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톨릭靑年』 소재 문예물 연구

        이근화(Lee, Geun-hwa)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7 No.-

        『가톨릭 청년』은 조선 가톨릭 연합회가 문서 선교를 위해 1933년 6월 발간한 월간지이다. 발간 취지에 따라 가톨릭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주로 제공하였으며 서구 역사와 전통을 알리는 계몽적 성격의 글들을 게재하였다. 조선사회가 가톨릭에 대해 친화력을 갖고 있었던 것은 경제적 붕괴와 국권 상실, 식민 통치로 이어지는 근대화 과정 속에서 조선인들에게 새로운 담론과 인식론적 토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가톨릭청년』은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켜주었으며 조선 문인들의 문학 작품을 발표할 수 있는 지면을 적극적으로 할애에 주었다. 『가톨릭청년』에는 당대 문인들의 대표작들이 대거 수록되어 있으며, 문예면에 대한 적극적 관심은 종교와 문학이 만나는 접점을 구상하는 계기가 되어 주었다. 근대 서정시가 가지는 초월적 성격은 근대 문화와 함께 유입된 서구 종교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정지용의 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상징적, 통찰적, 실천적, 미래적 가치의 측면에서 종교의 긍정성을 논할 수 있으며, 바로 이 지점이 문학과 통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여러 층위에서 가톨릭 문학을 논할 수 있다. 소재나 모티프의 차원에서 가톨릭적인것, 실용적 기능의 차원에서 선교를 목적으로 한 것, 인생과 세계에 대해 통찰적이고 초월적인 사유를 내포하고 있는 것, 세속적 삶을 되돌아보고 더 나은 삶을 향해가려는 움직임을 보유한 것 등이 『가톨릭청년』 문예란에 게재된 작품들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작품들은 근대적 주체의 반성적 사유를 보여주거나 일정한 미학적 성과를 거두고 있기는 하지만 실질적인 체험의 영역에서 현실 사회의 문제점을 직면하지 못하고 있는 측면이 발견되기도 한다. 종교가 이미 탐구한 것을 전하려는 강력한 의지로 충만해 있다면, 문학은 예술 장르의 특성상 여전히 사물과 대상을 탐구하려는 의지가 계속 남아 있었다. 가톨릭 문화의 전파와 영향 속에서 조선 문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지속적인 탐구 정신과 개방성은 조선문학의 변하지 않는 가능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Catholic Chungnyean[Catholic Youth] was a monthly magazine published by the Joseon Catholic Federation with a purpose of missionary work in June 1933. It mainly provided Catholic knowledge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agazine and provided enlightening articles based on the history and customs of the West. Joseon society became open to the principles of Catholicism due to the need for new discourses and epistemology to approach colonial modernization. Catholic Youth focused on providing literary works and included famous writers’ major works of that time. It can be viewed as the first step in forming a junction between religion and literature. The transcendence of modern lyric poetry was from this religiosity. We can see this through Jeong Ji-Yong’s poetry. Religious positivity can be discussed from symbolic, insightful, practical, and futuristic aspects, and at this point, it arrives through literature. Therefore, it is able to discuss Catholicism from different aspects. The works from Catholic Youth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being centered on Catholic themes in the material and motive aspects, having purpose of mission in the practical aspect, involving insightful and transcendent reasoning about life and the world, and looking for a better life by reflecting on the secular life. However, another aspect is sometimes found which does not face the problems of real society in the sphere of actual experience. It is not difficult to prove that the works were superficial in the discourse aspect which was out of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subjectivity.

      • KCI등재

        가톨릭학교교육 이념에 대한 연구 :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金敬伊 한국종교교육학회 2004 宗敎敎育學硏究 Vol.18 No.-

        가톨릭학교의 사명은 인간 완성의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그리스도적 교육의 실현에 있다. 가톨릭학교가 교육적 이념을 다 할 때 현행 교육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이들에게 하나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사들이 동의하는 교육이념은 교사로 하여금 동기를 유발하게 하고, 교육활동에 헌신하게 한다. 가톨릭학교의 교육이념은 그 자체로 효과적인 학교를 가능하게 하는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톨릭학교에 대한 주요 교회문헌에 기초하여 가톨릭학교교육의 이념을 고찰하고 교육이념에 대한 가톨릭학교의 구성원들의 인식을 조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ing and to survey the present state of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ing which was Catholic school member's perception about them. The church's role is especially evident in Catholic school. These are no less zealous than other school in the promotion of culture and in the human formation of young people. It is, however, the special function of the Catholic school to develop in the school community an atmosphere animated by a spirit of liberty and charity based on the Gospel. Teachers must remember that it depends chiefly on them whether the Catholic school achieves its purpose.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reveled that the Catholic school member's perception's degree about the Catholic schooling is high tendency. But knowing what and knowing how is separate issues. There for, teacher's performance is primary factor in the Catholic schooling.

