 정부 차원에서 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법률 제정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전북 무주군과 서울 서초구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체적으로 포괄적이고 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조례를 만들고, 제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지방자치단체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의 원칙은 첫째, 환경영향평가의 일부가 아??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로, 건강증진에 직접적인 효과를 많이 도출하고자 하는 것임. 두 번째는 포괄적인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로서 포괄적인 건강 요인(건강, 사회, 물리적 요인)을 포함하며, 법, 제도, 계획, 사업을 대상으로 하고,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범위를 포함해야 실질적으로 건강친화적 정책이 수행되고 시민의 건강증진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임. 건강영향평가 지자체 모형 개발의 최종 목표는 지속가능한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 및 수행이 용이하고, 확산이 쉬운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번 연구 결과로 개발된 모형은 2017년 시범사업을 거쳐 수정 보완 후, 지방자치단체에 확산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중앙단위의 법제화를 목표로 함. 건강영향평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연구로써 성공적 노화와 관련한 건강결정 요인의 설문 도구는 싱가포르국립대학과 공동으로 개발하여 2012년 서울시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추진한 바 있음. 중고령자 대상 양적인 조사에서는 연령별 차이, 성별 차이, 교육수준의 차이, 소득수준의 차이 등에서 성공적 노화와 건강 관련 요인, 사회적 자본 등의 요인이 관련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본 조사를 통해서 건강영향평가의 건강결정 요인의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개인의 건강 유지 및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요인을 다양한 차원에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고서에 나타난 유럽의 동향 분석에 의하면 횡단면 연구를 기준으로 볼 때 지역 수준의 사회적 자본과 건강 수준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관련성이 없는 연구보고도 있음. 사회적 참여를 포함한 사회적 자본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개인의 건강관리 행동 또는 건강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된 바 있음. 따라서 정책이나 사업의 계획단계에서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방향으로 개발해야 할 것임. 건강영향평가에서 사회적 건강결정 요인을 고려할 때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역을 검토해야 하며, 인구학적 특성과 같은 고정적 요인이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해야 함.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키는 방향의 정책요인을 개발해야 하고 건강영향평가를 통해 고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노력에는 저소득층의 소득이나 사회활동 지원을 위한 사회적 정책이 해당함. 우리나라는 인구학적 특성으로 인한 건강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민건강 증진 종합계획의 정책 목표에 인구집단별 건강증진 목표와 세부사업이 개발된 바 있으나, 노인 건강과 관련한 사업은 만성질환의 예방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어 사회적인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과제를 더 개발해야 할 것임. 우리나라 정부의 노인복지 측면 정책으로는 노인소득보장, 요양 및 건강보장의 정책이 대표적임. 사회적인 측면의 정책으로는 노인 일자리 정책이 대표적인데, 외국의 정책 사례에서 보면 정부의 사회경제적 지원 정책이 취약계층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한다는 점이 특징임. 모니터링 지표는 건강의 다양한 차원을 고려하여 사회적 취약계층의 건강 불평등과 관련한 지표로 개발되고 있음. 사회적 자본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참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사회적 기회를 마련해야 함. 또한 중년 이후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적 자본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교육 기회도 더 늘려야 함. 건강영향평가를 시행할 때 성공적 노화 및 사회적 자본의 요인을 고려함으로써 이러한 정책요인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고령자 대상 정책사업들 중 건강영향평가 대상사업을 선정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고령자의 인식을 파악한 결과,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중고령자의 인지도는 전체 1000명 중 43%가 인지하고 있고, 이용경험이 있었음. 그러나 향후 이용 의향은 13.8%로 낮게 나타났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높았음. 고령친화산업 분야별 인지도는 요양산업, 주거산업, 의료기기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어 용구용품산업, 금융자산관리산업, 의약품, 식품, 화장품, 여가문화산업 순으로 나타남. 또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반적인 우선순위 평가 결과 전체적으로 의약품, 요양, 주거, 식품이 우선순위 중 상위를 차지함. 이들 고령친화산업 중 우선순위가 높은 주거분야에서 운영위원회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고령자 보행환경 개선사업이 평가 대상으로 선정됨. 고령자 보행환경 개선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사업에 대한 권고사항이 도출됨. 긍정적인 건강영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첫째, 교통안전활동 강화를 위해 농촌지역의 국도 통과 도로변 마을입구에 표지판, 가로등을 추가 설치해 운전자의 속도 조절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둘째, 횡단보도의 길이에 대한 인식은 연령이 많을수록 짧다고 느끼고 있어 장애인용 횡단보도의 점자보도와 알람 등과 같이 횡단보도 시간 연장 욕구가 있을 시에 조절할 수 있는 시설 설치가 유용할 것임. 셋째, 고령자들의 교통안전교육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91.3%가 필요하다고 응답함. 이에 비춰 볼 때 고령자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따라서 경찰 내에 노인교통안전교육 전문가를 육성하고 체계적이고 통일된 고령자용 교통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노인교통안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넷째, 교통안전교육의 콘텐츠로는 횡단보도의 녹색 점멸등에서도 건넌다는 응답률이 높아 점멸등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줘야 할 것임. 야간 외출 시 밝은 색상의 옷을 입을 것을 포함하여야 할 것이며, 야광 띠 사용도 적극 권장하며, 건강 형평성 차원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부담이 되는 시설 개보수와 같은 사업보다는 자원봉사자 또는 고령자의 자발적인 협조가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임. 결론적으로 교통 환경은 고령자들의 건강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현재의 보행환경은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고령자들에게는 불편한 면이 있음. 따라서 보행환경 조성사업과 교통안전교육을 통해 고령자들 스스로 교통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 1. Background and purposes Health impact assessment (HIA) provides information to establish a health orientated policy and predict the health impacts of different policy alternatives. This study aims to institutionalize HIA in Korea.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3 different research projects were carried out as a ground work. First, introduction of HIA was prepared by conducting a pilot project against local and central governmental policies. The second research was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HIA. Pilot project was also executed and HIA guideline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determinants of health and regional factors. Third, the policy research was performed to suggest strategies for institutionalization of HIA. This is intended to play a central role of HIA in Asia-Pacific region. Local governments are especially in need for implementation of HIA system, as they are first at the scene of public policy. Therefore, a collaborative research was conducted closely with Seocho-gu in Seoul for institutionalization in local government in 2016. HIA was implemented for Firefly center operation and Yangjae-stream integrated improvement project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maximize the positive impacts while minimizing negative effects. As Korea is becoming a super-aged societ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create an index related to the health determinants of vulnerable populations such as senior citizens or the potentially vulnerable population. Required basic information for analysis of the health determinants of the aged group and the equity-focused health index were created. Further, HIA was executed on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old age population and recommendations were drawn. 