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미국 시민사회의 갈등구조와 그 변화에 관한 연구

        유팔무(YOU Pal-Moo) 지역사회학회 2011 지역사회학 Vol.12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시민사회 이론을 미국에 적용하여 현대 미국 시민사회의 갈등과 갈등구조 및 그 변화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에 있다. 미국사회 전체를 국가-시민사회-경제의 3분구조로 파악하면서 갈등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주요 갈등의 이슈와 ‘갈등 축’(conflict axis)은 무엇인가, 그것은 과연 구조를 이루고 있는가, 갈등구조는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였는가, 이 과정에서 경제와 정치는 어떤 작용을 하였는가 하는 점들이었다. 이를 위해 논문은 ‘연구의 목적과 이론적/ 개념적 분석 틀’, ‘현대 미국시민사회의 갈등구조 와 그 형성, 변화의 과정’, ‘시민사회 갈등구조의 형성, 변화와 경제적, 정치적 요인’ 등 세 파트로 구성되었다. 분석의 결과, 그 결론은 ⑴ 현대미국 시민사회의 갈등구조는 ‘다원주의 대 민족주의’를 중심축으로 하고 있다. ⑵ 갈등구조는 1954년~1974년 사이에 형성되어 그 후 부분적으로 변화하는 가운데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유지되고 있다. ⑶ 시민사회의 갈등구조 형성 및 변화의 과정에는 경제적 요인과 정치적 요인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⑷ 분열, 갈등하는 시민사회와 경제 및 정치 사이의 상호작용은 이 세 차원들 사이의 관계를 긴밀하게 해왔고, 경제세력과 정치세력들을 갈등의 양대 축으로 가르는 작용을 하였다. ⑸ 갈등론적, 3분법적 시민사회 이론의 설명력과 유용성이 어느 정도 논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oretically the structure of conflicts in the american civil society and its change since ‘1960s’. It analyzes the structure of conflicts in a conflict-theoretical perspective in regarding the whole american society as one which has threefold structure: state, civil society, and economy. The focuses of this analysis are followings: Which one is the main issue and axis of conflict? Does it have a fixed structure? How does it become to be structured and have changed? How do the state and the economy effect on conflicts of the civil society and their structural changes? This paper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content of first part i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theoretical-conceptional framework”. The second theme is “the formation-process of the structure of conflicts in the american civil society since ‘1960s’. The third one is the conflict structure of civil society and the economic, political factors”. Results of analyses in this paper are: (1) the main axis of conflict structure in contemporary U.S. civil society is ‘Pluralism vs. Nationalism’. (2) this axis of conflicts has been formed and structured from 1954 to 1974, maintained its structure till to the 21th century basically unchanged. (3) politics and economy have effected variously on to the structure of conflicts in civil society. (4) in relation to the conflicts, the forces in the civil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have been interacting each other, and so, they all have been divided into the two conflicting lagers.

      • KCI등재

        <운영전> 갈등구조의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최재우 열상고전연구회 2009 열상고전연구 Vol.29 No.-