      • KCI등재

        가톨릭고등교육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 가톨릭대학교를 중심으로

        최준규,김경이,원순식 韓國宗敎敎育學會 2008 宗敎敎育學硏究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searching for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the Catholic University of the Korea. The perspectives of the article based on the Catholic education. That means, the integration of the mission of the Catholic higher education, curriculum,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the most important task to fulfill the purpose of Catholic University of the Korea. To get the purpose we asked the followings: Firstly, what is the mission of the catholic higher education? What is the identity of the Catholic higher education? To get the answers, we searched the Catholic Church document about Catholic Higher Education. Secondly,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the Korea? What are the perspectives of the members who are faculty, staff and student in the CUK, about the mission identity and characteristic of the CUK? To get the empirical evidences, we took the way of survey and analysis of the rules. The objects of the survey are the faculty, staff and student in the CUK. The materials of the analysis are the rules about personnel administration, offering curriculum and programs and mission statement. Thirdly, we proposed the strategies for the integration of the mission and educational system. According to the documents, the main role of the Catholic Higher Education is the realization the Christian education. To fulfill these, Following things are required to the Catholic Higher the Education; integration of the reason and faith in the research and teaching, keep the scholastic excellence, enlargement of the social service, service learning, catholic experience, making up the merit system. 본 연구는 본 가톨릭대학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가톨릭 고등교육의 정체성과 가톨릭대학교 교육기반의 통합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첫째, 가톨릭교회의 공식문헌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의 "가톨릭" 정체성 의미를 탐구하였다. 둘째, 가톨릭 대학의 인적, 학제적차원에 나타난 가톨릭 특성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현 가톨릭 대학 구성원의 가톨릭교육에 대한 의식 조사와 가톨릭대학교의 명문화된 교육이념, 규정, 교육과정 등의 제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이론 연구와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가톨릭 정체성과 교육기반의 통합전략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제도적 교육영역에서는 인간학·영성과정 운영 강화, 문화영성대학원의 강화, 종교·철학·신학 강좌의 강화, 가톨릭 특정 영역 교육, 가톨릭 정신과 통합한 과목 개발 등을 제안하였으며, 연구와 봉사 및 가톨릭공동체 형성의 영역에 있어서는 신앙과 이성을 통합하는 연구의 권장, 사회봉사의 확대, 수업과 봉사의 결합, 가톨릭 경험 기회의 확대, 가톨릭교육이념 수행자에 대한 보상 강화 등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교육활동 안에서 가톨릭 신앙을 적극적으로 실행하면서 가톨릭교육의 사명을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가톨릭 학교의 지침과 종교교재

        최영희 한국종교교육학회 2006 宗敎敎育學硏究 Vol.22 No.-

        종교교육에서 충만한 신앙의 관점으로 양육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가톨릭 학교의 지침과 종교교재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가톨릭 학교에 관한 교육지침은 종교교재가 지녀야 할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신앙인으로 양육해야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먼저 가톨릭 학교의 지침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아야 필요가 있다.본 논문에서는 가톨릭 학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톨릭 교육’ 및 ‘가톨릭 학교’에 관한 문헌들을 살펴보면서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을 주로 고찰하게 된다. 가톨릭 학교에 관한 주요 지침을 크게 다섯 가지로 제시한다. 즉 첫째, 그리스도께 토대를 둔 전인교육, 둘째, 가톨릭 학교의 교회적 그리고 문화적 독자성, 셋째, 가톨릭 학교의 교육적 사명(가톨릭적 교육 목적의 실현), 넷째, 사회에 대한 봉사, 다섯째, 학교 내에 자유와 사랑 그리고 복음적 정신이 충만한 공동체 형성에 두고 있다.우리나라에서의 가톨릭 종교교재에 대한 것은 1958년을 시작으로 2002년까지 제작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초창기 때의 종교교재는 교리 중심적이고 주지적인 경향이 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종교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종교》(2002년에 출판)와 《고등학교 종교》(2002년에 출판)는 그 내용이 좀 어렵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한 종교교재의 내용이 일상생활에서 적용되고 활용될 수 있느냐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종교교재를 새로 만든다면 교육 현장의 생생한 소리를 듣고 학생들에게 접목될 수 있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교과 내용이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교육 현장에서의 효용성 여부에는 여러 가지 변인이 있기 때문이다. 교과 내용을 배우는 학생들이 그 교과 내용에 관심이 없다거나 가치부여를 하지 않는다면 전인교육에 지장을 초래하기 쉽다. 그러므로 종교교육의 특징에 부합하는 교수-학습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학습자가 종교교육에 대한 내용을 알고, 깨닫고, 실현할 수 있는 교육 분위기 형성으로 삶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 로마가톨릭의 이교지정에 대한 선교신학적 연구

