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패킷감청의 법적 성격 및 허용 가능성 검토

        민만기(Min, Man Kee) 대검찰청 2016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3

        감청이란 수사기관이 타인의 대화 내용을 본인의 부지 중에 청취하는 것을 말하며 통신비밀보호법은 일정한 요건 하에 전기통신의 감청을 허용하고 있다. 전기통신의 감청중에서도 인터넷 패킷(packet) 감청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흐르는 전기신호 형태의 패킷을 중간에 확보하여 그 내용을 지득하는 것이며, 그 특성상 수사목적과 관계없는 통신 내용이나 감청 대상자 외에 제3자의 통신 내용까지 감청될 우려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일부 인권단체 등은 패킷감청의 이러한 특수성을 근거로, 패킷감청이 헌법상 보장되는 사생활의 자유와 비밀, 통신의 비밀을 침해하고 영장주의 및 적법절차 원칙과 과잉금지원칙 등에 반하여 위헌임을 주장해 왔다. 감청의 헌법적 정당성의 문제를 검토하기에 감청의 형사소송법적 성격을 규명하는것이 중요하다. 감청은 수사상 강제처분의 일종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압수 ・수색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나아가 영장주의와 관련하여, 법관의 의한 발부 및 일반영장의 금지라는 영장주의 원칙은 통신비밀보호법의 규정에 따라 달성되고 있기 때문에 영장주의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인터넷 패킹감청의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그 대상과 범위가 확대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이는 영장주의 원칙에 관한 문제는 아니라고 할 것이다. 또한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또는 통신의 비밀도 절대적인 권리라고 볼 수 없으며, 국가안전보장과 질서유지를 위하여 과잉금지의 원칙에 반하지 않는 한 제한이 가능하다. 과잉금지의 부분 원칙인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합성, 피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이라는 개별 측면에 대한 구체적 검토를 통하여 인터넷 패킷감청이 헌법 상 과잉금지 원칙에 반하지 않는다는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 Korea’s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permits wiretapping of communications under certain conditions. According to the Act, “wiretapping” means acquiring or recording the contents of telecommunications by listening to or communally reading the sounds, words, symbols or images of the communications through electronic and mechanical devices without the consent of the party concerned or interfering with thei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Korea’s Supreme Court decided that electronic surveillance of internet packets by the government agency pursuant to the Act is permissible. However, some human rights activists and academics argue that the provisions of the Act permitting the internet packet sniffing is unconstitutional because they violate the clauses of the Constitution that secure the privacy of the individuals and the secrets of the communications. They oppose the electronic surveillance of the internet packets for the reasons that it is so broad in the scope of the objects and things wiretapped that the privacy and the secrets of the communications cannot be protected. They emphasize that internet packet sniffing violates ‘the prohibition of general warrant’, ‘due process of law’ and ‘the principle of excess prohibition’ which is provided in article 3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I admit that electronic surveillance of internet packets could harm the privacy of the individuals and the secrets of the communications. However, According the Constitution, the freedoms and rights of citizens may be restricted by Act only when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the maintenance of law and order or for public welfare. Even when such restriction is imposed, no essential aspect of the freedom or right shall be violated. Under Korea’s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the government agency can wiretap the communications only when the Act permits the wiretapping in a very restrictive situations, for example, in which there is a substantial reason to suspect that a crime especially stipulated in the Act is being planned or committed or has been committed, and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committing of the crime, arrest the criminal or collect the evidence. I explored the permissibility of the internet packet sniffing in the context of the Constitution. And I concluded that the provisions of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permitting wiretapping are constitutional and the electronical surveillance of internet packets can be permissible under the Constitution.

