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국가영유아건강검진에 대한 인식과 제언

        김은주,임홍남,김정미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7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6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for effective childhood health examinations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and suggestions of mother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a result, mothers said that the national childhood health examination check the heal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but it also makes people overly concerned. Additionally, they said it is a chance to check the direction of healthy childrearing but they expressed discomfort about inducing uniform parenting. In addition, mothers said that there are some unprofessional and unfriendly institutions that offer unilateral medical checkups as well as some reliable institutions, and that national childhood health examination focuses more on infants than older children. Based on this, mothers suggested that in the future the national childhood health examination should evolve into a program that offers health checkups customized for individual children, preventive health checkups, life-friendly health checkups, and whole-life health checkups. As a way to reflect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oriental health checkup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establishment of and building of an Eco-Edu System to support healthy rear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arched for a direction for an effective national childhood health examination.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국가영유아건강검진에 대한 인식과 제언을 살펴봄으로써 실효성 있는 영유아건강검진의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국가영유아건강검진이 아이의 건강과 발달을 체크해주는 반면, 과잉 우려를 양산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건강검진을 통해 자신의 양육방식을 점검하는 기회가 되는 반면, 획일적인 양육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에 대해 불편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또 신뢰로운 검진기관이 있는 반면 획일화된 검진으로 비전문적이고 불친절한 기관도 있다는 점과 영유아건강검진이 영아기에 비중을 많이 두는 반면 유아동기로 갈수록 관심이 적어진다고 지적하였다. 이를 토대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앞으로의 국가영유아건강검진이 개별 아이에게 맞춘 건강검진, 예방차원의 건강검진, 생활밀착형 건강검진, 전 생애적인 건강검진으로 나아가기를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의 건강한 삶을 지원해줄 실효성 있는 국가영유아건강검진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객경험 강화를 위한 사용자 모델링 기반 건강검진 서비스 디자인 방향성 연구

        이장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4 기초조형학연구 Vol.25 No.3

        건강검진 시장의 확대와 경쟁의 가속화,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건강검진 서비스의 고객경험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검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건강검진 서비스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강검진을 위한 사용자 리서치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13명의 맥락적 인터뷰와 2그룹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맥락적 인터뷰를 통해 건강에 관한 인식, 건강검진 여정 등을 심층 인터뷰 하였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행동패턴에 따라 3개 유형의 사용자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는 건강검진 여정에 대한 경험과 검진 이후 사후관리 여정에 대한 조사를 통해 건강에 대한 인식, 관심도, 핵심 구매요인, 고객 여정의 문제점, 결과지를 활용한 사후관리 경험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시나리오를 통해 건강검진 고객 여정 과정을 정보탐색 및 예약, 검진과정, 결과확인 및 사후관리 단계로 요약하고 각 단계별 서비스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서비스 과정에서 물리적 증거로서 결과지 디자인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결과지라는 물리적인 매개를 통해 고객의 검진 여정을 가시화함으로서 고객경험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 채널로의 전환 가능성을 확인 하였으며, 개인 건강관리로 확장될 수 있는 방안으로 건강검진 결과지의 시각화된 정보 디자인의 제공과 맞춤형 사후관리를 위한 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건강검진 서비스의 문제점 분석과 디자인적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서 사용자 중심의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With the expansion of the health checkup market, the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and the shift in the healthcare paradigm, there is a need for diverse approaches to enhance customer experience in health checkup servic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user-centered design directions for health checkup services to provide a better experience for examinees. For user research in health checkup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contextual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13 contextual interviews provided in-depth discussions on perceptions of health, the health checkup journey, and user modeling, categorizing users into 3 types based on their interest in health and behavioral patterns. 2 focus group interviews investigated experiences during the health checkup journey and post-checkup management, examining perceptions of health, interest levels, key buying factors, issues in the customer journey, and experiences with post-checkup management using results sheets. Based on this, directions for health checkup service design were derived. The health checkup customer journey was summarized into the stages of information search and reservation, checkup process, and result confirmation and post-management, with design directions proposed for each stage. The importance of results sheet design as physical evidence in the service process was confirmed, aiming to enhance the customer experience by visualizing the customer journey through the physical medium of the results sheet. The potential for transition to digital channels was particularly noted, and design directions were suggested for services that could expand into personal health management. These include the provision of visually designed health checkup results and content for customized post-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providing user-centered health checkup services by analyzing the issues of health checkup services through user research and proposing design solutions.