        김성욱(Kim, Seong Uck)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4

        본 논문은 로마 가톨릭의 이교(異敎)지정에 대한 총회 신학부의 헌의안에 대해 선교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로마 가톨릭의 교황주의, 성모 마리아숭배, 종교다원주의 등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한 개혁교회의 입장을 정리하는 것은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McGrath)는 그의 저서인 “기독교 그 위험한 역사”에서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서, 반가톨릭이 개신교의 정체성을 당시 상황에 맞추어 특수하게 표현한 것일뿐, 반가톨릭이 개신교의 정체성이 될 수 없으며, 처음부터 마틴 루터(Martin Luther)와 존 칼빈(John Calvin)은 가톨릭과 정교회도 기독교로 인정했음을 강조했다. 종교개혁자들의 신학적인 유산에 따라, 로마 가톨릭의 이교지정의 과제에 대해 보다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 성급한 결정은 장자 교단의 위상과 진로에 많은 문제들을 양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부 과격한 종파들처럼 무분별하게 정죄하는 일에 참여하는 계기를 주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로마 가톨릭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선교활동이 필요로 한다. 오늘날, 전세계 선교현장에서 한국선교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로마 가톨릭이 대세였던 라틴 아메리카에서 개신교의 선교부흥이 일어나고 있다. 가톨릭교회의 둔화속에 라틴 아메리카에서 개신교의 선교적 약진이 오늘의 현상이다. 로마 가톨릭을 향한 성경중심적인 개혁주의의 진리를 가지고 선교사역에 임해야 할 때가 왔다. 선교의 사명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지상최대의 사명으로 주님 다시 오실 때까지 땅끝까지 복음전파의 사역을 순종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about charging with paganism of Roman Catholic in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from a missiological perspective. The Roman Catholic has many problems such as the infallibility of the pope, the assumption of the virgin Mary, and religious pluralism. Alister McGrath explain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Roman Catholic and the Protestant in his book Christianity’s Dangerous Idea the Protestant Revolution: A History from the Sixteenth Century to the Twenty-First. He insisted that the identity of the protestant was not a anti-Catholic in that century and they recognized Roman Catholic as a Christianity.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also considered Roman Catholic as a Christianity. Therefore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needs a serious attention on charging with paganism of Roman Catholic. And Latin America is a good mission field. They needs Korean missionaries today. With Reformed doctrine Korean Church should preach the gospel to the Latin America. The missionary work to the Latin america is from the Great Commission (Math. 28:19-20).