      • KCI등재

        e-사회에서 테러 및 범죄예방을 위한 감청과 프라이버시의 갈등 조정 방안 연구

        成鮮濟(Sung Sun-Je) 한국비교공법학회 2007 公法學硏究 Vol.8 No.4

        본 연구는 감청 및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미국 및 우리나라의 법제도의 고찰을 중심으로 논한다. 감청은 헌법상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뿐만 아니라 통신의 자유와 주거의 자유 등에 대한 제한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헌법은 명문으로 프라이버시를 인정하지는 않으나 수많은 판례와 법률이 프라이버시를 인정하고 있다. Olmstead 판례 이후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하여 엄격한 영장주의가 발전해왔으며, 일반범죄통제 및 거리안전법을 비롯하여 전자통신 프라이버시법 등에 성문화되었고 최근에는 애국법을 통하여 감청이 광범위하게 허용되는 실정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통신비밀보호법을 제정하여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위하여 감청을 제한하고 있으나 감청의 허용이 광범위하고 모호하며, 감청의 기간이 장기간이며, 감청의 사후 통제가 미약한 편이다. 따라서 감청의 대상과 범위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감청의 허용기간을 필요최소한도로 축소하며, 피감청자가 감청을 인식할 수 없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감청의 사후 국회 보고를 의무화하는 등의 통제의 설정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legal system about interception and protection of privacy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n interception could be restriction to privacy, as well as freedom of communications and freedom of residence. The United States does not set privacy in Constitution. But There were numerous privacy laws and cases to be acknowledged. Since Olmstead case, it has been developed to require strict warrant for protection of privacy. As a result, It has been coded to Omnibus Crime Control and Safe Street Act, Electronic Communications Privacy Act, and USA Patriot Act, which finally makes it allow to intercept communications. Meanwhile, Korea has enacted a law protecting the privacy of confidential communications and restricted wiretapping and eavesdropping. But the permit for interception is broad and ambiguous, and the long-term period of wiretapping and the control after interception is wea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target and range of interception, reduce the time period for interception to the minimum required, and require for investigative authority to report interception record to the National Assembly, which is attributed to be not recognized by the intercepted person.

      • KCI등재

        변화하는 통신환경에서 인터넷 회선감청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태희,윤해성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가천법학 Vol.11 No.4

        본 논문은 새롭게 등장한 감청방법으로서 회선감청이 헌법 및 통신비밀보호법에 어떻게 포섭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우선 회선감청의 개념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 회선감청은 통신의 비밀을 제한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헌법적인 측면에서 회선감청의 허용성 여부에 대해 검토하였다. 회선감청은 현대 정보사회에 있어서 테러와 같은 초국가적인 범죄를 예방ᆞ진압하는데 효율적인 수사기법임에 틀림없지만, 현재 통신비밀보호법의 체계 안에서는 국민의 통신의 비밀과 자유를 광범위하게 침해하지 않는 가운데 효율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회선감청의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회선감청 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개선방안으로는 1) 대상범죄의 합리적인 검토, 2) 회선감청 청구권자의 제한, 3) 회선감청 허가에 대한 심가 실질화, 4) 회선감청 집행방법의 개선, 5) 감청기록의 관리체계 개선, 6) 집행통지 절차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Advance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rovision of new communication techniques were like a double-edged sword. It was able to communicate with people far away, but at the same time, it produced a large number of crimes using it. Though investigation authorities began to use wiretapping as a technical investigation method to curb such crimes, national institutes fascinated by secrecy of wiretapping were given to illegal activities using it. Since restrictions on this, however, do not have their ground in the Criminal Procedure Code, the right to communication secrecy, a basic right of the Constitution, is far from being protected. As a legislative measure for this normative request, Communications Secrets Protection Act [CSPA] was legislated on 12. 27. 1993 but due to problems underlying the law, it has been revised about 20 times until 2014. Despite all these revisions of it, requests for revising the CSPA are still ongoing, and are also facing new challenges following rapid changes in communi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presents the prerequisites for detecting Internet packets. First, the court's review of wiretapping permissions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since the packet inspection limit of information related to crime is not selectively eavesdropping, the method of eavesdropping should be separated and privacy violations minimiz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judicial process of communication restrictions and to establish supervisory authorities.

