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주라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7
This paper organized and analyzed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the representation of the space called ‘Gangwondo(Gangwon Province)’ was form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angwon Province were recorded from the pre-modern era, but they were reorganized by the modern knowledge system during the transition to modern era. Up until now, studies on the representation of Gangwon Province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or even only on the literature of modern era.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social and political discourse that was distributed through the magazine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on of Gangwon in modern era. The magazines analyzed in this paper are Sonyeon(The Boys), Cheongchun(The Youth), Gaebyeok(Creation of the World), Byeolgeongon(The Other World), Donggwang(The Light from the East), Samcheolli(The Whole Land of Korea), Jogwang(The Morning Sunlight). As the modern era began, the representation of Gangwon Province was reorganized through the system of modern geography. Modern geography was known as objective on the surface, but behind it, it operated a standard of valuation of the hierarchical order of civilizations. In the early 1920s, Gangwon Province was portrayed as backward region due to the low level of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and industry. Even in the late 1920s, the image of Gangwon Province as a mountain village did not change, but its value changed. Gangwon Province, where the nature as it is and old customs remain, was considered a space of relaxation and nostalgia on the one hand, and a heterogeneous and bizarre space on the other. Under the influence of state-led discourse during the late 1930s, Gangwon Province was recognized for its potential to develop into an industrial base. The representation of Gangwon Province as an industrial base in social and political discourse clashed with the image of the impoverished Gangwon Province in the literary discourse. The image of Gangwon Province, which was created during the pre-modern era, was recreat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with the modern paradigm. In addition, the continuous antagonism between social and political discourse and literary discourse resulted in a multi-layer aspect. Through the study on the historical multi-layered representation of Gangwon Province, the current representation of Gangwon Province will be further understood. 이 논문은 강원도라는 공간에 대한 표상이 형성된 역사적 과정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강원도의 지역적 특성은 전근대 시대부터 기록되었지만, 근대로 전환되는 시기에 근대적 지식 체계에 의해 재편되었다. 그간 강원도 표상에 대한 연구는 조선 시대의 기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거나, 근대 시기를 연구하더라도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이 논문은 근대라는 시기에, 잡지라는매체를 통해 유통된 사회⋅정치 담론을 분석하며, 한국 근대 강원도 표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 대상으로 삼은 잡지는, 『소년』,『청춘』, 『개벽』, 『별건곤』, 『동광』, 『삼천리』, 『조광』이다. 근대가 시작되면서 강원도 표상은 근대 지리학의 체계를 통해 재편되었다. 근대 지리학은 표면적으로는 객관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지만, 그 이면에는 문명의 위계질서라는 가치 평가의 기준을 작동시켰다. 1920년대 초반 강원도는 근대적 문명과 산업의 발전 정도가 낮기 때문에 낙후된 지역으로 그려졌다. 1920년대 후반에도 산골이라는 강원도의 표상은 바뀌지 않았지만, 그 표상에 대한 가치 평가는 달라졌다. 있는 그대로의 자연과 과거의 풍속이 그대로 남아 있는 강원도는 근대적이지 않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휴식과 향수의 공간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이질적이고 기괴한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1930년대 후반 전시체제기의 국가 주도 담론의 영향 아래에서강원도는 산업기지로 발전할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정치⋅사회 담론에 나타난산업기지로서의 강원도 표상은 문학 담론에 나타난 궁핍한 강원도 표상과 대립하며 충돌하였다. 한국 근대의 강원도 표상은 전근대 시대 만들어진 강원도 표상을 계승하면서도 근대적 패러다임에 맞춰 변화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또한 정치⋅사회적 담론과 문학 담론의 끊임없는 길항 작용을 통해서 다층적 면모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다층성을 지닌 강원도 표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 강원도 표상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신광철(Shin, Kwang cheol)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8 No.-
강원도 일원은 고고자료가 상당수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三國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하는 학계의 시각, 문헌 사료의 소략함 등으로 인하여 한국 고대 영역사에 있어서 일종의‘공백지대’혹은‘문화의 섬’과 같은 존재로 취급되어 왔다. 