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홍명섭에 있어 조각 개념의 확장과 해체에 대한 연구

        정효순 ( Hyo Soon Chu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1

        본 논문은 홍명섭에 있어 ``조각 개념의 확장과 해체에 대한 연구``로 그에 따른 작품을 분석하고 미술사적 관점에서의 미학적 쟁점과 기존의 작가적 위상을 새로이 조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홍명섭(1948)의 작품의 특징은 개념적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개념미술가로 말하기에는 의문이 든다. 그의 작품속에는 다양한 실험적 성격이 보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홍명섭의 작품속에는 개념적 실험미술의 성격을 계속해서 ``차연differance``시키고 ``해체deconstruction``시키는 작품의 특징이 보여지고 있으며, 본 연구자는 이러한 특징이 보여지는 작업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였다. 홍명섭은 작품창작과 저술활동을 병행한 작가로서 작가 스스로가 작품을 비평함으로써 그 자체가 연구 대상이라 할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작가의 저술글 속에는 미학과 철학적 성격이 보여지고 있으며, 본 논문은 그의 작업중 구조주의에서 후기구조주의로 가는 이행 과정중의 데리다Jacques Derriad의 차연과 해체, 후기구조주의에서의 바르트Roland Barthes의 텍스트의``즐김jouissance``과 ``즐거움Le Plaisir`` 현상이 보여지고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 하였다. 또한 홍명섭의 작품의 분석에 있어 포스트모던 철학비평의 선구자들인 데리다와 아르토 Antonin Artaud를 통한 텍스트의 즐김과 해체, 바타이유George Bataille의 쾌락의 개념을 통해 작품 분석에 깊이를 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홍명섭의 작품에 있어 작품의 위치와 미술사적 성격으로서 작가의 위상을 미학적, 비평적, 작업적 성향으로 분류하여 결론 지었다. 1. 홍명섭 작가의 미학적 쟁점: 데리다 차연 differance과 해체deconstruction,바르트의 텍스트의 즐김jouissance, 즐거움Le Plaisir2. 개념미술과의 차이: 감각과 시간성을 통해 개념미술의 한계를 넘어서기3. 포스트모더니즘과 홍명섭: 포스트모더니즘 메타비평을 통한 실험 작가홍명섭의 작품은 조각의 개념적 실험미술의 변종적 성격을 지닌다. 그의 작품에는 데리다의 차연과 해체주의, 바르트의 즐김jouissance, 즐거움Le Plaisir, 포스트모던 철학비평에서 바타이유의 즐거움(쾌락)이 보여지고 있으며, 그러한 미학적 점목을 통해 조각의 확장적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홍명섭은 조각의 확장 영역을 개념적 실험미술을 통해 변이시킨 일종의 퍼포먼스의 변종이라고 보아야 할것이다. 단지 그것이 행위가 아닌 다양한 오브제와 실험적 작품으로 보여지고 있을 뿐이다. 홍명섭에 있어 조각 개념의 확장과 해체에 대한 연구 85그의 작품은 설치적 측면이 강하나 조각의 기본적 아우라가 계속해서 깔려 있다. 즉 홍명섭은 초창기의 조각의 기본적 시작을 중심으로 뒤샹의 개념의 의미를 보여주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념적 실험미술로 조각의 확장을 펼쳐 나가며, 이러한 조각의 개념적 확장을 데리다의 차연과 해체를 통해 진행중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진행중인 작업은 관람객을 자신의 작품과 상호소통의 주체로 선정하고 관람객을 통한 또 다른 알레고리적 해석을 끊임없이 열어주며, 이를 토대로작품이 완결되는 감각적 즉흥성을 계속해서 유발시킨다. 결과적으로 홍명섭은 조각의 개념적인 성격을 넘어서 그때그때 감각을 중시했다. 개념미술적 측면을 지니고 있었지만, 그 한계를 넘어서려는 비판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그러한 비판의식은 조각 개념의 해체라는 과정을 야기시켰다. 결국 홍명섭에 있어 조각의 해체와 확장적 성격은 무한한 시간적 변화와 감각적 측면의확장으로 나아가기 위함이었다. 그러한 감각적 해석을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작가는 은유와 환유를 빌려 알레고리적 해석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성격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성격중 하나이기도 하다. 홍명섭의 작품에서 돌고 있는 해체와 반복성, 파편화, 사진으로 기록되어``시뮬라크르 simulacre``된 작품의 또 다른 해석의 여지인 차용의 선택은 홍명섭이 포스트모더니즘 비평의 시발점을 밟고 간 작가이며, 자신의 글속에``조각의 개념적 확장``과``후기구조주의 미학적 성격``을 빌여옴으로서 자신의 작업을 해체(탈구축)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비평적 성격으로서의 홍명섭은 메타비평(비평의 비평)을 통한 전위적 前衛的 실험작가로 보인다. 작품속에도 작품을 비평하는 글속에도 모두 하나의 공통점이 보이는데, 그것은 전복술과 비평의 글을 통한 끊임없는 연구자세이다. 하나의 개념에 속하지 않고 개념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메타비평을 하며, 선구적이고 실험적인 창작을 시도하는 작가이다. 그는 글을 통해서도 작품을 통해서도 포스트모더니즘적 비평의 성격을 계속해서 반영하여 전위적인 성격을 찾아 실험해 나간다. 또한 구조주의에서 후기구조주의로의 이행 과정 중 데리다의 차연과 해체, 후기구조주의에서의 바르트와 아르토를 통해``즐김``을 더욱 확장시켜 비평해 나가고, 바타이유를 통해 ``즐거움``을 해체시켜 나간다. 홍명섭에 대한 본 연구에 있어 작가의 의도와는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 부분도 있을 것이라 생각되지만, 이러한 다각도의 작품 분석과 새로운 작가적 위상에 대한 조망의 시도 또한 비평에 있어 중요한 일이라 생각하며 본 논문을 맺는다. This is the study on the conceptual expansion and deconstruction on Hong myung seop`s sculpture, analysing his ar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spect the artistic phase and esthetic issue of artist Hong on the on a artistic point of view. Although Hong`s art consist of conceptual characters, because many of his work shows experimental qualities, it is too soon to conclude that he is a conceptual artist. Within his abstractive work, the stages of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continuously appear. This study analyzes artist Hong`s artwork based on the two major keywords of his art;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Artist Hong is a unique type of artist who is both a creator and the writer. The fact that he critics his own work give enough reason to become the subject of many studies. However, due his personal characteristics, esthetic and philosophical aspects inhere in his writings. This study focus on his work of two major periods of his paradigm. One is the period between his pre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when he was well affected by Jacque Derriad`s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Second is the period of post-structuralism when he was influence by Roland Barthes`s jouissance and Le Plaisir of text. To add more weight to the study, the analysis was also based on the world pioneer of post modernism philosophic critics, Antonin artaud and Jacque Derriad`s jouissance and deconstruction and George Bataille`s pleasure. This study has concluded the artist Hong`s status and the position of his work into esthetic, critical and status categories. 