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방언의 인용 표지 연구

        김미진 ( Kim Mi-jin )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1 No.-

        이 연구는 제주 방언의 인용문에서 나타나는 인용 표지의 문법화와 간접화 과정을 알아보고 문장 종류에 따라 간접 인용문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중앙어의 직접 인용문에서는 ‘-라고’와 ‘-하고’를 인용 표지로 사용하고, 간접 인용문에서는 ‘-고’를 사용한다. 제주 방언에서는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에서 사용하는 인용 표지가 하나의 형태 ‘-엔/엥’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 방언의 인용 표지 ‘엔/엥’은 중세국어 ‘□야’에서 비롯된 것이다. ‘□야’에서 ‘□’가 탈락하여 ‘-야’만 남고 여기에 ‘ㄴ/ㅇ’이 결합된 것에 ‘ㅣ’모음을 첨가하여 만들어진 것이 현재의 ‘-엔/엥’이다. 방언 문법 기술에 있어 중앙어 중심으로 생각하여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다. 제주 방언의 인용문도 중앙어 인용문의 기준에서 보면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많다. 문장 종류에 따라 어미가 중화되어 간접 인용 표지로 사용되어야 하는데 중화되지 않은 채 여러 가지 어미와 결합하는 인용 표지를 볼 수 있다. 또한 간접 인용문에서는 상대 높임이나 인칭대명사가 간접화되어야 하는데 제주 방언에서는 직접 인용문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인용 표지만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중앙어 중심이 아니라 출발점을 방언으로 잡을 필요가 있다. 중세어에서 현대어로 바뀌는 가운데 그 과도기적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 방언, 특히 제주 방언이다. 따라서 간접 인용은 형성 초기에 다양한 형태의 종결어미에 인용 표지가 결합된 모습으로 나타나다가 점차 현대의 모습으로 변모했다고 볼 수 있다. 직접 인용문의 인용 표지 ‘엔’이 종결어미와 축약하여 발음하던 것이 간접 인용의 원형이었으며 점차 현재의 중앙어와 같이 문장 종류에 따라 종결어미가 간접화하여 간접 인용문이 완성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origin and indirectization process of quotation markers presented in the quotation of Jeju dialect, and review how they appear depending on the sentence type. The central dialect uses ‘라고’ and ‘하고’ as direct quotation markers, and uses '고' as an indirect quotation marker. The quotation markers used in direct quotation and the indirect quotation in Jeju dialect are known as ‘엔/엥’ a form. ‘엔/엥’, the quotation marker of Jeju dialect was originated from ‘□야’, Korean in the middle age. ‘□’was eliminated from ‘□야’, only ‘야‘ remained and ‘ㄴ/ㅇ’ was combined and vowel addition, resulting in ‘엔/엥’ nowadays. Since the grammar of dialect is made focusing on the central dialect, the conflicts with central dialect was not admitted. When judging by the criteria of central dialect quotation, the quotations of Jeju dialect are full of strange things. The ending is neutralized depending on the type of sentence, and used as indirect quotation marker, but many quotation markers appear in the same type of sentence depending on the ending. In addition, relative honorific or personal pronoun should be indirectized in indirect quotations, but sometimes only indirect quotation marks are used while maintaining the form of direct quotations. It is necessary to start the study from dialect in order to explain this. The thing which maintains its transitional status while changing from medieval language to modern language is the dialect, especially Jeju dialect. Therefore, the indirect quotation has changed from the imperfect shape in which the quotation markers are combined with various types ending into the modern sophisticated shape. ‘엔’ abridged and pronounced with ending was the prototype of indirect quotation. The ending sentence was neutralized depending on the sentence type like modern central dialect, and the indirect quotation was completed.