      • KCI등재

        국민건강보험 건강검진사업의 비용-효과 분석: 제2형 당뇨병 건강검진을 대상으로

        이애경,권혜영,박형근,이상이,정현진,한준태,김수영 한국보건사회학회 2009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6

        While health screening servic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is the largest health screening program in South Korea, its fectiveness has not been examined. The present study, therefore, conducted cost-effective analysis of Type 2 Diabetes Mellitus(DM) screening that is a part of NHIC health screening program. Of simulated cohort selected among all health screening participants in 1996, a Markov process model that reflects natural course of Type 2 DM was use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DM and its complications until death or 100 years of age. The distribution of DM and its Complications that was initial input data for Markov process model was extracted from individual 10-year cohort data from NHIC database.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 2 DM screening group compared to non- DM screening group increased 0.76 life year gained (LYG) and 0.23 quality-adjusted life years (QALY) per person and reduced 370,000 won per person from the insurer's perspective and 7,200,000 won per person from the societal perspective for asymptomatic diabetic patient. This total medical cost reduction is attributable to the reduced direct and indirect medical treatment costs for less complications of DM by early detection. The incremental cost effectiveness ratio was -3,132,215won/QALY and -943,316won/LY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ed that NHIC DM Screening is effective in extending the quality of life as well as reducing medical cost.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서비스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규모가 가장 큰 건강검진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비용-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프로그램의 한 부분인 제2형 당뇨 건강검진을 대상으로 비용-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당뇨 건강검진을 받은 검진군과 받지 않은 비검진군에 대한 가상코호트를 각각 설정하였다. 1996년에 건강검진을 받은 참가자들 중에서 선정된 가상코호트에서 사망 또는 100세까지 당뇨병과 합병증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서 제2형 당뇨병의 자연적 과정을 반영한 마르코프 과정(Markov Process)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회 당뇨 건강검진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당뇨 환자 1인당 0.76년의 생존기간 연장(LYG), 0.23년의 질보정생존년수(QALY) 연장 효과를 각각 기대할 수 있었다. 둘째, 당뇨건강검진은 환자 1인당 보험자 관점에서 약 37만 원, 사회적 관점에서 약 72만 원의 비용을 절감시킨다. 따라서 현재 시행 중인 공단의 당뇨 건강검진사업은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비용도 절감시키는 우월적 대안이다. 셋째, 1QALY 연장을 기준으로 보험자 관점에서 약 162만 원을, 사회적 관점에서는 약 313만 원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장차, 인구의 노령화와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 등으로 당뇨 유병인구가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높음을 고려해볼 때, 당뇨 건강검진의 중요성은 더욱 더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건강보험 건강검진 대상자들의 예방적 의료서비스 이용 특성