하지만 청동기시대부터 확인되는 복합적인 사회 조직들은 이후 동예, 동옥저 등과 같은 소국으로 성장하였으며,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타 지역과 다른 독자적이면서 폐쇄적인 문화권을 형성해온 강원도의 문화적 특징은 고구려가 강원도로 진출한 이후에도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문헌사료를 보면 고구려가 강원도에 군현을 설치하여 본격적으로 경영함으로써 한반도 중남부로 진출하는 교통로를 확보하고, 말갈로 대변되는 강원도 일대의 정치체를 반독립적인 附庸세력으로 삼아 백제와 신라를 견제하거나, 한반도 중부 이남으로 세력권 확대를 시도했을 때, 그 尖兵으로 내세우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실제 고구려가 강원도를 경영했다고 볼 수 있는 직접적인 물질자료는 많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구려가 강원도 일원에 남긴 흔적을 토대로 고구려의 강원도 진출 및 경영에 대한 전말을 추론하면서 문헌사료 와 고고자료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더불어 고구려 전후로 강원도에 진출했던 백제 및 신라와 비교하면서 삼국의 강원도 일원에 대한 지배 방식의 차이, 국가체제의 차이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구려의 강원도 경영 방식이 제국체제에 걸맞는, 변경에 대한 효율적인 통치 방식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는 단기간의 세력 확장에는 유리했지만, 장기적인 영토 경영에는 불리하였고, 그로 인해 결국 고구려는 신라에게 강원도 일원을 내주면서 한반도 중부 지역의 패권마저 잃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though ‘Gangwon-do province(江原道)’has profuse archaeological materials, it has been considered as ‘Vacuum area’or ‘Culture Island’in ancient history of Korean territory because of inattention to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nd academical tendency focusing on narrating history about Three Kingdom period. However, multiple social organizations from Bronze-age repeated development and became the base of small states such as Dongye(東濊) and Dongokjeo(東沃沮). Also, it seems the independent and exclusiv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angwon-do province based on the geographical feature had continued after Goguryeo entered into Gangwon-do province. Refer to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by establishing Gun-hyeon(郡縣, counties and prefectures), Goguryeo started to rule Gangwon-do province in earnest. Goguryeo hereby secured the route for entry into the south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ade local polities represented by Mohe halfway independent confederate powers to check Baekje and Silla. Also, Goguryeo placed them as the advance guard when Goguryeo attempted to expand its power into the south of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However, there are not many direct archaeological materials which prove that Goguryeo administered Gangwon-do province indeed. Therefore I infer the details regarding how Goguryeo advanced into Gangwon-do province and managed it, and attempt to figure out the reason which caused the differences between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in this study. In addition, I examine the differences in ruling system and national system among Three kingdoms. As a result, I ascertain that the ruling system of Goguryeo over Gangwon-do province was effective way to control fringeland which was suitable for empire system. It was advantageous to expand the influence in a short time, but it was unfavorable in terms of the long-term territory management. Consequently, Goguryeo was deprived Gangwon-do province by Silla and lost its supremacy over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강원도의 지역성과 한용운의 수업시대(1903~1909)
김익균(Kim, Ig-kyun)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2
한용운의 수업시대는 1기 신문화 운동기로 수렴된다. 한용운은 강원도의 지역성 특히 불교의 개화 역량이 길러낸 신문화 운동의 주체이다. 한용운은 초기 개화기에 두각을 드러낸 바 있는 개화승의 가능성과 한계를 신문화운동시기로 계승하였다. 강원도의 지역성은 인문지리적 경관(landscape)과 강원도 불교의 결합에 의해 특수한 개화 역량을 갖추고 있었다. 자신의 고향에서 뿌리 뽑힌 채 서울에서 정착할 수도 없었던 청년들은 강원도의 인문지리적 경관 속으로 들어와 은거하였다. 강원도 불교의 역량은 조선시대 불교 탄압이 강제한 산중 불교 시대에 지역성에 기반해 형성된 것이었다. 강원도 불교의 역량은 강원도로 은거한 뿌리 뽑힌 청년들이 개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강원도 불교의 근대지향성은 청년들이 신학문을 배우고 서울로 혹은 일본으로 유학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한용운은 이 뿌리 뽑힌 청년을 대표하는 신문화운동기의 주역으로 성장하게 된다. 1기 신문화 운동기에 강원도 불교는 근대 불교 형성의 중핵으로 작동하였다. 한용운의 수업시대는 강원도 불교의 개화 역량이 1기 신문화 운동기에 근대 불교를 형성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Han Yong-un’s apprenticeship coincides with the first stage of the new cultural movement. He became the main agent of this movement, which was based on Gangwon Province’s regional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the civilization-enlightenment capacity of Buddhism. Han applied both the possi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Gaehwaseung, who came to prominence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enlightenment, to the new cultural movement. Gangwon Province possessed a special capability for enlightenment due to a combination of its anthropogeographical landscape and widespread Buddhism. Young people, uprooted from their hometowns and unable to settle in Seoul, retired into the anthropogeographical landscape of Gangwon province; and the suppression of Buddhism during the Chosun dynasty gave rise to an era of Buddhism in the mountains, where it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uprooted youth, nourishing their capacity for enlightenment. Buddhism in Gangwon Province supported modernization, there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youth to learn about modern sciences and to study in Seoul or Japan. As one of these uprooted youth, Han took the lead in new cultural movement. During the first stage of the new cultural movement, Buddhism in Gangwon Province contributed primarily to the formation of modern Buddhism. Han’s apprenticeship verifies the process by which the enlightenment capacity of Buddhism in Gangwon Province formed modern Buddhism during this first stage.