      • 중세국어의 인용문과 선어말어미 '오'

        석주연 형태론 2002 형태론 Vol.4 No.1

        중세국어의 인용문은 현대국어의 인용문과 같이 직접인용문과 간접인용문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데 그 나타나는 양상이 매우 독특하다. 이는 중세국어 체계 전반을 지배하는 질서가 현대국어 체계 전반을 지배하는 질서와 상이한 면을 보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중요하게 부각되는 상이한 질서란 중세국어 문장에서 화자가 서술어의 주어가 될 때 ‘오’라는 형식이 서술어에 개재되는 현상을 이른다. 중세국어 인용문에서 직접인용문과 간접인용문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것은 직접인용문에서 간접인용문으로의 전환시 나타나는 ‘서술 관점의 전이’라는 현상이 불완전하게 일어남으로부터 비롯된다. 피인용문의 원화자와 관련된 ‘오’가 간접인용문에 그대로 나타남은 ‘서술 관점의 전이’가 불완전하게 일어났음을 보여주는 징표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중세국어 인용문의 이러한 특징들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이것이 화자 표시의 ‘오’의 소멸과 관련하여 가지는 문법사적 함의를 살펴보는 한편 그 동안 ‘오’의 분포와 관련하여 예외적인 용례라 알려져 왔던 몇 가지 용례들을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인용과 화시소의 전이

        문숙영 ( Mun Suk-yeong ) 국어학회 2012 국어학 Vol.65 No.-

        이 글은 직접인용과 간접인용의 구분기제로 알려진 화시소의 전이 현상을 중심으로 하여, 간접인용을 화시 중심의 일원화 과정으로 설명할 수만은 없음을 살펴보고, 언어 유형적으로 인용의 종류를 나눌 때 가능한 접근법이 무엇인지를 논의한 것이다. 간접인용이라 하더라도 시제와 장소의 화시소는 인용화자의 관점으로 잘 전이되지 않으며, 시간의 화시어나 인칭 대명사도 부분적으로만 전이가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언어에 따라 일부의 인칭 대명사만 인용화자의 것으로 바뀌거나 일부의 인칭 대명사는 원래화자의 것이 유지되는 방식으로 간접인용과 직접인용이 구별되는 일도 있다. 이런 현상은 간접인용이 시점을 인용화자로 일원화하는 과정인 것만은 아님을 시사한다. 따라서 화시소의 부분 전이 현상이 수의적인 것인지 의무적인 것인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고, 언어마다 간접인용의 지표의 종류나 범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인용의 유형론은 해당 언어에서 이런 중간 유형을 허용하느냐의 문제보다 전이의 정도차를 보이는 화시소의 종류 및 그 전이의 의무성 여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반직접인용이나 간접인용처럼 관점의 전이가 허용되는 형식의 출현 배경으로는 화자의 주관화 경향과 이런 주관화를 허용하는 구술 내러티브의 특징을 생각해볼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shifts in deixis which are crucial properties distinguishing direct and indirect speech reports. It has been said that the perspective of the original speaker shifts towards that of the reporter and his speech situations in indirect speech. Much indirect speech, however, don't show so much shifts according to current reporting situation, but rather it's common to contain the viewpoint of the original speaker as well. This paper argues that this bi-perspective found in reported speech is partl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deixis themselves, partly because of the way of telling direct and indirect speech apart in some languages. Also we emphasize that multiple perspective is possible even within one sentence. On the basis of these facts, thus, it is claimed that obligatory shifts in deixis are distinguished from optional ones in classifying the kinds of reported speech. As for incomplete shifts in personal deixis, it may be the manifestations of speaker's subjectification.