        최령(Ryoung Choi),황병덕(Byung-Deog Hwa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검진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예방과 예방적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공통요인을 비교ㆍ분석, 요인별 분석에 따른 원하는 건강검진 항목의 비중을 분석하여 각각의 상대적인 검진으로 예방과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절감을 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이 조사는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2010년 04월 01일부터 05월31일까지 설문조사하여 707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함께 사는 사람은 건강검진과 암검진, 예방접종을 많이 받으며, 민간의료보험 가입자, 본인건강상태 좋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검진, 암검진, 예방접종을 적게 받으며, 여성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임금근로자는 건강검진과 암검진을 많이 받고, 민간의료보험 및 고학력일수록 건강검진, 암검진과 예방접종을 적게 받았다. 건강상태 및 배우자와 함께 사는 사람은 암검진과 예방접종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arget the health examination examinee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mon elements that influence prevention and preventive medical services and to analyze the share of the physical examination categories desired following the analysis by element. Likewise, this research was attempted to provide base data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 requir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ach examination. This research targeted health examination examinees and conducted survey from April 1to May 31, 2010. The key findings after conducting analysis on 707 examinees are as follows. In case of men, those who are older and who live their spouses tended to be subjected to health examination, cancer examination and preventive injections. Those who had subscribed to the medical policy from the private sector, those with healthy state,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tended to get health examination, cancer examination and preventive injections less. In case of women, those who are older, tended to get health examination and cancer examination more while those who had subscribed to the medical policy from the private sector and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tended to get health examination, cancer examination and preventive injections less. Those who are healthy and who live their spouse tended to get more cancerexamination and preventive injections.

      • KCI등재

        일반건강검진과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제공 의료인의 인식 및 태도 조사

        강서영,이정아,김영식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7 No.4

        Background:Current National Health Examination (NHE) in Korea provides health examination to the public throughout the entire life course; however, management after NHE is not sufficiently deliver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knowledge and attitude of health care providers in order to revise result forms and counseling manual of NHE. Methods:We recruited 30 doctors, who undergo NHE, and conducted survey from January 7, 2016 to January 26, 2016. Participants answered questionnaires regarding difficulty of explaining each items of result forms, difficulty of counseling each items of NHE, and ways of improvement. Furthermor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regarding pros and cons of NHE and improvements needed. Results:The average Likert score for difficulty of explaining items of result forms was lowest (3.8/5.0 points) for blood test due to its graphic format. Difficult counseling items were mental heal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nd healthcare for the elderly. The proportions of doctors, who often counsel these items, were less than 40%. In the in-depth interview, health care providers suggested that examinees’ knowledge for result forms decreases because it is hard to interpret, and management after NHE should be improved by undertaking NHE in primary health care facilities. Conclusions:The graphic format of blood test result form should be revised into readable format, and contents of counseling manual for mental heal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nd healthcare for the elderly should be improved. Financial support for doctors should be provided, and NHE should ultimately be reinforced in primary health care facilities. 연구배경: 우리나라의 현행 국가건강검진 제도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생애 전 주기에 걸쳐 건강검진을 국가 부담으로 제공하고 있으나, 검진 후 사후관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가건강검진의 질을 향상시키고 양질의 사후관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검진을 담당하는 의사들의 상담 역량 함량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가건강검진 제공 의료진의 건강검진 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조사하여 국가건강검진 서식 및 상담 매뉴얼 개정을 위해필요한 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건강검진 및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시행하는검진 의사 3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월 7일부터 1월 26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일반건강검진 결과지 각 항목에 대해 수검자를 이해시키기 어려운 정도, 이유 및 개선방안에 대해 설문하였다. 또한,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상담분야별 설명하기 어려운 정도, 이유, 개선점에 대해 설문하였다. 매뉴얼 활용도와 매뉴얼에서 내용 보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국가건강검진의장단점, 사후관리에 대한 의견, 생활습관 상담에 대한 의견, 전반적인 개선점 등에 대해 면담하였다. 결과: 일반건강검진 결과지 설명시 수검자를 이해시키기어려운 정도에 대한 5점 리커트 척도에서 혈액검사 항목의평균점수가 3.80점으로 가장 낮았다. 혈액검사 항목을 이해시키기 어려운 이유로는 그래프 형식이 이해하기 힘들기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상담이어려운 분야는 정신건강상담, 경도인지기능장애 및 치매상담, 노인상담 분야였으며, 해당 분야들은 상담비율 또한40% 이하로 낮았다. 심층면담에서는 결과지 해석이 어려워 수검자들의 이해도가 떨어진다는 점, 사후관리가 안 되는 점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일차의료기관을 중심으로검진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결론: 그래프 형식의 혈액검사 결과지 서식을 전체 수검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의 개정이 필요하며, 상담이어렵고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정신건강상담, 경도인지기능장애 및 치매상담, 노인상담 분야에 대한 매뉴얼 내용 보강이필요하다. 효율적인 사후관리를 위해 검진 의사에 대한 시간적, 재정적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일차의료기관을 중심으로 검진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국가건강검진 운영체계 평가 및 개선전략

