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각질, 심-신의 간격, 그리고 데이터 : 신물질주의와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데이터아트의 가능성 탐구

        김정한 한국미학예술학회 2019 美學·藝術學硏究 Vol.57 No.-

        In this study, firstly, I discuss the ‘qualia’ in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together with the discussion of new materialism and posthumanism to overcome human-centered dualism. The following is a brief overview of the process of closing the explanatory gap between consciousness and matter. And I explore how the data can be used as an artistic material in the view of A. N. Whitehead's organic Process philosophy. Until now, qualia have been regarded as strong opposition to physicalism. However, among researchers such as V. S. Ramachandran, it is argued that qualia can be the basic unit of the phenomenon experience, as the atom of physics and the DNA of biology. Christof Koch and others have studied the “Neural Correlates of Consciousness(NCC)” in neuroscience. In addition, “Integrated Information Theory(IIT)” has been developed in cognitive neuro-computing by Giulio Tononi. Can I draw the ‘Qualia Landscapes’ as the David Lewis' concept of “know-how(how to know the bat's perception)” with using his concept of “know-that(data or information)”? New materialism now urgently calls for a response to how matters and human beings mus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phenomena of life. 본 연구는 우선 인간중심의 이원론을 극복하고자 하는 신물질주의와 포스트휴머니즘 논의와 함께 인지과학 분야의 ‘감각질’ 논의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이어서 의식과 물질 간 설명의 간극을 좁혀가는 일련의 과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데이터가 이 과정에서 예술적 질료로서 가능성을 가질 수 있는 지 화이트헤드(A. N. Whitehead)의 유기체철학을 통해 고찰한다. 지금까지, 감각질은 물리주의에 강력히 반발하는 개념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라마찬드란(V. S. Ramachandran)과 같은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감각질이 물리학의 원자와 생명공학의 DNA처럼 현상경험의 기본 단위가 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자연과학분야에서, 코흐(Christof Koch) 등은 감각질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 “의식의 신경상관자(NCC; Neural Correlates of Consciousness)”에 대한 신경과학 연구를 통해 뇌라는 물질과 의식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더불어, 토노니(Giulio Tononi) 등의 “통합적 정보이론(IIT; Integrated Information Theory)”이 인지신경과학과 함께 발전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예술가는, 철학과 과학 분야의 이러한 연구 성과들이 논의하고 있는 몸과 마음, 물질과 의식 사이의 설명적 간극에서, 루이스(David Lewis)에 따르면 know-that에 해당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질료 삼아 박쥐의 삶을 살아보는 know-how에 해당하는 감각질 풍경을 그릴 수 있을까? 이러한 시도들은 이제 인간에게 직접적 위기로 다가온 환경파괴 등의 문제에 있어, 물질 또는 비물질을 포함한 사물과 인간이 생명 현상이라는 관점에서 어떻게 상호 소통하며 공존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 대한 응답의 일환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감각질로서의 통증’에 대한 비판의 철학적 함의들에 관한 고찰

        김혜련 ( Kim¸ Hyu-ry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5 가톨릭철학 Vol.0 No.24

