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긍정 감정조절 전략 유형과 긍정감정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금융상품을 중심으로

        임미자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소비자 행동에서 중요한 주제인 감정, 특히 긍정 감정의 영향을 다룬다. 금융 상품 투자는 소비자의 재 무 상태와 직결되는 중요한 의사결정 영역이며, 다른 영역에 비해 의사결정 결과에서 소비자들은 더 극명한 감정 경험을 하게 된다. 따라서 투자 영역에서의 감정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감정에 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하고 더 풍부 하게 하며, 다른 영역에 비해 감정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분명하게 밝힐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익 후 긍정 감정 경험과 의사결정 성과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긍정 감정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고 싶어 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복잡하고 어려우며 감정의 영향이 클 수 있는 투자 영역에 서는 손실의 부정 감정에서와 마찬가지로, 긍정 감정을 안정적으로 줄일 수(downward regulation) 있을 때 성과 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금융 상품 소비자들이 긍정 감정에 대해 어떤 감정조절 전략 유형 들을 사용하는 지, 긍정 감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조절 전략은 무엇인지, 그리고 긍정 감정조절 전 략 유형들은 부정 감정조절 전략 유형들과 어떻게 다른 지를 제시하였다. 긍정 감정조절 전략 유형이 조사되면 실 무의 관리자들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투자 과정에서 감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감정조절 전략을 사용 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공헌은 긍정 감정이 의사결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으며, 투자 상품에서 의 긍정 감정의 영향을 새롭게 밝혔다는 점이다. 그리고 성과의 목적이 앞설 때 긍정 감정을 하향 조절(downward regulation)하는 조건적 헤도니즘의 이론적 폭을 확장시켰다. 또한 소비자들의 이익 경험 후의 긍정 감정조절 전략 유형을 새로이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그 이론적 공헌이 있다. As the financial industry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in a service economy, individual investment behavior attracts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economics, psychology, and marketing. Consumers have stronger emotional experience in financial investment compared to other areas because it is an important decision-making area that can have crucial consequences for investor welfare. Therefore, research on emotions in investment will expand and enrich prior studies on emotion and will shed light on the influence of emotion on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s on performance. In addition, it evaluates what investors think after gain, how they regulate positive emotions, what types of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used, how each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fluences the intensity of positive emotion, and the differences in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versus negative strategies. In spite of the important role of emotion in economic decision making (Summers and Duxbury 2007),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influence of emotions on investments. Previous studies showed a smaller negative affect after loss results in more superior investment performance (Chu et al. 2011; Salovey 2001). Similarly,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hows that a smaller positive affect leads to better investment performance. Regarding negative emotion regulation, prior studies revealed that cognitive reappraisal (e.g., ``thinking about the negative situatio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reasoning about why the objective negative situation isn`t so bad) and counterfactual thinking (e.g., ``things could have been so much worse and I could have lost more) reduces negative emotions (Gross 2008; Loewenstein 2007), while external attribution after loss, in other words, blaming others for self-failure, is believed to exacerbate negative emotions (Chu et al. 2011). Prior research also showed that even though suppression strategy helps to express less negative emotions, it actually leads to greater negative emotions(Gross 1998, 2008; Gross and John 2003). Meanwhi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ternal attribution (i.e., ascribing one`s success to their own ability) and external attribution (i.e., ascribing the gain to other external market situation or good luck) increase the intensity of positive emotions, while counterfactual thinking (i.e., thinking that I should have greater gain) and suppression strategy reduce the intensity of positive emotions. However, reappraisal strategy in gain did not significantly lessen positive emotions. Gross and John (2003) demonstrated that individuals who habitually use the reappraisal strategy in real life experience greater positive emotions and less negative emotions compared with individuals who rarely use reappraisal. Judging from this, we can infer that since reappraisal is the cognitive tendency to think positively in any situation, it reduces negative emotion but does not lessen positive emotion even though it encourages thinking objectively after gain. Counterfactual thinking was identified as the regulation strategy to reduce not only negative emotions, but also positive emotions. On the other hand, suppression strategy reduce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even though it proved not to effectively lesse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Consequently, investors need to avoid attributing the success to one`s capability after gain, make an effort for the next decision with the thought that he/she should have greater gain, and control positive feelings in order to protect the self from positive emotional whims, thus leading to more reasonable decision making.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e discovery of the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 on performance in investment. With this, the study expanded the prior research on conditional hedonism, which implies that if a performance goal overcomes a short-term hedonistic goal, the former may be preferred (e.g., Cohen and Andrade 2004). Furthermore, this study newly presented the types of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what kind of strategies among them can effectively reduce positive emotion in the investment area. The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Marketers in the financial service area must educate investors to control emotions even after gain, since successful gain regulation can boost investment performance. Prior studies demonstrated that encouraging participants to scrutinize the relevance of emotion used in decision making or to attribute their present feelings to judgment-irrelevant situational factors attenuate the impact of emotions on judgment and choice (e.g., Keltner et al. 1993; Lerner and Tetlock 1999; Schwarz and Clore 1983). Managers in the field should encourage investors to realize the impact of emotion and help them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for efficient regulation of emotional whim.

