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

        김영미(Kim, Young-Mi)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강로전」은 실제 역사 인물 강홍립의 참전기를 서사화한 작품인데 본고는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면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은 동심원적인 구조를 보인다. 즉 강홍립을 점차 악인으로 서사화하는 서술 양상은 소문이 확산되어 사실적 차원으로 확정되는 과정과 하나의 사이클로 돌아가고 있다.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기대를 한몸에 받던 대원수 강홍립이 어떻게 서서히 역적이 되어가는지, 즉 역적 서사가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는지 분석했다. 역적 서사는 주인공 강홍립을 중심으로 많은 주변 인물들이 등장과 퇴장을 반복하며 강홍립에 대한 비난을 쏟아내며 완성되고 있다. 이는 일종의 일대다(一對多)의 관계 속에서 강홍립을 철저히 악인으로 만드는 서사 형태인데, 극단적 선악 대립을 선보이는 영웅 서사와 이 점에서 차이가 난다. 다음으로 「강로전」에서 ‘소문’이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작가 권칙은 「강로전」의 모든 내용이 정체를 특정할 수 없는 ‘어느 노승에게 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이렇게 ‘누구에게선가, 어디에선가 들었다’는 것은 소문을 전달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간접인용의 틀이다. 소문은 사람들이 기존에 갖고 있는 믿음이나 이념에 부합될 때 더 쉽게 받아들이게 되는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적 경향을 보이는데, 「강로전」에서 기댄 편향적 이념은 바로 ‘대명 의리’이다. 「강로전」 이야기는 ‘대명 의리’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이나 진실 여부와 상관없이 재구(再構)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기억과 연결된 문제이기도 하다. 과거의 인물과 사건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가 권칙의 자기 변명의 의도와 조선 후기 사회의 시대적 관념 속에서 ‘강홍립’은 기억되고 재구되는 것이다. 그런데 소문의 틀을 원용하고 소문의 편향성을 기반으로 했던 허구로서의 「강로전」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사실’의 차원으로 나아간다. 「강로전」에서는 이야기 전달자 노승을 등장시켜 강홍립 이야기가 일종의 소문임을 밝혔었던 것에 비해 후대 이건(李健, 1614∼1662)의 「강로전」이나 유한준(兪漢雋, 1732∼1811)의 「강홍립전」에 이르러서는 이야기 전달자를 없애고 한문의 ‘전(傳)’ 양식을 띠게 된다. 그에 따라 역사적 사실로 수용되지 못하고 ‘소문’의 속성이 강했던 강홍립 이야기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소문의 수용 문턱(thresholds)을 지나 범사회적으로 수렴되면서 점점 ‘사실’로 고착된다. 권칙에 의해 서술된 ‘강홍립’이 소문의 확산과 맞물려 ‘사실’ 차원에서 악인의 대표적 표상이 되는 것이다. Gangro-jeon tells the story of Gang Honglib who fought against the Qing army. In this paper, I analyze narrative modes of Gangro-jeon and its use of rumors. The story follows General Gang who gradually turns out to be a traitor. Gang stands in the middle of the stage, and several characters come in and go out of it in turn. They severely criticize him and accomplish their goal in the end. This many-on-one unidirectional relationship makes him a helpless villain. The st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hero wherein some extreme antagonism is shown between the good and the evil. Rumors are tactfully utilized in Gangro-jeon. Gwon Chik, who wrote Gangro-jeon, tells us that he heard the whole story from an old monk whose identity he could not specify. This is a typical frame of indirect quotation from someone somewhere. If people hear a rumor which corresponds to their belief or ideology, it results in a confirmation bias. The ideology of Gangro-jeon is based on the idea of obligation to the Ming dynasty. Gangro-jeon’s plot does not care whether it is true to historical facts but simply reorganizes them in accordance with its ideology. Furthermore, it reveals how memorization works in a novel. 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infallibly what a historical character did and what happened to him. Gang Honglib was memorized and reorganized in the matrix of social ideology of Gwon Chik and the Joseon dynasty. Gangro-jeon, which adapted the frame and bias of rumors, began to be accepted as the story of real facts. The old monk whom Gwon Chik introduced to reveal the source of his story disappeared off the plot in later versions. One of them, Lee Gun’s Gangro-jeon, resembles a biography. Rumors were the source of the story of Gang Honglib, which was a fiction at first, but it was accepted and fixed as the record of historical fac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umors that passed through social thresholds were collected by the general public. Once the argument that Gang was a turncoat, or a traitor, was received, it made him a typical villain.