      • KCI등재

        추기경 애버리 덜레스, S.J.(1918-2008)의 다양한 교회의 모델들과 교회의 진정한 가톨릭성(보편성)을 찾는 여정

        서한석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4 가톨릭신학 Vol.0 No.24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of the true Catholicity (Universality) of the Church, presented by the ecclesiology of Cardinal Avery Dulles through models of the Church. Christ as universal savior is the only mediator between God and man; He is the fountain of the Grace, who is offered to all mankind. In one sense catholicity belongs to Christ by his very constitution as Incarnate Word. In a further sense he is catholic by reason of his primacy over all other creature, and in third sense, in so far as he is head of the Church.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cannot be adequately understood except in the light of Christ s vertical catholicity who came down from heaven. The Church may be called in the terminology of Avery Dulles, the consciously Christified portion of the world . At the same time, Dulles understood catholicity as a union of diverse parts in a community of mutual support. Based on this, we study about the dimension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spects of catholicity, introduced by the Catholic Church, through the six models (Institutions, Mystical Communion, Sacrament, Herald, Servant, Community of Disciples). The various models, put in the views of Catholic as well as Protestant, become the first ecumenical element for us to examin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universality by the ecclesiology of catholicity. Our theological question is like these points: (1) How does each model persist the apostolic continuity for the mission of the Church? (this question is the dimension of the vertical and qualitative catholicity, because this catholicity maintains the apostolic continuity for proclamation of Gospel missioned by Jesus Christ from “above”) (2) Until which extent of catholicity may each model present the beneficiaries of Grace flowed out from Church? (this question is the quantitative dimension of catholicity). Theses theological points help us to meet the Church renewed in the “interior” (ad intra), and the Church toward the world and other christian brothers (ad extra). First of all, Dulles study about the dialectical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rough which each of the models interacts with other model of the Church. At the same time, he persists the balance between the institutional catholicism and spiritual elements of catholicity, making his effort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teaching of the Church in the prospective of the ecclesiology of “symbolic realism”. This“horizontal” catholicity is constituted from that “vertical” catholicity and this “Catholic Christianity”, that implies not only extensive universality but also qualitative wholeness, is disclosed by Catholicism. Catholicity suggests universality in a rather abstract sense, whereas Catholicism is mo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structures that make for the transmission and retention of that particular fullness which was given in Christ to the apostles and the apostolic community. 이 연구의 목표는, 덜레스 추기경이 제시하는 교회의 다양한 모델들을 통하여, 교회의 진정한 가톨릭성(보편성)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그 해답을 찾는 것이다. 우리가 교회의 “가톨릭성” 혹은 “보편성”이라고 말할 때, 그 첫 번째 의미는 바로 저러한 가톨릭성이 육화하신 그리스도에게 속한다는 사실을 함축한다. 왜냐하면 육화하신 그리스도로부터 인류에 대한 구원적 보편성이 흘러나오기 때문이며, 이제 그리스도의 구원 사업을 일구어가는 교회 역시 그 가톨릭성을 획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교회는 육화하신 그리스도와 그 본질적 관계를 맺는 수직적 가톨릭성의 조명 아래 이해 될 수 있을 뿐더러, 이제 이러한 수직적 가톨릭성은 기쁜 소식을 전하는 교회 공동체를 통해서 온 인류의 세상으로 뻗어나간다; 이 세상은 교회가 되는 것이고, 역으로 교회는 세상이 되는 것이다. 동시에 이 수평적 가톨릭성이 교회에 적용되었을 때, 그 의미는 서로 상이한 신앙인들의 훌륭한 그리스도교적 요소들 사이에서의 상호간의 친교를 지시하며 세상 을 향하여 그리스도교적 일치의 흐름으로 나아가는 것을 뜻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덜레스가 제시하는 교회의 여섯 가지 모델들을 통하여(곧, 제도, 친교, 성사, 말씀의 전달자, 종, 제자들의 공동체), 가톨릭 그리스도교가 제시하는 가톨릭성의 수직적 측면과 수평적 측면을 연구하는 것이다. 가톨릭 뿐 만 아니라, 프로테스탄트의 관점에서 제시된 다양한 모델들은 가톨릭성의 신학을 점검하는 데에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의 신학적 물음은 다음과 같다: (1) 각각이 제시하는 모델은 온 세상의 복음화를 위해서 그리스도께로부터 받은 교회의 사도성에 대한 그 연속성을 어떻게 지탱해 나가는가? (이는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유래하는 교회 가톨릭성의 질적 수직적 차원이라고 할 수 있겠다) (2) 각각의 모델은 가톨릭성의 어느 범위에 이르기까지 교회에 대한 그 은총의 수혜자들을 포함 할 수 있는가? (보편성의 그 양적인 차원) 이러한 물음들은 우리로 하여금, 각각의 모델들의 변증법적 상호 보완성의 관계 고찰을 통해서, 그 내부에게로의 (ad intra) 교회의 쇄신과, 다른 갈라진 그리스도교 형제들과 세상을 향해서 서 있는 그 외부를 향하는 (ad extra) 교회의 가톨릭성을 만날 수 있도록 이끈다. 보편성에 대한 덜레스의 교회론은, 성사로서의 교회가 드러내는 실재 상징주의적 구원의 열쇄를 쥐고, 진정한 일치 안의 적법한 차이성에 대한 모든 관점들을 환대하며, 그리스도교의 모든 가능한 입지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그의 신학적 임무는, 한편으로는 그 자신이 에큐메니컬 다원주의적 신학에 호감을 가지고 있는 만큼 그리스도교적 다양성과 그 풍부함을 긍정적으로 평가 하는 것이며, 그러나 동시에 교회의 사도성과 가르침 들에 대한 그 연속성을 보존하려고 노력하면서, 가톨리시즘의 제도적인 요소들과 가톨릭성의 영적인 요소들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보편적 그리스도교”는 온 세상을 인류 가족이라는 범위로서 설정하는 그 가톨릭성을 포함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어떤 질적인 차원으로서의 가톨릭성도 함께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한다. 신비로서의 가톨릭성은 어떤 추상적인 보편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가톨리시즘의 가시적 중재의 구조들안에서 유지되는데, 이러한 가시적 중재란 바로 성서, 교의, 성사와 전례, 그리고 교회의 직무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톨릭시즘은 보편성으로써 이해되어질 뿐만이 아니라, 일치성, 거룩함, 사도성 혹은 좀 더 일반적으로 교회의 본질적인 온점함을 위해서 필요한 모든 요소들로써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인성교육에 관한 홀리스틱사상과 가톨릭사상의 비교