      • KCI등재

        판매원의 관계신념, 부정적 감정 조절전략, 그리고 친소비자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상희 대한경영정보학회 2015 경영과 정보연구 Vol.34 No.5

        본 연구는 판매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판매원의 관계신념 및 감정조절전략을 제시하고자한다. 판매원의 경우 고객과의 상호작용은 그들의 직무이며 원만한 고객관계는 그들의 목표달성과 기업의 성과달성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원만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요소로서 본 연구는 관계신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인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관계신념을 가지고 있는가하는 것은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측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판매원이 가진 관계신념에 따라 고객관계의 질, 경험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이러한 관계신념은 판매원이 고객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 조절전략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판매원이 어떠한 조절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가에 따라 판매원의 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판매원의 관계신념, 감정조절전략, 그리고 친소비자행동의 관계를 통해 고객과 판매원의 관계의 질을 증대시키고 이과정에서 판매원의 성과극대화 및 상황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판매원의 관계신념이 부정적 감정 조절전략과 친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부정적 감정 조절전략은 친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관계신념이 높을수록 능동적 조절전략, 지지추구조절전략을 이용하여 부정적 감정을 조절할 가능성이 높고, 통제관계신념이 높을수록 회피/ 분산 조절전략을 이용하여 부정적 감정을 조절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밀관계신념은 친소비자행동을 증가시키지만 통제관계신념은 친소비자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감정 조절전략중 능동적, 지지추구조절전략은 친소비자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피/분산조절전략은 친소비자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판매원의 관계신념과 부정적 감정 조절전략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으며 판매원 선발 및 교육에 있어서의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Unlike the existing researches related to salespersons, this study intends to place the focus on salesperso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s an element affecting their selling behavior. This is because employe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is very likely to affect their devotion and commitment to relationship with customers and long-term production by a company. In particular, salespersons are likely to get a feeling of fatigue or loss, or make a cynical or cold response to customers because of frequent interaction with them, and to show emotional indifference in an attempt to keep their distance from customers. But the likelihood can vary depending on salespersons' ow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in particular, the occurrence of these phenomena is very likely to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relationship belief in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field of psychology, under way are researches related to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o maximize personal performance and enhance situational adaptability during this process; it is a personal relationship belief that is recently mentioned as such a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For salespersons having frequent interaction with customers, particularly, relationship belief can be a very important element in forming relations with customers. So this study aims at determining how salespersons' relationship belief affects nega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rosocial behavior to customer. As a result, salespersons' relationship belief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their nega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rosocial behavior to customer. Nega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Salespersons with intimate relationship belief try to use active regulation, support-seeking regulation and salespersons with controlling relationship belief try to use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Intimate relationship belief was found to have more prosocial behavior, controlling relationship belief was found to have less prosocial behavior to customer. salespersons' nega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their prosocial behavior to customer. Active, support-seeking influence prosocial behavior to customer positively,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influence prosocial behavior to customer negatively.

      • KCI등재

        초기성인기의 감정표현 불능 성향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 효과

        황혜진,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4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감정표현불능증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30세 이하의 성인 327명을 대상으로 감정표현불능증 척도 개정판(TAS-20), 자해 기능 평가지(FASM),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감정표현불능증과 비자살적 자해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상호작용 효과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단순 기울기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표현불능증과 자해 빈도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감정표현불능증, 자해 빈도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감정표현불능증이 비자살적 자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표현불능증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exithymia and non-suicidal self-injury. To achieve this, 327 adults completed a survey which included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exithymia and non-suicidal self-injury. Also, a simple slope 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exithymia and non-suicidal self-injury, but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o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econd, alexithymia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non-suicidal self-injury. Thir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exithymia and non-suicidal self-injur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의 정서통제가 감정노동자의 개인안녕에 미치는 영향