      • KCI등재

        첨단감청 시대의 통신비밀 보호방안

        오길영 헌법재판연구원 2019 헌법재판연구 Vol.6 No.1

        This article is designed to devise a preemptive response of the legal system to the advanced wiretapping technologies. That is, this paper is intended not to interpret the current legislation but to draw up a new discourse that corresponds to technology. Therefore, legal discussions are conducted on the basis of a review of the technical elements of wiretapping in the overall and the main content is to devise the reform of the legal system centered on the legal issues derived from this process.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is allotted to reviewing the current wiretapping technology and analyzing the legal confusion aris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chnology. First, it was classified as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and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and a brief leg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se technologies. Then, the wiretapping technology was divided into cases of ‘kidnap’ and ‘invasion’ to describe the confusion arising from the wiretapping of the current legislation. Regarding the kidnapping method, it was reviewed that the wiretapping standard of the current law, which is a requirement of real-time, is already technically meaningless. In the case of invasion methods, I specified the limits of our legislation that could not distinguish between hacking and cracking. Based on this technical trend and understanding of the confusion of legislation, a full-scale legal review was conducted in the middle part of this article based on a technical point of view. Firstly, I analyze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Since the current approach to classification as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is no longer meaningful due to the digitization of voice communication, it is rather reasonable and effective to approach direct and indirect wiretapping in its classification. Second, when the method of invasion is carried out, it has been argued that invasions which are aimed at wiretapping have the function of search and seizure, and invasions that are the purpose of the search and seizure have the function of wiretapping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legal concept to set up a clear boundary between wiretapping and the search and seizure. Thir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for new technological environment was examined for ‘interference in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ich is defined by the current law as a type of wiretapping. It has been argued that if the new form of wiretapping can be accepted as an open concept,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regulatory measure for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llowing this analysis of the issues from a technical perspective, the last part of the article considered major issues from a legal policy perspective. First, it was suggested that in the current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there is no gap in the protection of basic rights by taking into account the search and seizure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wiretapping under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at the same time. Next,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need to conceptually and systematically distinguish between wiretapping for investigation purposes and wiretapping for security purposes. In practice, it may be necessary to vary the scope of wiretapping and the level of technology used, but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prevent misuse and abuse of wiretapping. Finally, it is detailed about the blank space of basic rights. When looking at the information that is subject to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there is a gap that can not be filled even if rights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and privacy are applied. In this regard, I have argued for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so-called “fundamental rights of IT” which was declared as a new fundamental right in Germany. 이 글은 첨단의 감청기술에 대하여 법제의 선제적 대응을 구상하기 위한 글이다. 즉 현행의 법제에 대한 해석론이 아니라, 기술에 대응하는 새로운 담론을 끌어내기 위한 취지로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글의 전반에 있어 감청의 기술적 요소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법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쟁점을 중심으로 법제의 개혁을 구상하는 것이 주요한 내용이다. 글의 전반부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감청기술을 개관하고 기술의 견지에서 발생하는 법적 혼란을 검토하였다. 먼저 음성통신과 데이터통신 그리고 차세대통신으로 분류하고 이들 기술의 특성과 동향을 기반으로 간략한 법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다음에는 감청기술을 ‘납치’와 ‘침입’의 경우로 대분하여 현행법의 해석상 발생하는 혼란을 기술하였다. 납치방식에 대해서는 실시간성을 요건으로 하고 있는 현행법제의 감청 기준이 이미 기술적으로 무의미하다는 점을 검토하였고, 침입방식의 경우에는 해킹과 크래킹을 구별하지 못하는 우리 입법의 한계를 적시하였다. 이러한 기술적 동향과 법제의 혼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의 중반부에서는 기술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한 본격적인 법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음성통신과 데이터통신으로 분류하는 현재의 접근방식은 음성통신의 디지털화로 인하여 더 이상은 유의미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분류에 있어 직접감청과 간접감청으로 접근하는 것이 오히려 타당하고 실효성이 있음을 밝혔다. 둘째로 침입의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에 주목하자면 감청이 목적인 침입도 압수와 수색의 기능을, 압수・수색이 목적인 침입도 감청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즉 감청과 압수・수색의 양자에 대하여 분명한 경계를 설정하고 있던 지금까지의 법적 개념설정에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현행법상 감청의 유형으로 규정하고 있는 ‘송・수신의 방해’에 대하여, 새로운 기술 환경에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감청을 열린 개념으로 수용할 수 있다면, 이를 차세대 통신기술에 대한 효과적인 규제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논증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관점에서의 쟁점분석에 뒤이어, 글의 후반부에서는 법정책적 관점에서 주요한 쟁점사항을 검토하였다. 먼저 지금의 디지털통신 환경에서는 형사소송법상의 압수・수색과 통신비밀보호법상의 감청을 동시에 고려하여 기본권 보호에 공백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밝혔다. 다음으로 수사목적의 감청과 안보목적의 감청을 개념적・제도적으로 구분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적시하였다. 실무상 감청내용의 범위와 사용기술의 수위를 달리할 필요도 있겠으나, 무엇보다 감청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는 기본권의 공백에 관하여 상술하였다. 통신비밀 보호의 대상이 되는 정보들을 살필 때, 통신의 비밀보호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프라이버시권을 모두 동원하더라도 메울 수 없는 공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필자는 독일에서 새로운 기본권으로 선언한 바 있는 소위 ‘IT 기본권’의 도입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감청’ 허용 기준과 ‘감청’ 범위에 관한 입법적 제언 ― 우리나라와 미국의 법제 비교를 중심으로 ―