        17세기는 우리 서사문학사에서 소설이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17세기 초에 창작되었다고 보이는 <운영전>은 17세기적 변화가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 왔다. 기존 논의에서는 <운영전>의 구조를 액자 구조와 몽유 구조라는 틀 속에서 분석해 왔지만, 몽유 구조로 분석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 이 작품은 전기의 틀을 수용하면서, 새롭게 소설적 구조를 개척한 작품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기존 논의 검토에서 드러난 구조 분석의 미진한 부분에 착목하여 <운영전>의 구조를 갈등을 중심으로 장르론적 입장에서 분석하고, 그 소설사적 의미를 부여했다. 우선 <운영전>은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지적되어 왔듯이, 중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갈등구조를 중심으로 한 장르론적 관점에서 보면, 크게 두 층위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유영의 이야기를 형상화하고 있는 큰 틀에서의 傳奇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운영과 김진사의 이야기를 형상화한 액자 속의 소설적 구조이다. 이 작품의 큰 틀을 도식화해 보면, 그 구조가 ‘a. 세계와 불화 관계에 있는 X가 있다./ b. X는 사회적으로 정합관계에 있지 않은 Y와 느닷없는 만남을 경험한다./ c. X는 Y와의 만남을 계기로 존재적 변화를 겪는다.’라는 세 가지 특징으로 파악되는데, 이러한 특징은 그 이전 시대의 전기 작품들의 구조적 특징과 일치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에 더하여 초점화 대상이 주인공 한 명에 고정되어 있다는 점도 이전 전기와 마찬가지이다. 유영 이야기 틀에서 화자가 유영이 존재하는 시공을 벗어난 지점에 주목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화자가 주목하는 초점화 대상이 주인공 유영으로 제한된다는 의미이다. 초점화 대상이 유영을 벗어나는 경우가 없다는 점에서, <운영전> 역시 운영과 김진사가 겪는 소설적 갈등과는 별도로 유영이 겪고 있는 또 다른 전기적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고 보아도 좋다는 점을 지적했다. 작은 틀인 운영과 김진사의 이야기에서 우리는 유영 이야기의 틀이 지니는 전기의 갈등구조와는 전혀 생소한 형상을 찾을 수 있었다. 그것은 두 가지로 지적되었는데, 하나는 세계와의 대결 양상이 ‘직접 맞섬의 관계’로 형상화되어 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맞섬의 관계가 상호 우위에 입각해 있다는 것을 명백히 해 주기 위한 장치로서 ‘초점화 대상이 다극화’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운영과 김진사의 이야기 틀에서 우리는 운영을 비롯한 궁녀들과 안평대군의 갈등, 김진사와 안평대군의 갈등, 김진사와 노비 특의 갈등, 운영․김진사와 무녀와의 갈등 등 다양한 갈등 관계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들의 갈등은 화자 진술이나 특정한 인물의 발화를 통해 간단하게 서술되고 마는 것이 아니라 직접 맞서는 지점들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갈등이 화자의 진술이나 다른 인물의 발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인물들 자신의 발화를 통해, 독립적인 입장에서 명확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음을 보였다. 나아가 인물들이 갈등을 빚고 있는 모습을 그리면서, 인물 관계가 상호 우위에 입각해 있는 지점을 보여주기 위해, 다양한 갈등 주체들을 독립시켜 형상화시키는 것을 본고에서는 초점화 대상의 다극화로 개념화했다. 이상의 분석을 근거로 하여, 본고에서는 <운영전>에 보이는 갈등구조가 우리 소설사에서, 이전 시대 전기의 틀을 수용하면서도 소설적 갈등구조를 명백히 확보했다는 점, 애정을 소재로 하고 있으면서도 애정의 문제를 넘어 애정에서 부수되어 발생하는 갈등 지점에 착목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갈등이 상호 우위에 입각해서 전개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했다. 또 <운영전>이 우리 영웅․군담소설에 전형적으로 보이는 ‘순환구조’가 최초로 보이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후대 소설과의 영향관계에도 일정하게 기여하고 있다는 점도 함께 언급했다. 본고의 분석을 통해 이제 우리의 서사문학이 전기의 틀로는 더 이상 형상화할 수 없는 문제 지점들에 착목하기 시작했으며, <운영전>에서 비로소 그러한 문제 지점들이 작품으로 형상화되기 시작했다는 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The 17 century is the period when the novel takes a central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Woonyung-jun was written in the 17 century and is note worthy shows the 17 century’s changes were formed concretely in this work. Woonyung-jun’s structure has been studied from the view of the ‘frame-struc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sleep-play’ in existing studies. However this analysis is not sufficient, because this work has to be regarded as the work that opened up the structure of the novel while accepting the structure of the Jungi(傳奇). This paper analyzed the woonyung-jun’ structure from the view of the genre’s theory, and investigated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the novel. Woonyung-jun’s structure is formed in the fold structure. If the structure of conflict is inspected from the view of the genre, this work can be divided into two. One is the Jungi(傳奇)’ structure being told about ‘Youyung’. The other is the novel’s structure being told about ‘Woonyung and Kimjinsa’. The Youyung’ structure has three kinds of special features. 1. X who is in discord with the world existence. 2. X unexpectedly meets Y, who doesn’t have asocial relationship with X. 3. X endures change as a result of this meeting. These are the same with the Jungi(傳奇)’ structure. It is also similar in that the focus is fixed on one man who is the hero. The narrator doesn’t pay attention to the space-time that Youyung doesn’t exist. The structure of Woonyung and Kimjinsa’s tale has a different feature than that of the Youyung’ structure. There are two kinds. One is the feature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hero and the world is described as directly opposing each other. The other is the point of view that the object of the focus is variously to show that the relationship is based on mutual predominance. We can draw various relations in the conflict in woonyung-jun for example, the conflict of thecourt ladies to Anpyung, Kimjinsa to Anpyung, Kimjinsa to male servant-Teuk, Woonyung․Kimjinsa to the female shaman. It is important that these conflicts, which directly oppose each other, are exhibited concretely. On the basis of the above mentioned, we estimate that Woonyung-jun has three meanings in the novel’s history. 1. This work secured the structure of the conflict like a novel, while accepting the Jungi’s framework. 2. The conflict of this work is developedby being based on mutual predominance. 3. This work’s circulation- structure is still contributing to future works. Through this analysis of this thesis, we concluded that our narrative literature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spot that can’t be described by the frame of Jungi(傳奇), and this spot is described from the viewpoint of Woonyung-jun.