심보경 한국지명학회 2019 지명학 Vol.31 No.-
In this paper, to seek the direction of compilation of Gangwon-do's dictionary on geographical names, the current status of Gangwon-do's geographical archives issu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the status of Gangwon-do's research papers on names were analyzed. Research on names of Gangwon Province is believed to require the spread of research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For the compilation of 'Gangwondo-designated dictionary' the important value recognition of geographical names as a public language, and the academic position on the study of geographical names was called for. He argued for the compilation of the geographical names in historical literature, ancient maps, and ancient documents. If a joint research system is established to exchange academic information and accumulate research results, the 'Gangwondo Named Dictionary' will help develop the Gangwon Province community and Korean studies.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 지명사전의 편찬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공공기관에서 발행된 강원도 지명 관련 자료집과 강원도 지명 관련 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강원 지역의 공공기관에서 발행된 지명자료집의 경우에는 『한국지명총람』의 내용을 그대로 답습한 점, 현지조사 지명에 대한 집필자 및 조사자의 자의적 해석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강원도 지명 관련 연구논문의 경우에는 강원도 지명 연구에 대한 양적, 질적 연구의 확산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원도 지명사전’의 편찬을 위해서는 첫째, 공공언어로서 지명 가치의 공론화, 강원도 지명 연구에 대한 학문적 위상 제고, 둘째, 역사문헌 자료, 고지도, 고문서 등에 등재된 고지명을 정리한 ‘강원도 역사지명 사전(가칭)’의 우선 편찬 작업을 제언하였다. ‘강원도 역사지명 사전(가칭)’의 편찬을 위해서는 『삼국사기지리지』, 『고려사지리지』, 『세종실록지지리』,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호구총수』, 『조선지지자료』,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신구대조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 등에 등재된 강원도 고지명, <광여도>, <해동지도>, <청구도>, <대동여지도>, <1872 지방군현도>, <조선지도>, <조선지형도> 등에 등재된 강원도 고지명, 강원 지역 공공기관에서 발행된 강원도 지명 관련 정보 등이 구심축이 되어 균질하게 정리되어야 한다. ‘강원도 지명사전 편찬사업’은 지명의 융·복합적 속성으로 인해 녹록지 않은 작업이지만 국토지리정보원 간행의 『한국지명유래집』, 일본 평범사 간행의 『일본역사지명대계』 등 기존 지명유래집에서 좋은 점을 참고하고, 협업할 수 있는 공동연구시스템을 마련하여 아이디어를 생산적으로 보강하며 연구결과물을 축적한다면, 향후 발간될 ‘강원도 역사지명 사전’, ‘강원도 지명사전’은 강원도의 본질과 정체성을 구현하는 구심점이 되어, 강원도 지역 발전 및 한국학 발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19세기 말~20세기 중반 여행기(旅行記)에 나타난 강원도 로컬리티의 제 양상
이민희 동악어문학회 2020 동악어문학 Vol.80 No.-
현 남․북 강원도 지역은 분단 이전 시기에 하나의 생활공간이자 하나의 여행지였고, 동질적 공감대와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 그러한 사정을 원산-금강산-서울, 원산-속초-춘천-서울 등을 잇는 교통로와 그 여정을 위주로 한 여행기에서 확인 가능하다. 강원도는 자연경관이 뛰어나 타지인들이 19세기 말~20세기 전반에 ‘조사(탐험)’와 ‘여행’, 그리고 ‘휴양’과 ‘관광’이란 이름으로 대거 찾던 곳이었다. 전자가 1910년 이전에 특히 외국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후자는 1914년 이후 일반 내국인들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1890년대~1900년대에 강원도를 지나간 비숍 여사, 세로셰프스키 등은 가난하고, 무질서한 강원도민의 생활을 비판하거나 동정하는 태도를 취했고, 개인적 편차도 컸다. 그러나 1910년대에 서울-원산 간 철도 개통과 금강산 철도 건설 이후에는 강원도를 점차 관광과 휴양의 장소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강원도 여행자들은 특별히 금강산 여행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다. 내외국인 가릴 것 없이 금강산을 세계적인 명산으로 꼽고, 그 이유를 다각도로 제시하며, 그 감흥을 언어의 마법사처럼 형용해 냈다. 그러나 일제가 기획한 금강산 관광 상품과 무분별한 지역개발 논리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비판도 분명히 공존했다. 금강산과 인근 명승지 개발에 열을 올림에 따른, 크고 작은 부작용과 자연 훼손이 심각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강원도만의 정체성도 경제논리에 따라 크게 흔들리고,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내국인 중에는 금강산 여행에 대한 감흥뿐 아니라 소소한 산촌, 어촌, 농촌 마을에 대한 풍경과 감상을 적고, 강원도의 지방색, 곧 정체성 문제를 자신을 성찰하고 사회를 향해 목소리를 내는 기회로 삼기도 했다. 특히 강원도가 고향인 예술가, 명사들은 고향에 관한 추억담과 회고담, 그리고 쓴 소리를 적지 않게 드러냈다. 그 과정에서 근대화되면서 변화되어 가는 강원도의 전통과 생활 모습을 담담하게 기록해 놓았다. 본고는 근대 이후 분단 이전 시기 강원도 소재 내국인 및 외국인이 쓴 기록물(주로 여행기) 자료 286편을 수집, 조사한 후, 그 자료에 담긴 강원도의 시선을 ‘금강산 및 명승 관광의 메카로서의 강원도’, ‘통과하는 여행지로서의 강원도’, ‘발전과 성장의 원천으로서의 강원도’, ‘성찰과 조화의 근원으로서의 강원도’, 이렇게 네 가지로 파악했다. 유람하며 통과하는 관광객으로서 자연과 명승지를 인상과 감상 수준에서 강원도를 이해하고 만 것도 많았지만, 지역 경제 발전과 대타적 사회문제에 관심이 많은 관찰자이자 지식인으로서의 사유를 보인 것도 적지 않다. 비록 풍요롭지 않지만 순박하게 자신의 삶의 터전을 일궈 나가고 있는 강원도민의 모습과 지형적 특색에서 조화와 성찰의 깨달음을 도출해 냈다. 본 연구는 남․북 분단 이전 시기에 중층적으로 축적되어 온 강원도 로컬리티(Locality)를 살펴보기 위한 기초 작업이자 통일 대비 인문학적 시선의 교두보 마련이란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분단 이전 남․북 강원도 지역에 대한 조명은 현재 우리가 망각(忘却)해 버린 것들과 잊혀지고 있는 것들, 그리고 잃어버려서는 안 될 소중한 유산과 근대의 풍경들이 무엇인지 직시하고, 새롭게 미래지향적으로 그려낼 지역 콘텐츠가 무엇인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a basic work to look at locality in Gangwon Province, which had been accumulating in the period before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and a bridgehead for the humanities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The new lighting on the South and North Gangwon provinces befor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is like a driving force that allows us to look back on what we have forgotten, what are forgotten, what are the precious heritage and modern landscapes we should not lose, and what local content we will draw in a new future-oriented way. This paper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Gangwon-do, which appeared in various travel documents, as a mecca of Mt. Geumgang and scenic tourism, as a passing tourist