        백수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서울법학 Vol.31 No.1

        Wiretapping regulations, which began with regulations on indiscriminate installation of wiretapping devices in the past, are expanding to SNS and VoIP wiretapping regula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phones and the Internet. In the case of these technologies, especially with the cooper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 it is possible for the investigative agency to intercept the wiretapping, so discussions are focused on the regulation of each type of wiretapping standards and the duty of cooper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 It is required to prepare more specif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procedures under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for reasons such as specifying the duty of cooperation of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specifying crimes and procedures subject to wiretapping, and subdividing wiretapping standards. Also, going through a repetitive review proces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organization to supervise this can b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Considering that the crimes subject to wiretapping for criminal investigation under the current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are widely stipulated throughout the criminal law, it may also be considered to limit the crimes subject to information collection through wiretapping through social discussion.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need for wiretapping, exceptions to target crimes may be expanded through permission from supervisory organizations, etc.,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law. Given that recent crimes evolve and change very quickly, it may be difficult to respond in real time only with the provisions of the law. Accordingly, preparation of an independent wiretapping support organization may be considered. The fact that it has been subject to information collection, the reason for it, the method to notify the objection procedure, etc., the procedure for reviewing whether the collected information meets the purpose of collection, and the deletion or disposal of information that goes beyond the scope of the purpose of collection or whose use has been termin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hanges in the need for information collection,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d revising the standards for wiretapping is prepared so that the supervisory body reviews them based on those standards, and if it is subject to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legislative branch through a government investigation or inspection of government affairs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the ability to actively respond to investigations while minimizing violations of basic rights due to wiretapping. These supervisory agencies will supervise and coordinate compliance with information collection requirements, judging legitimacy, fulfillment of notification obligations to persons subject to information collection, appropriateness of use and management of collected information, and establishment/revision of wiretapping standards. However, since presenting a specific standard becomes a framework and is interpreted as allowing everything except that framework, it should not be a means of escaping the law. should be established. Also, in the process, it should be organized so that the restrictions on the people's basic rights can be minimized. 