1. Hong`s esthetic issue: Jacque Derriad`s differance and decon- struction and Roland Barthes`s jouissance and Le Plaisir of text. 2. Distinction to the conceptual art: go beyond the limitation of conceptual art though sense and time. 3. Hong myung seop and post-modernism; experimental artist with post-modernism metacritic Artist Hong`s sculpture consist of mutant character such as abstract experimental art. His art consist of following aspect; Jacque Derriad`s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Roland Barthes`s jouissance and Le Plaisir of text and George Bataille`s pleasure. By combining such aspects, Hong`s sculpture expands its nature beyond. It is the performance mutation which the sculpture has been expanded its limit by trying out many conceptual experiments. It is the performance which appears in many different object and experimental artwork. Artist Hong`s art has its fundamental aura as sculpture, although his work seems much more of an installation art. Hong starts his work as a basic sculpture while showing the concept of Duchamp, and as time passes, the sculpture expands to conceptual experiment art. Thus his work seems to continue while the concept continuously expands through Jacque Derriad`s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He claims the viewer to become the subject which his sculpture continuously communicate and open up many possibilities of analysis which the viewer can come up with. Such method keeps induces the sensual Improvisation which completes the sculptur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rtist Hong myung seop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nsuality each time beyond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sculpture. Although the artist consists of conceptual artistic side, he had the critical minds to expand beyond. The artist`s critical mind has resulted the deconstruction of sculptural concept. In the end, to artist Hong, the destruction and the expanding of sculpture is to reach the point of unlimited time change and the expansion of sensuality. Using the relation between his sculpture and the viewer, and metaphor and metonymy, the artist keeps trigger the fresh new allegory analysis. This is one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post-modernism. Differance, another method to analyze deconstruction, repetitions, fragmentation, replicated of his work. shows that Hong myung seop has been affected by post modernism critique and that he deconstruct his artwork by quoting “conceptual expansion of sculpture”, and “esthetic aspect of the post-structuralism” from his own words. Based on the critical characteristics, it is appeared that the artist Hong is avant garde experimental artist through metacritic (giving critique to given critique). His sculptures and his critiques have one thing in common. It is the endless research through subversivity and critique. Artist Hong myung seop is innovative and experimental artist who does no settle in one concept but keep proceeding with the metacritique based on current artistic concept. He reflects his post-modernism critical nature on his art and his words to experiment ways be become avant garde. Using Jacques Derrida`s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from the period between prestructurism and post-structuralism, and Ronland Barthes and Antonin artaud from the period of post-structuralism, the artist Hong gave much expanded critique to jouissance. Also through George Bataille, Hong has carried on deconstructing Bataille`s Le Plaisir. Although the result might be different to the artist`s intention, this study ends with the importance of analyzing through many different perspective and rediscovering the artist`s status within critique.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명제론]의 ‘pathēmata’(16a6-7) 해석문제