      • KCI등재

        문학과 정치 혹은 문학의 정치 ; 『강로전』에 나타난 전쟁의 기억과 욕망의 서사

        조현우 ( Hyun Woo Ch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6 No.-

        『강로전』은 작자 권칙이 ``돌아온 자``로서 겪었던 비난과 의심의 시선에 대한 문학적 대응이며, 그 속에는 강홍립에 대한 증오와 연민의 시선이 공존하고 있다. 권칙은 심하전투에 참전했다가 온갖 고난 끝에 조선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그는 그 이후 실절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권칙은 1627년 일어난 이인거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공신으로 녹훈되고 벼슬을 제수받지만, 여전히 그의 과거 전력을 문제삼은 사간원의 상소로 파직된다. 『강로전』은 그 직후 지어졌다. 권칙은 『강로전』의 심하전투 관련 서술에서 강홍립을 일관되게 부정적 형상으로 만들면서 자신을 포함한 나머지 장졸들을 ``피해자``로 형상화한다. 이 과정에서 ``밀지``는 권칙을 포함한 나머지 장졸들이 자신들의 능력이나 의지와는 무관하게 항복의 오명을 뒤집어썼음을 보여주는 서사적 장치로 활용되었다. 강홍립의 조선 귀환 이후 서술에는 증오와 연민의 시선이 함께 드러나고 있다. 권칙은 강홍립을 역심을 가진 채 돌아온 인물로 설정한다. 이는 강홍립의 역심을 부각시킴으로써 탈출한 작자 자신의 절개를 은연중에 드러내려는 것이었다. 다른 한편으로 권칙은 강홍립이 자신과 마찬가지로 ``돌아온 자``로서 겪는 상황에 대해 은밀한 연민을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강로전』에 포함된 전기적 설정에는 운명의 횡포 앞에 놓인 무력한 인간으로서의 강홍립과 작자 자신에 대한 연민이 담겨 있다. 『강로전』은 권칙이 전쟁을 기억하고 서술하는 일을 통해 자신을 정당화하고자 했던 ``욕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런 점에서 『강로전』은 전쟁의 기억이 어떻게 허구적 서사로 전환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강로전』은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기억을 자신의 정당성 확보라는 욕망을 위해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허구적 서사로 만들어졌다. In this study, I asserted that Gangrohjeon(姜虜傳) written by Geon Chik(權칙) in 1630 was the literary expression against the suspicion and blame of unchastity. This text was based on the memories of Battle in Sarhu constructed in the Ming(明) and Chosun participated in the war as allies included writer himself. After the return to Chosun, he had been troubled with the suspicion and blame of unchastity for the surrender and defeat of the Battle in Sarhu. Through creating this text, he presented not only Gang Hongrib`s overall and ultimate responsibility for the final consequence of war but also the irresponsibility and innocence of himself. But the coexistence of hatred and sympathy to Gang Hongrib in this text, I think, was represented the complicated feelings of writer to Gang Hongrib. Gangrohjeon was turned into narrative fiction not because of disagreement with historical evidence and narrative text but because of desire to establish his identity. I designated that memory is important because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and, as time goes more distant from original event, memory moves from the realm of fact to fiction. I also pointed the necessity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wars and narrative fictions in 17th century in terms of the memories of wars and the desire to establish identity.