      • KCI등재

        인용표지의 연결어미적 기능

        구종남(Koo Jong-nam)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3 No.-

        이 논문에서는 간접인용 표지 ‘-다고’, ‘-라고’, ‘-자고’, ‘-냐고’ 등 간접인용 표지들의 연결어미적 용법과 의미 기능, 그리고 이들이 이루는 구문의 몇 가지 통사적, 의미적 제약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들 표지들은 인용동사를 취하여 인용문을 구성하는 것이 전형적인 용법이지만, 인용동사를 취하지 않고 연결어미처럼 후행절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는 이 경우 이들이 연결어미적으로 쓰인다고 보고 이들의 의미 기능과 구문상의 특징을 논의하기 위해 먼저 간접인용 표지가 어떤 구조에서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는 인용적 형식동사이었던 ‘-’의 활용형 어미이었던 바, 피인용문의 각 문장형 종결어미가 중화된 종결어미 ‘-다’, ‘-냐’, ‘-라’, ‘-자’와 융합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이들 간접인용 표지들은 내재적으로는 연결어미적 의미를 갖지 않는데도 연결어미적 용법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간접인용 표지들이 연결어미적으로 사용될 때 이들의 의미 기능은 문맥적 추론에 의해 파악된다고 주장했다. 본고에서 밝혀진 각 인용 표지들의 중요한 의미 기능을 요약하면, ‘-다고’는 이유, 의도/목적, 양보, ‘-라고’는 의지/목적, ‘-자고’는 의도/목적, ‘-냐고’는 이유 등이다. 이들 표지들이 연결어미로 쓰일 때는 인칭, 문장 유형, 시제, 주어, 서술어 등에서 제약을 보인다. In indirect quotation "-go"(-고) is used as a quotation marker. This marker "-go" is originated from the connective ending "-go" which attaches to the quotation verb "ha-". Indirect quotation marker "-go" is fused with neutralized sentence final ending "-da", "-nya", "-ra", "-ja" (declar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suggestive sentence final ending respectively). So "-dago", "-nyago", "-rago", "-jago" are used in indirect quotation according to the sentence type of cited sentence. Not only are these markers used as indirect quotation markers, but also these are used as connective endings. These quotation markers do not have intrinsic meanings as connective endings. So the meanings of these markers are determined by the context-induced inference in subordinate conjoined sentences. In this paper precise meanings of these quotation markers("-dago", "-nyago", "-rago", "-jago") are elucid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joined sentences which have indirect quotation markers as connective e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 연구

        김미진 ( Kim Mi-ji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1 탐라문화 Vol.- No.67

        이 연구는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그 변화 과정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언은 구어로 실제 생활에서 사용될 때 그 의미를 가진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방언의 실제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인용문과 인용 표지에 대해 그 형태들을 확인하고 그 기능과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제주도 방언의 발화에서는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이라는 두 가지 형태만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인용문이 등장한다. 즉, 피인용문을 실제 발화하는 것처럼 그대로 인용하는 직접 인용과 인용 화자의 관점에서 간접화하는 간접 인용의 성격을 동시에 갖는 인용문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용을 자유 인용으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정형화되지 않은 자유로운 형태의 인용문을 선호하는 것은 인용자가 원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 동시에 피인용문과 객관적인 거리감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발화가 선행되고 이 발화를 전달하는 인용문이 후에 만들어진다고 본다면 직접 인용이 먼저 만들어지고 간접 인용은 후에 만들어졌을 것이다. 자유 인용은 이 두 인용 형태의 그 중간 과정이라고 볼 수도 있다.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은 이전에도 표준어와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어 주목받아왔다. 특히 문장종류별로 중화된 종결어미와 인용 표지가 축약되어 인용문을 만들지 않고 다양한 종결어미에 인용 표지가 바로 결합되는 특징에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현상은 노년층의 제주도 방언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종결어미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유지했던 기존의 제주도 방언 인용문은 젊은 세대로 갈수록 다양성이 없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usage patterns of quoted sentences in Jeju dialect and to figure out the process of its changes. A dialect is actual spoken language and has its meanings when used in real lif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actually used language in real life, not just the ones from dictionaries. In this study, the types of quoted sentences and quotation markers used in Jeju dialect get identified and their functions and usage patterns are going to get analyzed. In actual speaking of Jeju dialect, there are various quoted sentences which can’t be explained well in two different forms such as direct quotation and indirect quotation. Quoted sentences which have both characteristics of direct quotations quoting the quoted sentences like actual speaking and indirect quotations from quoting speakers’ perspectives can be found. Such quotations were classified into free quota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The preference for these types of citations seems to get triggered from the perspective they can deliver the quoters’ words more eff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keep objective distance from the quoted sentences. Historically, they has been called as quotation types in the middle considering the fact that direct quotations came first and then indirect quotations followed. Since quotations in Jeju dialect are colloquial, they are difficult in being distinguished into direct quotations and indirect quotations. In particular, the quotation marker seems to get combined to various sentence-closing endings directly without being abbreviated to neutral endings for each type of sentence. This kind of pattern is more distinguishable in Jeju dialect of the elderly. Existing Jeju dialect quotations which had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closing endings seemed to have less diversity towards younger generation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Jeju dialect are dying as it contacts and changes with other regional or standard languages. Such changes also can be found in quoted sentences.