        이희영(Lee, Hee-Young),박종헌(Park, Jong-Heon),김윤(Kim, Yo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2 비판사회정책 Vol.- No.37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국가건강검진 운영체계를 평가하고, 그 대안의 원칙과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건강검진 운영체계를 관리체계, 전달체계, 근거체계, 질관리체계, 사후관리연계체계, 성과 평가체계로 나누어 평가하면서 개선전략을 모색하였다. 한국 국가건강검진 사업은 정보제공을 전제로 하는 선택 원칙이 고려되고 있지 않고, 검진검사의 근거에 대한 기초연구와 항목 및 주기 결정의 기준과 절차가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검진기관에 대한 질 관리를 수행하고 이를 평가하여 지정 및 취소를 결정하는 과정이 분절되어 있으며, 특히 만성질환의 경우 대상자를 검진 이후 진료기관으로 의뢰하는 사후관리 연계율이 매우 낮다. 운영체계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추진 원칙으로서 국가건강검진 관리체계의 통합 일원화, ‘검사’ 중심에서 ‘질병 예방 및 관리’ 중심으로 전환을 통해 상담 및 사후관리의 강화, 근거에 기반한 생애주기별 검진프로그램 제공, 결과 기반 검진 질관리 체계 구축, 검진 성과 평가체계 강화, 검진의 편익과 위해에 대한 정보제공에 기반한 국민의 선택권 보장 등 여섯 가지의 원칙을 도출하였다. 운영체계의 개선방안으로서 국가건강검진프로그램을 ‘전 생애주기 건강검진’으로 통합하고, 관련 법령을 ‘국가건강검진법’으로 일원화하며, ‘국가건강검진관리원’을 신설하여 사업 수행을 일원화하고, 재원을 건강보험재정으로부터 분리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가건강검진위원회의 실질적 위상을 강화할 수 있는 이러한 개선방안을 통해 한국 국가건강검진 운영체계가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assess the operating system for each area of Korea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and to present the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reform. We evaluate and develop a strategy for management system, delivery system, evidence based screening program development system, quality control system, refer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formed choice for screening is not considered. The criteria and process for decision of screening program is inadequate and related basic research for screening is not enough. Also the process for quality evaluation and decision of designating screening organizations are divided and refer rate for treatment is very low particularly the case of chronic diseases. We suggest the six principles for solving such problem; unification of operating system of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strengthening counseling and refer system through the transition from test to the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viding life-cycle specific evidence based screening, establishment of outcome based quality control system, enhancing screen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ensuring the informed choice of the people. To do this, we propose integration of all of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into ‘whole life cycle health screening program’and unification of related laws to national health care law. Also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agency’for conducting all screening program is needed and operating funds should be separate for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 KCI등재