        강순희,정태욱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motion control of an organization on emotional workers's individual well-being. For this, we used a sequential mixed research method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As a first step, we analyzed emotional workers' occupational behaviors through behavioral event interview by selecting 25 workers who were dealing with lots of customers, frequently contacting with diverse people, handling unpleasant or angry people, quite often dealing with physically aggressive persons, and experiencing many conflicts with external customers. At the second step,we analyzed how the emotion control of an organization influences emotional worker's individual well-being depending on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basis of the variables explored in the first step. For this quantitative research, we surveyed 689 workers who were working at tne bank and insurance companies, hotels, and flight attendants, nurses, career counsellors, police officers, prison officers, sales persons, etc. Through the first qualitative study, customer priority, task variety, personnel evaluation, and task autonomy were chosen as the sub-variable components of the emotion control, which were the antecedent variables of emotional labor. And both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were determined a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customer satisfaction, job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were determined as the outcome variables of individual well-being. In the next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as follows: ➀ job autonomy positively affected job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but negatively affected job burnout, ➁ personnel evalu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of job burnout and customer satisfaction, bu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③ the effect of customer priority on both of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was positive, and ④ task variety significantly influenced customer satisfaction positively.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that is to say,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individual well-being. That was ➀ that job burnou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urface acting and ➁ that job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eep acting. This study implies that the effort to overcome the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has a strong tendency to disrespectindividual emotions and to recognize the emotions on only personal dimension is necessary. Moreover, the findingsprovide that job autonomy should be enlarged, and personnel management should be managed by consideringindividual’s well-being. Also, job training and career counselling programs for emotional workers’ emotional regulationstrategy to increase the individual well-being should be provided. 본 연구는 자신의 감정을 노동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감정노동자에 대한 조직의 정서통제가 개인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혼합한 순차적 혼합연구모형을 사용하였다. 먼저 대표적인 감정노동자인 은행원, 호텔리어, 항공승무원, 간호사, 경찰, 교정직 종사자 25명을 선정하여 행동사건 면접법으로 감정노동자의 직업행동을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여기에서 탐색된 변인을 바탕으로 이들 직종의 6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조직의 정서통제가 감정노동자의 개인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여기에서 개인의 정서조절책략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도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를 통하여 정서통제의 하위변인으로서 고객우선, 직무다양, 인사평가, 직무자율, 정서조절 책략으로는 표면행동과 내면행동, 그리고 개인안녕으로는 직무소진, 고객만족, 직무만족, 심리적 분리를 하위변인으로 도출하였다. 이들을 가지고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➀ 직무자율은 직무만족, 고객만족, 심리적 분리에는 정(+)의 영향을, 직무소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➁ 인사평가는 직무소진과 고객만족에는 정(+)의 영향을, 직무만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③ 고객우선은 직무만족과 심리적 분리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④ 직무다양은 고객만족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을 하위변인으로 한 정서조절책략의 매개효과도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의 감정을 개인적인 차원으로만 제한하려는 조직문화를 극복하는 노력이 강화되어야 하는데, 특히 직무자율을 확충하고 개인의 안녕을 고려한 인사평가가 필요하며, 개인의 정서조절책략이 안녕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직무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등이 체계화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감정조절 유능성과 경력만족의 관계에서 다차원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Lanlan Kong,김윤정,마지광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5