과거 무분별한 도청장치 설치에 대한 규제로부터 시작된 감청 규제는 이동전화와 인터넷의 발달로 SNS와 VoIP 감청 규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경우 특히 전기통신사업자의 협조를 얻어야 수사기관의 감청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감청 기준에 대한 유형별 규제와 전기통신사업자의 협조의무에 대한 논의가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통신사업자의 협조의무 구체화, 감청의 대상 범죄 및 절차의 구체화, 감청 기준 세분화 등을 이유로 보다 구체적인 「통신비밀보호법」상의 정보의 수집 및 관리 절차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이를 감독할 독립된 기구 설립 등을 통해 반복적인 검토 과정을 거칠 것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상 범죄수사를 위한 감청의 대상 범죄는 형법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규정되어 있음을 감안하여, 사회적 논의를 통해 감청을 통한 정보수집 대상 범죄를 한정하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다만 그 감청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대상 범죄의 예외를 법률의 규정에 따라 감독기구 등의 허가 등을 통해 확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최근의 범죄가 매우 빠르게 진화, 변화되는 것을 감안할 때 법률의 규정만으로 실시간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독립된 감청 지원 기구의 마련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수집의 대상이 되었다는 점과 그 사유, 이의제기 절차 등을 통지하도록 하는 방안, 수집된 정보가 수집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검토하는 절차 및 수집목적 범위를 벗어나거나 활용이 종료된 정보를 삭제, 폐기하는 절차, 기술의 발전 및 정보수집 필요성 변화에 따라 새롭게 감청의 기준을 제・개정하기 위한 절차 등을 마련하여 감독기구가 그러한 기준 하에 검토하도록 하고, 국정 조사나 국정 감사를 통해 입법부의 관리 감독을 받게 한다면 감청으로 인한 기본권 침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수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감독기관은 정보수집 요건의 준수와 적법성 판단, 정보수집 대상자에 대한 통지의무 이행, 수집 정보 이용 및 관리의 적정성, 감청 표준 제・개정 등과 관련하여 감독 및 조정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다만, 특정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하나의 틀이 되어 그 틀을 제외하고는 모조리 허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어 자칫 법망을 벗어날 수 있는 수단이 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므로 보다 정교한 규제를 전제로 한 기준과 감독기구가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국민 기본권 제한을 최소화하여야 하는 방향으로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터넷 패킷감청의 현황과 과제

        이얼(Eol lee),박웅신(Woong Shin Park)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19 No.4

        현대사회에서 인터넷은 정보 공유 및 통신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다. 동시에 마약범죄, 테러 등 점차 세계화•지능화•대규모화되고 있는 범죄들 또한 인터넷을 매개로 계획•실행되고 있다. 수사기관에 의한 ‘패킷감청’은 이러한 범죄를 사전에 예방•진압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범죄수사 및 국가안보를 위해 감청권한을 확대하고, 패킷감청을 포함한 다양한 감청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그러나 패킷감청은 수사기관이 광범위한 정보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다는 기술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패킷감청이 오•남용될 경우 감청 대상자는 물론 제3자의 통신의 비밀과 자유가 침해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에 패킷감청은 헌법상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경청할 필요가 있다. 다만, 패킷감청은 다양한 감청 기술 중 하나에 불과하여 일반 감청과 달리 보거나 절대적으로 금지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외국의 감청 관련 법률 또한 패킷감청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의 통신비밀보호법상 감청의 요건과 절차를 보다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패킷감청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국민의 통신의 비밀과 자유를 최대한 보장함과 동시에 패킷감청이 효율적인 범죄 예방 및 수사의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Nowadays the internet is used as the most efficient tool to shar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At the same time, criminals also exploit it to plan crimes such as illicit drug trafficking or global terrorism. The packet interception by the investigative agency can be used as an efficient method to prevent potential crimes. As matter of fact, many countries have already initiated expansion of the right of interception and developed new interception methods.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acket interception itself, investigative agency can acquire information easily and extensively. If the investigative agency abuses packet interception, then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n the human right or third-party communication secret will increase. Therefore the packet interception should be permitted only if it is necessary. Some people argue that the packet interception should not be allowed because it is collide with the constitution. However, the packet interception should be allowed because it is simply one of the various means of interceptions. We need to throughly review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so we not only would protect privacy and freedom of communication of people but would exploit as means of to prevent crimes.