      • KCI등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간접 인용 구문 분석

        이정란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1 No.-

        This study analyzed how indirect quotation is used in actual spoken utterance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compared them with Korean language textbooks. Especially, it was focused on how quotative markers and quotative verbs appear according to the types of quoted sentences in the indirect quot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ko’, a quotative marker, was omitted often in the indirect quot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quoted sentences. Especially, when the quoted sentence was a requesting or interrogative sentence, the rate of omission of ‘-ko’, quotative marker, was higher than the rate of occurrence. In the indirect quotation where quotative markers are omitted, the rate of ‘kuruda’, as aquotative verb was high and in the indirect quotation where quotative markers are present, ‘hada’ was combined often.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 case where the quotative mark ‘-ko’ was omitted was not present, and the quotative verb ‘kuruda’ was also not present.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실제 구어 발화에서 간접 인용 구문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한국어 교재와 비교하였다. 특히 간접 인용 구문의 피인용문 종류에 따라 인용표지와 인용동사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접 인용 구문에서 피인용문의 종류에 상관없이 인용표지 ‘-고’가 생략되는 현상이 빈번히 나타났으며, 특히 피인용문이 청유문과 의문문인 경우에는 인용표지 ‘-고’가 생략되는 비율이 출현한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인용표지가 생략된 간접 인용문에서는 인용동사 ‘그러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인용표지가 출현한 간접 인용문에서는 ‘하다’가 많이 결합되어 나타났다. 반면,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 인용표지 ‘-고’가 생략된 경우는 제시되지 않았고, 인용동사도 ‘그러다’는 제시되지 않았다.

      • KCI등재

        汉语自由转述体在韩国语译本的对应类型研究 - 以余华小说《许三观卖血记》韩译本为例 -

        단청총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6 No.-

        As a special form of citation, free indirect style is an interface issue that is concerned with linguistics, literature, and translation studies. As a special paraphrase in literary works, it can more vividly and flexibly convey the psychological activities of the action subject. The narrator's emotional attitude is also interwoven, making the whole text more obvious polyphony. This paper mainly analyses the corresponding situation of free indirect style in the Korean translation of Yu Hua's novel "Chronicle of a Blood Merchant". Four main types can be analyzed and summarized: "Typical free indirect style→Typical free indirect style", "Relatively typical free indirect style(indication type)→Relatively typical free indirect style", "Non-typical free indirect style(spoken type)→Direct citation type", "Non-typical free indirect style→ Non-citation type(objective)". The preliminary conclusions are as follows: in terms of similarities, both Chinese and Korean free indirect style has strong linguistic expression functions; in terms of differences, the Chinese free indirect style is used more frequently than Korean, and have strong subjective and interactive properties; Korean relative expressions are more objective and neutral, but less subjective. The linguistic causes of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anguage types, the complexity of the citation category, and the linguistic economy of Chinese and Korean. 자유간접화법(free indirect style)은 하나의 특수한 인용형태로서 언어학, 문학, 번역학에서 공통적으로 관심을 갖는 인터페이스(interface) 문제로 문학작품 중 특수한 전달방식으로서 동작주체의 심리활동을 보다 생동감 있고 유연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서술자의 감정태도도 또한 삽입되어 전체 텍스트에 뚜렷한 복조성(复调性)을 띠게 된다. 본 연구는 주로 위화(余华) 소설 '허삼관매혈기(许三观卖血记)'의 자유간접화법의 한국어 번역본에 대한 대응 상황을 분석하도록 한다. 다음과 같은 주요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형 자유간접화법→전형 자유간접화법', '비교적 전형 자유간접화법(지시 유형)→비교적 전형 자유간접화법', '비전형 자유간접화법(연설言说 유형)→직접 인용', '비전형 자유간접화법→비인용(객관)' 이런 네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석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사점에서 중한 자유간접화법은 비교적 강한 언어 표현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차이점에서 중국어 자유간접화법의 사용빈도는 한국어보다 높고 비교적 강한 주관성과 상호작용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어 관련 표현의 객관성, 중립성이 비교적 강하며 주관성이 비교적 약하다. 이러한 유사점 및 차이점이 나타나는 언어학적 요인이 주로 중국어와 한국어의 언어유형, 인용 범주의 복잡 정도 및 언어 경제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KCI등재