      • KCI등재

        강홍립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양상 연구

        박양리(Park, Yang-Ri)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8 No.-

        이 글의 관심은 역사적 실존인물인 강홍립이 이민환의 〈책중일록〉과 권칙의 〈강로전〉에서 어떻게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었는가에 있다. 〈책중일록〉에서 강홍립은 대내외적인 불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병사를 잘 이끌고자 노력한 인물이며 동시에 패배한 뒤에도 체면과 염치를 지키며 화의를 택한 인물이었다. 이에 반해 〈강로전〉에서 그리는 강홍립은 광해군의 밀지를 핑계 삼아서 병사들을 사지로 몰아넣은 교활한 책략가에 비굴하게도 오랑캐에게 무릎을 꿇은 항적이었다. 후금에서의 포로생활 중의 행적에 대해서도 두 작품은 다르게 이야기 하고 있다. 〈책중일록〉의 강홍립은 나라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한 외교사절이었는데 반해 〈강로전〉에서 강홍립은 부귀영화를 위해 나라를 판 변절자로 그려진다. 이러한 전혀 다른 두 모습의 강홍립이 그려진 것은 바로 두 작가의 입장차이 때문이다. 오랑캐에 항복한 인물로 관직 생활에 제대로 나아갈 수 없었던 이민환은 자신들은 항복한 것이 아니라 화의한 것이며 절개를 지켰다고 그 실상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리하여 자신들을 대변할 수 있는 인물인 원수 강홍립을 내세웠던 것이고 효과적인 서술을 위해 사실지향적인 일록의 형태를 통해 객관적인 태도를 유지하고자 했다. 권칙은 도망친 자로서의 자신의 도덕적 위상을 위해 그와 반대되는 포로가 된 장수들을 대표하는 강홍립을 비난할 필요가 있었다. 더구나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는 강홍립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결국 권칙은 포폄의 의도를 명확히 하여 강홍립을 부정적으로 그려내고 평가하기 위해 전을 창작했던 것이다. 실재했던 역사가 어떻게 작가 혹은 시대의 이념에 따라 재구성되어 문학으로 탄생하는가, 그 생생한 모습을 〈책중일록〉과 〈강로전〉은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literary imagery of Kang Honglib, an existential person from history depicted in 〈Chaekjoong-illok〉 by Lee Minhwan and 〈Kanglo-jeon〉 by Kwon Chik. In 〈Chaekjoong-illok〉, he was depicted as an experience person who tried to arrange his troop despite the unfavorable situations, and at the same time, who chose to negotiate for peace without losing face after defeat. Unlikely, In 〈Kanglo-jeon〉, he was depicted as a sneaky tactician who drove his men into death by a reason of secret orders from Gwanghaegun and a obsequious person who kneeled down to barbarians. Also two books describe differently of the time he was captived in Hukeum. In 〈Chaekjoong-illok〉, he was a diplomatic envoy who used his ability for the sake of country, on the other hand, 〈Kanglo-jeon〉 depicted his as an apostate who betrayed his country for his own wealth and honor. Such opposed descriptions on one person is because of the different points of view of the authors. Lee Minhwan hardly entered government service because he was one of the people who surrendered to barbarians thus he wanted to explain that they are not surrenders but negotiated for peace and kept their loyalty through the 〈Chaekjoong-illok〉. So, he supported Kang Honglib who can represent his position, and tried to show subjective attitude through the writing form of daily record for greater effect. Besides, the social atmosphere in that era was against Kang. Honglib As a result, Chik Kwon wrote the 〈Kanglo-jeon〉 to draw negative portrait of Kang Honglib with an intention of criticism. The 〈Chaekjoong-illok〉 and the 〈Kanglo-jeon〉 shows how the real history can be restructured and rewritten by the ideology of author or the era.

      • KCI등재

        규창본 <강로전> 한역(漢譯)의 의미

        김강은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7

        For many researchers who study novel, the translation of classical novels has been an issue of interest. Among the classical novels, translating Korean novel into Chinese character has been dealt as a considerably exceptional phenomenon. By reviewing Haewongoon(海原君) Lee Geon(李健)’s <Gangrojeon> in 『Gyuchangyoogo(葵窓遺稿)』, this article tried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held by the work and Lee Geon’s purpose of the translation.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expressions, this work is regarded to be placed in between ‘story’ and ‘fact’ unlike other texts. The deleted part where the narrator evaluates the characters, which previously did exist in the original work, the additional description about the places used in the work, and few other features could be seen as an intentional removal of the novel-lik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However, seen from the colloquial expressions and frequent errors in proper nouns, we could see that it failed to establish it’s place as a complete historical record. Taking these aspects into account, we could infer that this work was more of a personal output for the translator himself, rather than a public record for specific rea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type of work could be interpreted by connecting with the life of Lee Geon. Lee Geon was a figure from Injo’s generation who was sent into exile for treason then released. Continuing to pledge fidelity, he was living an unstable life, not knowing when to be accused of treason again. He was proving himself that he was now honorable by translating and rewriting the story of traitor Gang Heung Lib. Moreover, he implies that his father In Seong Gun had wrongfully died by partly modifying the story regarding Gang Heung Lib’s punishment. In other words, for Lee Geon, 「Gangrojeon」 was a reading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a method to complain about the injustice he experienced through ‘writing’. 고소설의 표기문자 전환은 이전부터 소설 연구자들의 관심 대상이었으며, 그중에서도 한역(漢譯)은 고소설의 주요 향유층으로 미루어볼 때 상당히 이례적인 현상으로 다루어졌다. 본고는 이러한 고소설의 한역 사례로 해원군(海原君) 이건(李健)의 『규창유고(葵窓遺稿)』에 수록되어있는 <강로전>을 검토함으로써, 규창본 <강로전>이 지니는 특징과 이건의 한역 의도를 추론해보았다. 타 이본과 달리 규창본 <강로전>은 구조나 표현상 ‘이야기’와 ‘기록’의 중간 단계에 위치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원작 계열에는 존재하던 말미의 평결부가 삭제된 것이나 지명에 대한 부연 설명 등은 작품의 전기소설적 면모를 의도적으로 제거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구어체적 표현과 고유명사에서의 잦은 오기로 볼 때 완전한 역사 기록으로는 자리 잡지 못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볼 때 규창본의 한역은 독자를 상정한 공개적인 기록보다는, 역자 스스로를 위한 사적인 결과물이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규창본의 특징은 역자인 이건의 삶과 연결하여 해석할 수 있다. 규창본의 역자 이건은 인조 대의 인물로, 역모죄로 유배되었다 풀려난 과거를 지니고 있다. 그는 계속해서 충성을 맹세하면서도, 언제 다시 역모죄로 몰릴지 알 수 없는 불안한 삶을 살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역적 강홍립의 이야기를 번역하고 다시 쓰는 과정은, 자신이 이제 떳떳한 위치에 있음을 스스로에게 입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강홍립의 처벌과 관련하여 내용을 일부 개삭(改槊)함으로써, 자신의 아버지 인성군이 억울한 죽음을 당했음을 은연중에 호소하기도 한다. 즉 이건에게 <강로전>은 독서물이면서 동시에 ‘쓰는 체험으로써’ 자신의 면면을 호소하는 수단인 것이다.