      • KCI등재

        제주지역의 갈등극복과 지역공동체의 회복

        고승한(Seung Hahn Koh) 제주학회 2013 濟州島硏究 Vol.39 No.-

        현대사회는 다양하고 복잡한 분화형태를 보이고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사회갈등이 잠재 혹은 표출되고 있다. 제주사회도 예외 없이 다양한 사회갈등이 존재해 왔고, 현재 혹은 미래에도 그럴 것이다. 제주사회의 사회갈등은 다양한 차원에서 발생하고 그런 갈등상황들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여 사라지는가 하면 혹은 구조화된 양상으로 고착화되기도 한다. 갈등의 구조화는 제주사회의 사회통합과 사회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제주사회에서 갈등의 구조와 과정을 보인 행정구조 개편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공공갈등의 사회적 의미와 특성을 천착하는데 주목하였다. 제주지역에서 행정구조 개편 문제가 갈등 형성기, 심화기, 조정지, 그리고 완화기 단계를 거치면서 공공갈등의 구조화 현상을 관찰할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행정구조 개편과 관련하여 발생한 공공갈등은 제주사회의 행정부문, 지역, 도민 그리고 시민사회 부문 간의 갈등을 야기시켜 제주지역사회 공동체의 파괴, 도민에게 상처와 고통, 그리고 지역발전과 사회통합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구조화된 갈등은 어떤 방식으로든 해소하여 지역사회의 사회갈등에 대한 발생 원인을 보다 객관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갈등의 구조화는 지속화되는 양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대신에 이를 적극적으로 해체하는 전략과 방법을 적극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래서 공공갈등의 부정적 폐해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서만 새로운 상생의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이다. The modern society as a whole is likely to be diverse and complex, thus generating a varirty of social conflict in either potentifal or visual form. There have existed various types of social conflict in Jeju history, which would be emerged endlessly in the future. On the way to this process, some conflicts will be structured and have affected both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stability in a negative way. Thus, a structured conflict explicitly seens to cause social unstability and underdevelopment, even going ahead a social crisis. By alalyzing thecase of administrative system reform, this study figures out social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conflict. Jeju society, the reshaping problem of administrative system had displayed the whole process of the conflict structrualization. The public conflict coupled with administrative structure remodeling had implicitly caused somewhat negative impacts on community solidarity, social cohesion, and local development across the Jeju society as whole It is widely recognized in Juju society that such a structured conflict in Jeju should be resolved so as reach out its commonality and prosperity Considering the advent possibility if much mor diverse and complex conflicts in Jeju locality, it is needed to lay iut fundamental reasons for them with on-depth and objective way. This scientific efforts and concerns in the academic community, as well as the public arena will be in the way to dismantle the rooted conflict. Further, when social reconsideration and political efforts to minimize conflicts negative outcomes as possible is sustained in Jeju s overall social sectors, we may be expected to look at the new horizon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among Jeju people.