        본 연구의 출발점은 통증(pain)이나 고통스러움(painfulness)을 순수한 심적 대상으로 다루면서 철학적으로 사소한 에피소드처럼 취급된다는 사실에 대한 개인적인 관찰 경험이다. 그리하여 통증이 과연 감각질(quale)인가 하는 물음에 철학자들이 어떻게 답변해왔는지를 살펴보게 되었다. 근래에 들어 통증을 단일한 감각질 또는 지각적 성질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적극적인 대안적 설명을 제시하려는 오스틴 클라크의 주장이 이 글의 논의의 중심 줄거리가 된다. 클라크에 따르면, 고통스러운 감각질은 그 자체로 고통스럽게 느껴지는, 경험의 내재적 속성이 아니라, 주체가 주목할 만한 것으로 간주하는 동기나 목적에 의해 유발되는 특수한 효과에 의해 동일시되는 질적 면모이다. 그러므로 고통스러움이 감각질이 아니라면, 하위 인격적(infra-personal) 수준에서의 감각에 대한 특성화는 주체의 동기에 관한 특성화라는 것을 함축하지 않는다. 그러한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대안은 둘 사이에 매우 강한 그러나 우연적인 연관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일상 언어로서 ‘통증’은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 두 항목에 의해 구성되는 사태를 가리킨다. 우리의 구성 조건 때문에 어떤 종류의 신체감각의 질적 상태가 우리의 주목을 끌고 그 느낌을 멈추게 하려는, 즉각적이고 압도적이고 강제적인 욕구를 촉발시킨다. 그러한 종류의 성질을 느끼는 경험이 예외 없이 그 성질에 대한 강한 혐오를 야기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유사-인과적 연관이 매우 강하고 예외가 거의 없는 까닭에 일상 언어는 그 연합을 하나의 낱말로 명명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것들을 묶어주는 논리적 필연성은 없고, 또 특이한 경우에만 분리될 수 있다. 클라크는 이것을 ‘제휴 모델’이라고 부른다. 아편을 복용한 환자는 동일한 작열통을 느끼지만 더 이상 고통스럽지는 않다고 보고한다. 그는 통증 하부 감각을 갖고 있음에도 통증 하위 동기를 갖지 않는다. The paper begins with the observation in which the experience of pain or ‘painfulness’ has been treated as a ‘quale’ and thus pain, as such, seems to be a mere private and trivial matter. The observation drew me to look at carefully the ways that philosophers try to classify and name painful experiences as some sort of perception or bodily sensations. The traditional accounts of pain seem to be not only unsatisfactory as a theory but also unfair to a variety of pain episodes. Austen Clark is one of the philosophers who try to treat the ‘painfulness’ of bodily sensations by giving a full credit to it and also by offering a non-nominal or a mere conceptual analysis. Beyond the conceptual dimension, Clark attempts a realist account of pain and extends the substrata up to infra-personal levels of cognitive process. In addition to that, he shows the semantic structure of pain by virtue of David Kaplan’s theory of indexicals. By giving the reference device to pain experiences, the first- person painfulness can be demonstratively identifiable objectively, which makes possible the observation-statements and the valid reasoning about pain. One of the implications of the argument of ‘Pain is not a quale’ is that pain or painfulness is not an intrinsic property of any sort. Thus, pain can be detected by immediate introspection, but introspection is not the only way to explicate pain as an experiential phenomenon. So, the quality space model has been introduced to the discussion of color perception, which is deemed to be the paradigm of quality perception. The upshot is that even color perception does not have to be accounted by immediate introspection. The same is true of pain. What is suggested by Clark is a ‘tandem model’, working with the help of the multilevel infra-personal neural substrates as well as various conscious intentional states, instead of introspection.

      • KCI등재

        인지적 주목과 감각질

        김효은 한국과학철학회 2007 과학철학 Vol.10 No.1

        In this paper, I claim that cognitive attention is one of key elements in explaining phenomenal experience. To do this, I begin with Dennett's thought experiment regarding temporal anomaly of consciousness, which offers ‘Orwellian’ and ‘Stalinesque’ models of phenomenal experience. He suggests that there is no evidence to support one over the other. Recent work in cognitive psychology re-illuminates Dennett's question. Dennett's proposed two models correspond to the ‘inattentional amnesia’ account and the ‘inattentional blindness’ account of a series of psychological experiments. I argue that the Stalinesque model is more plausible than the Orwellian. The Stalinesque model supports the view that cognitive attention helps explain the phenomenal quality of consciousness. I review competing empirical data supporting the two accounts and assess their explanatory power. I conclude with some explanatory advantages of the Stalinesque account. 본 논문의 목표는 현상적 경험에 대한 두 설명 중 하나의 설명을 옹호하고 감각질이 인지적 차원의 주목(attention)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데넷의 사고실험에 대한 두 설명인 오웰 모델과 스탈린 모델을 통해 문제를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인지심리학에서의 최근의 실험에 대한 두 경쟁적 해석을 비교한다. 필자는 서로 대치되는 두 모델의 개념적, 경험적 자료들에 대한 철학적 검토를 통해 스탈린 모델이 더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인지적 주목(attention)이 현상적 의식을 해명하는 하나의 중요한 요소가 됨을 주장한다. 예컨대 동일한 자극입력을 가지지만 개인마다 다른 통증 감각질을 가짐이 인지적 주목의 기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 설명의 이점은 감각질 같은 현상적 심적 상태가 물리적 상태만큼 세밀하게 개별화될 수 있고 인지적 차원의 주목의 기제가 가능한 유기체에만 감각질을 제한함으로써 범심론을 배제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 KCI등재