        연결어미 '-(으)라고'에 대한 재고

        팽이림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pplement the existing research by verifying the basis of the conjunctive ending ‘-(eu)lago’ which combines with adjective stems. The discussion is conducted by dividing ‘-(eu)lago’ into quotation and not quotaion. First of all, considering two points which someone is some adjectives could be used in the imperative and the other one is the verbs that used in following clause are quotative verbs, the ‘-(eu)lago’ still could be regarded as an quotation ‘-(eu)lago’. If the preceding pronunciation of the phrase ‘-(eu)lago’ cannot be assumed, the adjectives combined with ‘-(eu)lago’ cannot be used in the imperative form. And the verbs that used in following clause are not quotative verbs. It is also decided to interpret ‘-(eu)lago’ as a conjunctive ending by confirming that the syncretism of ‘-go ha-’ and the replacement between ‘go’ and ‘Ø’ in the indirect quotations of the command are impossible. And from a semantic point of view, the adjectives combined with ‘-(eu)lago’ are not presumed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listener. In some cases, the subject of the antecedent clause is abiotic model. And the antecedent clause and following clause are subordinate relationships. From this point of view, ‘-(eu)lago’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junctive ending which is different from quotation ‘-(eu)lago’. 본고는 형용사 어간에 결합된 ‘-(으)라고’를 대상으로 하여 연결어미 ‘-(으)라고’의 판별 근거를 재확인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기술을 보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으)라고’를 ‘인용’의 ‘-(으)라고’와 ‘인용’이 아닌 ‘-(으)라고’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우선 ‘-(으)라고’는 형용사 어간과 결합되어 있으나 일부 형용사가 명령형이 가능한 점과 상위절 서술어가 인용동사에 해당된 점을 고려하여 ‘-(으)라고’를 여전히 ‘인용’의 ‘-(으)라고’로 보았다. 이에 반해 ‘-(으)라고’에 결합된 형용사가 명령형이 불가능하며 후행절 서술어마저 인용동사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에는 ‘-(으)라고’를 하나의 연결어미로 해석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형용사 어간과 ‘-(으)라고’가 결합된 쓰임 중 형용사는 명령형이 가능하지만 후행절 서술어가 인용동사가 아닌 경우와 형용사는 명령형이 불가능하고 후행절 서술어가 인용동사에 속한 경우가 있다. 이들을 간접인용절로 설명할 수 없는 것으로 보아‘-(으)라고’를 연결어미로 볼 수 있다는 소결을 얻었다. 그리고 선행절 형용사가 명령형이 가능한 것과 후행절 서술어가 인용동사에 해당된 것이 동시 충족되어야 ‘-(으)라고’를 간접인용절의 복합체로, 그렇지 않으면 연결어미로 해석해야 한다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한편, 의미적 관점에서 형용사 어간과 연결어미 ‘-(으)라고’가 구성된 구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어떠한 상태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후행절 서술어가 의미하는 행위를 취한 것으로 설명해야 한다. 이러한 ‘-(으)라고’의 의미 기능을 ‘목적’으로 정한 것이 더욱 온당하다. 또 ‘-(으)라고’에 결합된 형용사가 청자의 의지대로 실현되지 않는다는 점, 선행절 주어가 무정물인 경우가 있다는 점과 선·후행절은 목적의 종속관계에 있다는 점에 의해 ‘인용’의 ‘-(으)라고’와 확실히 구분될 수 있다.