        A few studies have suggested several factors that affect people's positive attitude toward career, namely, career satisfaction. These studies have focused mainly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personality, disposition. but have not taken into account personal competence, which can also explain individual differenc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factor of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explore the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on career satisfaction, and the mediation of multiple self-leader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A quantitative survey methodology was utilized to collect data on 299 employees who have worked in the tourism service industry at Jeju. SPSS macro was used to analyze multipl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satisfaction and multiple self-leaderships (behavior-focused strategy, natural reward strategy,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Seco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self-leaderships and career satisfaction, only natural reward strateg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satisfaction. Third, natural reward strategy ha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career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how the significant role of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on career satisfaction, and the importance of intrinsic reward in improving career satisfaction. 일생동안 축적된 경력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인 경력만족은 다양한 요인들에 설명되고 있다. 기존연구에서 경력만족은 성격 및 성향과 같은 개인 특성에서 그 원인을 규명하고 있으나, 개인 차이를 반영하는 유능성으로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정유능성의 요소인 감정조절 유능성의 다차원 셀프리더십에 대한 영향력, 감정조절 유능성과 다차원 셀프리더십의 경력만족에 대한 역할, 그리고 감정조절 유능성과 경력만족의 관계에서 다차원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제주지역에 소재하는 관광 서비스 업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99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과정은 SPSS macro를 활용하여 다중 매개효과를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감정조절 유능성은 경력만족과 다차원 셀프리더십(행동지향전략, 자연보상전략, 건설적사고전략)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확인되었고, 다차원 셀프리더십 가운데 자연보상전략만이 경력만족의 원인으로 규명되었다. 감정조절 유능성과 경력만족의 관계에서 다차원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는 자연보상전략을 통한 경로만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력만족에 있어 개인 차이를 반영하는 감정조절 유능성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이며, 경력만족을 위한 자기관리활동에 있어 내재적 보상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감정조절전략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혜원,김효선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감정조절전략(표면행위, 내면행위)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검증하고, 직무소진(감정소진, 탈인격화)이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가에 대해규명해 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감정노동 요구 정도가 높은 주요 직군인 영업 판매원, 콜센터, 간호사, 은행원과 같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이들 중 약 470여부가 회수되었으며,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이 이뤄진 24부를 제외하고, 총 446부의 유효한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 다. 분석 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자료 결측값은 EM 방식을 통해 처리하였고, 부스트랩핑을 이용하여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연구 결과, 근로자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선택하게 되는 감정조절전략의 유형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음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감정조절전략의 한 유형인 내면행위는 조직시민행동 을 증가시키는 반면 표면행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표면행위는 감정소진 및 탈인격화를 증가시키지만, 내면 행위는 탈인격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한 직무소진(감정소진 및 탈인격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탈인격화는 표면행위와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내면행위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면행위는 개인의 탈인격화된 행동을 줄임으로써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표면행위는 탈인격화된 행동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직시민행동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감정소진은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을 매개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경영 관리적 시사점 및 한계점은 논의에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surface acting, deep acting) have a differential effect on employee’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organizational citizen- ship behavior. To empirically test the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470 respondents who interacted with customers in the service sector. In particular, we examined two aspects of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To test the hypotheses,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us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increases burnout whereas deep acting decreases burnout. Also, it was confirmed that surface acting decrea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reas deep acting increa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surface acting, deep act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been supported, although only through depersonalization aspect ofburnout. While surface acting increased depersonalization, resulting in reducedo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eep acting decreased depersonalization whichresulted in increas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trary to prior study, the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투자 행동에서의 성별효과 연구: 남,여 투자자의 감정반응 및 감정조절을 중심으로

        임미자 ( Mee Ja Im ),주우진 ( Wu Jin Chu ),이은주 ( Eun Ju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0 소비자학연구 Vol.21 No.4

        투자의사결정(financial decision making)은 위험지각이 크면서 소비자 재무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비자 연구에서 중요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금융서비스 영역에서 투자 상품 소비자의 성별 차이는 전문성 및 경험, 소득, 교육수준 등의 데모 변수와 함께 투자자들의 투자 행동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남여투자자의 감정적, 심리적 기제를 다룬 투자 행동에서의 성별 효과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남여투자자가 손익의 투자 성과에 대한 감정 반응 및 손실의 부정적 감정조절전략에서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였다. Kermer et al.(2006)의 연구방법론을 적용한 모의투자 실험을 실시하였고, 통계분석 시 소득과 투자관련 전문성을 통제한 후 감정조절 시 남·여 성별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투자자들은 남성투자자에 비해 손익의 감정을 더 강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실에 대한 실망과 고통을 느끼기 전에 부정적 감정 반응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면 투자 성과에 긍정 영향을 얻을 수 있다. 감정조절 이론에 의하면 인지적재평가 전략이 손실 감정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다. 부정적 손실 감정의 강도는 외부귀인 경향이 클수록, 인지적 재평가 경향이 낮을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실 감정을 조절하는 감정조절 전락에서 여성투자자는 전반적으로 남성투자자보다 시장상황 및 타인에 대한 외부 귀인 경향이 더 크고 인지적 재평가 작업에는 남성보다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여성투자자는 일반적으로 남성투자자보다 위험 추구성향이 낮으며, 과잉확신의 오류가 적다. 그리고 위험추구 및 과잉확신은 투자 성과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이 선행 연구의 일반적인 결론이다. 여성투자자가 감정적 안정성 (stability)을 획득할 경우 그들의 투자전망은 매우 밝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성투자자 중에서도 외부귀인 경향이 큰 그룹과 작은 그룹 간에는 부정적 감정 반응의 강도가 유의하게 달랐는데, 부정적인 손실 감정을 줄일 수 있는 경우에는 투자성과가 개선되므로 여성 투자자의 경우 외부귀인을 줄이고 인지적 재평가를 통해 감정조절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sex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in stock investment behavior. The intensity of emotional response which male and female consumers experience while they participate in stock investment may be different, as previous behavioral and neuroscience research has described women as the more emotional sex.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meaningful sex differences in the intensity of emotions and the cognitive strategies that are used to interpret and reduce the loss emotions after consumers experience loss from stock investment. We closely followed Kermer et al.`s(2006) experimental methodology and conducted a mock stock-picking experiment involving real investors by measuring their emotional experiences during stock investment. A total of 164 consumers(male 81 female 83) who had actually bought and sold stock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We administered a separate survey with the 164 participants wherein we examined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ir past investment. We found that female investors experienced stronger emotions after gain and loss than did male investors. Previous literature showed that less negative emotion leads to better performance (e.g., Buehler and McFarland 2001; Cohen and Andrade 2004; Salovey 2001; Shiv et al. 2005). Similarly, smaller loss affect also led to better investment performance in the stock investment area. The Emotion Regulation Theory has identified cognitive reappraisal as the best strategy to control loss affect(Gross 2008; Loewenstein 2007). On the other hand, external attribution, which is blaming others for self-failure, is believed to exacerbate negative emotions and increase helplessness. We found that female investors in general tended to attribute their losses to external sources such as market situation and analysts, to a greater extent than did male investors. This could be a reason why female investors were less successful in controlling their rallying emotions which they face during investment losses. Male investors were more likely to adopt cognitive reappraisal strategy in regulating the loss emotions and this strategy helped them to achieve emotional stability. According to prior research, female investors are generally less risk-taking(e.g., Barsky. Juster, Kimball, and Shapiro 1997; Jianakoplos and Bernasek 1998; Powell and Ansic 1997) and less overconfident (e.g., Barber and Odean 2001; Prince 1993) than male investors. Risk-taking behavior and overconfidence bias are known to have negative impact to investment performance(e.g., Barber and Odean 2000; March and Shapira 1987; Odean 1999). Therefore, we could expect that, if female investors were to achieve emotional stability, they would have a brighter prospect in the investment performance.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Marketers in the financial service area must educate investors to control emotions, particularly after loss since successful loss regulation can boost investment performance. Managers should understand that male and female investors could go through different emotional experiences after loss; and educate female investors to practice increased emotional stability and self-accountability for better investment performance.