      • KCI등재

        역사소설로 본 조선후기 ‘역사 만들기’의 일면

        계승범(KYE, Seung-Bum) 한국사학사학회 2018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8

        본고에서는 조선후기에 등장한 『강로전』(1630)과 『북정일록』(18세기 전반)이 시도한 역사 만들기 작업의 결과가 상이하였음에 주목하되, 시점(타이밍)과 시대분위기의 차이라는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강로전』은 사료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소설로도 크게 유행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자료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것은 역사 만들기 작업에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정묘호란(1627) 발생 3년 만에 등장한 『강로전』은 그 등장 시점이 너무 일렀던 탓에 동시대 사람들의 ‘팩트 체크’를 피하기 어려웠다. 특히 강홍립의 항복행위를 극단적으로 비난한 『강로전』의 내용은 광해군보다 더 심하게 명나라를 배신하고 후금에 항복했다는 비난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밖에 없었던 인조 시기(1623~1649)는 물론이고 17세기가 저물도록 국가 권력의 호응을 얻어내지도 못하였다. 강홍립의 항복행위를 심하게 비난하면 할수록 국왕 인조의 丁卯和盟(1627)과 삼전도항복(1637) 행위에도 치명적 부메랑이 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2차 흑룡강원정(나선정벌, 1658)을 다룬 『북정일록』은 18세기 전반 무렵에 나오자마자 민간에서 크게 유행하였으며, 특히 당시 유명한 학자들로부터 사료로 취급받았다. 역사 만들기 작업이 대성공을 거둔 것이다. 이렇게 된 데에는 원정군 사령관 신류가 남긴 1차 사료 『북정록』이 집안에만 머문 채 외부로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소설 『북정일록』이 원정의 전말을 세간에 알린 사실상 유일한 자료였기 때문이다. 신류 본인은 물론이고 그 집안사람들이 『북정록』을 감춘 이유는 흑룡강원정 참전을 자부심이 아니라 수치심으로 여기던 시대분위기가 워낙 강고했기 때문이다. 북벌을 외치던 효종 대에 북벌을 실행에 옮기기는커녕 오히려 북벌의 대상인 청나라의 징병에 따라 출정하여 그 지휘를 받은 일은 형언하기 힘든 치욕스런 경험이었다. 1690년에 숙종이 흑룡강원정(나선정벌)에서 청나라의 존재를 지움으로써 그것을 조선이 단행한 북벌의 성공적 완수로 기억을 조작한 후에도, 『북정록』은 여전히 집안에만 머물렀다. 북벌의 대상인 청나라의 지휘를 받은 침울한 내용이 적나라했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18세기 전반 어느 시점에 원정의 주인공을 실존인물 신류에서 가공인물 배시황으로 뒤바꾼 『북정일록』이 원정 관련 거의 유일한 자료로 세간에 널리 회자하였던 것이다. 이익이나 이규경 같은 조선후기 대학자들조차도 『북정일록』의 내용을 사료로 취급한 사실은 이를 잘 보여준다. With emphasis on the two historical fictions written under Manchu dominance in the 1600s-1700s, this paper examines the situations in which two fictions were circulated in different ways. The Kangno chŏn (story of Kangno), written in 1630, was not successful in inventing history in that it was somewhat circulated as a fiction but never regarded as a historical source about the Korean expedition to Liaodong for the Ming against the Later Jin in 1619 and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26. In the Kangno chŏn, the author threw the entire blame on Kang Hongnip (1560-1627), who had commanded the Chosŏn expeditionary force but surrendered to the Later Jin, for Chosŏn’s forced negotiations with the Manchu invaders for peace in 1627. Such fictional contents, however, could not appeal to King Injo (r. 1623-1649) and his close allies of the time, who in fact also surrendered to the Later Jin in 1627. The more widely the Kangno chŏn was circulated, the more severely the king himself would be criticized. This is the very reason for Kangno chŏn’s failure in inventing history. Informing the knowledge of the Manchu-Korean joint expedition to the Amur against Russia in the 1650s, the Pukchŏng illok (Daily accounts of the northern expedition) was written by anonymous probably in the early 1700s yet full of exaggerations, fabrications, and distortions. The Pukchŏng illok was nevertheless very successful in inventing history on the ground that it was circulated widely in the 1700s-1800s as a key historical source rather than a fiction. Interestingly, there was a primary source about the expedition: Written by Sin Nyu, the commander of the Chosŏn expeditionary force during the military campaign against the Cossack- Russians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Amur River in 1658, The Pukchŏngnok (Record of the northern expedition) was very factual and coincide well with other contemporary records such as Russian materials and the dynastic annals of Chosŏn Korea. But the Pukchŏngnok was not circulated and forgotten soon because the Korean view of the expedition was very negative until the the turn of the 1690s. To Korean ruling elites, the northern expedition was a panic and remained as a trauma because Chosŏn dispatched a force for the Qing to fight against Russians as a token of Korean obedience to the Manchu. What is worse, it occurred in the middle of Hyojong’s reign (1549-1559), who eagerly desired a revenge on the Manchu Qing for the fall of Ming China as well as the Korean surrender to them. This negative view of the expedition dramatically changed in 1690 when King Sukchong (r. 1674-1720) officially declared that the Koreans achieved success eventually in the northern expedition, by pointing out Russia as a Manchu Qing substitute. Pukchŏng illok’s success in inventing history was possible under this new situation and it was actually circulated among scholars of the time as a historical source.