destination, as a source of development and growth, and as a source of reflection and harmony. During the pre-divisions period, the present South and North Gangwon Province was a living space and a travel destination, and had a homogenous consensus and identity. The situation was confirmed through a travel plane and a transportation route linking Wonsan(Geumgangsan) to Seoul and Wonsan-Chuncheon- Seoul. A road leading to one. This is a symbol of the desire for reunification and also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future from the past. Geographic accessibility is an early driver of cultural co-prosperity and cultural exchanges. The natural scenery was better than any other province, and many other people visited Gangwon Province in the names of “investigation,” “travel,” and “rest” and “tourism.” If limited 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f the former was particularly centered on foreigners before 1910, the latter centered around ordinary Koreans since 1914. They left many records of the landscape and temples in Gangwon Province, the mountains and scenic spots, and the lives of local people. While tourists who pass by on a sightseeing tour have much to understand Gangwon Province in terms of raising and appreciating nature and scenic spots, not a few have tried to savor the images of Gangwon Province residents who, as an observer and pilgrim, are making their way to their own lives, albeit not richly, with great social problems in mind. Examples include Cha, Sang-chan, Song, Seok-ha, Kim, Yu-jung and Kim Hyung-won. Koreans' desire for modernization, as well as a sense of amity to remember and preserve the preciousness of traditional culture, can be seen in the travel period of Gangwon Province. So are Lee Kwang-soo and Choi Nam-sun. For foreigners, however, Mrs. Bishop and Seroszewski, who passed through Gangwon Province in the 1890s and 1900s, took a critical or sympathetic attitude toward the lives of poor, disorderly Gangwon Province residents, and their personal deviations were great. And in 1910 after Japanese occupation from Seoul to Wonsan, Gangwon Province after that traffic develops between the growing tourist destination, began as a resort. Tourists in Gangwon Province shared a keen interest in the tour of Mount Geumgang. Records of all Koreans and foreigners alike have been pouring in, citing as a world-class scenic mountain, suggesting the reasons for it in various ways, and describing it as a wizard of language. However, negative views and criticism of the tourism products and reckless regional development logic planned by Japan clearly co-existed. This is because of the serious side effects and natural damage caused by the enthusiasm for the development of Mount Geumgang and nearby scenic spots. In the process, the identity of Gangwon Province is also shaken by economic logic, and many people are concerned about it. Among Koreans, he wrote down the scenery and appreciation of the small mountain villages, fishing villages and rural villages as well as the excitement of his trip to Mount Geumgang, and took Gangwon Province's local color, or identity,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imself and speak out towar...
정성훈(Jung Sung-Hoon) 우리말학회 2018 우리말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에 나타나는 어휘를 검토하여 강원도 방언의 분화 모습을 공시적으로 살펴보고, 강원도 하위방언을 구획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강원도 방언은 크게 영서(嶺西) 방언과 영동(嶺東) 방언으로 구분되는데 영서 방언과 영동 방언의 차이는 큰 것으로 보이며 내부적으로도 다양한 모습이 관찰된다. 또한 강원도 방언은 대관령을 기준으로 동서로 분화된 힘만큼이나 남북으로 분화하려는 힘도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방언의 어휘 자료를 활용하여 강원도 방언에 네트워크 모델을 적용한 강원도 하위방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강원도의 하위방언 구획을 시도하여 강원도 하위방언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원도 방언에서 가장 핵심적인 방언은 평창방언으로 나타났으며, 크게 강원도 핵심 방언권(평창, 정선, 영월, 강릉), 삼척 방언권(삼척), 강원도 북부 해안 방언권(인제, 고성, 양양), 영서 방언권(철원, 화천, 양구, 춘성(춘천), 홍성(홍천), 원주(원성), 횡성) 등 4개의 하위방언권으로 구획되었다. 이를 통해 강원도 방언의 동서 분화뿐만 아니라 남북의 분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ocabulary of Gangwondo, to examine how Gangwondo dialect is divided synchronically and to divide Gangwondo dialect into sub-dialect. Gangwondo dialect is divided into Yeongdong dialect and Yeongseo dial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known to be very large. In other words, various forms of the vocabulary are observed internally. In addition, Gangwondo dialect is likely to have the power to divide into the north and the south as much as the power that is divide into the east and the west by Daegwallyeong. Therefore, using the vocabulary of Gangwondo, this study constructed a sub-dialect network of Gangwondo which applied a network model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sub-dialect in Gangwondo through sub-dialect division. As a result, Gangwondo dialect is largely divided into 4 groups and the most importan sub-dialect in Gangwondo appeared as Pyeongchang dialect. Besides, we could verify not only the power to divide into the east and the west, but also the power of division into the north and the south.
