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콜릿 패키지 디자인에서 시각적 요인과 감성의 관계성 고찰

        오지은,박규원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1

        기술과 문화 발전으로 현대 소비사회에서 상품과 서비스만으로는 소비자를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의사를 결정하기까지 타제품과 서비스에 관련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분석,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요인은 최종 제품선택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소비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은 선택에 미치는 요인분석을 통한 소비자 통찰이 필요하다. 생산에서 유통, 소비까지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제품의 기능과 기술이 주도하던 환경에서 감성에 의한 소비자의 주도시대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요인 중 감성은 인간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심리작용으로서 제품과 소비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강력한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급 초콜릿패키지의 시각적 효과로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패키지디자인의 요인을 탐구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감성의 기본개념과 감성디자인의 요소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시장현황과 국내, 국외 초콜릿 패키지 디자인 현황을 조사, 분석, 특징을 파악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현대 소비자의 감성욕구를 충족시키는 패키지디자인 요인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가 고급초콜릿 구입 시 중요시 되는 것은 패키지 디자인이 가장 큰 요인이며 맛, 브랜드인지도, 품질, 가격 순 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초콜릿 패키지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대중적이며, 감각적이고 섬세하긴 하나 고급스럽거나 감성적이지 않다는 결과가 나왔다. 반면에 감성요소가 풍부한 국외 초콜릿 패키지는 대중적이지는 못하지만 매우 고급스럽고 섬세하며, 대부분의 패키지가 감각적이고 감성적이라고 나타났다. 초콜릿 구매 시 맛과 경제적 부분보다 감성적으로 판단 할 수 있는 요인이 크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국내 패키지 디자인의 디자인은 개선점이 큰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이다. 본 연구는 충분한 소비자조사의 숫자는 아니라 사료된다. 향후 충분한 설문과 세심한 조사가 지속되어 고급 초콜릿에서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우수한 패키지디자인이 만들어지고 국내 초콜릿 브랜드의 국제적 경쟁력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Due to the rapid technology and culture, in the present consumer market, it is hard to maintain comsumer loyalty only with products. Until a consumer makes decision to purchase the product, one analyzes and judges various factors about the other product. For these factors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 final product choice, a company, aiming to sell its product in the consumer market, are needed to have concise analysis of these factors and through insight of its consumer. Consumer-oriented era, where consumer's emotion plays a greater role, took the place of brand-oriented era, where companies targeted almost all consumers in the market during the production and marke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market trans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of the product can be the most powerful factor of consumer choice because [emotion] is psychological process which happens from the inside of the human being and also the most basic instinct of the human being. Designing correlational emotion motivates consumer's purchase and emotion as well. The main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package design that stimulates consumers' emotion with visual effect with chocolate package as an example. We are to theoretically analyze fundamental concept of emotion, periodic environment as well as factors of sensitivity design, to investigate present condition of chocolate market and chocolate package design of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The result shows that the factors of chocolate purchase are package design on the top priority and then taste, brand awareness, quality and price in order of importance. Consumer perception of the basic form of chocolate package in Korea market is being popular, sensitive and delicate but not elegant nor emotional. Consumer perception of the overseas chocolate package, of which sensitivity factor is much larger than that of domestic chocolate package, are being not-popular but very elegant and emotional and this perception caused a result of almost all the packages being sensitive and emotional. This proves that consumers considers package design with visual effects more seriously than taste and price. Consumers want chocolate to satisfy their emotional needs with fun and visual factors as well as the taste. The result impalas that finding methods to develop sensitive chocolate packages which represents various information creation, quality, emotional values will be necessary to satisfy consumers' emotional needs in a human-oriented aspect.