      • KCI등재

        명장(明將) 교일기(喬一琦)의 죽음으로 본 심하전역(深河戰役)

        김일환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Four huge units of the Ming Dynasty made a sortie at the same time to clear the Hetuala (赫圖阿拉), the base of the Hou Jin Dynasty, in 1619. Thirteen thousand Joseon soldiers with Gang Hongnip(姜弘立) as the general commander were affiliated with the troops of Yu Jeong forwarding to Hetuala in the east. The main unit of Yu Jeong(劉綎) was destroyed by the mounted troops of Hou Jin while the left regiment of Joseon led by Kim Eungha(金應河) following the main unit was also defeated. As Gang Hongnip, who had not joined the battle, tried to negotiate settlement with the troops of Hou Jin, General Qiao Yiqi(喬一琦) of the Ming Dynasty, who had been left in the camp of the Joseon army in a supervisory role, committed suicide. Gang Hongnip surrendered and became a prisoner, taken to Hetuala, the capital of Hou Jin. His soldiers escaped or returned to Joseon through negotiation. As the survivors returned to Joseon, the official report that Qiao Yiqi chose suicide to keep his integrity and the testimonies of other stories were continuously presented. In the fiction “Choicheokjeon(崔陟傳, Tale of Choi Cheok)”, adopting a non-fiction style, a testimony was disclosed that Yi Minhwan(李民寏), the secretary of Gang Hongnip, handed Qiao Yiqi to the troops of Hou Jin to survive. Then, Yi Minseong, the elder brother of Yi Minhwan who was driven to the corner as the betrayer, fiercely denied the testimony by immediately composing two poems. Yi Minhwan dodged his responsibility by writing about his life as a prisoner for one year and 7 months. Gwon Chik, another secretary who barely escaped to Joseon, pointed out that Gang Hongnip drove Qiao Yiqi to his death in his writing ‘Gangnojeon(姜虜傳, Story of a Barbarian with the Surname ‘Gang’)’ in which Gang Hongnip was the main character in 1630. His insistence was accepted like a true argument due to the negative awareness of Gang Hongnip that had been spreading since 1627 (Chinese invasion of Korea). Qiao Yiqi, who testified to the bravery and the desire to fight of the Joseon army in “Chungnyeollok” created for Kim Eungha who died a heroic death, became the victim betrayed by the Joseon army. Qiao Yiqi became the subject of sympathy who kept integrity by committing suicide, a subject to be protected, not the general of the suzerain state supervising and managing the Joseon army. 1619년 명나라는 후금의 본거지 허투알라(赫圖阿拉)를 소탕하기 위해 4개의 대규모 부대를 동시에 출격시켰다. 강홍립(姜弘立)을 총사령관으로 한 1만 3천명의 조선군은 동쪽에서 허투알라로 진격하는 유정(劉綎)의 부대에 소속되었다. 후금의 기마부대에 유정의 본군이 먼저 궤멸된 뒤, 뒤따르던 김응하(金應河)의 조선군 좌영(左營)도 전멸했다. 전투를 회피한 강홍립이 후금 군대와 강화 교섭에 나서자, 조선군 감시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조선군 진영에 남아있던 명나라 장군 교일기(喬一琦)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강홍립은 항복하여 후금의 수도 허투알라로 끌려가 포로 생활을 하고, 그의 부대원들은 탈출하거나 교섭으로 조선에 복귀하였다. 생존자들이 귀국하면서, 교일기가 절개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다는 공식 보고와 다른 내용의 증언이 나왔다. 