        노희천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3 No.4

        Aristotle says in his De Interpretatione that affections of soul are likeness of actual things and these matters have been discussed in the work on the soul.The question is whether noēmata are included in affections that are likeness of actual things or not. In my understanding Aristotle thinks that not only aisthēmata or phantasmata but also noēmata or dianoiai are included in those affections. The grounds for my understanding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Aristotle, sensation consists in being affected by object of sense, sense is that which is receptive of the form of sensible objects without the matter. During the process of being acted upon the sentient subject(i.e. the individual) is unlike, but at the end of the process it has become like that object, and shares its quality. Sensation can discern sensible objects, and so percept(aisthēma) can be produced in the soul. Thus percepts has become like the individuals. (2) Thought(nous) must be same as the object of thought, because thought must be receptive of the object of thought, i.e. form or essence. This is the universal. The soul knows noēma with nous. Thus noēma is held to be same as the universal. (3) He who thinks that what is divided is divided, or that what is united is united, is right; while he whose thought is contrary to the real condition of the objects is in error. If a thought that divides or unites percepts, images, or noēmata corresponds to the state of things or facts, the thought is true. Thus the true thoughts are held to be like the state of things or facts 아리스토텔레스는 『명제론』 1장에서 의식내용들이 현실존재의 유사물이라고 주장한다. 이 의식내용들이 무엇인지와 관련하여 기존 연구자들 사이에 논쟁이 있다. 개념이 현실 존재와 유사한(즉 일치하는) 의식내용인지가 쟁점이다. 전통적인 연구가들은 감각표상, 심상뿐만 아니라 개념도 현실존재와 일치하는 의식내용이라고 주장하지만, 다른 한편 크레쯔만 등은 문제의 문단에서 의식내용이 애매하며 감각표상과 심상만이 현실 존재와 일치하는 의식내용이고 개념은 현실 존재와 일치하는 의식내용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에 논자가 생각하기엔, 감각표상과 심상뿐만 아니라 개념과 판단도 현실 존재와 일치하는 의식내용에 포함된다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임이 분명하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감각작용은 감각대상(즉 개별 속성과 개체)에 영향 받아 감각적 형상을 수용하여 감각기관이 그 대상과 같아지는 작용이며, 감각은 이 수용된 감각적 형상을 파악함으로써 감각표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감각표상이 그 대상인 개별존재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사고 작용은 사고대상, 즉 형상을 수용・파악하여 개념을 형성하는 것이고, 이때 수용된 형상은 외부 개체에 내재하는 형상과 같은 것이고, 이 형상은 보편이다. 따라서 개념은 보편존재와 일치하는 의식내용이라고 하겠다. 셋째, 판단(즉 감각표상, 심상, 개념의 다양한 결합)은 개별존재들과 보편존재들의 다양한 결합인 사태와의 일치여부에 따라 참 또는 거짓이 된다. 판단이 거짓일 수도 있지만 참된 판단은 사태나 사실과 일치한다.