2. Results and Implications Based on Environmental Health Act, HIA should be conducted in Korea. However, its application is limited to certain development projects, and is not applied comprehensively to local and central governmental projects. There is no independent enactment of an Act regarding HIA at a governmental level. However, some local governments such as Muju-gun in Jeonbuk and Seocho-gu in Seoul implemented a comprehensive and independent HIA regulations and attempted its institutionalization. The first fundamental for development of a local governmental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is to develop an independent model, which is not a par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objective is to induce more direct impacts on health improvement through this model. Second,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that encompasses all-inclusive determinants of health(health, social, physical factors), subjected to laws, systems, plans and projects. All direct and indirect health impact factors should be included to execute a realistic health promoting policy, consequently the citizens can experience health improvement effects. The final goal of local governmental HIA model development is to create a sustainable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that transfer and implementation are easy. The model that has been developed as an outcome of this research, would be improved after pilot studies in 2017. This model will be distributed to local governments with a long-term goal of institutionaliza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In 2012, the first survey on determinants of health that are related to successful aging was conducted against senior citizens in Seoul as a part of the infrastructure building research for HIA. A quantitative analysis subjected to senior citizens showed that a successful aging was associated with health and social related factors such as age, gender, and income level differences. An index for determinants of health was created for HIA. This index is expected to enable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ersonal maintenance and health. A trend analysis of Europe in OECD report showed that local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health when transversal data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studies showing no relationship between them. Social capital including social participation revealed to influence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or health life, directly or indirectly. Thus, policies and projects should be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it impacts positively on social capital during the planning stage. Whe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re considered during HIA, areas where it can influence the social capital should be examined.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 way that the influence of fixed factors on health inequality,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minimized. To obtain this, the elements of the policies that increase social capital should be generated, and this should be reviewed during HIA. As an effort to minimize the impacts on health inequality, social policies should support income and social activities for the low-income population. In Korea, to minimize health inequalities caus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promotion goal by population group and a sub project were created as a par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However, Korea`s senior wellness program focuses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illnesses. Thus, further project development is needed for social health improvement policies. Korea`s major senior wellness program includes guaranteed income supplement, illness recuperation, and health insurance. Whereas the main social wellness program is an employment policy for seniors. Reviewing overseas`cases, their main characteristics are continuous governmental monitoring that ensures the penetration of their socio-economical support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s. Monitoring index is also developed considering multi-dimensional aspects of health inequalities of socially vulnerable population. To expand social capital, social opportunities should be created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middle age and older populations to increase their social capital with diverse methods, their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also be boosted. When HIA is conducted, successful aging and social capital factors should be reflected to the elements of the policies. To select the policies for seniors to apply HIA, awareness of senior friendly program amongst old age population was investigated. Amongst 1000 middle/old age group, 43% were aware of the senior friendly programs and have used the service. However, only 13.8% were willing to use the service again in the future, where females were more eager than males. Illness recuperation, housing, and medical equipment projects were the most recognized services, which are followed by supplies or an article, financial asset management,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food, toiletries, and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projects. Priority analysis revealed that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illness recuperation, housing and food were at the top of the priority list. As part of the housing project, which has a high priority,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seniors was selected for an evaluation through the expert advice from operating committee. Based on the results of HIA of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seniors, recommendations were drawn. First recommendation to produce positive health impact is enforcing road traffic safety. This is achieved by means of regulation of traffic speed through implementing traffic signs and street lights at the entrance of the rural villages where a national highway passes. Second, as people get older, their perception of the length of the pedestrian crossing becomes shorter. Therefore, installation of a facility that can control the crossing time would be useful such as tactile paving and an alarm system implemented for the disabled. Third, 91.3% responded that a road safety education is required for elderly people, confirming that the majority agrees that the road safety education is necessary.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police department to train professional elderly road safety educators to operate a systematic and unified roa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to promote the road safety for elderly people. Forth, precaution for green flickering light must be added to the road safety program, since high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cross at the flickering light. Further, wearing bright color cloths should also be added to the program1) and wearing reflective safety gear should also be encouraged. For health equity, it is more suited to create and develop projects that are based on volunteers and voluntary corporation of elderly people, in contrast to high cost projects such as facilities renovation and maintenance. In conclusion, the road and traffic environment influences the health of senior citizens directly and indirectly. The survey showed that the current pedestrian environment is inconvenient for elderly people. Therefore, self-protection should be encouraged for the senior citizens from the road hazard via implement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and road safety education projects.