「최척전(崔陟傳)」에서 강홍립의 종사관 이민환(李民寏)이 생존을 위해 교일기를 후금군에 넘겨주었다는 증언이 나오자, 악인으로 몰린 이민환의 형 이민성(李民宬)은 즉각 2편의 시를 지어 이를 격렬하게 부정했고, 이민환은 1년 7개월 동안의 포로 생활을 「책중일록(柵中日錄) 으로 정리하면서 그 책임을 회피했다. 강홍립의 개인 비서였던 권칙(權侙)은 1630년에 「강로전(姜虜傳)」을 지어 교일기를 죽음으로 내몬 사람으로 강홍립을 특정했다. 정묘호란(1627) 이후 확산된 강홍립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이는 정론처럼 굳어졌다. 김응하와 조선군의 용맹함과 전투 의지를 확인시켜주는 ‘증인’이었던 교일기가 이제 조선군의 배신으로 희생 당한 피해자가 되었다. 그리하여 조선군을 감시․감독하던 ‘상국(上國)’의 장군이 아니라 ‘우리’가 보호해 주어야 했던 대상, 스스로 목숨을 끊어 충절을 지킨 동정의 대상이 되었다.

      • KCI등재

        심하전투 전쟁포로 강홍립의 두 형상 -『책중일록』과 "강로전"의 대비를 중심으로 -

        권혁래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책중일록』과 권칙의 <강로전>에 그려진 강홍립의 형상을 비교분석하였다. 『책중일록』은 종사관 이민환이 심하전투의 실상과 강홍립의 이미지를 객관적 시각에서 그린 텍스트이다. 『책중일록』에는 ‘잊힌 전쟁포로’로서의 강홍립 형상이 주로 그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전투 직전까지 군량보급을 받지 못해 고심한 도원수, 명군의 리더십이 부재한 상태에서 전투의 패배를 맛보아야 했던 장수의 모습, 투항 이후 조선의 이익을 위해 애쓴 항장의 모습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 권칙의 <강로전>은 강홍립의 생애에 관해 기록한 거의 유일한 텍스트인데, 강홍립은 ‘배덕자’의 형상으로 그려져 있다. 주요하게, 장수로서의 책임을 망각한 장수, 변절한 항장, 자신의 안위만을 꾀하다 마침내 패가망신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권칙은 심하전투의 패배 책임을 강홍립에게 돌리기 위해 사실을 왜곡하여 인물을 형상화하고, 한편으로 좌영장 김응하를 시대의 영웅으로 부각하였다. <김장군전>의 김응하 추존, <임장군전>, <북정일록>, <임진록>에 나타난 존명의리론, ‘민중’ 또는 ‘정신적 승리’라는 관념은 조선후기 전란을 소재로 한 소설에서 문제적 지점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단순한 통속소설이 아니며, 특정한 국가 이데올로기-존명의리론-에 사로잡힌 양상을 보여준다. <강로전>은 전란을 제재로 한 17세기 역사소설에 작용하는 사대이념과 이념적 인물의 형상화 양상을 보여주는 일련의 작품들 중 하나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400년 간 강홍립에게 전가되었던 심하전투의 패배 책임과 강홍립의 왜곡된 형상은 결코 사실이 아니다. 강홍립은 군량부족과 불리한 전쟁상황 속에서 전쟁패배의 책임을 받아들이고 후금에게 항복함으로써 5,000명 군인의 목숨을 보호하였다. 필자는 강홍립이 ‘장수로서의 명예를 지키고 끝까지 살아남아 마침내 10년 만에 귀환한 전쟁포로’라는 점을 평가한다. In this paper, Chaegjung-illog and Kanglo-jeon are used as text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Shimha Battle and how General Kang, Hong-lip are drawn. Chaegjung-illog is the most realistic text of Shimha War's image and General Kang, Hong-lip's image. Chaegjung-illog is mainly depicted as Kang, Hong-lip form as a forgotten war captive, and his struggle in battle. The general is a hard-witted general who has not been able to receive military supplies until the close of battle, a defeated general who lost leadership in Ming's army, and a loner who has been a prisoner for the interests of Joseon. Kanglo-jeon is almost the only text written about the life of General Kang, Hong-lip, mainly depicted as a traitor and a downfall. Kanglo-jeon is intentionally distorted and manipulated when compared to historical facts or truths. It is not true that Kang Hong-lip is responsible for the defeat of the Shimha War, or the distorted form of Kang Hong-lip. Kang Hong-lip is a prisoner of war who has defended himself as a general, survived to the end, and finally returned in 10 years. This sentence is an rhetoric suitable for General Kang Hong-lip.