      • 조직구조와 갈등관리유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나윤기,양기동 경원전문대학 1996 論文集 Vol.18 No.1

        企業組織의 경우에는 일정한 테두리 안에서 많은 사람들과 集團들이 나름대로의 目標를가지고 活動하므로 葛藤現象은 보편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葛藤은 組織의 支配的인 價値에 從屬되어 표면화되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個人間 또는 部署間의 葛藤은 組織의 成果와 組織構成員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적지 않은 影響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本 論文에서는 조직구조에 따른 개인들의 갈등관리방법에 硏究의 초점을 두고旣存의 硏究(組織構造와 役割葛藤과의 關係, 個性과 葛藤管理方法과의 關係 등)가 가지고있는 限界点을 보완하여 다음과 같은 목적을 두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즉, 葛藤管理方法을 有意的으로 설명해주는 組織構造 變因들을 살펴보고, 조직구조에 따라 갈등관리방법에 있어서는 어떠한 差異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目的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된 測定道具로 葛藤管理方法에 대한 尺度로는 킬만과 토마스(KiImann & Thomas, 1977), 組織構造를 나타내는 變數중에서 公式化를 나타내는 尺度로는 레이만(Reimann, 1974), 集權化와 日常化를 나타내는 尺度로는 아이켄과 헤이지(Aiken & Hage, 1966, 1969)가 개발한 것을 이용하였다. 또한 종업원이 5,000명 이상인 기업 중 非確率標出方法의 하나인 任意標出方式을 적용한 172부의 설문서에 대하여 피어슨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가설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로서, 당사자의 갈등관리방법 선호형태는 조직구조형태와 관계가 있다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조직구조형태 중 공식화의 정도만 갈등관리방법을 有意的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公式化의 程度만 葛藤管理方法을 有意的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공식화의 정도는 갈등관리방법 중에서도 統合의 形態에만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公式化의 程度가 높은면 높을수록 당사자들은 갈등관리방법 중 統合形態를 選好한다고 유추할 수 있다. 반면에 당사자의 갈등관리방법 선호형태는 조직구조형태 중 集權化의 程度나 日常化의 程度와 관계가 있다는 假說을 檢定한 결과 假說은 棄却 되었다.

      • KCI등재

        원자력시설 갈등 네트워크 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폐기물시설 및 행정시설과 비교를 중심으로

        박치성,정지원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5 行政論叢 Vol.53 No.1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conflict networks among various types of policy stakeholders who are embedded in the conflict network related to the case of nuclear facility install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Conflict networks of waste disposal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facilities were compared to clarify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nuclear facility-related conflict networks. The properties of nuclear facilities-related conflict networks determined as a result of analysis follow. First, the conflict networks not only embed relatively more and more diverse types of actors than other facilities, but also showed a stable network structure that is considerably cohesive so that it is difficult to resolve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Second, the conflict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ere the strongest ties, and local residents/local politicians/NGOs shared the same or similar interests and opinions toward nuclear facilities, in direct conflict with those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ird, there were distinctive patterns of conflict relations among certain types of actors in the nuclear facilities, which formed triads and dyadic structures located in core positions of the conflict networks. 본 연구의 목적은 원자력시설 갈등 네트워크가 어떠한 구조적 특성을 가지는가, 그리고 이러한 구조적 특성에 따라 원자력시설 관련 갈등해결 방식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원자력시설 갈등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서, 이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일반폐기물시설, 그리고 다른 성격을 가지는 행정시설 갈등관계 네트워크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원자력시설의 갈등관계 구조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정리하면, 첫째, 상대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행위자가 포함되어 있으면서, 응집성이 높은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행위자간 갈등관계를 완화시키기가 어렵다. 둘째, 중앙-기초자치단체 간의 갈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과 주로 갈등관계를 가지는 지방정치인・주민・NGO 등은 서로 이해관계를 공유하면서 연합을 형성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셋째, 원자력과 관련한 갈등사례에서는 특정 행위자 유형 간 삼각관계 및 양자관계가 갈등관계의 핵심적인 위치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자력 시설 갈등은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견고하기 때문에, 행위자 유형에 따른 원자력 시설에 대한 인식 및 이들 간 갈등관계 조합을 고려하여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갈등해결을 접근하고, 동일한 신념을 공유하는 갈등당사자 유형은 하나의 연합으로 고려하여 통합적인 갈등관리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효과적인 갈등관리를 위해서는 관리대상으로 특정 행위자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갈등관계를 가지는 조합(pair)간 관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이들 사이에서 활발한 중재활동을 통해 전체적인 갈등구조를 완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공공기관 조직 내 갈등 구조 분석: 과학기술 공공연구조직에서의 연구-행정 갈등 사례