        혼성지각에 기반을 둔 혼성정체성 실험과 감각질풍경 - 미디어아트와 인지과학 간 융합적 관점에서

        김정한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1

        인간의 지각경험은 인간의 사고와 세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통로이다. 인간 지각의 한계는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신지각의 열쇠가 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인류의 근현대사는 숨 가쁘게 증명해 왔다. 인간의 지각의 한계에서 연장하여 ‘인간의 그 것과 상이한 타지각’이나 ‘새롭게 창조된 신지각’과 혼성하는 실험은 인간의 지각경험 자체를 변형시킴으로써 세계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혼성지각을 통해 혼성 정체성을 구성하는 과정을 과학-예술 융합적 방법론을 통해 탐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러한 지각 변형 내지 지각 혼성에 기반을 둔 관점 실험은 과학과 예술 사이의 관계를 재조명하는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감각질’ 개념을 도입하여 1인칭 관점과 3인칭 관점의 공존 가능성을 탐구한다. 본 논문에서 감각질은 인지과정이 일어나기 전(前) 단계의 감각-지각 간(間) 층위의 날 것으로서의 느낌 또는 현상학적 경험의 단위로 정의된다. 이러한 감각질은 인지 전이기 때문에 주관화되기 이전의 상태로서 지각의 공유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감각질풍경을 탐구하는 것은 주관과 객관이 공존하는 혼성지각적 관점에서 바라본 세계를 통해 형성된 혼성적 정체성 연구와도 밀접히 관련된다. The perceptual experiences of human beings represent important events which connect their thoughts to the world around them. Modern history has eagerly proved that the limit of human perception can become a key, opening new perceptions and introducing new worlds. Beyond the limit of human perception, experimentation to hybridize other’s perceptions which differ from human perceptions or to realize ‘new perceptions created in new ways’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world by transforming human perceptions themselves. This paper aims to explore such a hybrid perception an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hybrid identity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art and science. The exploration based on hybrid percep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also offers a retrospective o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art and science. In order to examine the hybrid perception and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he co-existence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through the concept of ‘qualia.’ Here, qualia is defined as a raw feeling which exists in the layer of ‘pre-recognition’ and between sense and perception, as a unit of phenomenological experience. Because the sense of qualia arises before perception, it is a pre-stage of subjectivization and can therefore be shared with others. In this sense, exploring the qualia landscape is the first step toward looking at the world with co-existing perspectives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and through hybrid identity.

      • KCI등재

        제인스의 ‘양원적 정신’은 인지과학 안에서의 ‘감각질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는가?

        김창욱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This paper attempts to read the concept of ‘Bicameral Mind’ proposed by Jaynes in The Origin of Consciousness in the Breakdown of the Bicameral Mind in a cognitive debate. In other words, is the ‘Bicameral Mind’ a novel solution to the ‘Qualia Problem’, or is it just a ludicrous (as N. Block said) fantasy?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briefly mentions the key intuitions of Jaynes and his views on the consciousness that it implies, and 2) By outlining the comprehensive position of functionalism, the methodological basis of cognitive science, it can examine why qualia is a problem with functionalism, 3) critically reviewing Jaynes’ advocate, Williams, argues that ‘Bicameral Mind’ cannot be the correct solution to qualia problems. In other words, even if Williams’s idea of ‘a gapless monism of cognition’ is not completely absurd, this paper argues that ‘Qualia Eliminativism’ based on that idea is unacceptable. This discussion may provide interesting implications for the recent trend of ‘cognitive approaches to literature.’ 본 논문은 제인스가 『의식의 기원』에서 제안한 ‘양원적 정신’이라는 개념을 인지과학적 논쟁 안에서 읽고자 한다. 즉, ‘양원적 정신’은 ‘감각질 문제’에 대한 참신한 해결책인가, 아니면 (네드 블록이 말했듯) 허황된 공상일 뿐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먼저 1) 제인스의 핵심 직관과 그것이 함축하는 의식에 대한 견해를 간명히 언급하고, 2) 인지과학의 방법적 토대인 기능주의의 포괄적인 입장을 소묘함으로써 감각질이 왜 기능주의에 문제가 되는지 살펴본 후, 3) 제인스의 옹호자인 윌리엄스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양원적 정신’이 감각질 문제에 대한 올바른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을 논증한다. 즉, 윌리엄스의 ‘인지에 대한 간격 없는 일원론’이라는 아이디어가 완전히 허황된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그 아이디어에 기반한 ‘감각질 추방론’은 수용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본 논문은 논증한다. 이러한 논의는, ‘문학에 대한 인지적 접근’이라는 최근의 경향에 흥미로운 시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의식의 표상이론과 현상적 외재론