      • KCI등재후보

        기억과 망각의 서사로서의 만주 배경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읽기-최척전(崔陟傳)․강로전(姜虜傳)․김영철전(金英哲傳) 을 중심으로-

        이민희 만주학회 2011 만주연구 Vol.- No.11

        17세기 초 만주 일대에서 후금과 명,그리고 조선이 군사적으로 충돌했다.이때 강홍립의 군대가 명나라 군을 지원하기 위해 출정했다가 후금에투항한 소위 ‘심하(沈河)의 원정’이 일어났다.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서 백성들은 전란의 고통과 이산의 슬픔을 처절히 맛보았고,그러한 체험담이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작품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나타났다.그대표적인 작품이 「최척전(崔陟傳)」․「강로전(姜虜傳)」․「김영철전(金英哲傳)」등이다.본고에서는 이 세 작품에 담긴 전란 서사 속 고통과 분노의 시선을의도성 문제로 접근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망각의 존재양상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눠 살펴보았다.즉,(가)서사에서 의도적으로 기억해낸 역사(체험담/이념적 변형),(나)서사에서 의도적으로 망각시킨 역사(시대․사회에 대한 불만과 비판),(다)서사에서 의도하지 않았지만 기억된 역사(리얼리티 획득을 통한 자료의 간접적 복원),(라)서사에서 의도하지 않았지만 망각된 역사(상상․서사적 독법이 요구되는 사건․사실)등으로 대별해 작품에 투영한 서사의 진실 문제를 다루고자 했다.이 중 의도하지 않았지만 기억되거나(다)망각된(라)역사와 리얼리티는 작품의 새로운 의미와가치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새로운 독법을 요한다고 보았다.그리고 서사속 의도된 기억과 망각의 주체는 개인적,또는 집단적일 수 있지만,비의도적 요소는 작가의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독자의 소관이라 보았다.이는 분명 역사가가 역사적 사건을 바라보고 재구성하는 시각과는 다른 접근 방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후대에 특정 사회가,작가와 독자가,그 전란을 기억해 내고 싶어하거나망각하고 싶어하는 방향으로 역사적 인물과 사건의 의미와 이미지를 결정짓고 그것에 따라 서사라는 겉모습을 만들어 내면,그것이 결국 하나의 실체요 진실인 양 바뀌기 쉽다.이러한 사고(의식)의 균열 지점이 이전과 현저히 다르게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 바로 17세기였고,특별히 명․청 교체기에만주를 중심으로 한 ‘심하의 원정’과 포로 생활기를 다룬 전쟁 소재 역사소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보았다.