        황광선,한유성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2 공공정책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공공연구조직의 연구-행정 갈등구조를 파악해 본다. 갈등 사례를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후, 유형별로 분류하였고 각 사례의 특징을 갈등 구조화하였다. 갈등이 발생하는 형식적 측면인 ‘범주(영역)’와 내용적 측면인 ‘이슈(쟁점)’의분석틀을 사용하였다. 범주의 세부 분류는 Ⓐ사업(과제)관리/연구비정산, Ⓑ구매/계약/인프라(시설) 지원, Ⓒ인사, Ⓓ성과/평가, Ⓔ조직/제도 일반이고, 이슈의 세부 분류는 ㉮절차/과정(내부 행정절차/ 의사결정), ㉯내용(규정 해석/ 제도), ㉰업무 영역/이해충돌, ㉱업무행태이다. 연구-행정 갈등은 ⒶⒷⒸ와 ㉮㉯ 부문 (즉, 사업관리, 구매/시설, 인사에서 절차와 내용에 대한 갈등)에서 주로 나타나고있다. 그외 업무영역 및 이해충돌에 따른 갈등(즉, 역할 구분 모호등)과 업무 행태(즉, 의사소통방법, 태도 등)에 대한 갈등 사례를논의하였다. 이러한 갈등을 유발하는 첫 번째 원인은 규정 해석의모호함 혹은 규정 해석에 있어 아전인수격 해석 때문이고 두 번째이유는 연구직과 행정직 각각이 처한 ‘입장 차이’인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갈등구조의 진단과 해석

        이병량(ByungRyang Lee),김서용(Seoyong Kim),전영평(Young-Pyoung Chun) 한국공공관리학회 2008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갈등구조를 실증자료를 통해 진단하고 해석하는데 있다. 사회적 갈등은 이를 해결하는데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요구한다. 사회적 갈등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이해는 갈등의 해결 비용을 줄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갈등의 순기능적 측면을 유지하고 자극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다양한 갈등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갈등의 원인을 분석하며, 갈등해결을 위한 대안 등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보면 한국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갈등은 정치, 경제문제와 관련을 맺고 있었다. 다만 이와 같은 갈등인식의 수준은 사회구조적 요소에 따라 상이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한국사회에서 갈등의 원인과 해결의 중심에는 정부와 정치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즉 정부와 정치요인은 갈등의 유발자로 지목되면서도, 동시에 갈등해결자로서 역할을 요구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사회계층 및 이해, 가치관의 분화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지속적으로 첨예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한국사회에서 정부와 정치가 담당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e paper diagnoses and interprets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in Korea by analyzing the empirical data. As social conflicts demand the lot of cost to resolve them, it suggests that the theoretical or empirical understanding of them will contribute not only to reduce the social cost but also highlight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m. Based on those assumption, we have tried to investigate the people's perception about a lot of social conflicts, find out causes of them and suggest the alternatives to resolve them.

      • 한국 정치사회의 갈등 구조 변화와 세대 갈등

        김욱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3 사회과학연구 Vol.35 No.1

        One of the greatest changes in Korean politics in 2000s is the diversification of political cleavages or conflict structures. With the weakening of regional conflict, the importance of deological and generational conflicts has been increased in recent years. What lies underneath this diversification are changes in the political culture. More specifically, the rise of post-materialistic values among younger voters might be contrasted with older voters who tend to be more materialistic, thus causing a kind of value conflict between the young and the old generations. In this study, we theoretically discuss the position and importance of the generational conflict in the context of changing conflict structure in Korean politics, and then empirically analyze it. Theoretically speaking, the rise of generational conflict is at the heart of the recent diversification in the conflict structures. Although it is expressed as generational conflict, the source of the conflict is cultural or value differences. This cultural conflict is also closely related to ideological conflict, as it contributes to the strengthening of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young and old generation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are generally as expected. A correlation analysis among major conflicts (region, ideology, generation, value) shows that generational, ideological, and value conflicts are all closely related. While the ideological conflict and the regional conflict overlap to some extent, the correlation is relatively weak. In general, the regional conflict stands alone, with the remaining three clustering together. According to a regression analysis, which compares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se conflicts on voters' political choice, the influence of the generational and value conflicts is not smaller than that of the regional conflict.