        신상규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7 철학논집 Vol.14 No.-

        이 논문은 감각질과 관련한 현상적 의식을 자연화하고자 하는 드레츠키의 표상론적 입장을 소개하고 검토한다. 드레츠키의 표상 논제에 따르면, 경험의 현상적 특징에 대하여 자연주의적으로 적절한 설명은 현상적 의식경험의 표상적 성격을 이해함으로써만 달성될 수 있다. 표상론의 가장 중요한 기여로 생각될 수 있는 것은 의식의 설명적 간극의 문제가 제기하는 원리적 난관을 해소할 수 있는 한 방법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표상론에 따르면, 감각질은 경험 자체에 귀속되는 의식상태의 특성이 아니라, 대상이 갖는 것으로 경험이 표상하는 성질이다. 이러한 입장을 취할 경우, 전통적인 설명적 간극의 문제는 어떻게 두뇌 상태가 현상적 속성을 지닐 수 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두뇌 사건이 경험적 외부 대상을 특정의 현상적 속성을 갖는 것으로 표상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치환된다. 다른 한편으로, 드레츠키는 현상적 경험에 대해서도 명제태도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외재주의를 옹호한다. 그 귀결 중의 하나는 프레드와 그 도플갱어인 쌍둥이 프레드가 동일한 형태의 물웅덩이를 보고 있다 하더라도, 이들이 갖게 되는 지각적 경험의 내용, 즉 그 질적 특성인 감각질도 서로 달라야 한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결론을 옹호하는 드레츠키의 논변을 비판하며, 그가 확립한 것은 경험의 기술 혹은 개념화에 대한 외재론이지, 경험자체의 외재론이 아님을 주장한다.