      • KCI등재

        미국과 우리나라의 통신감청법률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나채준(Na, Chae Jo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1 土地公法硏究 Vol.52 No.-

        오늘날 전화와 인터넷 등 전기통신기기의 발달로 이러한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용한 범죄 특히 마약범죄와 조직범죄 등이 은밀하게 진행되고 있어서 효과적인 범죄예방을 위하여 경찰, 검찰 등 법집행기관에게도 첨단시설을 이용한 감청, 녹음 및 녹화 등과 같은 과학적인 수사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국가의 안보차원에서도 대내적인 국가안보유지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 국가적 이익을 위하여 일정부분 통신과 대화에 대한 감청과 제한이 필요하다. 실제로 세계 각국은 자신의 주권과 이익을 지키기 위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자국의 정보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통신감청과 제한을 해오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통신감청의 오.남용으로 발생하는 국민의 사생활침해와 불법적인 감청행위를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헌법재판소가 인터넷 감청의 총 기간과 기간연장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은 통신비밀보호법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림에 따라서 2011년 12월 31일까지 해당 조항에 대한 개정과 함께 그동안 논의된 통신비밀보호법에 대한 개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정부여당은 통신비밀보호법의 개정을 추진하면서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든 통신수단에 대한 감청을 의무화하고 있고, 통신사업자로 하여금 통신설비에 감청설비 구비를 갖추도록 의무화하여 휴대전화 뿐 아니라 요즘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폰은 물론 메신저와 P2P 등 거의 모든 통신수단에 대한 감청을 합법화하여 논란이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통신감청과 그에 따른 법률적 문제점과 관련하여 이미 1920년대부터 축적된 연방대법원의 판례와 연방통신법 등 의회의 각종 선진적인 입법조치가 마련되어 우리나라의 통신비밀보호법에 큰 영향을 주었던 미국의 통신감청 실태와 관련법률을 간략히 개관하고, 관련된 법률문제로서 감청허용요건과 감청기간 및 기간연장, 통신사업자에 대한 감청협조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현행 통신비밀보호법과 논의되는 개정안에 대한 문제점에 관한 비교법적 비판적 고찰을 하였다. Toda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including telephone and Internet, crimes, especially drug offenses and organized crime is being covertly. Law enforcement agencies such as Police and Prosecutors, was needed scientific investigative methods by wire tapping, monitoring, recording for effective crime prevention. In addition the interception and restrictions of communication and dialogue is control necessary for domestic national security and external national interests. The problem is how to control illegal wiretapping and privacy invasion by abuse of wiretapping. With regard, the recent Constitutional Court has ruled unconstitutional to Communications Privacy Act provisions which did not put a limit on the number of renewal terms. Therefore, discussion about the amendment of Communications Privacy Act is expected to spread. In this paper, overview status of communications interception and relevant wiretapping laws of the United States that it's legal issues has accumulated since the early 1920s Supreme Court precedent. Especially the Federal Communications Act, including advanced congressional legislation, was a great influenced on Korean's Communications Privacy Act. Comparative study of legal issues related to permit requirements for wiretapping and tapping period, an extension of the period were performed. Current Communications Privacy Act and the amendments to be discussed and compared on the legal issues were critically reviewed.