      • KCI등재

        건강검진 수검자의 노화에 대한 기대, 우울이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양수정(Soojeong Yang),박수인(Suin Park),김현례(Hyunly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노화에 대한 기대, 우울,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조사하고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된 G광역시 M건강검진센터를 내원한 건강검진 수검자인 143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6년 7월 5일부터 21일까지 자기기입 방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노화에 대한 기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영향요인은 학력,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관리시설 이동시간, 노화에 대한 기대, 우울이었다.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화에 대한 기대, 우울의 독립변인을 추가할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수행 수준을 보다 잘 설명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설명력은 27.0%로 산출되었다. 따라서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체적인 접근 외에, 인지적(지식, 노화에 대한 기대), 심리적 요인(우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is a correlational study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expectation regarding aging,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among health checkup examine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3 health checkup examinee who visited the M medical center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5 to 21, 2016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of self-report form.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s a result, health promoting lifestyle were correlated with expectation regarding aging positively, and with depression negative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were education level, perceived health status, time to move to health care facilities, expectation regarding aging, and depression. With controlle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was better explained by the addition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expectation regarding aging, and depress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inal model was calculated as 27.0%.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health-promoting lifestyl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gnitive factors (knowledge, expectation regarding aging) and psychological factor (depression) besides physical approach.

      • KCI등재

        노화기대가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배혜영,김아란별,남수진,윤지아,윤해주,김가영,장다혜,김수현,Bae, Hyeyoung,Kim, Aranbyeol,Nam, Soojin,Youn, Jia,Youn, Haeju,Kim, Gayoung,Jang, Daehyae,Kim, Su Hyu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층을 대상으로 연령대별 노화에 대한 기대수준과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노화기대가 개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대구 경북지역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20~50대 성인 233명으로, 직접 접촉을 통한 설문 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노화기대 점수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나, 노화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노화기대 점수는 신체건강 영역에서 가장 낮았고 정신건강 영역에서 가장 높았다. 각 연령대별로 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0~30대 대상자에서는 노화기대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0~50대 집단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노화를 긍정적이며 능동적이고, 자연스러운 자기선택적인 변화로 바라볼 수 있도록 인식의 전환을 유도 할 필요가 있겠으며, 특히 20~30대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긍정적인 노화기대를 가지도록 지지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to examine whether expectation regarding aging was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community-residing Korean adults. Data were collected from 233 adults dwelling in the community of Daegu and Kyungpook province. The influence of expectations regarding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was significantly lower in 40s and 50s than 20s and 30s. The participants had the lowest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in terms of physical health domain and the highest expectations in terms of mental health domai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different age groups.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adults in 20s~30s but not in those in 40s~50s.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encouraging Korean adults to strive for having positive and active perspective on aging and for getting higher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in particular, for 20s and 30s, as a health-promoting strategy.

      • KCI등재

        노화인식이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남상희,김지연 한국생활과학회 202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wareness of age-related positive (gains) and negative (losses) changes on health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t coping in these relationships among the elderly (older than age 60).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50 elderly participan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health behavior was positively predicted by awareness of age-related gains and negatively predicted by awareness of age-related losses. Second, resilient coping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e-related changes (gains, losses) and health behavior. Specifically, the elderly participants who perceived age-related gains reported higher levels of resilient coping, which enabled them to engage in health behavior. However, the elderly with higher awareness of age-related losses reported less resilient coping, followed by lower levels of health behavior.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표는 노화손실인식과 노화이득인식이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노화인식과 건강행동 사이에서의 회복탄력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만 60세 이상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행동은 노화손실인식과 부적관계이고, 노화이득인식과 정적인 관계이다. 둘째, 회복탄력적 대처방식은 노화손실인식과 건강행동 간 관계와 노화이득인식과 건강행동 간 관계를 각각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즉, 노화손실인식이 강할수록 회복탄력적 대처방식을 덜 사용함으로써 건강행동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화이득인식이 강할수록 회복탄력적 대처방식을 자주 사용함으로써 건강행동을 더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제한점을 서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