        일반건강검진과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결과지에 대한 수검자 이해도 조사

        오임정,최효윤,강서영,이정아,김영식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7 No.3

        Background:Cardiovascular diseases related mortality attributes to approximately one fourth of mortality in Korea,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is essential for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rough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are made possible, and this will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examinees. In the current national health examination (NHE), counseling and continuous management after NHE have not been properly made. We aimed to investigate examinees’ knowledge of the result form of NHE in order to find the ways of improvement. Methods:We recruited 120 examinees, who have undergone general health examination and life turning point health examination (LTPHE), and conducted survey from January 7, 2016 to January 26, 2016. Participants answered questionnaires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creening related factors, and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NHE. Answers were converted to Likert scale, and student t-test, one-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used for the analyses. Results:Examinees’ knowledge of the result form was lowest in the blood test category. When age and type of institution were adjusted, the examinees in their 60s had significantly lower knowledge of all the categories of result forms except urine test in comparison to the younger examinees. When type of institutions were compared, examinees, who had undergone NHE in health screening clinics, had significantly lower knowledge of several categories of result forms in comparison to those who had undergone NHE in private clinics and general hospitals. Examinees’ knowledge of the LTPHE result form was lowest in categorie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nd “fall down and voiding difficulty.” Conclusions:The result form of NHE should be revised so that examinees in old age can easily understand. Examinees’ knowledge of the result form was lower in health screening clinic; thus, quality of health screening clinic should be improved for continuous care after NHE 연구배경: 심혈관계 질환 관련 사망은 우리나라 사망 원인의 약 1/4 정도를 차지하고, 건강수명 연장을 위해 만성질환의 관리는 중요하다. 건강검진을 통해 만성 질환의 조기 발견 및 예방이 가능하며, 수검자들의 생활습관 개선 및건강상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현행 국가건강검진에서는 검진을 시행한 후 사후관리에 해당하는 검진 결과의 단순 통보, 검진 후 결과에 대한 불충분한 설명과 상담 그리고 지속적인 관리의 부재 등이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가건강검진 중 일반건강검진과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결과지에 대한 수검자의 이해도를 조사하여 이의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일반건강검진 및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시행받은경험이 있는 수검자 12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월 7일부터1월 26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연령, 성별, 시행받은 건강검진의 종류, 시행기관, 시행 횟수, 시행받은 이유, 결과지의 검진항목별 이해도, 건강검진 후 생활습관 개선의 필요성을 느꼈는지 여부, 분야별 상담 및 결과가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설문하였다. 연령, 성별, 검진기관, 검진 경험에 따라 일반건강검진 결과지의 이해도가 달라지는지 여부에 대해 알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확인된 연령과 검진기관을 보정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일반건강검진 결과 중 수검자의 이해도가 가장 떨어지는 분야는 혈액검사 항목이었으며, 연령, 검진기관을보정하였을 때 40대에 비해 60대의 결과지 이해도가 소변검사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검진전문기관에서 검사를 받은 수검자의 결과지일부 항목에 대한 이해도가 개인의원 및 종합병원보다 낮았다(P<0.05).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의 결과지 이해도에서는 경도인지기능장애 및 치매 항목과 낙상 및 배뇨장애 항목에서의 수검자의 이해도가 85%로 가장 낮았다. 결론:60대 이상에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건강검진 결과지 개선이 필요하다. 수검자들의 일반건강검진결과지에 대한 이해도가 검진전문기관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검진전문기관의 질 개선을 통한 지속적인 검진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근로자 모집 · 채용시 신체검사의 정당성 여부에 관한 법적 연구

        손미정(Son, Mi-Joung) 한국법학회 2017 법학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근로자 모집 · 채용시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이른바 ‘채용건강검진’이라 불리는 신체검사의 결과가 그 법적 근거 없이 채용기준으로 반영되고 있는 실정을 비판하고 이에 대한 법리적 검토를 하고 있다. 채용건강진단제도는 2005년 이전까지「산업안전보건법」상 근거하면서 채용내정자의 건강상태 파악을 통한 건강관리 및 적정업무 배치 등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취지로 시행된 바 있다. 그러나 2005년 제도폐지 이후에도 현재까지 관행적으로 그 제도적 명맥을 유지하면서 채용과정에서 불합리한 고용차별의 수단으로 반영 · 활용되고 있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사용자의 인사경영권의 측면에서, 근로자가 되려는 자에 대한 채용건강검진이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현행법의 해석상 채용건강검진의 결과는 채용내정자의 근로계약의 유무에 영향을 끼칠 법적 근거가 없으므로, 채용건강검진의 결과 건강이상으로 인한 근로의 금지 · 제한은 근로관계의 성립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또한, 채용건강검진으로 인한 채용응시자에 대한 근로권 침해시 현행법상 차별금지위반에 대한 벌칙조항을 마련하여 사용자에 대한 제재 및 근로자의 권리구제를 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outcome of the physical examination, which is called the ‘Recruitment Health Screening’, which is commonly conducted in employment and is considering a legal basis about it. Prior to 2005, the physical examination in employment system have been enforced to the effect of a ba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health care and proper placement of health car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health status on the basis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However, since the 2005 system was abolished, it has been touted as a means of treating unreasonable employment in practice being used as a means of treating discrimination in the recruitment process. In the context of the employee’s personnel management, however, the results of the current employment screening process about workers may be assessed, but the results of employment screening on the current law shall not be construed as having no legal basis for the existence of the employment contracts. Therefore, workers’ limit prohibition in line of health strange in result from Recruitment Health Screening have to be construed as be unconnected with establishment of the employment contracts. In addition, it needs to prepare penalties for violations of the current law and seek redress of workers’ rights about the provision of penalty clauses for violations of employment candidates due to occupational health examination.