      • KCI등재

        감성활용이 오센틱리더십과 변화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윤희(Yoon-hee Kang),김종관(Jong Kwa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본 연구는 감성활용이 오센틱 리더십과 개인의 변화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감성활용은 감성지능의 네가지 하부요인으로 개인의 본인 및 타인의 감성 인지, 감성 이해 감성조절 및 감성활용 능력이며, 최근 많은 연구를 통해 개인의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성과, 효율, 선제적 행동을 증가 시키며, 조직 내 부정적 행동을 감소한다는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감성활용은 감성지능의 하부요인 중 하나로써 동양의 유교적 문화는 타인을 인식하고 함께 협력해서 공존하는 관계지향적 사회적 구조이며 이런 문화에서는 감성활용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연구도 발표되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감성활용 관련 논문은 미습한 수준이다. 오센틱 리더십 선행연구들은 학교 또는 기업체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개선과 변화가 시급한 병원, 간호사 및 의료 환경을 중심으로 실행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런 현상은 최근 태움과 같은 안타까운 사건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인식하는 수간호사의 오센틱 리더십이 개인의 변화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감성 활용의 매개 효과를 통해 살펴 보았으며 SPSS 21.0을 통해 B도시의 두 개의 종합병원에서 300명의 간호사를 상대로 분석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센틱 리더십은 변화적 조직시민행동에 유의의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 네 가지 하부요인 중 자아인식, 관계적 투명성과 내재된 도덕관점 세 가지 관점 모두가 변화적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오센틱 리더십은 감성 활용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네 가지 하부요인 중 세 가지 요인인 자아인식, 관계적 투명성과 내재된 도덕관점 모두 유의하다고 나타났다. 오센틱리더십의 하부 요인인 균형적 정보처리 요인만 변화적 조직시민행동과 감성 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감성 활용은 오센틱 리더십과 변화적 조직시민행동을 부분 매개한다는 결과가 나옴으로 향 후 감성 활용과 오센틱 리더십 훈련 및 교육을 통해 직무만족과 조직효율성을 높이고 선제적 행동요인인 변화적 조직시민행동도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Emotional Intelligence is the ability to recognize, facilitate, understand and control and utilize one s and other s emotions and has been researched extensively in last 20 years. Of the four domains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Regulation, the ability for one to manage and modify one s emotional reactions in order to achieve goal-directed outcomes, with its influence on authentic leadership and change 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researched by surveying 300 nurses at large metropolitan hospitals in B city in South Korea. Previous research demonstrated in relationship based and long term oriented cultures, such as Korea, Japan and Chinese cultures, ability to regulate emotions is critical component in successful social dynamics yet research the topic is minimal in Korea. Authentic leadership is a leader displaying sincerity and authentic behavior and through such, trust is gained in followers and collaboration is formed. Change 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a proactive behavior where the individual performs behaviors not included in his job functions voluntarily. The results indicate the three out of four sub domains of authentic leadership influenced positively to change 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th the exception of balanced information processing. Moreover, Emotional 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change 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uch results validated previous studies that indicated authentic leadership as possible antecedents of individual proactive behaviors and by examining authentic leadership and change 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th emotional regulation as a mediator proved possibility as another potential antecedent of change 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hospital setting.

      • KCI등재

        감성 소재․부품 개발을 위한 감성공학적 품질평가 프레임 워크 및 활용 –필름지용 잉크 소재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호,신종규,류효연,예진해,김선아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2