      • KCI등재

        인터넷 패킷감청의 허용가능성에 관한 고찰

        권양섭(Kwon Yang-Sub) 한국법학회 2010 법학연구 Vol.39 No.-

        현재의 통신비밀보호법은 인터넷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여전히 아날로 그 통신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터넷 통신을 규제하고 있다. 인터넷 패킷감청은 다른 통신매체와 달리 대상과 범위를 특정하기가 곤란하다는 기술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과연 패킷감청이 헌법상 허용될 수 있는지 논란을 야기한다. 따라서 프라이버시의 보호라는 측면과 형사소추의 이익이라는 측면을 적절히 고려할 수 있는 합리적인 기준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수사기술로 활용되고 있는 패킷감청이 어떠한 법률적 의미를 담고 있는지, 과연 허용가능한 수사방법인지, 허용할 경우 어떠한 전제조건하에서 허용될 수 있는지를 기술적ㆍ법적 분석을 통하여 고찰해 보았다. 패킷감청의 허용가능성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헌법과 영장주의에 근거하여 판단하였으며, 영장주의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패킷감청을 허용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다만, 인터넷 패킷감청이 허용될 수 있는 전제조건으로 다음과 같은 요건을 제시하였다. 첫째, 해당범죄관련 정보취득의 개연성과 피의자와 피감청기기와의 관련성을 감청허용요건에 추가하여 허가요건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영장주의 취지에 부합할 수 있도록 감청집행방법을 이원화하여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셋째, 감청허가에 대한 법원의 심사를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집행에 관한 통보절차를 개선하여 감청신청의 남용을 억제해야 한다.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are regulated the Internet communication with the same way as analog communications as no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medium. Internet packet intercepting ha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 which is difficult to find the specific targets and rages unlikely any other communications medium. With these characteristics can cause controversy about allowing the packet bugging by the Constitution. Therefore, reasonable standard considering the terms of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erms of criminal prosecution properly should be sought. In this research, following requirements are presented as a precondition for internet packet bugging. First, permission requirement should be strengthened by adding probability of obtaining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 crime and relevance between suspect and bugged equipment into bugging grant conditions. Second, as it is impossible to bug on a selective basis which packet bugging limits in crime-related information, bugging execution methods should be divided and the invasion of privacy should be minimized. Third, the court review for the bugging authorization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notice procedure for execution should be improved and the invasion of privacy should be minimized and abuse of bugging request must be suppressed.