        이종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6 가톨릭신학 Vol.0 No.28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가톨릭교회 내에서도 이인성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펼쳐져야 할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인성교육의 관점에 대해 홀리스틱사상과 가톨릭사상을 비교해 봄으로써, 오늘날 인성교육영역에서 많이 회자되고 있는 홀리 스틱사상이 가톨릭 인성교육의 계발을 위해 던져주고 있는 시사점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홀리스틱사상가들이 주장하고 있는 홀리스틱사상의 인간관과 인성교육에 대해 살펴 본 바, 홀리스틱사상에서는 (1) 기계론적 인간관을 배척하고, (2) 인간이 신체, 감정, 마음, 영혼을 지닌 전인(whole person)의 인격체임을 강조하는 인간관을 지녔음이 드러났다. 또 이에 따라 그들이 추구하는 인성교육은 (1) 전인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고, (2) 관계성을 강조하고, 또 (3) 영성을 강조하는 형태의 인성교육이라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한편, 성경의 가르침, 사목헌장의 가르침, 그리고 두 현대 교황의 가르침을 통해 가톨릭사상의 인간관을 살펴 본 결과, 2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인간은 하느님의 모상(Imago Dei)으로 창조되었다는 것이고, 둘째, “육체와 영혼으로 단일체를 이루는 인간”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가톨릭의 인간관에 기초하여 가톨릭의 인성교육은 (1)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고, (2) 공동체성을 강조하고, (3) 사랑과 봉사의 실천을 강조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함이 드러났다. 인성교육 관점에 대해 홀리스틱사상과 가톨릭사상을 비교한 바, 무엇보다도 홀리스틱사상의 인성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관계성”의 강조와 “영성”의 강조, 이 두 측면이 가톨릭 인성교육의 발전, 특히 학생들을 위한 실천적이고 체험적인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계발에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제안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ere is a need to provide humanity education in the Catholic Church considering the present-day situation enforcing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implications for devising methods of Catholic humanity education by comparing the holistic philosophy with Catholic though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olistic philosophy (1) excludes the mechanical view of humans, and (2) emphasizes the view that humans are a whole person with a body, emotion, heart and soul. Therefore, its philosophy would demand to understand a human as a whole person, (2) to stress human relationships, and (3) to emphasize spirituality. Second, the view of humans in Catholicism is able to be summed up in two points developed through teaching of the Bible, teaching of the Gaudem et Spes(GS), and the latest two Popes. The two points are that humans are created in God’s image(Imago Dei), and are one unit composed of a body and soul. On the basis of these views of humans, the humanity education in the Catholic Church needs to provide methods in (1) making improvements to human dignity, (2) emphasizing community attribution, and (3)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mare and Service. In conclusion, two points, which are emphasized in holistic philosophy, “relationship” and “spirituality” are the most important requisites for the practical and experiential humanity education programs.147)