      • KCI등재

        국어 감각명사의 의미 확장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정수진 ( Su Jin Jeong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0

        이 글은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감각명사가 개념화되고 그 의미가 확장되는 양상을 탐색함으로써 우리가 실제로 추상적인 감각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밝힌 것으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는 감각의 대상이나 감각을 인지하는 몸은 ``그릇``으로, 감각은 ``그릇 속의 내용물``이나 ``이동 대상``으로 개념화하며, 감각의 정도를 높낮이 즉 척도를 통해 개념화한다. 둘째, 감각명사의 기본의미는 특정 감각을 경험할 때 동반되는 개념화자의 주관적이고 인상적인 판단에 의해 그 의미가 확장된다. 특정한 대상이나 현상의 두드러진 특징인 ``본질적 특성``의 의미로 확장되기도 하고, 특정 행위나 상황에 전이되어 주체가 심리적으로 흡족, 행복, 못마땅함, 괴로움 등의 감정을 느끼고 있다는 의미를 전달하기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spects of conceptualisation of ``sense`` from the viewpoint of the cognitive experientialism and embodiment. The following two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ized expressions of ``sense`` are found out: (1) The basic meaning of ``sensual nouns`` are extended by subjectivity and impressive judgement of the subject when feeling a sense. Namely, the sensual nouns make and communicate the new meaning ``intrinsic attribute`` by transmitted to object or phenomena. Moreover they communicate the emotion that the subject feels mentally in situation surrounded the subject by transmitted to an act or a situation. (2) Their structures and meanings are coherently motivated by physical experiences.

      • KCI등재

        다중감각어의 환유적 접근

        임태성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1

        This study referred to the existing synaesthetic expression as multisensory language, and examined it as an expansion by conceptual metonymy. This was motivated by contiguity of conceptual metonymy. The result of this article was as follows. First of all, neuroscientific,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multiple activations of the senses are common and one of the basic human abilities. In this way, each sense did not occur independently but simultaneously, and multiple senses can be regarded as one of conceptual metonymy by adjacency. Next, multisensory language was classified into words, multisensory expressions, and extensions of their expressions. Among them, words and multisensory expressions were examined as the mechanism of conceptual metonymy. First, in the word hierarchy, multisensory language appeared in various ways: single words, compound words, and phrases. Second, in the multisensory expressions, examples of the expression including the existing synesthesia expressions were examined. This multisensory language was presented as a contact and containment scheme in conceptual metonymy. 이 연구는 기존의 ‘공감각 표현’을 ‘다중감각어’로 지칭하고, ‘개념적 환유’에 의한 확장으로 살펴보았다. 이것은 개념적 환유의 인접성에 의해 동기화된다. 이 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신경과학적, 생리학적, 심리학적 결과들을 통해 감각이 다중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인간의 능력 중 하나라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각의 감각이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 발생하며, 다중감각이 인접성에 의한 개념적 환유로 간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중감각어’는 단어, 다중감각 표현 그리고 그 표현의 확장으로 분류하였는데, 이 중에서 단어, 다중감각 표현은 개념적 환유의 기제로 살펴보았다. 첫째, 단어 층위에서 ‘다중감각어’는 단일어, 합성어, 구의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감각 표현에서는 기존의 공감각 표현을 포함하여 그 표현 방식에 따른 예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다중감각어’는 개념적 환유의 유형 중 접촉, 포함 도식으로 제시했다.