      • KCI등재

        페티시즘을 형성하는 절지류의 큐티클과 조형적 가치 -갑충의 외골격에서 발생하는 감각질을 중심으로-

        신정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e characteristic of what we see through our eyes can be described as a visual-tactile sensation formed by cognitive experiences along with a material-tactile sensation. This is perceived through human vision and has the property of integrating even different groups of things into completely different images by adding certain traits to objects. This study, in particular, would investigate the external traits of arthropods in the natural world to explain how we perceive them as properties of fetishistic things. The feeling perceived from an object is felt as a completely different image, and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exoskeleton of arthropods, which consists of cuticles, is perceived as a leather material in the clothing industry and a metal trait in the industrial world. The refracted light is reflected by the exoskeleton(chitin), an organic substance found in nature, and this study is a process of examining how this creates an aesthetic value in human vision.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constituents of these arthropods in terms of trait along with the formative aspect and judge them in terms of fetishistic values concerning human possessiveness. This means that as the perceptual aspects of materialized images and the aspects of their traits are related to human desire, and natural traits with substantial aesthetic composition are perceived as having property values beyond industrial materials, they act as a materialized desire to us. Also, it explains how the shading and tactile sensations generated from these organic substances can be used to study the psychology of things and the concept of subordination by inferring how possessiveness arises.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analyze the concept of 'sensory quality', which has been extensive in our consciousness, in relation to various object fetishism, as the field of human visual perception is materialized and unified. 이 연구는 자연계 절지류의 ‘외골격’을 인간의 지각적 차원에서 고찰함에 따라 ‘갑각류’의 피부를 구성하는 키틴질의 촉감이 어떻게 물성적 페티시즘을 발생시키는지를 사료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갑각류의 유기적 촉감이 산업품의 고체화된 특성으로 전달됨에 따라 인간의 지각에 어떠한 ‘시감’을 형성하는 것을 말하며 그것의 고유 형질로부터 지각적 접촉을 유발함으로써 대상을 ‘관능적 사물’로 인식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예는 매끄럽고 딱딱한 자연물의 입체적 구조가 기성품이 가진부드러운 촉감으로 연결되는 것을 말하며 그것의 형태와 형질로부터 대상이 지닌 ‘감각질’이 전이됨을의미한다. 특별히 본 연구는 딱정벌레목의 ‘외골격’을 구성하는 큐티클이 의류계의 ‘피혁재질’과 산업계의 ‘금속형질’로 지각되는 예를 살펴보고 이들이 가진 속성이 어떻게 ‘페티시즘’과 관련하여 시각적접촉을 유발하는지를 살펴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체절’ 구조를 가진 절지류의 외골격이 빛을통해 금속질이나 가죽형질로 지각됨에 따라 대상을 물신적 가치로 수용하고 그것의 본질이 인간의 내면으로부터 관능적 요소로 작용되는 것을 말한다. 또 이러한 유기질에서 발생한 음영과 촉감이 어떻게‘시감’과 ‘기억작용’을 통해 소유욕을 발생시키는지를 추론해 봄으로써 사물의 형질과 구조로부터 생성된 인간의 ‘물질개념’을 사료해 볼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자연물을 통한 시지각과 물성 분야의 연구는 인간의 조형심리를 구체화시킴에 따라 우리의 의식 속 광범위했던‘감각질’의 개념을 페티시즘의 ‘사물욕’과 결부하여 고찰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음악적 표현성과 말할 수 없음 ineffability 논제에 관하여

        이종희 ( Jong Hee Lee )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7 No.-

        이 글은 음악에 대해 흔히 주장되는 말할 수 없음 논제의 다양한 형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로부터 음악의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말할 수 없음 논제는 내성에 주목하는 입장임을 보인다. 음악은 특정한 경우의 구체적 감정, 대상이 아니라 모호하고 일반적인 무언가만을 전달한다는 입장으로 쇼펜하우어, 랭거, 월튼의 논의를 면밀히 살펴보면서, 이들이 감정이 우리에게 느껴지는 내적 측면의 특성에 근거하여 말할 수 없음 논제를 주장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반대로 음악은 언어보다 더 정교한 전달 능력을 가진다고 주장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입장으로 이 글은 작품이 작품마다 고유한 방식으로 독특한 감정을 표현한다는 생각, 음악적 뉘앙스에 대한 이론, 음악적 문맥 안에서 뉘앙스가 나타내는 효과에 주목한 논의들을 차례로 다룬다. 덧붙여 지시적 표현들을 동원함으로써 음악적 표현성이나 효과의 구체적 특성을 언어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제안은 음악의 말할 수 없음 논제를 오히려 강조하는 것임을 보인다. 음악적 특성들의 지각이나 감정적 상태의 내성은 지시적 표현들로도 소통불가능한 사적인 성격의 ``감각질``을 가진다. 이 때 외적 지각의 감각질보다는 음악이 유발하는 감정의 ``느낌``에 주목하는 표현성의 이론이 음악에 특별한 말할 수 없음 논제를 설명하기에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This essay critically considers various forms of the ineffability thesis which is commonly held of music and shows that the best revealing way of claiming this thesis is the one which pays attention to the introspection. First, this essay searches the discussions of Schopenhauer, Langer, and Walton. They claim that music can convey only something imprecise or general, not the specific objects. By searching their claims closely, we come to know that they argue for the ineffability thesis on the basis of the inner aspect of emotions that is felt by us. On the contrary, the others think that music is able to communicate more definite things than the words are. This essay examines these ways of thinking in order. They include the position that the work of music expresses the specific emotion in the unique way of the work, the theory of musical nuances, and the assertion that focuses on the effects of nuance in the musical context. The suggestion that one can give a linguistic expression to the specific qualities of the musical expressiveness or the effects by the help of demonstratives turns out that it might support the ineffability of music. The perception of the musical traits and the introspection of the emotional states both have the private "qualia" that cannot be conveyed even by the demonstratives. This essay argues that the theory of musical expressiveness which lays stress on the feeling of the emotion music can arouse instead of qualia of outer perception is better for explaining the speciality of the musical ineff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도덕성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접근의 도덕교육적 함의