      • KCI등재

        한국가톨릭계의 안중근 기념사업 전개와 그

        신운용(Shin, Woon-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1 No.-

        필자는 한국가톨릭계의 안중근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없이는 안중근의 사상의 현재화 또는 미래화를 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한국가톨릭계의 안중근 기념 사업 전개와 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국권회복 이전 뮈텔 주교를 필두로 한 한국가톨릭계의 주류세력은 안중근의거를 살인행위로 규정하였다. 물론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았지만 드망즈 신부 등 안중근의거를 적극 옹호한 세력도 존재하였다. 하지만 계봉우와 같이 안중근을 성인의 반열로 올린 가톨릭인사는 보이지 않았다. 항일전쟁기 한국가톨릭계는 부정적인 안중근인식이 강하였다. 일제로부터 벗어난 이후 안중근을 건국의 이념적 지표로 삼고자 한 가톨릭 신자 박강성과 같은이도 있었다. 하지만 가톨릭계는 1970년대까지 노기남 대주교가 안중근 추도 미사를 거행한 일도 있으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양상은 안중근관계자료의 발굴과 출간, 한국의 경제발전, 민주화의 진전과 더불어 매우 느린 속도로 바뀌어갔다. 특히 한국민주화운동을 이끌었던 사제단 소속의 신부들이 중심이 되어 지속적인 안중근 추모행사와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사제단은 교단의 인식보다 늘 한발 앞서서 안중근을 한국가톨릭의 중심으로 세우려고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남북분단이라는 현실을 극복하고 통일을 열 에너지원으로 안중근의 사상에 착목하였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에너지원을 안중근에게서 얻었다. 이들의 활동은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의 조직과 안중근평화연구원의 창립으로 이어졌다. 이는 안중근을 추모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민족발전의 사상적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국가발전 전망과 안중근을 한국가톨릭사의 가장 위대한 ‘순교자’로받들어 가톨릭의 미래비젼으로 삼겠다는 원대한 포부에서 나온 것이다. 한편, 교단의 안중근인식은 느리지만 지속적인 변모의 양상으로 보였다. 특히 1993년 김수환 추기경의 고백은 가톨릭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는 역설적으로 가톨릭계의 안중근인식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안중근을 순교자로 볼 수 없다”, “안중근의거 때문에 일제의 한국병탄이 앞당겨졌다”, “안중근이 천주교신자였습니까”라는 주장이 거침없이 나왔던 것이다. 그러나 2009년 의거 100주년과 2010년 순국 100주년을 기하여 가톨릭계의 안중근인식에 커다란 변화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특히 염수정 주교는 “안중근의 시복시성을 추진하겠다”는 선언을 하였다. 하지만 국권이 회복된 지 66년이 지난 지금까지 분명하지 못하고 더딘 안중근인식을 드러내고 있는 한국가톨릭계의 현실을 본다면 시복성문제도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판단된다. This thesis is about the history of An Jung-Geun Memorial affairs by Korean Catholic church and its meaning on the basis that we cannot establish An's commemoration and realization of his thoughts apart from the Korean Catholic's recognition on An Jung Guen. it concludes: There had been two sect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on An's patriotic deed. One is the major faction in church led by Bishop Mutel who didn't see An's commitment as more than a murder. The other hardly revealed one with Father Demange Florian had valued An's deed as an honorable one; None of them but Ke Bong-Woo the Korean Christian scholar were willing to saint An Jung-Geun. Korean Catholic Church have had a tendency showing a strong negative view on An Jung-Gue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Korea. There still was one catholic Park Gang-Seong trying to take An Jung-Geun as the spirit of the national foundation right after Korean being free from Japanese Imperialism. Korean Catholic Church hadn't made much difference other than Archbishop No Ki Mam's holding annual memorial mass for An Jung-Geun till 1970s. This Korean Catholic Church has been slowly changing its viewpoint with the find of An's historical records and its publication, Korean economic development and its democratization; 'Korean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leading the Korean democratic movement takes center to continuously hold the memorial service for An Jung Guen and annual academic conference on his thought. They have struggled to make An Jung-Geun’s stand on the cor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priests from the Association look back An Jung-Geun and certainly find him to be the spirit and the concreteness to reunite the South and North Korea. The movement of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finally came up with organizing An Jung-Geun memorial conference and the foundation of An Jung-Geun Academic Institute for Peace. They have the great ambition and strong willingness to commemorate An Jung-Geun and let him to spread his theological driving force to help national development, furthermore respect him to be 'the greatest martyr' in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and admire him as inspirational leader for the future. To be differ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the church has gradually changed the viewpoint on An Jung-Geun. In 1993, Cardinal Kim Soo-Hwan's comment on An Jung-Geun reatly shocked Korean Catholic Church; it was paradoxically showing their indifference to An at a glance. Therefore the unconcerned priests produced the claims: "An Jung-Geun cannot be the martyred", "He is the one putting forward Japanese illegal occupation in Korea" or "An Jung-Geun, a catholic?" Some great variations came up right before and after the 100years anniversary of An's martyr and his patriotic deed. Bishop Yem Su-Jeong made an announcement that the church will soon come to have An Jung-Geun canonized and saint him. It seems to take time though considering the present Korean Catholic church's little understanding about him even though now it has been 66 years since being independent from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현대의 ‘피로사회’ 속에서 가톨릭 신앙 감각의 회복