      • KCI등재

        Synaesthetic Metaphors in Thai : A Cognitive Linguistic Study

        Nuntana Wongthai(난타나 웡타이) 한국태국학회 2010 한국태국학회논총 Vol.16 No.2

        본 연구는 일련의 감각을 나타내는 의미를 가진 어휘를 통해 또 다른 감각을 표현하기 위해 비유적 의미로 사용된 감각적 은유 표현의 분석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언어 자료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태국 내에서 1998년부터 2007년까지 10년간 출판된 소설을 로맨스, 사회, 역사, 추리, 종교 그리고 공상과학 소설의 여섯 가지로 세분한 뒤 이 중 30 권의 책에서 총 1571 개의 예를 수집 ·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인지언어학 이론을 토대로 각 감각적 은유의 형태와 공감각적 은유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결과, 공감각적 은유는 주(主)감각은유와 부(附)감각은유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主)감각은유로는 시각, 미각, 후각, 촉각, 청각 등이 있었으며, 부(附)감각은유에는 시각, 미각, 후각, 촉각 등의 표현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감각 은유의 공감각적 분포에는 일련의 제한과 체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공감각적 은유가 발생하는 의미적 과정은 인식적 대응 (Epistemic Correspondences) 의 투영이라는 인지적 작용에 의한 것으로 설명된다. 본 연구 결과는 인간의 신체적 경험이 인지적 사고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적 은유 이론에 부합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수 감각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수 개념에 미치는 효과

        이미영,정주영 한국통합교육학회 2014 통합교육연구 Vol.9 No.2

        This research sought to understand the improv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centered around the overall changes of number sense and main elements that compose it by organizing number sense related activities and applying them to mental retardation students. For this research, 3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1st⋅2nd grade that attend a special class at an elementary school were targeted and it was conducted for 12 sessions over the period of 2 months.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although student A, B, C all showed improvement in the number sense through the number sense instruction, each student showed different aspects. First, the number sense instruction has a possibility as a teach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number sens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through the number instruction, developments in the area of counting were showed to be in the order of mechanical counting, intuitive counting, and material counting. Als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difficulties in material counting even when mechanical counting was possible. Third, in the comparison area of the number concepts, student A showed a concept of comparison, student B only looked for the big number, and student C did not show number comparison concept. 이 연구는 수 감각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수 감각 교수 동안의 지적장애 학생들의 수 개념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1, 2학년 지적장애 학생 3명으로, Baroody 등(2009)의 수 감각 교육과정을 수정하고 2008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 2단계의 내용을 토대로 수 감각 교수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 감각 교수는 지적장애 학생의 수 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수 감각 교수를 통해 지적장애 학생들의 수 개념 중 수 세기는 기계적 세기, 직관적 세기, 구체물 세기 순으로 발달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수 비교 개념은 지적장애 학생의 인지발달 수준에 따라 달라졌는데, 이는 개별 학생의 보존 개념 발달에 영향 받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문학적 크로노토프와 신체화: 바흐찐 소설 이론과 2세대 인지과학의 만남

        노대원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7 No.-

        This thesis is a theoretical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ject, the purpose of which is to re-conceptualize Mikhail M. Bakhtin's “chronotope”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which is centered on the theory of “the embodied mind”. According to this theory, the human body serves as the foundation of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In the field of cognitive linguistics, chronotope can be explained with the terms, “conceptual metaphor” and “spatial schemata.” In addition, Bakhtin's concept of "the sense of the world" is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qualia” in cognitive science, and this association can be a useful tool of narrative analysis. Chronotope, as an important formal category of narratology, is also closely related to interpretative tasks such as thematization and narrative meaning-making. Our everyday experience, based on phenomenological embodiment, is not an abstract or separate category of time and space. “The embodied chronotope,” as a critical term, has the potential for producing richer and more delicate narrative interpretation. 이 논문은 인간의 마음이 몸에 기반하고 있다고 보는 견해, 즉 ‘신체화된 마음(embodied mind)’ 이론을 중심으로 삼는 제2세대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미하일 바흐찐의 소설 이론 가운데 불명확하다고 평가되어온 크로노토프 개념을 재조명하고, 새롭게 재개념화하기 위한 학제간 이론적 기획이다. 특히 신체화에 근거한 문학적 크로노토프, 그리고 텍스트세계의 특수하고 고유한 질감과 특성을 지닌 시공간성을 ‘신체화된 크로노토프(embodied chronotope)’로 재개념화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바흐찐은 문학작품 속에 예술적으로 표현된 시간과 공간 사이의 내적 연관을 ‘크로노토프’(chronotope)’라고 정의한다. 크로노토프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시공간 개념보다는 상대성 이론의 시공간 내지는 현상학적 시공간 체험에서 나타나는 시공간 개념에 더욱 가깝다. 신체화된 인지과학에 의하면, 인간은 몸에 근거해서 시간과 공간을 지각한다. 더욱이 인간이 체험하고 지각하는 실제의 시간과 공간은 사실 상호 분리된 개념이 아니다. 시간은 공간을 통해 지각될 수 있으며, 시간은 공간에 의해 지각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인지 언어학의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 이론과 공간 도식(spatial schemata)으로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바흐찐의 ‘세계 감각’ 개념은 인지과학의 감각질(qualia) 개념과 결부되어 서사 분석의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문학의 공간 이론에서 중요한 장소와 장소감 개념 역시 추상적 공간 개념보다는 신체화된 크로노토프 개념과 더욱 친연성을 갖는다. 크로노토프는 서사의 중요한 형식적 범주일 뿐만 아니라 의미 생산(meaning-making) 및 주제화(thematization) 같은 해석 작업과도 긴밀히 연관된다. 텍스트 독서 과정 중 독자가 체험하는 생생한 심적 이미지, 물리적 현존의 감각, 정서적 반응 등 신체화 체험은 서사의 의미 생산과 주제적 평가와 분리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신체화에 근거한 우리의 현상학적 일상 체험은 시간과 공간을 추상적으로 분리하는 범주가 아니라는 점에서, 신체화된 크로노토프는 더욱 섬세하고 풍부한 서사적 의미 생산을 위한 비평 용어로서 잠재력을 지닌다.