      • KCI등재

        한국의 사회갈등 구조 연구

        서문기(Moon-Gi Suh)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6

        오늘날 한국사회의 지형에서 우리는 최소한 두 가지 점에서 사회갈등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가 있다. 우선 최근에 많은 집단갈등들이 봇물처럼 터지고 개별갈등현상에 직접 관련이 없는 다수의 사회구성원이 고통을 겪는 것을 보면서 새삼 갈등의 효과에 대해 우려하게 된다. 둘째로 기존의 갈등연구가 다소 개별적이고 분산적인데 비해, 이를 전체적이고 구조적인 분석틀에 의해 조망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갈등에 관한 한국사회의 경험을 직접 다루는 작업이 갈등 해결의 단초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왜 갈등이 문제가 되는지 또 갈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고민하고 갈등구조와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험적으로는 한국사회의 갈등구조와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갈등해결의 단초로서 갈등관리시스템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의 발전경험을 성찰할 때 사회정의에 대한 가치관 정립과 함께 사회갈등을 구조적으로 잉태해온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관행을 개선하고 갈등관리를 통한 사회통합이 급선무임을 보여주고 있다. 갈등해소를 위해서는 갈등 당사자간의 합리적인 합의도출과정에 대한 이해와 갈등유형에 따른 기본적인 설계를 바탕으로 갈등현안에 대해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분권화된 민주주의 구도 아래에서 갈등예방 및 관리 차원을 포함하는 갈등해결 프로세스 등의 개발이나 법ㆍ제도 정비를 통해 체계적이고 대안적인 갈등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사회 각 부문의 균형적 발전을 통한 신뢰구축을 기반으로 합의와 설득절차를 통한 타협과 협력문화의 형성과 함께 공정성 및 전문성의 확보를 통한 사회적 권위의 확립을 지향해야 함을 함의하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issue of social conflicts, including the nature, causes, and trends of conflicts in South Korea. The next few years will be critical in determining the future of democracy and civil society in the country which is at a crossroads for developmental pathway. There are both discouraging and encouraging trends-rejecting or embracing democratic reforms. At this juncture it is essential that consensus-building and conflict resolution processes be brought to bear at the level of ordinary citizens’ lives as well as civil government. This cannot be accomplished by simply importing Western model of conflict resolution and decision making. The knowledge of the field of social conflict via the experiences of Korean development is vital to the efforts to find an effective avenue for democracy to take powerful and positive root in Korea in transition. At the heart of many of these struggles and lessons is the question of social justice. Conflict resolute approaches are required if democracy is to take root in Korea where it is still a new and untested system. The new framework of conflict resolution system is to reform sociocultural convention, governanc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social trust in Korea.

      • KCI등재

        지역사회 갈등구조의 분석과 함의 : 전주시 시내버스 파업을 중심으로

        주상현,이우권 한국자치행정학회 201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5 No.1

        이 연구는 전주시 시내버스 파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해당사자들간 갈등구조를 갈등행위자, 갈등상황, 연계구조라는 주요 변인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의 의미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행위자 측면에서 갈등과정에서 갈등해결을 위한 가장 강력한 행위자는 직접적인 이해당사자라 할 수 있지만,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경우 지방정부, 시민단체, 지역정치인 등이 갈등을 중재하고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지방정부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협의회를 중심으로 하는 공식적 연계행위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와 같이 지방정부 및 지역주민에게 파급효과가 큰 공공서비스와 관련된 갈등의 경우 지역언론과 사적중재기구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지방정부는 정책결정 과정에서 시민들과 함께 하는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하며 거버넌스 활동 전개가 필요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당사자들간 협상과 합의인 바, 상호간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활동들이 전개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력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