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토 노리히로의 「전후후론」(1996) 재고 - ‘문학’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

        이경희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0 No.-

        이 논문은 가토 노리히로의 「전후후론」(1996.8)을 중심으로, 이 전후 세대 비평가가 제시한 ‘문학’의 사상적 구상을 검토한 것이다. ‘문학’ 중심의 「전후후론」은 정치적・사회적 현안에 초점을 둔 「패전후론」(1995.1)의 후속논의이다. 물론, 「패전후론」에서도 ‘문학’에 의거한 ‘공공적 감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전후후론」은 한 걸음 더 들어가 요시모토 다카아키와 다자이 오사무라는 두 축을 교차시키면서, 사상의 기점으로서의 ‘문학’을 전면화한 것이다. 가토는 ‘타자사상과 자기사상’으로 재편한 ‘정치와 문학’의 문제 틀 속에서 요시모토의 사상을 조명하고 있다. 걸프전 당시 요시모토가 헌법 수호를 표명하자 가토는 요시모토가 ‘문학’에서 ‘정치’로 이동했다고 판단하였다. 요시모토가 떠난 ‘문학’의 공석에서 가토는 ‘정치와 문학’의 대립 구도를 해제하고자 했다. 거기서 그가 제시한 방법은 끝까지 ‘문학’을 단념하지 않으면서 ‘정치’로 향하는 것이다. 한편, ‘정치와 문학’의 논쟁이 192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점에서 가토의 이러한 시도는 ‘전후’라는 틀을 벗어나 있다. 요시모토의 헌법 수호는 전쟁세대로서의 헌법 이해에 의거한 것이다. 때문에 가토는 요시모토의 헌법 이해에 대해 전후세대와의 단절이라고 하는 한계를 부각시켰다. 그러면서 그가 주목한 것이 다자이의 문학이다. 그는 다자이의 「토카통통」(1947)에서 공적 윤리와 논 모럴(=‘문학’의 본질)의 대립을 해제하는 단초를 찾고자 했다. 특유의 직관과 집요한 상상력이 엮어낸 그의 「도카통통」론은, ‘전후’의 모럴(‘정치’)과 ‘전후 이후’의 논 모럴(=‘문학’)을 일원화하는 사상적 회로를 구상화한 것이다. 다만, 이 같은 구상화는 논리적 헐거움을 지니며 사상으로서의 이론화를 지연시키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thought of ‘literature’ taking shape around Katō Norihiro's Theory of Post-postwar (August, 1996). Katō highlights Yoshimoto Takaaki's thought within the frame of the problem ‘Politics and Literature’ revised into ‘Self-thought and Nonself-thought’. When Yoshimoto declares safeguarding the Constitution, Katō considered Yoshimoto to have transformed into a man of ‘literature’ from a man of ‘politics’. During Yoshimoto’s absence from literature, Katō tried to break up the confrontation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Thereafter his approach was to head toward ‘politics’ without entirely giving up ‘literatur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argument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originated in the 1920s, Katō’s attempted to escape from the ‘postwar’ framework. Besides, Yoshimoto’s safeguarding of the Constitution was based on the war-generation’s understanding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Katō emphasized the extent of the gap between the prewar generation and postwar generation in terms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stitution. On the other hand, Katō was discovering the clue for overcoming the generation gap in Dazai osamu’s literature. By means of analyzing Tokatongtong(1947), he took concrete shape to the circuit to the thought to unify the ‘postwar’ moral(‘politics’) and ‘since postwar’ nonmoral (‘literature’). However, he does not even advance the logic to theorize this circuit to the thought of literature.