이진원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4 No.-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usical research in folksongs in the Kangwŏn province called Kangwŏndo 江原道 and related research tasks in the future. The musical research of folksongs in the Kangwŏn province was mainly focused on folksong's tonal structure research, and it was found that musical analysis research on functional songs, musical comparison research with Korean people and other foreign folksongs, and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study of folksong tonal structure, Chang Sa-hun 張師勛 initially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with kyemyenjo 界面調 tonal structure, and Yi Po-hyŏng 李輔亨 examined the compositional tone, final tone, melodic form of the Kangwŏndo folksong as a musical organization of ‘Menarijo’ 메나리調 (Menarit'ori). Later, Han Man-yŏng 韓万栄 reviewed the composition of the folksongs in the T'aebaek Mountains 太白山脈, and Kwŏn O-sŏng 権五聖 introduced the tetracode theory of ethnomusicology and analyzed “Sangyeo sori” 喪輿소리 in Kangwŏn province as conjunction of tetrachords. Kim Yŏng-un 金英云 also examined the Kangwŏndo folksong “O-dok-the-gi” 오독떼기 with the conjunction of tetrachords in the early days. Paek Tae-ung 白大雄 looked at the Kangwŏndo folksongs in a compositional tone fram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type, in the form of folk music. Hwang Chun-yŏn 黄俊淵 repositioned the ‘Menarit'ori’ 메나리토리 with the tonal structure of "hai(下二) - hail(下一) - kung(宮) - sangil(上一) - sangi(上二)" after examining the musical structure of Hyangak 郷楽. Kim Yŏng-un again focused on T'ori 토리 theory and expanded the T'ori of Eastern minyo 民謠 (folksongs) by distinguishing ‘Ŏsayongt'ori’ 어사용토리 besides ‘menarit'ori.’ The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final tone, he proposed a method to distinguish ‘menarit'ori’ and ‘ararit'oir’ 아라리토리. On the other hand, Cho T'ae-wŎn 조태원 measured the pitch between the important notes of related folksongs including “Arirang” 아리랑 in Kangwŏn province and examined that there were changes according to the singers and the regions. Among the studies that analytically examined folksong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Kim Sun-jae's 金順済 study of boat songs and Yi So-ra's 李素羅 study of farming songs through field surveys are typical examples. In addition to these, there were studies on farming song on YŎngdong 嶺東 of Kim Yŏng-un, and on farming song in the region of WŎnju 原州 of Yi Yun-jŎng 이윤정. Interesting research was conducted in comparison with the Kangwŏndo folksongs, Korean people and other foreign folksongs. Yi Yun-jŎng collected and analyzed “Arirang” played in KosŎng village 고성촌 of Manchuria, and ChŎn In-p'yŎng 全仁平 compared Lahu Tribe People's harvest ceremony music with the Kangwŏndo folksongs. The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tudy of the Kangwŏndo folksongs is the Folksongs called 民謠 by Yi Po-hyŏng's 李輔亨 included in Comprehensive Survey Report of Korean Folklore (韓国民俗綜合調査報告書).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olksong were divided into functions and examined by composition, major sound, singing method, and rhythm. He’s above study also deals with popular folksong. Yi Sang-gyu 李相奎 compared all of these popular folksongs with the related local folksong. Yi ChŎng-nan 李静蘭 analyzed the Kangwŏndo folksong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MBC Han'guk Minyo TaejŎn 韓国民謠大典 (The Compilation of Korean Folksongs). Kim Hye-jŎng 金恵貞 also analyzed the folksongs of Kangwŏn province, which were investigated by the Institute of Humanities 人文学研究所, Hallim University 翰林大学校, which is also a notable research achievement in this part. And we looked at about six future research projects on the Kangwŏndo folksongs. The projects each incl... 본고에서는 강원도 민요의 음악적 연구 현황과 관련 향후 연구 과제들을 살폈다. 