        Background: In recent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the era of emotional quality’ has come to take into account the emotional sensibility of users beyond functions or performance of a product. If a design starts to consider sensibility of the users from the level of materials and parts that comprise a complete product, it will enhance the affective quality of the finished product. Thus, it is time for the design techniques to reflect users' emotional requirements for the product and the market trend at the material and component level. Frameworks for evaluating the affective quality of materials and parts also need to be established. Methods: This study proposes human sensibility ergonomic approach as a framework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emotional design of materials and parts. This framework that utilizes semantic differentiation, facto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s is applied on developing emotionally appealing ink materials for interior film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nsumer's sensibility for the materials under the test consists of three axes : originality, oneness and stability. The results show that assessed affective quality alongside with these axes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A few design parameters that caused the difference in the affective quality are identified by through discussions with design experts. Conclusion: A framework has been proposed to evaluate the affective quality of materials and parts, and its validity is checked by applying it to the process of ink materials design. The framework is supposed to apply in the assessment of more diverse emotional materials and parts. 연구배경: 현재 제품 개발과정에서 기능이나 성능을 뛰어 넘어 사용자의 감성까지 고려하는 감성품질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완제품을 구성하는 하위 소재나 부품 단위에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을 반영한 설계가 이루어진다면 완제품의 감성품질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감성적 요구사항 및 시장의 트렌드를 완제품의 하위 단위인 소재와 부품수준에서 반영하기 위한 설계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며 설계안의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안 역시 정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소재 및 부품의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의미미분법, 요인분석, 다차원 척도법과 같은 통계적 기법들을 활용한 감성공학적 품질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색상과 인쇄방식이 서로 다른 3종의 필름지용 잉크소재에 대한 감성품질을 평가하고 설계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평가대상인 3종의 잉크소재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이 독창성, 일체감, 안정감이라는 3개의 축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재의 설계특성에 따라 각 감성축을 기준으로 한 품질평가 결과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문가 미팅을 통해 소재의 감성품질의 차이를 유발한 설계요소를 정의하고 향후 보다 향상된 감성품질을 이끌어내기 위한 설계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소재 및 부품 단위의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내장용 필름재의 잉크소재에 대한 평가과정에 적용하여 그 활용도를 확인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은 보다 다양한 감성 소재 및 부품의 감성품질 평가과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교 원예교육과 감성지능교육 적합성에 관한 교사 인식

        곽혜란(Kwack, Hye-ran),박혜정(Park, Hye-chu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원예경험을 통한 감성지능교육의 접근 방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실과 및 학교원예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감성지능 교육과의 관계를 추론하였으며 교사들 에게 원예교육을 통한 감성지능교육 도입에 관한 인식을 설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학교 원예교육을 통한 감성지능교육의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실과 교과를 통하여 감성지능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한 학교 원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인 감성지능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7차부터 2015 년 개정교육과정까지의 실과 내 원예교육목표가 감성지능교육을 달성할 수 있는 목표로 설정 되어 있다고 분석 되었으나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이후에는 오히려 농업영역 활용방법이나 기술 등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감성지능 요소가 줄어들고 있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원예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감성 지능을 높일 수 있도록 감성지능교육 요소가 내재된 원예 교육목표 설정이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설문 분석결과 교사들은 감성지능교육에 학교 원예교육이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원예교육은 감성지능교육에 적합하며, 학교 원예교육을 통하여 감성지능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으며 학교 원예교육을 통한 감성지능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은 학생과 식물과의 상호작용의 기회를 높이는 것으로 학교에 교재원이나 학교 텃밭을 조성하여 많은 시간 자연 속에서 생활하며 자연을 접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result of a study that it is personality rather than IQ that determines the success and happiness of human beings tells ; Personality is to be emphasized. It is Emotional intelligence that can explain men s personality. Thus, in this study, an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approach was sought through the horticultural experiences which lead students to nature. The contents of the paper are threefold; The process of horticultural education at the school i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materials, the relations between horticultural educ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is analyzed, and a survey is conducted with teachers who teaches students at each school about their recognition on the introduc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the horticultural education. Firstl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is effectively performed through the course of practicum, the necessity of the continuous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developing horticultural programs at the schools for advancing students s Emotional intelligence was suggested. Secondly, it was analyzed that the goal of the hor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Seventh Curriculum to the 2007 Amended Curriculum was set as the fulfill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However, during the period of the 2009 Amended Curriculum, the factors concerning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were reduced due to the tendency of concentrating on practical techniques and methods of horticulture.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goal of horticultural education containing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should be reset in order to advanc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higher through horticultural activities. Thirdly,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that teachers consider the horticultural education at the schools suitable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They think that the education is suitable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conducted through it. The effective method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the horticultural education is to make students have many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plants as possible as they can. Therefore, such an environment that a school provides a garden for education or a small vegetable garden should be made, that students may contact with nature and live in nature for as many hours as they can.