      • KCI등재

        3.11과 전후의 끝 : 무의미한 죽음과 애도의 문제

        沈正明 한국일본학회 2016 日本學報 Vol.106 No.-

        이 글에서는 탈전후가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되어온 가운데, 2011년 3월 11일 동일본대지진 이후 다시 한 번 전후의 끝 혹은 포스트 전후의 시작이라는 문제가 중요하게 제기됐다는 문제의식 아래, 특히 전쟁과 3.11이 겹쳐지는 지점인 무의미한 죽음들을 어떻게 애도할 것인가라는 물음을 가운데 두고 가토 노리히로의 『패전후론』과 이토 세이코의 『상상 라디오』를 읽었다. 가토 노리히로의 『패전후론』은 전후의 비틀림을 이야기하며 자국의 사자와 아시아의 사자에 대한 애도가 하나로 꿰이는 지점을 모색하였지만, 그 방법은 결국 무의미한 죽음에 어떤 식으로든 의미를 부여하는 것과 다르지 않았다. 반면 가토와 마찬가지로 전전과 전후 사이의 단절에 주목하는 오다 마코토는 그야말로 무의미한 죽음을 무의미하게 두는 삶을 이야기하였다. 쓰나미의 사자를 다룬 이토 세이코의 『상상 라디오』는 무의미한 죽음을 어떻게든 언어화하고 상상한다는 점에서 하나의 문학적 성취라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작가 자신의 평가와는 달리 쓰나미의 죽음을 히로시마, 나가사키, 공습으로 열어 놓는 소설의 의도는 오히려 쓰나미를 내셔널한 역사의 영토성 안에 두고 일본의 비극으로 사유한다는 점에서 작품을 닫는 것이기도 했다. 전후 70년을 맞는 지금의 가토가 사자를 둘러싼 비틀림보다 전후의 일미 관계의 비틀림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옮아갔듯, 이러한 『상상 라디오』가 끌어안는 내셔널하지 않은 죽음 또한 미국의 것이라는 점에서, 전후와 재후의 두 애도 방식은 서로 닮아있다고 하겠다. There have been many discourses concerning the end of the postwar period in Japan. Especially, since March 11, 2011, questions about the end of this period and the beginning of the post-postwar era have become more significant. During the time when memories of those who died in the war and the victims of tsunami overlapped, a long unanswered question concerning how to mourn meaningless death, which Oda Makoto called ‘nansi’, was raised. This article reads Kato Norihiro’s Haisengoron and Ito Seiko’s novel Imagination Radio as an answer to this question. Although in Haisengoron, Kato tries to find a point of connection between the mourning for 20 million in Asia and the respect for those who died in the Japanese war, it seems that he eventually was unable to find a way to mourn meaningless death in Japan other than giving some meaning to it. In contrast, Oda, who senses a gap between prewar and postwar Japan as Kato, suggests living a disgraced life without attaching any meaning to meaningless death. Ito Seiko’s Imagination Radio, a novel about listening to the voices of those who died because of the tsunami, is a kind of literary achievement after 3.11 as it somehow imagines and puts into words those meaningless deaths. However, despite the evaluation of the author Ito himself, this novel fails to extend its imagination, as it territorizes 3.11 and considers it as merely being the tragic history of Japan, trying to connect death caused by the tsunami with the victims of Hiroshima, Nakasaki, and air bombing during World War II. Now, 70 years after the end of the war, as Kato focuses on the ‘twist’ in Japan-US relations more than on the ‘twist’ concerning the dead, it is that of the US which Imagination Radio embraces as the unnationalized death. Regarding this, it can be said that, although one of these follows a war and the other follows a disaster, these two ways to mourn meaningless death almost seem similar.