      • KCI등재

        이론가는 왜 바보여야 하는가?

        김홍중(Kim, Hong-Ju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5 No.-

        이 논문은 이론가로서 발터 벤야민이 보여준 독창적 이론 구성의 가능성, 즉 미학적 이론의 가능성을, 개념이 체제와 대비되는 감각이 아나키에 대한 그의 방법론적 고려 속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개념의 체제’와 ‘감각의 아나키’를 대립시키고, 벤야민의 사유가 후자에 기초하고 있음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차원을 설명함으로써 보여준다 첫째, 벤야민의 개념들이 갖고 있는 풍경적 성격 둘째, 벤야민의 성좌적 제시의 방법 셋째, 상상력이 아닌 파상력이 체험에 기초하니 이론적 체험 요컨대 벤야민에게 이론적 체험이란, 세계의 다양성의 개념적 정리가 아니라 그것의 혼돈과 직관적으로 대면하면서 그 혼돈을 감성 미학적으로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벤야민은 이론가의 ‘몸’을 주요한 이론적 체험의 매체로 설정한다 이론은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온 몸의 감각적 체험으로 하는 것이며, 바로 이런 이론가의 표상이 ‘역사의 천사’로 형상화 된 바보의 형상이다 우리는 이론의 진정한 체험이 세계 앞에서의 경악, 혼돈, 위기, 파국과 같은 부정적인 체험인 동시에, 이념이나 개념의 수준이 아닌 감각적 체험임을 이를 통해서 보여주고자 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original esthetical theorization shown by Walter Benjamin We will show that his thinking is based on the ‘anarchy of senses’ i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ly, his concepts show the character of landscape Secondly, the invents the method of presentation of Ideas, on the basis of platonic model, instead of the modern representational model Lastly, his theoretical experience is centered on what we call ‘pasangryok(the power of destroying images)’ For Benjamin, the theoretical experience is not the conceptual arrangement of the multitude of the phenomenon but the presentation of the chaos of the it In this process, Benjamin considers the body of the theorist as main medium of theoretical experiences Theory making is not the affaire of a brain, but of all the senses of the body, the allegorical figure of which is the “angel of history” We will show that the authentic experience of theories are negative experiences like surprise, confusion, chaos, crisis, catastrophe