      • KCI등재

        미국의 감청제도에 관한 연구

        박성민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4

        이 글에서는 미국의 감청제도에 대해 미국의 연방감청법(TITLE Ⅲ)을 중심으로 감청의 개념, 목적, 감청의 대상 및 범위, 감청의 요건 및 절차, 통신사업자의 협조의무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우리와 미국은 실시간 통신내용에 대한 통신당사자의 동의 없는 지득이라는 감청의 본질적 동일성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감청의 대상에 있어서는 미국이 구두통신을 감청의 대상에 포함한다는 점에서 이를 제외하는 우리의 법제와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감청의 범위에 있어서도 우리의 실시간 감청과 유사하게 미국은 동일시점요건을 요구함으로써 큰 틀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았지만, 감청목적에 따른 절차 및 요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감청요건은 우리가 미국보다 다소 엄격성을 유지하였지만, 감청에 대한 사후통제시스템은 미국이 우리보다 체계적이었다. 이외에도 감청 기간에 있어서는 우리가 오히려 장기라는 점, 상대적으로 경미한 범죄에 대해서도 감청이 가능하다는 점은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특히 미국은 사업자의 기술조치 등의 협조의무 규정을 두고 있는데, 그 도입여부와 관련해서는 우리나라의 사정을 검토하여 예외적인 수준에서 도입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음도 기술하였다. 미국은 감청에 대한 기술표준 이외에도 감청의 목적 및 감청대상에 따른 감청가능여부 및 관리에 대한 독자적인 사법표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통신비밀보호법이나 테러방지법 등의 몇몇 규정만으로 감청을 규율하고 있어 적용에 있어 논란 및 해석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동북아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는 작금의 현실과 소위 기술패권으로 대변되는 경제지형의 변화에 맞추어 국가안보 및 수사를 위한 우리나라만의 감청표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이 글이 그 시작을 위한 시금석이 되기를 바란다. The U.S. intercept system is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the concept, purpose, object and scope of intercept, the requirements and procedures for intercept, and the obligation of cooperation of telecommunications carriers focus on the TITLE Ⅲ in this pap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essential identity of intercept, which is the acquisition of real-time communication contents without the consent of the communication party. But the fact that the United States includes oral communication as a subject of intercept is clearly different from our legal system, which excludes it. In terms of the scope of intercept, similar to our real-time intercept, the United States required the contemproneous requirement, showing no difference in the grand scheme of things, but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procedures and requirement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ntercept. In particular, although Korea maintained somewhat stricter intercept requirements tha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States' post-eavesdropping control system for intercept was more systematic than ours. In addition, we judged that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that the intercept period was rather long and that intercept was possible even for relatively minor crimes. And the United States has regulations on the business operator's obligation to cooperate in technical measures, etc., and with regard to whether to introduce it, it was also stated that there is a need to review Korea's circumstances and consider introducing it. In addition to the technical standards for intercept, the United States is evaluated to have its own judicial standards for the possibility and management of intercept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subject of intercept. In contrast, Korea regulates intercept with only a few provisions, such as the Protection Communications Secrets Act and the Act on Counter-Terrorism for The Protection of Citizens and Public Security, leaving room for controversy and interpretation in its application. There is a need to create our own intercept standards for national security and investigations in line with the current reality of increasing conflict in Northeast Asia and changes in the economic landscape represented by so-called technological hegemony. I hope this paper contributes to that.

      • KCI등재

        합법적 감청의 표준화 동향과 이기종 통신망에서의 연속적 패킷 수집에 관한 연구

        이명락,한영섭,김상수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JSE) 2015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12 No.5

        합법적 감청이란 각국의 관련법령에 따라 사법수행기관(LEA: Law Enforcement Agencies)에 의하 여 수행되는 감청행위와 이러한 합법적 감청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감청에 관한 권한(영장)을 부여 받는 행위를 말한다. 기존의 공중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2, 3세대 무선 통 신망과 전통적인 케이블 통신망에서의 감청은 일반적으로 통화가 수행되는 스위치 장치들에 직접 접 속함으로써 이루어 졌다. 하지만 휴대전화(mobile phone)나 Voice over IP(VoIP) 기술 같이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IP의 이동성 제공 환경에서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즉, 다양한 종 류의 네트워크 환경을 통신의 연속성을 보장하면서 이동하는 노드에 대하여 연속적인 감청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Lawful Interception의 개념과 미국, 유럽 중심의 국제 Lawful Interception 표준화 동향과 기타 국가의 감청 관련 법규들과 동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LI 대상이 서로 다른 망을 이동하면서 통신할 때의 통신 내용을 효율적으로 감청하기 위하여 다양한 Access망에서의 연속적인 감청이 가능한 Dynamic Triggering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그 효율성을 검증 하였다. Lawful interception(LI) i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f each country‘s law enforcement authorities(LEA: Law Enforcement Agencies) and is refers to the act of receiving authorization (warrant) on the interception before performing the tapping of these legal acts. Lawful interception of the traditional public network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2nd and 3rd generation of wireless networks was carred out by connecting directly to the switch like a conventional cable network. However, the mobile phone (mobile phone) or Voice over IP (VoIP) technology those provide mobility need a new approach to ensure LI.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continuous LI in the wide range of network environments while guarantee the continuity of mobile node’s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traditional lawful interception laws and concepts of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rend of LI. In addition, we proposed continuous LI architecture to perform dynamic trigger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exper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