강원도 민요의 음악적 연구로는 음조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기능요 음악적 분석, 한민족 및 기타 외국 민요와의 비교,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 연구 등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민요 음조직 연구로는 계면조 음조직과의 비교, 태백산맥 이동지방의 민요의 선법으로서의 검토, 메나리조의 음조직으로서 강원도 민요의 구성음과 종지음, 선율형에 대한 검토, 민족음악학의 테트라코드 이론을 활용한 분석, 민속음악의 선법적 양상으로서의 강원도 민요의 분류, 오음약보 체계를 활용한 선법 분석, 어사용토리․아라리토리 등으로 확장한 토리 연구, 과학적 측음을 통한 음조직 검토 등의 진행되었다. 강원도의 기능요를 음악적으로 살펴본 연구로는 뱃노래와 농요를 대상으로 한 것이 많았다. 이들은 강원도의 영동 지역이나, 원주 지역의 민요를 살펴보고 있었다. 이들 연구는 음계, 선법, 음조직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여 가창 형식이나 선율 진행 등 음악적인 특징을 모두 다루고 있었다. 흥미로운 연구로는 강원도 민요와 한민족 및 기타 외국 민요와의 비교로서 조선족 고성촌의 아리랑과 라후족의 제천 의식 음악을 해당 강원도 민요와 비교한 것이 보인다. 강원도 민요를 종합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연구한 것으로는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의 “민요”를 들 수 있는데, 민요를 기능별로 나누어 각 음악적 특징을 구성음, 주요음, 가창방식, 장단 등으로 살펴본 것이었다. 위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통속 민요도 함께 다루고 있었다. 한국민요대전의 사업 결과와 한림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진행한 강원의 학술조사 용역의 결과로 얻어진 민요를 통해 강원도 민요를 분석한 연구들도 이 부분의 주목된 연구 성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강원도 민요에 대한 향후 연구 과제들에 대해서는 강원도 민요 음조직이 아직 정비되고 있지 않은 점, 강원도 민요의 접변 현상의 설명이 부족한 점, 어업요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아직 진행되지 않은 점, 강원도 민요 아카이브의 구축이 절실한 점, 음조직 연구에서의 과학적 방법론 도입이 필요한 점, 북한 지역의 강원도 민요의 연구의 부족한 점 등 여섯 가지로 살펴볼 수 있었다.
전상욱 ( Jeon¸ Sang-wuk ) 강원사학회 2022 江原史學 Vol.- No.38
조선 건국과 함께 제정된 공납제는 16세기에 접어들면서 운영상의 문제가 표면화 되었다. 이는 크게 공납물 분정의 불균형과 방납 확대로 인한 공납물 부담의 증가로 요약된다. 본 논문은 이 같은 16세기 공납제 운영 양상을 강원도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도의 공납제 운영상의 특징과 조선후기 삼남 이외 지역에서 이루어진 공납제 개혁에 대한 연구가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우선 강원도지역의 공납물 분정의 불균형을 살펴보았다. 16세기 공납물 분정의 중요한 기준이 전결수였다. 그러나 강원도지역의 전결수는 타도에 비해 턱 없이 낮은 수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공납물 부담이 과중한 상황이었다. 이는 전결수를 고려한 공납물 분정이 현실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이다. 게다가 임진왜란 이후 시행된 계묘양전 당시 강원도지역의 전결수를 실상에 비해 높게 책정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전결수가 높게 책정되면서, 갑진공안 상의 강원도지역 공납물 부담이 커지게 된 것이다. 이 같은 양상은 강원도지역 내에서도 발생하였다. 계묘양전 당시 전결수가 높게 책정된 영동지역은 영서지역에 비해 공납물 부담이 무거운 상황이었다. 즉, 강원도지역은 어느 군현에 속하는가에 따라 공납물 부담이 차이가 있었고, 그 부담은 타도에 비해 무거웠다. 다음으로 방납 확대로 인한 공납물 부담 증가를 살펴보았다. 16세기 공납물의 전결세화가 확대되었지만, 중앙정부는 여전히 현물재정 원칙을 고수하였다. 이로 인해 방납이 활성화되었고, 강원도지역 역시 16세기 공납물의 방납은 일상적이었다. 게다가 임란 이후 간행된 갑진공안 상에 책정된 공납물만으로 국가 운영이 어렵게 되자, 별복정 등 변칙적인 재정운영이 발생하였다. 민은 급박하게 납부해야할 공납물을 방납주인에게 구매하여 납부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방납주인이 공납물 납부과정을 장악하면서 防納價를 높게 책정하였다. 이로 인해 민의 부담은 커지게 되었다. 이처럼 16세기 강원도지역 공납제 운영 양상은 17세기 초반 강원도 대동법이 시행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operation of the tribute system in Gangwon-do in the 16th century.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a certain part in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of the tribute system in each province and the reform of the tribute system other than the three southern regions of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of all, the Gangwon-do region paid excessive tribute compared to the quantity of land. Although there is a limit to this system, it was closely related to Gyemyoyangjeon(癸卯量田) and Gapjin Gongan(甲辰貢案)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In the process of publishing Gyemyoyangjeon(癸卯量田) and Gapjin Gongan(甲辰貢案), the amount of land and offerings in Gangwon-do were overestimated. And the burden of tribute on the people increased due to Bangnab(防納). In the end, the Gangwon-do region had a different burden of tribute depending on which county(郡縣) it belonged to, and the burden was excessive compared to the another province(道). This became the background of Gangwon Daedong law (江原道 大同法) in the early 17th century.