      • KCI등재

        ‘이’, ‘그’ 계열 지시어의 인용표지적 성격에 대하여 : 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채숙희(Chae, Sookhee) 도서출판 박이정 2010 형태론 Vol.12 No.2

        인용동사 앞에 지시부사어 ‘이렇게’, ‘그렇게’가 쓰이거나 인용명사 앞에 지시관형사 ‘이런’, ‘그런’이 쓰이는 일부 구성에서는 이들이 생략될 수 없는 필수적인 요소로 쓰인다. 기본적으로 이들은 지시의 기능을 하는 어휘적인 요소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 이들은 선행하는 문장이 피인용문임을 나타내는 인용표지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의 인용표지적 성격은 이들이 생략될 수 없다는 점 외에도 이들이 인용표지 ‘고’, ‘라고’, ‘는’, ‘라는’ 등과 공유하는 통사적 특성을 통해 드러난다. 다른 언어들에서 지시어에서 보문자로 발달한 예들을 보았을 때에도 이들과 같은 지시어가 인용표지적인 성격을 띠게 된 것이 한국어에 국한된 특수한 현상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인용표지적 성격을 가지는 ‘이’, ‘그’ 계열 지시어가 쓰인 인용구문 및 인용명사구는 직접인용, 간접인용, 그리고 이 둘의 중간적 특성을 보이는 인용방식이 모두 쓰이는데, 직접인용이 다른 방식들에 비해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이러한 인용구문 및 인용명사구의 특징이다. The demonstrative adverbials such as 'ilehkey' and 'kulehkey' and the demonstrative adjectives such as 'ilen' and 'kulen' act like quotation markers, when they precede quotation verbs or nouns. They are necessary elements which cannot be omitted. They share several syntactic properties with quotation markers. This phenomenon is not only peculiar to Korean. Demonstratives which have changed into complementizers are found in some other languages and this explain why 'i', 'ku' demonstratives exhibit characteristics like quatative markers. Quotation sentences and quotation noun phrases where these demonstratives are used can be of direct speech type, of indirect speech type, and of type inbetween. But, high percentage of such constructions is of direct speech type.

      • KCI등재

        제주 방언의 인용 구문과 매개변항

        김지홍 한글학회 2019 한글 Vol.- No.326

        Folk narrative scripts, compiled in the early 1980s, exhibit the two quotation forms used in Jeju Korean: direct quotation, denoted by “–ko hɔta,” and also used in standard Korean, and indirect quotation, denoted by “-yen mal # hɔta.” The latter form should be represented as the conjugation of the copula “ita” followed by the adjectival ending “-n” to modify the following head noun, “mal” or speech. In part, these forms maintain a register variation th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istener’s social status, but such adjustment was not particularly consistent. They also extend their function to include unquoted speech, such as expressions of emphasis, the speaker’s internally oriented thoughts, and conjecture about the listener’s intentions. The functional expansion of this form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an overall discoursal macrostructure that creates justifications to focus the listener’s attention. 이 글에서는 1980년대 제주 방언의 채록 자료에서 관찰되는 인용 구문과 유사 구문들을 놓고서 담화 전개의 토대 위에서 일관된 해석이 이뤄짐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형태소 분석에서 ‘-이엔 말#ᄒᆞ다’의 형상을 지닌 구문과 ‘-고 말하다’의 형상을 지닌 구문이 관찰되었는데, 각각 계사의 속성에 근거하여 내포 의미를 가리키는 간접 인용으로, 묘사동사의 속성에 근거하여 외연 의미를 가리키는 직접 인용으로 상정할 수 있었다. 동시에 변동이 관찰되는 두 구문이 격식성ㆍ공식성을 반영하는 말투 변이일 가능성을 추구하였다. 직접 인용이든 간접 인용이든 간에 의성어ㆍ의태어를 비롯, 본디 발화의 억양을 담고 있는 사례에서부터 시작하여, 강조 구문을 거쳐, 자기 자신의 마음속 생각을 표현하거나 남의 마음가짐이나 의도까지 간접 증거로써 추정하는 경우에도 인용 구문 형식이 그대로 쓰였다. 이를 해석하기 위하여 밑바닥에서 작동하는 담화 전개 전략을 상정함으로써, 여러 가지 거시구조를 드러내기 위하여 인용 구문이든 유사 구문이든 서로 공모해야 함을 지적했고, 이런 측면에서 전형적 인용 구문의 확장이 불가피함을 설명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