        송용민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4 가톨릭신학 Vol.0 No.25

        우리 시대는 타자를 부정하는 시대가 아니라, 오히려 긍정해야할 가치들이 넘쳐나는 시대, 한 마디로 ‘긍정성의 과잉’으로 인한 신경성 질환들이 시대의 질병으로 떠오르고 있다. ‘피로사회’란 타자의 이질성에 대항하여 자기 정체성을 강조하던 시대를 지나 타자를 자기성숙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긍정성의 과잉으로 인해 발생한 현대 사회의 병리현상을 표현한 말이다. 피로사회는 ‘면역학적 부정성’에서 ‘긍정성의 과잉’으로 전환되는 현상, 규율사회에서 성과사회로의 전환, 활동사회에서 피로사회에로의 전환을 특징으로 삼는다. 이러한 피로사회에서 인간은 사색하는 삶의 가치를 잃고, 성과 중심의 삶에 몰입함으로써 피할 수 없는 현대인의 심리학적 병리현상을 겪고 있는 셈이다. 종교 역시 현대의 피로사회 속에서 종교의 세속화 현상으로 인해 신앙의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제2의 신앙위기를 겪고 있다. 전통적으로 수용해 온 신앙 교리들에 대한 해석의 혼란이 나타나고, 신자들은 교회의 윤리 규범과 세속적 상황윤리의 당위성 사이에서 갈등하며 계명 준수의 난해함으로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최근에는 종교의 보편적 가치가 종교 혼합주의나 종교 다원주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절대 규범으로 여겨진 그리스도교의 복음 정신이 상대화되거나 다른 이질적 종교심과 혼합되어 편의주의적 신앙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성과와 은사 중심의 신앙에 따른 피로감의 증대되면서 ‘제도화된 의무적 신앙’이나 신앙의 은사활동의 과잉으로 인해 냉담이나 냉소적 신앙에로 전락할 위기를 느끼게 하고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성과 중심의 사회 속에서 사색적 삶의 상실과 교회 안에서 치유체험의 결핍은 신자들의 신앙생활이 기쁨과 영적 충만이 아닌 피로감과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현대의 피로사회 속에서 가톨릭‘신앙 감각’의 회복은 미래의 신앙 교육의 비전을 제시하는 중요한 신학적 기초가 될 수 있다.‘신앙 감각’이란“신앙하는 사람들이 지닌 생의 방향감각”을 뜻한다. 그것은 인간이 자신의 지각능력을 통해 신앙의 대상인‘거룩한 신비’이자 초월의 목표에로 개방되고 지탱될 수 있게 해주는‘신앙 인식의 기관’이며, 신앙을 일으키는 동인(動因)이기도 하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교회헌장』 12항은 하느님 백성이 그리스도의 직무 가운데 예언자적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진리의 성령께서 일깨워주시고 지탱하여 주시는”초자연적 신앙 감각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개별 신자들이 지닌 신앙감각(sensus fidei)은 올바른 역사의식과 사회의식 속에서 서로 공감하고 교감하며, 신앙적 지평을 공유할 때 공동체적 신앙 감각(sensus fidelium)으로 성장한다. 그리고 가톨릭 신앙이 지닌 고유한 신앙적 감수성으로 구체화된다. 가톨릭 신앙은 우선 보편성이 지닌 ‘포용적 신앙 감각’을 갖고 있다. 이 포용성이란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이 어떤 특정한 문화와 국가, 인종과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 국한되지 않고 온 인류의 문화적 자산을 하느님의 구원의 표징들로 적극 통합하고 포용하려는 특성을 갖는다. 여기에는‘토착화(土着化)’운동을 포함하여, 다양한 복음적 활동으로 전개되며, 오늘날 문제가 되고 있는 정의, 인권, 생명, 환경 등의 사회문제에 대한 올바른 식별능력을 부여한다. 동시에 가톨릭의 포용성은 역사 안에서 갈라진 형제들(개신교/정교회)과의 일치운동을 통한 대화와 타종교들과의 대화를 통하여 명시적으로 드러난다. 또 다른 가톨릭 신앙 감각의 특성은 보편성이 지닌‘완전함에 대한 매력’이다. 비록 교회가 역사 안에서 저지른 죄과에도 불구하고 참된 완전성에로의 지향은 교회의 지속적인 쇄신능력, 즉, 끊임없이 개혁하는 교회로서의 자의식을 갖고 교회가 제도적 오류와 인류 역사에 저지른 죄악에 대해 겸손하게 인정하는 모습 속에서 분명하게 이 완전성에로의 매력은 드러난다. 동시에 성사적 신앙의 형태가 간직하고 있는 성체성사의 신비와 고해성사의 의미는 가톨릭 신앙감각의 교회적 특성을 잘 드러내준다. 오늘날 피로사회 속에서 교회가 지향하는 신앙 교육이 신앙과 상반되는 부정성과 이질성을 강조하는 ‘면역사회’의 방어적 신앙 교육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오늘날 ‘긍정성의 과잉’에 따른 신앙의 위기들을 치유하는 사목적 형태가 계발되고 제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올바른 가톨릭 신앙 감각의 회복을 위한 사목적 노력이 요구된다. 가령,‘지성적 회심’을 통한‘종교적 감각의 회복’,보편성을 재발견하는 포용적 교육, 종교적 수행의 삶을 회복하는 교회적 노력, 성과중심에서 벗어나 사색적 신앙에로의 문화적 구조 수용, 또한 청소년과 청년 신자들의 신앙 감각의 회복을 위해 올바른 인성교육의 장으로서 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This era is not of denying others, but is overflowing values to affirm, in a word, neural disorders from ‘affirmative surpluses’ arise as an age disease. ‘Fatigue society’ means pathological phenomena in current society, which is originated from affirmative surpluses, those have to accept others as a sign of self-maturity, after passing era of focusing self-identity which confronts to other’s heterogeneity.“Fatigue society” is characterized; the transferring phenomena from“immunity nagativeness” to “affirmative surplus”, from disciplined society to result-oriented society and from ‘active society’ to ‘fatigue society’. In ‘fatigue society’ man lost thoughtful life values then move to result-oriented life. So it is inevitable to face this psychological pathology phenomenon. Religion is also facing the 2nd crisis in current ‘fatigue society’, because of weak faith immunity due to secularism. Confusion of doctrine interpretation which was adopted naturally in tradition troubled the believers what one should do in a world between church ethic rules and secular circumstance rules. Believers feel confusion, misunderstanding and difficulties to follow church rules. Recently, the common values of religion developed to stages of religion blending or religion pluralism, so the Christianity which was understood as to absolute norm is to be a relative concept or is shown as to opportunism that is mixed with other different religious sentiments. As the fatigues from focusing result, charisma-oriented faith are increasing; it makes to fall to critical situation of becoming non-practicing believer or sarcastic belief because of ‘mandatory systematized faith’ or surpluses of charismatic activities. Another aspect is that the deficiencies of less thoughtful life style and healing experiences in Church in this result-oriented society. These act as to fatigue and burden factors, instead of joy and spiritual fullness of Christian life. In this fatigue society, the restoration of Catholic ‘faith sense’ can be an important theological foundation to present future vision of religion education.‘Faith sense’ means“believer’s sense of life direction”, ‘faith sense’ is ‘faith perception organ sense of the believers that opens and preserves to the goal of transcendence, ‘holy mystery’, through their own perception and also that is the motivation to set up the faith. In“Lumen Gentium”, Vatican Council II document, in Chapter 12,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upernatural faith sense; “Spirit of truth wake up and preserve it” when people of God perform the Christian prophetic ministry. Each believer’s ‘sensus fidei’ sympathizes and mutually responses with right history consciousness and society awareness. When they share religious horizon with others, it develops to ‘sensus fidelium’. And it can be concreted as to peculiar religious sensibility which Catholic faith has. Catholic faith has universal ‘comprehensive faith sense’. This comprehensiveness catholicity has characteristics; integrate actively and embrace all human cultural assets as to God’s signs of salvation; God’s universal salvation is not limited to a certain culture, nation, race and a typical historic context. This includes ‘inculturation’, develops to various evangelical activities, gives the discernment ability against current problems of society, those are justice, human rights, life and environment in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comprehensiveness of Catholic Christianity is manifested clearly in Ecumenical movement (with Protestants and Orthodox) and the dialogues with other religions in history.