      • KCI등재

        감성적 경험 중심의 디자인 분석과 활용 전략 연구

        문은아(Eun A M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오늘날 감성의 요소는 소비환경에서 중요한 표현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어, 제품을 개발하는 디자인 과정에서도 다양한 감성적 경험요소를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유형의 의미를 핵심적인 디자인 요소로 제안하고, 주방용 도자 브랜드 제품들을 감성적 경험 중심의 디자인 요소로 분석함으로써 도자 제품개발 과정에 효율적으로 활용 할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주방용 도자기 회사 및 디자이너 스튜디오 관련 인터넷사이트의 정보와,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출판물들. 언론매체의 기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하여 기초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내용의 고찰과 분석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범위와 내용에서는 먼저 생활환경과 소비문화를 근거로 주방용 도자 산업의 변화요인을 파악하고 감성적 경험중심의 디자인 개념과 감성 제품의 발단단계를 다룸으로써 외형의 미학적 감성요소 중심에서 무형의 의미 전달이 중요한 감성요소로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감성적 경험 중심의 디자인요소를 무형화의 의미가치와 유형화의 표현 도구로 나누어 도자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함에 있어, 무형의 의미는 개인적 의미, 사회적 의미, 문화적 의미의 세 가지 차원의 감성유형으로 분류하고 세부요소로 감성을 유발하는 매개체, 감성코드, 감성언어의 측면과 디자인의 유형화 도구로 미학적 감각의 표현 요소와 기능으로 구체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세 가지 감성 유형의 의미가 추구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면,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 방향은 사회 문화적인 맥락에서 능동적인 시장 조사가 수반되어야 하고, 제품의 핵심적인 의미 철학의 적용은 일관성과 동시에 다양성이 공존해야 한다. 또한 혁신적인 디자인기획의 가능성은 개방된 디자인 환경과 사고에서 비롯될 수 있으며, 가치 있는 제품의 의미창출은 협력과 협업으로 가능 하다. 이러한 방향과 환경 속에서 발견된 감성적의미는 제품에 가장 핵심적이고 강력한 도구로써 브랜드의 정체성과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Emotional factors play a crucial expressive role in contemporary consumer environments. The product design process therefore inevitably involves strategies to evoke various aspects of emotional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implications of specific types of emotion as key design elements, and presented guidelines for their efficient application in the ceramic product development process by analyzing ceramic kitchenware brand products as emotional experience-centered design element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a basic data collection based on relevant databases, Internet searches on ceramic product manufacturers and studios, as well as reference literature such as published dissertations, books, and media coverage, followed by a review and analysis of the content. The scope and conten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ing factors influencing the ceramic kitchenware industry were examined in light of living environments and consumer culture. The changing trends were subsequently analyzed with specific focus on the design concept and product development stages associated with emotional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volution of design-related emotional elements of products demonstrated a shift from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aesthetic interest to the conveyance of invisible connotative values. Based on this finding, design elements focusing on emotional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immaterial connotative values and material expression tools. These categories were then applied to the case studies on ceramic products. Finally, product analyses were performed under the classification of the immaterial values into three types of emotion, namely individual, social, and cultural values. For analytical purposes, each category was sub-divided into emotion-inducing media, emotional codes, and emotional language. The design elements were concretized as the expressive and functional elements of aesthetic sensitivity to analyze the materializing tool. Product design based on the values related to the significance associated with the three types of emotion proposed in this study should take the following design directions into consideration. An active socio-cultural market survey should be conducted, and the semantic philosophy informing the essence of the product should include both consistency and diversity. In addition, a liberal design environment and mindset can stimulate innovative design planning, and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make innovative meaning creation related to a valuable product possible. The emotion-laden values associated with particular products that are discovered following these guidelines could be used as essential and potent tools to enhance brand identity and value.