      • KCI등재

        효과적 정보 전달을 위한 건강검진 결과보고서 디자인 제안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나눔과행복병원> 중심으로-

        정원,이명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The objective and definite method to assure the health degree is physical examination. The modern people always take so much stress, have the irregular habit that eat inordinately and also lack of exercise. The physical examination becomes to a new trend and its importance is emphasized, because the diseases could be found without delay and spending of the treatment could also be reduced through taking the physical examination. This research improves the design of the physical examination reports targeted at people’s experience and accessibility, to make the subjects receiving the physical examinations understand and adapt to the healthy living habits in an easier and faster way. The physical examination reports are digested, and the relevant cases as well as the original physical examination reports of the hospital are analyzed in the sequence of discover-define-develop-deliver. The part of the parties related to the physical examinations are also analyz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process of the subjects’ physical examinations, the information design and the conception of the additional service contents are formed. Information visualization is to more effectively convey image factors such as color, image, and characters to users. As compared to being able to read physical examination result document in detail by subjects, simply and accurately acquiring the needed information is more important. The overriding comprehensive diagnosis should be listed in the first page, for instance: where is uncomfortable, how uncomfortable, and what should be done. In addition, the extent of various discomforts should be recorded in specific page. In the last page, it should be specified on how to recover such status via certain living habit. Thus, constructing effective design prototype of physical examination report via this research can make the service process blueprint of interaction among stakeholder such as subject, doctor department be more visualized. 건강검진은 질병을 조기 발견하고 부담이 될 수 있는 치료비의 지출을 막을 수 있는 지름길로서 최근 건강검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건강검진을 통해서 여러 종류의 검사를 받고 자신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은 건강검진 결과보고서의 정보이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 결과보고서 디자인을 개선하여, 수검자들이 쉽고 빠르게 이해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에 적용될 수 있도록 사람들의 경험과 행동유도를 목적으로 한다. 발견-정의-개발-전달의 프로세스로, 건강검진 결과보고서에 대한 이해와 관련 사례 및 대상병원의 기존 결과보고서를 분석하였다. 건강검진과 관련한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분석하고 수검자의 건강검진 경험과정 관찰을 통하여 정보디자인 및 부가서비스 요소의 아이디어를 생성하였다. 정보의 시각화는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자 색채, 이미지, 문자 등의 그래픽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수검자들은 건강검진 결과서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얻고자 한다. 따라서 어디가 안 좋은지, 얼마나 안 좋은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와 같이 단순한 요구는, 첫 페이지에서 무엇이 가장 문제 인지를 알 수 있는 종합판정이 요약되고, 세부항목 페이지에서 안 좋은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상세한 데이터가 기록되며, 마지막에 이러한 상태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생활습관을 가져야 하는지가 기록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진행으로 효과적 건강검진 결과보고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구축함에 있어서 수검자와 의사 등 건강검진관련 이해관계자 간의 상호작용 서비스 흐름을 청사진으로 가시화하고 검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