      • KCI등재

        어머니의 자기성찰,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미치는 영향: 다중매개효과 검증

        오지현 ( Oh Ji Hyun ),김지윤 ( Kim Ji You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7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어머니의 자기성찰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A시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 288쌍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어머니의 자기성찰척도(An & Oh, 2013),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Oh, 2013), 아동의 자기성찰지능 척도(Kwon, 2008),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 척도(Won, 2015)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자기성찰 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감정코칭 반응은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과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 또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자기성찰 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을 통해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자기성찰수준은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을 매개로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감정코칭 반응과 아동의 자기성찰지능이 중요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기성찰수준과 감정코칭 반응, 아동의 자기성찰 지능이 아동의 정서조절 방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후기 아동기의 정서조절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요인과 아동의 요인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path mediated effects of mother’s self reflection to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hildren (from grades 5-6) and their mothe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the mother’s self reflection scale(An & Oh, 2013), the emotion-coaching scale(Oh, 2013), the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scale(Kwon, 2008) and the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scale(Won, 2015).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 had a direct influence on levels of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Mother’s emotional co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Second,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emotion coaching reactions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ere importance mediators. Our results suggests that there are distinct pathways from a mother’s self reflection level to child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the mother’s emotion coaching and chil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 consolidated understanding of how mother and child have an influence on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within late childhood.

      • KCI등재

        직업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감정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윤주,심지현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0 직업과 자격 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job involve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f career counselors, who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occupational groups with high emotional labor intensities.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whether emotional strategies play a mediating role on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job commitment on career counselors. For this purpose, 270 career counselors working in government agencies, municipalities, public institut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ivate trus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for one month. The data of27 respondents were excluded as their basic data were not available. Finally, the data of 243 respon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AMOS V26 and SPSS statistics V22. As a resul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emotional regulation. In addition,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re more effective than negative emotions. Finally, it was found that career counselors were more committed to their job when they were less stressed. 본 연구는 감정노동 강도가 높은 직업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 감정조절전략의 3가지 변수간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특히 감정노동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높은 진로상담사의 업무수행에서 감정조절전략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정부부처 및 교육기관, 민간위탁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서 근무하는 직업상담사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최종 24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는 감정조절전략과 직무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본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질 경우, 감정조절전략 중 표면행동은 강화되고, 직무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스트레스가 완화되면 감정조절전략 중 내면행동이 강화되면서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업상담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이들이 감정조절전략으로 내면행동을 선택하도록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지원제도와 직업상담의 가치와 내담자의 고통을 공감할 수 있는 추가적인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