      • KCI등재

        감성지능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고객응대 내면행동의 매개역할

        윤석범,이종건,윤재숙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EI), perspective taking deep acting (PTDA), and job performance. We analyz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effect of self - 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and use of emotion.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mediating role of perspective taking deep acting, which is one of the fiv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in relation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The study collected 124 employees at the ban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positive (+) influence on perspective taking deep acting. Second, among the four dimens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 - 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and use of emotion have positive (+) effects on job performance, but regulation of emotion is not significant. Third, perspective taking deep acting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elf - emotion appraisal and use of emotion. On the other’s emotion appraisal, there was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감성지능(EI), 고객응대 내면행동,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감성지능을 자기감성이해와타인감성이해, 감성조절, 그리고 감성활용의 세부변수로 구분하여 조직 내 고객접점에 있는 구성원들의 직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감성지능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다섯가지 차원 중 긍정적 요인으로 볼 수 있는 고객응대 내면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은행의고객접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지능의세부변수인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조절 그리고 감성 활용은 고객응대 내면행동에 각각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성지능의 네 가지 세부변수 중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그리고 감성활용은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조절은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고객응대 내면행동은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응대 내면행동은 자기감성이해와 감성활용이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각각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감성이해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객의 접점에서 근무하는 조직원들이 느끼는 감정노동의 세부변수 중 긍정적 관점인 고객응대 내면행동의 변수를통해 조직유효성 중 하나인 직무성과를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 모색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자신의 감정을 고객의 감성과 동화시켜 긍정적 행동을 하는 고객응대 내면행동이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그리고 감성활용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硏究論文) : 호텔구성원의 감성리더십에 대한 인식이 조직동일시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상우 ( Sang Woo Lee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5 Tourism Research Vol.40 No.1

        정보통신을 비롯한 기술적 특성이 호텔의 핵심역량으로 주목되고 있는 현실에서 인간성 위주의 감성경영은 경쟁기업과 차별화할 수 있는 대안이 되었다. 고객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호텔에서 구성원의 감성적 역량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감성리더십은 호텔의 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호텔을 대상으로 한 감성리더십 연구는 미흡하다. 감성리더십 관련 연구의 대부분이 조직의 전반적 성과를 중심으로 조직 전체의 수준의 개괄적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성리더십과 구성원의 행동과의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검증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감성리더십과 조직동일시, 조직시민행동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감성리더십은 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자기인식능력으로 측정하였으며, 조직동일시는 단일 차원으로 조직시민행동은 이타성과 양심성으로 측정하였다. 감성리더십과 조직동일시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성리더십의 타인관계능력과 자기관리능력은 조직동일시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감성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성리더십의 타인관계능력과 자기관리능력은 조직시민행동의 이타성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조직동일시와 조직시민행동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조직동일시는 조직시민행동의 이타성, 양심성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호텔의 서비스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성원의 감성적 능력을 강조하였고, 이러한 감성적 능력은 리더의 관심과 배려에 기반하여 고객에게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구성원의 감성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더의 역량은 현대의 호텔경영에 있어서 갖추어야 될 필수적 능력이라 판단된다. 정보통신 기술 발전과 함께 호텔의 내외부 시설이 최첨단을 지향하는 현대의 경영 상황에서 리더의 감성적 능력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이다. Technical characteristic inclu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emphasized as the core competence of hotel, accordingly, human oriented emotional management has become the alternative to differentiate from competitors. In hotel companies where interactions with customers are important, emotional leadership which can considerably influence employees`` emotional competence acts as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hotel companie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emotional leadership in hotel companies have largely focused on the whole organization level, examining the overall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s`` behavio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altionships among emotional emo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motional leadership consisted of other people relationship ability, self-regulation ability, and self-awareness ability, whil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as single dimens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isted of altruism and conscientiousne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ther people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emotional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econd, other people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emotional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d altruism 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positively influenced altruism and conscientiousnes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current findings highlighted the emotional ability to maximize the achievement of hotel service, showing that emotional ability can be delibered to customers based on leaders`` care and consideration.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bility will increase as IT technology is developed.