      • KCI등재

        중원의 지각 변동에 대한 1630년 조선의 현실 대응: 선약해의 <심양사행일기>와 권칙의 <강로전>을 중심으로

        이서희(Lee, Seo-Hee) 동남어문학회 2017 동남어문논집 Vol.1 No.44

        17세기 초반은 중원의 중심이었던 명나라가 후금의 잇따른 침공으로 위기를 겪게 됨에 따라 커다란 지각 변동이 발생하는 시기였다. 본 논문에 서는 격변하는 시대적 분위기 가운데 조선이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1630년에 저작된 선약해의 <심양사행일기>와 권칙의 <강로전>을 주목하 였다. 두 작품은 공통적으로 중원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후금과 명이 대치하는 상황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선약해는 위문사로 파견되어 사행을 다녀 왔던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보고 전해 들은 것을 상세하게 기록하였고, 권칙 또한 심하전투에 파견되었던 실제 경험을 토대로 작품을 창작하였다. 하지만 현실 대응의 모습은 대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30년은 서인 세력이 ‘숭명배호론’을 표방했던 시기였던 지라, 권칙은 후금에 투항한 강홍립을 부정적인 인물로 왜곡하여 그 이념에 충실하고자 했다. 반면 선약해는 조선을 대표하는 사신으로서 후금에 당당하게 맞서는 듯하지만, 급속도로 변화하는 중원의 질서를 목도한 후 내적인 혼란과 두려움을 시를 통해 완곡하게 표현 하였다. 결국 <강로전>은 숭명배호론의 이상을 구현하고자 했고 <심양사행일기>는 후금에 대한 위기의식 제고와 함께 현실에 중점을 두고자 했다. 이러한 현실 대응은 17세기 초반 중원의 지각 변동으로 인해 조선이 겪어야 했던 문제적 상황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e early 17th century was a time of cataclysm as Ming Dynasty, which held the supremacy in China for a long time, underwent a crisis due to the subsequent invasions of Later Jin. In this study, Seon Yakhae s Shimyang-sahaeng-ilgo and Gwon Chik s Gangnojeon written in 1630 were examined and compared to understand how Joseon responded to the convulsing situations at the time. Both works commonly include realistic representations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Ming and Later Jin over the supremacy in China. Seon Yakhae made a detailed record of what he saw and heard of the situation based on his own experiences of traveling to China as a messenger of condolence dispatched by the Joseon Dynasty. Gwon Chik, on the other hand, wrote Gangnojeon based on his actual experience of being dispatched to the Battle of Sarhu.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representation of Joseon s response to the reality at the time differed in these two literatures. The year of 1630 was a time when the Seo-in faction in the royal court of Joseon advocated Sungmyeongbaehoron, the idea of respecting Ming and excluding the Manchurian force. Accordingly, Gwon Chik distorted the image of Gang Hongrib, who surrendered to Later Jin, and presented him as a negative figure to stand faithful to Sungmyeongbaehoron. On the other hand, Seon Yakhae, as a representative of Joseon Dynasty, appeared to have gallantly stood against Later Jin, but, in fact,expressed through a poem his internal confusion and fear after witnessing the rapid change of order in the supremacy in China. In conclusion, Gangnojeon embodied the vision of Sungmyeongbaehoron, whereas Shimyang-sahaeng-ilgi focused on the situations at the time with due consideration of the crisis awareness for Later Jin. These responses to the cataclysm of China s supremacy in the early 17th century clearly demonstrate the problematic situation Joseon had to go through due to the power struggle in China.

      • KCI등재

        16 · 17세기 동아시아적 경험과 기억으로서의 일본인 형상 -조선후기 역사소설을 대상으로-

        권혁래 열상고전연구회 2007 열상고전연구 Vol.26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역사소설에 그려진 일본인 형상의 양상을 제시분류하고 형상화의 의미를 분석한 글이다. 조선후기 역사소설에 그려진 일본인 형상은 16-17세기 동아시아적 경험과 기억의 일부로서, 이러한 형상에서 조선후기 한 작가 및 민중들의 역사의식과 내적 성찰을 읽어낼 수 있다.역사 계열 <임진록> 이본의 작가들은 비교적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외적의 발흥과 군사행동을 인식하고 서술하였다. 하지만 작품의 뒷부분에는 구비설화의 상상력을 반영하여 사명당 정왜담(征倭譚)을 삽입함으로써 민족적 신화를 재현하였다.설화 계열의 <임진록> 이본에 나타난 일본인 상은 기본적으로 통속화된 역사, 문학적 유희의 산물이다. 풍신수길, 청정, 행장 등 일본 장수들은 단지 조선 측의 승리를 돋보이게 하는 기능적 존재이다. 따라서 이들의 형상에서 진지한 역사의식이나 성찰의 흔적을 찾아보긴 힘들다. 역사의식 및 내적 성찰의 면에서 <최척전>이나 <김영철전>, <강로전>에 그려진 일본인 상은 긍정적이다. <최척전>의 작가 조위한은 사실적 시각을 유지하며 조선의 여인에게 도움을 베푼 선량한 일본인의 형상을 그렸다. <김영철전>과 <강로전>에서는 항왜인(降倭人)들의 용맹과 충절을 그리며 강홍립의 투항과 대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