1920~30년대 울릉도 관련 신문기사를 통해 본 강원도
박미현 한국이사부학회 2013 이사부와 동해 Vol.6 No.-
울릉도 독도는 6세기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 시기부터 고려, 조선을 거쳐 대한 제국기인 1905년까지 강원도 관할 하에 있었다. 강원도 지역민들은 고대 때부터 육안으로 '울릉도 독도'를 바라보며 '우산국' '무릉도 우산도'라 불러온 같은 생활 권역에 있다. 일제 침략과정에서 울릉도 독도와 지리적, 역사적, 생활문화적으로 연속선상에 있던 강원도를 배제하고 부산, 포항으로 해상교통 거점을 의도적으로 바꾸면서 행정의 연속성을 흔들어놓았다. 1906년 행정구역 편제로 강원도 관할에서 경상남도로 이관되었으며, 1914년엔 경상북도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울릉도 독도가 타 시도로 이관된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교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고 인식되었는지 1920~30년대 신문 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1920~30년대 동아일보에 실린 울릉도 관련 기 사 164건을 대상으로 강원도 부분이 어떻게 서술되어 있는지 분석한 결과 행정 및 민원 관련 기사는 강원도와 무관하였으나 실생활과 역사성을 다룬 기사에서 서술되고 있었다. 첫 번째는 울릉도 입도 과정, 해상 조난 등 사건 사고, 태풍과 같은 기상, 경제 활동 등 실생활과 밀접한 뉴스에 나타나고 있다. 1920~30년대 경상도 부산항이 나 포항항, 함경도 원산항에서 울릉도를 입출항할 때 강원도 울진 앞 바다까지 북 상 내지 남하하여 동쪽으로 선회하고 있어 최단거리 항구인 울진 죽변항이나 삼 척 임원항은 여전히 중요 항구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는 역사, 전설을 다룬 기사에서 강원도 관련 내용이 풍부하게 서술되고 있다. 울릉도 역사 서술의 첫머리에 하슬라군주 이사부 활약 및 고려 때 강원인의 이주 시도, 삼척영장과 월송만호 수토, 개척령 시기 강원인 이주 등 강원도 역사 와 중첩돼 환기되고 있다. 울릉도 태하리 성하신당 전설은 강원도 수토사를 수행 해왔다가 풍랑으로 익사한 강원도 하급관리의 희생을 기리는 공간이었으나 이후 울릉도사람들의 무사안전을 기원하는 신앙처로 윤색되어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릉도가 강원도 행정관할에서 타도로 이관되면서 각종교류도 위축되었으나 1920~30년대 울릉도 관련 신문기사를 통해 실생활 차원의 교류는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역사성도 언론을 통해 수시로 환기되고 기억되고 있다. 현재 강원도는 울릉도 독도와 행정구역을 달리하고 있지만 최근 인적교류가 가장 활발한 곳으로 위치를 다시 점하며 교류거점으로 재부상되는 역사성이 발휘되고 있다. Ulleungdo Dokdo had been under the jurisdiction of Gangwon-do (Gangwon Province) since the conquest of Usanguk by Isabu in the 6th century, throughout Goryeo and Joseon, until the era of the Great Han Empire in 1905. From ancient times, the residents of Gangwon-do could see Ulleungdo Dokdo with their naked eye and they shared the same sphere of living with what they called 'Usanguk, 'Mureungdo' 'Usando'.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Gangwon-do, which was put on a par with Ulluengdo Dokdo in terms of geography, history and living culture, was excluded and the continuity of administration was put in jeopardy by intendedly changing the base of maritime transportation to Busan and Pohang. In 1906, it was transferred from the jurisdiction of Gangwon-do to Gyeongsangnam-do due to 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t present, it is now under the jurisdiction of Gyeongsangbuk-do since 1914. How the exchange condition was unfolded and perceived after Ulleungdo Dokdo was transferred to other jurisdiction an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examined using the newspapers of the 1920s and 1930s. The analysis of the description of Gangwon-do using 164 articles related to Ulleungdo in Dong-A daily newspaper from 1920s to 1930s, revealed that the articles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and civil affairs were unrelated to Gangwon-do, but it was well described in the articles related to real life and historicity. First, it appears in the new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such as the process of entering Ulleungdo (Island), maritime distress, accidents, typhoons and weather, economic activities, and more. It is revealed that Uljin Jukbyeon Port and Samcheok Imwon Port are still important ports with the shortest distance from Gyeongsang-do Busan and Pohang Ports, Hamgyeong-do Wonsan Port to Ulleungdo. Second, Gangwon-do is amply described in the articles on history and legend. Haseula governor Isabu's activities in the beginning of the description of Ulleungdo history, the attempt of Gangwon residents to move in the time of Goryeo, Samcheok Yeongjang (official) and Wolsong Manho (official)'s inspection (Suto), as well as the migration of Gangwon residents are described with the history of Gangwon-do. The legend of Taeha-ri Seonghashindang, Ulleungdo reveals that it was a place to pay a tribute to the sacrifice of minor official as Gangwon-do inspector (Sutosa) who was drowned due to the storm but it was embellished as a religious place for praying for the safety of Ulleungdo residents. As Ulleungdo was transferred from the jurisdiction of Gangwon-do to another province, all types of exchanges were reduced, but the exchanges concerning real life have continuously been found through th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Ulleungdo in the 1920s and 1930s, and the historicity also is often remembered through the media. At present, Gangwon-do and Ulleungdo Dokdo are under different jurisdictions. However, the historicity is reviving as the exchange base where the human exchange is most active recently.