      • KCI등재

        감성관리의 개념적 구성요소 간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손호중 대한지방자치학회 2019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관리의 개념적 구성요소 간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밝혀 감성관리의 개념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검토 및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거쳐 AHP 계층구조도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조직관련 연구자 집단, 공기업 종사자, 공무원 집단 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각 단계별 분석결과를 제시하는 과정에서 집단별 인식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학문적 대상으로서의 감성관리와 실제 조직현장에서의 감성관리가 매우 다른 양태를 가질 수 있고, 그 결과 다른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성의 유지와 발전에 주안점을 둘 것인가? 아니면 적극적으로 감성을 창출하고자 하는 노력을 할 것인가는 자신이 처한 입장에 따라 매우 다른 양태를 보여주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감성은 전염되고 확산되는 무형의 자산으로 조직의 성과창출에 긍정적 기여를 하는 조직관리의 대상이다. 역으로 부정적 감성이 확산된 조직은 21섹 무한 경쟁에서 도태될 수 밖에 없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conceptualization of emotional management by clarifying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conceptual elements of emotional 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reated AHP hierarchical diagram through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brainstorming process. The results of AHP analysis were presented by group of organizational researchers, public employees, and public officials. This study can confirm the recognition difference by group in the process of presenting the results of each step analysis.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shows that emotional management as an academic object and emotional management in an actual organizational site can b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s a result, they can have different priorities and importance. Will you focus on maintaining and developing emo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 emotions of the individual are influenced. Emotion is a contagious intangible asset that is an object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that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organizations that have spread negative emotions are forced to be excluded from the competition.

      • KCI등재

        디지털 감성시대와 감성적 스토리텔링 광고

        이명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1

        디지털 시대로의 진입은 사회전반과 라이프 스타일에 다양한 영향을 주고 현재에도 진행형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의 소비 형태와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를 가져 왔다. 이러한 변혁은 디자인 분야에서도 나타난다. 그 한 예로써 광고 분야를 들 수 있는 데,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광고의 영역이 확장되고 형식면에서도 다양한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국내에서 집행되는 광고는 감성적인 소구방식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디지로고적 감성을 이용한 감성광고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이 감성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다섯 가지 감각(五感)을 통해 주변의 정보를 체험하고 이는 통해서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기업은 소비자의 구매활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인간의 감성을 이용한 마케팅을 전개한다. 이는 하나의 트렌드이며, 디지털 시대 소비자 소비행태의 변화로 인해 다수의 기업들이 감성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감성 마케팅은 소비자들의 소비행태 변화에서 나타난 것이다. 현재 마케팅 분야의 브랜딩 전략으로 떠오르는 것이 감성시대의 스토리텔링 전략이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브랜딩 전략은 현재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이제는 마케팅의 중요한 요소로써 자리 잡았다. 이에 디지털 시대의 트렌드와 감성광고,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대해 연구하려 한다. 본 연구의 전개방식은 먼저 관련 서적과 선행연구 논문들을 통해 디지털 시대의 디바이스 진화와 소비 형태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후기 정보화 사회의 감성 디자인과 트렌드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대해서 광고 분야의 사례조사를 통해 알아본다. 그리고 그 적용된 사례들을 바탕으로 감성광고의 사회적 역할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중요한 것은 ‘진정성’을 바탕으로 하는 기업의 태도이다. 감성적 스토리텔링을 통한 감성광고가 성공하였더라도 진정성이 결여되었다면, 후기 정보화 사회에서 그 기업과 광고는 도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소비자와 기업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 형성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디지털 시대에서 감성적 광고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문화 콘텐츠 발굴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 Because entry into the digital era, to give effect to the various lifestyles and society as a whole is evolving into progressive even today. This has led to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and consumer communication methods. This transformation is represented in the design. As one example, to that of the advertising, the area of the extensions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een rapidly progressing and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surface. Especially now that are enforceable in the domestic advertising it can appear a lot of emotional appeals system. In addition, it is expanding the role of emotional sensitivity in digital advertising with spots. This sensibility is the process of forming an image through which information and experience around through the five senses that humans possess. And enterprises to deploy the marketing with human emotions to induce the activity of a consumer purchase. This is a trend, the digital era a number of companies due to changes in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and take advantage of the emotional marketing. Thus, emotional marketing is seen in changes in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Rising to a branding strategy for the current marketing is storytelling strategy of emotional age. Branding strategy utilizing storytelling has been deployed in a variety of ways, even now, now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element of marketing. In the digital era, trends and emotional advertising, and he tries to study for storytelling. This study developed method is to first check for device evolu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in the digital age through publications and previous research papers, and Based on this, through a case study of advertising for the late information society of the emotional design and trends and storytelling it is evaluated. And based on those applied in practice and to discuss improvement of social roles and emotional advertising.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is the attitude of the company on the basis of authenticity. If your ad even though emotions through emotional storytelling lacks authenticity success, because those businesses with advertising in the late information society is not meant to be culled. It is therefore urgent to form a social atmosphere than what is necessary to pursue the interests of consumers and business jointly. Along with the story it requires excava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database construction for emotional storytelling of advertising to meet the needs of the emotional needs of consumers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미용실 소비자의 감성지능이 감성영역별 감성서비스 지각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형숙 ( Lee Hyeong-sook ),김성남 ( Kim Seong-na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8 No.-