      • KCI등재후보

        감각통합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권현실,이숙정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the body scheme and body-self concept of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elays. Method: This study performed with 7 children who consider developmental delays on 3 to 7 years old. They had one or over areas delayed development of their personal-social, fine motor adaptive, language and gross-motor development due to the result of Dever development Screening Test(DDST - Ⅱ) For this study, 7 children who have developmental delays attended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ver twice a week for 50 minutes per one session. The session included the part of counseling for 10 minutes, and giving them a treatment for 40 minute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body scheme and body-self concept by the sensory profile and the body-self concept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Wilcoxon Signed Rank Test. Conclusion: Body scheme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movement processing and the body position processing. Furthermore, body-self concept look mark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appearance, health and the strength. This study suggests children who have developmental delays that their body scheme and body-self concept can be improve through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연구목적: Ayres의 감각통합이론에 기반을 둔 발달장애유아 감각통합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만 3~7세 발달지체유아 7명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2주에 걸쳐, 주 2~3회, 총 20회기의 감각통합 활동 중재를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에 대한 신체 도식은 감각 프로파일의 움직임과 신체자세 영역의 항목을 통해, 신체적 자아개념은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재전과 중재 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s Test)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1. 감각통합활동을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도식 중 움직임과 신체자세 하위요소가 중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감각통합활동을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 중 외모, 체력, 건강 하위요소가 중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발달지체유아가 내적 동기를 통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중재환경을 조성하고, 반 복적인 성공 경험을 통해 자신감 상승을 유도한 점, 나아가 적응 반응을 살펴 다음 단계 발달을 위한 명 확한 중재를 제공하고, 일대일 개별 중재를 진행한 점이 종속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 된다. 감각통합활동에서 중재자의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유아가 성공경험과 자신감을 회복하고, 긍정적인 신체적 자아개념을 성취하도록 심리, 정서적인 측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VR 게임에서 체성감각 · 촉각이 현존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대우(kim, Dae-Woo)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2

        VR관련 감각연구에서 대부분 360도 시각에 대한 연구가 많았지만 촉각 · 체성 감각연구는 적었다. 실제 머리의 움직임도 체성감각에 속하고 VR게임에서 현존감을 느끼게 하는 지각요소로써 깁슨이 주장하는 행동유도성개념에 바탕을 둔 촉각 · 체성감각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본다. 행동유도성개념은 지각자가 물체의 속성과 제한사항을 정의하고 행위를 유도한다는 이론이다. 인간은 오랜 문화와 사회적 경험을 통해 관습화된 행위를 하는데 VR게임에서도 이 행위가 게임상황과 신체 · 사물 맵핑이 일치할 때 현존감이 높아질 것이라 예상한다. 따라서 동일한 게임이면서 체성감각·촉각의 경험치가 다른 PC게임과 VR게임을 비교하여 현존감의 차이를 t-검정으로 비교하고, 맵핑(체성감각 · 촉각)이 현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서울의 한 대학의 46명의 대학생을 PC게임집단, VR게임집단으로 나누고 동일한 일인칭 액션게임을 이용하도록 하고 설문지를 통한 통계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VR경험이 많은 5명의 인터뷰참가자를 통해 행동유도성 개념과 신체맵핑과의 상관관계를 심층적 질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VR게임집단이 PC게임집단보다 높은 차이로 현존감을 더 느끼고 있고 특히 공간관여가 가장 큰 현존감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존감은 게임입력기의 사물맵핑과 자연스런 신체맵핑이 높을수록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현존감이 높을수록 이용자들의 재미와 재이용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VR이용자들은 다양한 감각들의 연합으로 자극정보를 입력받고 관습화된 신체움직임 같은 멘탈모델로 발현되는 과정을 통해서 깁슨의 행동유도성개념이 VR게임에서도 중요하게 작동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st VR-related sensory studies were performed on 360 degree vision, but there were few tactile and somatosensory studies. Actually, the movement of the head belongs to the somatosensory sense, and the tactile and somatosensory based on the behavior induction concept that Gibson claims as the perception factor that makes the presence feeling in the VR game feel the most important role. The concept of action inducibility is the theory that perceptions define the attributes and limitations of an object and induce action. Human beings are customized through long cultural and social experiences. In the case of VR games, we expect that the sense of presence will be enhanced when the behavior matches the game situation and body / object mapping. Therefore,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presence with the t-test by comparing PC game and VR game with different experiences of somatic sensation and tactile sense. And the effect of mapping (somatosensory / tactile sense) on presence is verifi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experimental method is as follows. 46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Seoul were divided into a PC game group and a VR game group and used the same first - person action game.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s. And through interviews with five VR-experienced interviewees, I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inducing concepts and body mapping through in-depth questions. As a result, the VR game group felt the presence feeling more than the PC game group, and space participation was the biggest factor. This presence is more influenced by the higher the object mapping and the natural body mapping of the game input device. In addition, the higher the sense of presence, the more influence on the users` fun and reuse. And VR users can confirm that the concept of Gibson`s behavioral induction works in VR game through the process of inputting stimulation information through various sense combinations and being expressed as a mental model such as customized body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