      • KCI등재

        『(신・)고질라』 담론에 나타나는 국민국가론의 자폐성 비판

        신하경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18

        Shin Godzilla has given rise to widespread discourse in Japan since its release. They have shown the Japanese people's views on disasters and national defense. Among them, the argument for “Godzilla = Japanese military spirit” is strongly expressed, from which we can see the impact of Norihiro Gato's argument in the 1990s. This paper reviewed his argument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In the discourse of Godzilla in the 1990s, Saburo Kawamoto represented most of the public opinion at the time, which was based on the perpetrator’s view of history including that of victims of the Japanese. Norio Akasaka offered his opinion on the contradictions of post-war Japan in the Ten'nōsei. Kenji Sato's argument could be considered as a response to the voice of “others.” Unlike these claims, Norihiro Kato's claim settled the meaning of Godzilla in the form of the national identity of Japan. Kato says Shin Godzilla challenges contemporary taboos in “Dentsu(電通)” culture, which means the limitations of popular culture in capitalism. This paper argued that such an idea was flattery to the current prevailing nationalism. Based on the review of Kato's discussions, we can say it shows the process of narrow convergence of interpretations from Godzilla’s being a multi-layered cultural symbol to national identity of Japan; in the desire of forming national identity, the recognition of others is deleted, and only remains as a cognitive autistic structure between America and Japan. 『신고질라』는 개봉 이후 하나의 거대한 담론장을 형성해 왔으며, 이것은 ‘재해와 자국방위’에 대한 일본인들의 의견을 정리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 중에서 ‘고질라=일본군영령’설이 강하게 나타나며, 그에는 1990년대 가토 노리히로의 영향력을 볼 수 있다. 이를 ‘외부자의 시선’으로 검토하였다. 이 영화는 서사적으로 볼 때, 재해, 전후 일본과 미국의 관계 및 자위대 문제, 일본정부의 위기극복 시스템, 해결되지 않는 결론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어 간다. 그에 따라 담론도, 재해와 전쟁, 재해와 자위대, 고질라=영령설, 일본정부에 대한 환상, 본토결전의 욕망, 미완의 파시즘이 구현된 영화 등으로 전개된다. 이 현재적 담론은 1990년대 『고질라』 담론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1990년대 담론에서 가와모토 사부로가 가해의식을 바탕으로 피해의식도 포함하는 당시의 가장 공적인 의견을 대변했다면, 아카사카 노리오는 일본 전후의 모순을 천황제에서 보는 의견을 투사한다. 그리고 사토 겐지의 주장은 타자의 목소리에 대한 응답이라는 맥락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들과는 다르게 가장 영향력이 컸던 가토 노리히로의 주장은 고질라를 ‘내셔널 아이덴티티’ 논의로 귀결시키는 것이었다. 가토 노리히로는 『신고질라』에 대해 ‘덴츠’ 문화 속에서 당대의 금기에 도전하는 영화로 규정하는 데, 그것은 현재 횡행하고 있는 배타적 내셔널리즘에 대한 영합이라고 생각된다. 가토의 논의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고질라가 다층적 문화 표상이라는 해석에서 내셔널 아이덴티티 구축이라는 협소한 방향으로 수렴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그것은 국민주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타자에 대한 인식이 삭제되고, 미국과 일본 만의 관계로 닫혀지는 ‘내셔널 아이덴티티’(National Identity)의 자폐구조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어느 전공투세대의 민주주의론―가토 노리히로의 전후론을 중심으로―

        이경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4 No.-

        This paper aims to disclose the whole path of Katō Norihiro’s postwar theory. A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postwar’ literary critics, he has deeply examined ‘postwar’ issues such as Constitution, US-Japan relationship, democracy and nationalism. In his latest postwar theory, Introduction to Postwar(2015), Katō reconsidered Nanbara Shigeru’s advocacy of an overall peace and the peaceful amendment of Constitution. Consequently, he proposed the idea of self-reliance from America, which synthesizes the overcoming of nationalism and the reorganization of mystical democracy in a single continuum. As Katō tries to form a ‘national consensus’ on the scheme ‘worldness of the entrance of postwar= idea of democracy and peace’ in Introduction to Postwar, his ultimate aim of Japan’s self-reliance from America seems to be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previous works America’s shadow(1985) and Theory after the Defeat(1997). 이 논문은 전후 첫 세대 문예비평가 가토 노리히로가 ‘전후’의 문제들과 마주하며 구상해 온 ‘민주주의’의 사상적 궤적을 검토한 것이다. 가토는 1960년대 말, 전후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적 기운 속에서 ‘민주와 평화’ 이념의 신화화를 부정(전공투운동)하며 사상 형성을 시작했다. 그리고 냉전 종결 전야에 그는 『미국의 그림자』(1985)로 논단에 데뷔했다. 여기서는 ‘반미’와 무관해 보이는 ‘전후’ 일본의 예사롭지 않은 내셔널리즘의 분출을 예감하고 내셔널리즘의 극복을 또 하나의 과제로 설정하면서 ‘젊은 민주주의자’ 에토 준과 ‘노년의 민권론자’ 나카에 조민을 횡단했다. 나아가 포스트 냉전기의 전후론을 대표하는 『패전후론』(1997)에서 그는 ‘민주와 평화’의 신화를 해체할 사상적 방법론의 확립을 시도하면서 이를 적용한 헌법 재선택론, 애도를 통한 사죄론을 제시했다. 또 근년의 『전후입문』(2015)에서는 난바라 시게루의 전면강화론과 헌법의 평화적 수정론을 제고하면서, 내셔널리즘의 극복(『미국의 그림자』)과 신화적 민주주의 재편(『패전후론』)을 하나의 연속체로 꿴 대미자립안을 개진했다. 가토는 현재 일본의 정치 상황에 대한 민주주의 실천의 ‘직접적인 커미트먼트(활동)’라는 점에서, 『전후입문」이 자신의 전후론으로서 지니는 이례성을 언급했다. ‘직접적인 커미트먼트’란, ‘전후’의 기점이 지녔던 세계성을 회복할 ‘국내적 컨센서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거기서 그가 표방하는 민주주의는 이념 그 자체보다도 일본의 대미자립을 지탱하는 저항의 논리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후입문』 이전의 논의들과 연속해 있다.