        최근 국내 소비자들은 상품의 기능이나 성능보다는 정신적, 심리적 만족을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급속히 이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실 소비자의 감성지능이 감성영역별 감성서비스 지각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 조사대상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연구한다. 둘째, 조사대상의 미용실 이용특성을 연구한다. 셋째, 소비자의 감성지능이 감성영역별 감성서비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넷째, 소비자의 감성지능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다섯째, 소비자의 감성영역별 감성서비스 지각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통계처리를 위해 SPSS 16.0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연구문제에 맞게 순차적으로 적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감성지능이 감성영역별 감성서비스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소비자의 감성지능 중 촉각서비스가 3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객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미용실의 감성영역별 감성서비스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고객만족도는 미용실의 감성영역별 감성서비스 중에서도 시각과 미각을 제외한 촉각서비스, 청각서비스, 후각서비스가 58.5%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성적 서비스에 관한 연구문헌들을 검토하여 감성서비스 구성요소가 고객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변화하는 고객심리에 적절히 대응하고 재방문으로 이어지는 감성마케팅 전략 수립에 방안과 도움을 주고자한다. Lately, it is being observed that customers in Korea tend to prefer much of mental,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an functions or performances of a produc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emotional quotient of beauty shop-goers affect emotional service aware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each category of emotions. The research interes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argets are examined. Second, particularities found when the research targets use beauty shops are gained. Third, how the emotional quotient of consumers affects the emotional service in each category of emotions is discussed. Fourth, The study looks into effects of the consumers` emotional quotien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while it examines how the consumers` emotional service awareness in each emotional category influences the customer satisfaction. Research data was processed for statistics by SPSS 16.0. Data analysis was applied in order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interests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ovid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ow the consumers` emotional quotient affects the emotional serv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each emotional category, among the consumers` emotional quotient, tactile service was observed to have the greatest importance with a ratio of 32.1%. It was also learned that the tactile service would cause the highest customer satisfaction. Next, effects of the emotional service in each emotional service by the beauty shop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reported that, among the emotional service in each emotional category provided by the beauty shops, the customer satisfaction would be explained by the tactile service, the auditory service and the olfactory service by 58.5% except from other visual service and gustatory service. The study reviewed references related to the emotional service to see what factors of the emotional service w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Now,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can provide the beauty shops with practical emotional marketing strategies so that the shops properly cope with psychology of the customers which would, in return, lead to the customers` re-visitation to the beauty sh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