        박형빈 ( Hyoung Bin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3 초등도덕교육 Vol.0 No.43

        오늘날 도덕, 도덕성, 가치 등은 윤리학, 철학의 전유물이 아닌 신경과학, 신경윤리학, 신경철학 등의 주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인간 행동과 의식, 본성, 심적 작용에 대한 통섭적 연구들에 대한 깊은 숙고 없이 도덕교육은 가능하지 않은 듯 보인다. 그러나 현재의 뇌신경과학은 인간의 심적 작용과 행동에 대한 원인과 결과를 온전하게 설명해 낼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한 것이 아니다. 감각질의 존재, 두뇌 현상에 대한 일인칭적 시점과 삼인칭적 시점의 차이, 현상과 설명 사이의 간극의 존재 등은 아직까지 신경과학과 심리철학의 논의에서 완전한 합일점을 찾지 못한 과제로 남아있다. 뇌 영상 촬영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오직 그러한 뇌의 작용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신의 신경과학적 논의에 대한 맹신, 확대 재생산, 혹은 거부와 비난보다는 이것이 인문학적 사고의 주제들에 주는 진정한 함의를 보다 냉철하게 숙고해야 한다. 신경과학은 지난 세기 동안 상당한 경험 연구의 성과물들을 내놓았다. 인간의 심적 작용과 도덕성의 근원에 대한 보다 분석적인 해명이 제안되었다. 처칠랜드는 인간의 도덕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도덕성의 인자로서 옥시토신을 제시한다. 뇌과학의 최근 논의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알 수 있다. 첫째, 도덕 판단의 상황에 따라 두뇌의 작동영역이 다르다. 둘째, 도덕적 자율성 강화는 도덕적 동기를 강화하게 한다. 셋째, 감정적인 상황을 의식적으로 직시하는 노력은 전두엽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도덕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1. 학생들의 도덕적 정서 자극과 두뇌 발달 고려 : (1) 이론식 수업의 보완 - 프로그램 중심의 체험 활동 수업, (2) 도덕적 두뇌 형성을 위한 반복적 연습의 필요성 인지, 2. 도덕적 내적 동기의 강화 : (1) 학생들의 전두엽 발달에 대한 관심, (2) 학생들의 내적 동기의 발현 유도, 3. 지필 위주의 평가 지양과 정신적 가학의 위해성 인식: (1) 맥락을 고려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평가 방안 모색, (2) 정신적 학대의 폭력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유대감 형성을 위한 노력 그리고 도덕성에 있어서의 남녀성차에 대한 고려이다. 기존의 합리성과 같은 이성의 작용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도덕적 판단은 뇌신경과학적 차원에서 새롭게 이해되어 도덕교육 현장에 재구성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도덕교육에 대한 철학적 논의에 더하여 과학적, 합리적 근거 지움이 무엇보다 요구되는 시점이다. The recent study of neuroscience suggests the followings: (1) Feelings, intuition. and the subconscious do important work in moral judgment. The acts of orbitofrontal cortex. which makes feeling connected with decision-making processes. playa major role in human choice. The reason presents a variety of alternatives. and the feeling helps us get a choice of them. (2) The source of feeling is (the acts of) dopamine. It exerts significant influence to moral capacity. The important point of it is that it requires some training. (3) Feeling and reason have both pros and cons in making a decision. The right decision demands different recognition strategies on the situation. Training or practice is also important for right recognition strategy, Moral education can borrow usefully from accumulated and related knowledge on brain development and function of neuroscientific research: first. the active areas of brain are different in each situation: second. strengthening moral autonomy reinforces moral motivation: third. the brain`s frontal lobe is activated by the efforts of facing the emotional situation consciously. Based on these, the implication for moral education can be suggested as below: 1. the consideration for students` emotional stimulation and brain development. 2. the reinforcing moral intrinsic motivation. 3. the sublating evaluation mainly with written exams and the recognition for the injury of psychological maltreatment. Existing moral judgement has depended entirely on reason`s activity. But the moral judgement should be understood on a neuroscientific basis: it should be restructured and applied to moral education in school by standing on the basis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motion and intu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