      • KCI등재

        전후 담론에 나타난 ‘고도성장’의 표상 - 가토 노리히로의 「아메리카의 그늘」을 중심으로 -

        오미정 일본어문학회 2019 일본어문학 Vol.84 No.-

        本論文は批評家の加藤典洋が展開した戦後談論で、戦後日本をどのように認識しているかを考察した。彼の批評「アメリカの影-高度成長下の日 本」は、1980年代バブル経済の好況期という日本の政治的、国際的環境の中で登場した。江藤淳の批評に対する分析から、加藤が自分自身の批評を始めると点で興味深い。 加藤の戦後ナショナル・アイデンティティーの新しい構築に向けた視線は、1960年代以降日本の「高度成長期」をどう認識するかから出発する。加藤は、日本社会が高度成長を通じて経済的自立を成し遂げたにもかかわらず、依然として政治的には米国の影響下にあると認識している。この認識は江藤の戦後観と非常に似ているが、同一ではない。両方とも、日本の新しいナショナル・アイデンティティーを再構築しようとする欲望が批評の原動力であること、西欧体験を通じて西欧を相対化している点、戦後日本と「米国」という他者を不可分の関係として設定する点では同じである。しかしながら、加藤の場合は、日米関係に「アジア」という、もう一つの軸を設定し、日米一辺倒の関係に亀裂をもたらすという点で異なるといえる。にも関わらず、一国ナショナリズムに収斂する点で限界も明らかで、1980年代の新しいナショナル・アイデンティティーの構築の様相を加藤の批評から読み取ることができる。 This article analyzed how Japan was recognized and rebuilt in the 1980s discourse by Norihiro Kato, who appeared 40 years after World War II. Kato Norihiro’s literary criticism, The Shadow of America: Japan under High Growth(1985) was published in the 1980s, the economic boom. Interestingly, Kato begins his own criticism from Jun Eto (1932-1997) of his analysis of high-growth period literature. This article analyzed Kato’s discourse on criticism of Eto and considered his perception of postwar Japan. Kato’s view on building a new national identity after the war began with the recognition of Japan’s high-growth period since the 1960s. He recognizes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 Japanese society has achieved economic independence through high growth, he is still politically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 This perception is very similar to Eto’s postwar view, but not the same. Both are identical in terms of the desire to build a new national identity in postwar Japan and this is the driving force of criticism, the relativization of Western Europe through Western experien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fter World War II. However, in the case of Kato, it can be said that Japan- U.S. relations are different in that it creates a split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by setting up another axis called “Asia.” In this respect, it may be said that Kato’s criticism is how the new national identity was built in the 1980s.

      • KCI등재
      • KCI등재

        `(탈)전후` 일본의 신체정치와 민주주의

        김태진(KIM, Tae J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8 亞細亞硏究 Vol.61 No.2

        일본의 보수주의자들이 전후체제를 ‘대중의 병리’ 내지 ‘현대민주주의의 병리’ 등으로 표현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전후체제는 일종의 ‘병리적 세계’로 인식된다. 무언가 정상이 아니라는 이러한 병리학적 진단은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간극, 괴리를 물으며 일본의 전후체제가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들이 진단하는 전후체제의 문제와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의 핵심은 어디에 있는가? 가토는 전후 체제의 핵심을 ‘인격분열’의 문제로 파악한다. 이때 인격분열이란 단순히 진보와 우익이 서로 나뉘어져 있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의 주체 안에 공존하면서도 상대를 지워버리려는 일종의 ‘뒤틀림’의 문제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전후 민주주의가 기반했던 이러한 인격분열로서의 일본을 넘어서고자 한 (탈)전후 담론의 양상을 신체정치적 관점에서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탈)전후 민주주의에 대한 담론을 재고하고자 한다. Japan in the post-war period has been interpreted as a kind of ‘pathological state’, not the ‘normal state’, as the postwar conservatives described the post-war system as "an autistic mind" or "personality disorder". Pathetic diagnosis, which shows a abnormality of the society, suggests the direction to which Japan should proceed. Then, what is considered as the problems of the post-war Japan and how they try to overcome it? Kato norihiro, notable critics of post-war discourse, analyzed the post war Japan as a tension of duality like Dr Jekyll and Mr Hyde.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postwar Japan is divided into progress and conservatism. They are two different faces of one personality. Therefore, it may be misleading to grasp that conservatism appeared postwar after the post-war democray. This paper will review post-war Japan by examining Kato Norihiro and Osawa Masachi’s body politic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