임형진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7
Choe, si-hyeong inherited jellyfish given the task to propagate the Donghak of followed by Choe Je-u went out to preach the Donghak around North Gyeongsang Province. However, due to the events of 1871 have been contracted under a big hit. Choe, si-hyeong bat deon take place it gave a trace of Whitehall. Here choe, si-hyeong went out to realize the revival of the Donghak lived hidden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a second propagation Donghak and the Donghak of issuing the scriptures again It is based in Gangwon Province in the background Donghak could be successful in recovering and expanding the wide Plain Area interpersonal and Gyeonggi-do, including Jeolla than based on it. In that sense, Gangwon Province is home to the extent that it can safely Donghak second. Gangwon-do is actually impossible without Donghak was also the Donghak of the 1894 peasant revolution could not exist. Gangwon Province is hide choe, si-hyeong was able to stash again the residents of Gangwon Province assistance and cooperation Donghak was able to keep developing. In the Donghak of Gangwon-do peasant revolution was therefore a chong-gipolyeong command of choe, si-hyeong. By size farmers who resist the tyranny of the Donghak tamgwanohri over a long period of time already been able to form the ranks of peasant revolutionary Donghak. Meanwhile, the people of Gangwon Province was having difficulty communicating because of it distributed scattered around the mountainous region will finally be transformed into a revolutionary army was organized according to clear chain of command. However, Kangwon Province is nongmingun have been put to great difficulties in other than a strong government forces and minbogun this form. Po of Cha, gi-seok Hongcheon, Gangwon Province through the whole area was to shake the most powerful artillery. Cha, gi-seok, including a chief of Hongcheon, Gangwon-do Pyeongchang-gun Jeongseon, Yeongwol, was called to jeopju five towns such as commanding the donghakgun of Gangneung and elsewhere. He led the revolutionary Donghak of thousand farmers. They caught Hongcheon beyond just the place to advance to Seoul. However, the Donghak of the revolutionary peasants were oxidized Hongcheon not exceed seo-seok head. 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의 뒤를 이어 동학을 전파할 임무를 부여받은 해월 최시형은 경상도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동학을 전파해 나갔다. 그러나 1871년 영해지방의 이필제를 중심으로 한 교조신원운동으로 인하여 커다란 타격을 받고 지하화되어야 했다. 관의 추적을 받던 해월을 받아 준 곳은 강원도 지역이었다. 이곳에서 해월은 오랜 기간을 숨어 지내며 동학을 전파하고 또 동학의 경전을 발행 하는 등 제 2의 동학 부흥을 실현해 나갔다. 강원도에서의 기반을 배경으로 해서 동학은 재기에 성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넓은 평야지대인 전라도와 경기도 등으로 확대될 수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강원도 지역은 동학 제 2의 고향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이다. 실제로 강원도가 없었다면 동학은 존재할 수 없었고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 역시 불가능했다. 강원도가 있었기에 해월은 은신할 수 있었고 또 강원도 지역 주민들의 도움과 협조가 있었기에 동학은 유지 발전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강원도 포덕은 이후 동학이 본격적으로 충청도와 전라도 그리고 경기도 지역 등의 평야지대로까지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것은 이후 동학농민혁명의 원천이 되었다. 동학농민혁명에서 강원도는 해월의 총기포령에 따라서 기포하였다. 이미 오랜 기간에 걸쳐서 탐관오리들의 가렴주구에 저항하던 농민들이 동학에 입도함으로써 동학농민혁명군이라는 대오를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동안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흩어져 있어 고립 또는 분산적이라 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던 강원도의 민중들은 비로소 조직적이고 확실한 지휘계통에 따른 혁명군으로 변모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강원도 지역은 다른 곳 보다도 강한 민보군이 형성되어 있었고 관군의 활약이 역시 대단하여 농민군 토벌부대의 주축을 이루었다. 그런 가운데 홍천의 차기석 포는 강원도 지역 전체를 통 털어서 가장 강력한 포였다. 차기석 대접주는 1893년 3월 보은 장내리에서 열린 척왜양창의운동에도 참가하였으며 사실상 강원도의 총수령으로 홍천을 비롯하여 평창·영월·정선·강릉 등지의 동학군을 지휘하는 등 5읍의 접주로 불리웠다. 1000여명의 동학농민혁명군을 이끌었다고 하지만 뒤에는 이웃 지방의 동학군까지 합세하여 그 수는 더욱 불어났다. 그들은 홍천을 넘어서 서울로 진격해 해월의 총기포령에 따른 권문세가를 멸하고 성도를 밝히고자 했다. 그러나 홍천의 동학농민혁명군은 서석고개를 넘지 못하고 산화했다. 오늘 자작고개의 전설이 어릴 정도의 엄청난 피의 항쟁의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