      • KCI등재

        가톨릭 인본주의와 대학의 역할

        이종진(Lee, Jong-j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2

        본고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대학이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가톨릭대학교의 이념을 확인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천적인 반성을 수행하는 데에 있다. 본론에서는 첫째로, ‘가톨릭 인본주의’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고 있다. 즉, ‘가톨릭 인본주의’는 전통적인 성서적-그리스도교적 인본사상이 가톨릭적인 지반 위에서 르네상스 인본주의의 특질들을 수용하면서 형성된 사조라고 규정 될 수 있다. ‘하느님의 모상에 따라 창조된 인간’이라는 성서적 인간이해, 은총과 자연의 양립가능성, 신앙과 이성의 통합가능성, 원죄에 의해서도 온전히 훼손되지 않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가르침 등이 가톨릭 인본주의의 ‘본래적인’ 내용들로 이해된다. 둘째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은 ‘보편적 인본주의’로서의 가톨릭 인본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이 요한 바오로 2세의 교황령 Ex Corde Ecclesiae(『교회의 심장부로부터』)를 통해서 제시 되고 있다. 아울러 가톨릭 인본주의의 이념이 시대사조와의 대화를 거치면서 그 내용이 더욱 풍부하게 발전되고 있고, 그와 함께 가톨릭대학교에 주어진 사명도 보다 실천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는 점도 고찰되고 있다. 셋째로, 이 문헌에 나타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 특히 사회정의의 증진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우리보다 앞선 전통을 가진 국외의 가톨릭대학교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또 실천해 가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소개하였다. 결론부에서는 이상의 실천적 반성을 통하여 국내의 가톨릭대학교들에 주어진 과제와 전망을 필자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reaffirm the roles of Catholic universities at a time when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face crises, and aims to establish specific actions to fulfill those roles. This paper first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Catholic humanism.” Catholic humanism is based on traditional Catholic ideas combined with biblical-Christian humanism, and embraces renaissance humanism. By nature, Catholic humanism is thought to include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humans that imitates the image of God, the compatibility of grace and natur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faith and reason, and human free will that cannot be restricted even by original sin.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e identities and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are based on Catholic humanism as universal humanism as Pope John Paul Ⅱ’s “Ex Corde Ecclesiae” suggested. In addition, Catholic humanism has been enriched through active interactions with the trends of each era, and accordingly, the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have become more practical. Third, this paper introduces how overseas Catholic universities have traditional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their identities and missions, particularly social justice which is the mission of Catholic universities in this era. In the conclusion, the writer presents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faced by Korean Catholic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