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초기 중국소비자의 소비가치, 상표충성도와 다양성추구성향이 한국제품 해외직구의도에 미치는 영향

        Zhang, Yali,홍은실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sumption value, brand loyalty, and diversity seeking of young adult Chinese consumers on overseas direct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65 questionar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Using the SPSS 18.0 program, Chronbach's α coefficien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 consumption value of Chinese consume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 of occupation(student), age, and monthly income. Second,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consumption values ​ ​ on brand loyalty showed that the gender (male), occupation(student), utility value, hedonic value had a meaningful statical effect. Utility value and hedonic value has been shown to influence the seeking of diversity. Third, as a resul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consumption value, brand loyalty, and diversity seeking on purchase intention, monthly average personal expenditure, hedonic value, brand loyalty, diversity seek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verseas direct purchase intention Respectively. The lower the monthly average personal expenditure, the higher the level of hedonic value, the higher the level of brand loyalty, the higher the level of diversity seeking, it can be seen that the overseas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is high. Fourth, utility valu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urchasing intention but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direct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but indirect effects were found to be mediated through brand loyalty an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seeking diversity, but not significant. The hedonic value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purchase intention, and the direct effect is very large when the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and the indirect effect of each consumption styles is also significant. 본 연구는 해외직구 경험이 있는 성인초기단계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소비가치와 상표충성도, 다양성 추구성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이 한국제품 해외직구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 구변인의 척도를 구성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2018년 6월 중국 하남성 거주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39세 이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65부의 자료를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초기 중국소비자의 효용적 소비가치는 중간점수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고, 쾌락적 소비가치는 중간정 도였다. 상표충성도는 중간점수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고, 다양성추구성향은 중간 정도의 경향을 보였다. 구매의 도는 중간정도의 점수이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변인, 소비가치와 상표충성도, 다양성추구성향이 한국제품의 해외직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월평균 개인지출액이 적을수록, 쾌락적 소비가치가 높을수록, 상표충성도가 높을수록, 다양성추구성 향이 높을수록 해외직구를 통한 한국제품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변인, 소비가치, 상표충성도, 다양성추구성향이 한국제품 해외직구의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뿐 아니라 간접효과와 비인과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매의도의 총체적 효과는 사회인구 학적변인에서 직업(학생)과 연령만이 유의한 변인이었으며, 소비가치 가운데 효용적 소비가치는 구매의도와 유의 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다른 변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상표 충성도와 다양성추 구성향을 매개로한 간접효과의 경로가 발견되었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쾌락적 소비가치는 구매의도와 상 관이 매우 높으며 다른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직접효과가 매우 크며 각 소비유형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유 의할만한 수준이었다. 구매의도에 대해 소비가치 가운데 효용적 소비가치와 쾌락적 소비가치는 각 소비유형을 통 한 간접적인 영향의 경로 발견되었으며 효용적 소비가치와 쾌락적 소비가치가 긍정적일수록 상표충성도와 다양성 추구성향이 높으며 이는 높은 구매의도로 이어지는 것이다.

      • KCI등재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구혜경(Koo, Hye Gyoung),나종연(Rha, Jong Yo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2 소비문화연구 Vol.15 No.3

        소비자와 기업은 시장경제의 동등한 두 주체로서 이미 상생과 협력의 관계로 들어섰다. 200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소비자와 기업은 가치를 공동창출할 수 있는 관계로 규정되고 여러 가지 시장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가치공동창출활동을 당연히 추구해야 하는 개념으로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어떻게 하는 것이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바람직한지를 제시하는 연구는 없었다. 구혜경과 나종연(2012)은 실제 시장에서 소비자와 기업의 관계를 두고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의 개념을 선순환적이고 장기적인 관계로 정의한 바 있으며, 이를 실증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치공동창출활동 관련 분야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인터뷰하였으며, 그 결과 가치공동창출활동을 저해하는 소비자와 기업 측면에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소비자측면에서는 적극적 소비자의 활동의 부적절한 가치공동창출활동, 평균적 소비자가 창출하는 가치내용 수준의 한계, 침묵하는 소비자의 무임승차 경향이 저해요인이었다. 기업 측면의 저해요인은 소비자창출가치를 반영하는 실무 부서의 업무 우선 순, 위 문제기업 내에서 CS부서의 위상이 낮은 문제, 최고경영자의 소비자창출가치에 대한 인식의 부족, 가치공동창출 활동의 성공사례 부족으로 인해 기업이 가치공동창출활동에 더욱 집중하기 힘든 문제 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컨텐츠 차원과 시스템 차원으로 구분하여 모색해보았다. 우선 가치공동창출활동 자체의 중요성과 소비자와 기업이이를 수행해야 하는 당위성을 강조하는 것의 컨텐츠 측면과 소비자와 기업의 가치공동창출활동의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체계를 갖추는 시스템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The concept of consumer-business collaboration is gaining importance in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the notion of coexistence is critical. Several reasons could be behind the shift in paradigm from that of competition to that of collaboration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 First driving force of such change can be found on consumer side. In the information age, consumers could access information that were not available to them before and they are able to modify,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consumers, and such informed consumers become empowered in the market. From business perspective, collaboration is essential element in business success and sustainability. In order to succeed and cope with fast changing market conditions, it is important for businesses to form partnership with consumers and feel the needs of consumers and respond to them in an appropriate and timely manner. This study suggest that is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n advanced research, I’ve already defined the concept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nd developed the scale for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On this study achieves expert panel interview for understanding the blocking of co-creation of value. This study found three aspects of hindrance of co-creation of value: consumer, business, and the others. First of all, consumer aspects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are so many passive consumer who do not co-create the value. Even though product or service is unsatisfied, passive consumer do not express their opinion. As a result they did not contribute to new product that is reflected consumer’s value. Secondly, Consumer creation value are very personal or impromptu, so business devaluate of the consumer proposal value. Thirdly, pro-active consumers for value co-creation manipulate the value by business’ money reward system. Nextly, business aspect’s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Marketing and sales are the core department for product developing. Through marketing and sales departments have to focus on consumer value, the priority oder for them is not consumer value but a suitable time launching or sales revenue. Secondly, Consumer satisfaction department that managed consumer opinion have lower hierarchy in business organization. Thirdly, CEO emphasize consumer value but it’s very abstract. They do not have a system for company worker’s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Fourthly, there are not enough successful case of co-creation of value. The last, the other aspect’s result are as followings. In market, there are some business categories to support business, for example PR agency or research firm. Despite their role is not only understand but also deliver consumers’ true needs and wants based on consumer’ behavior, those agencies often take advantage of such situation. When advertisers made an arbitrary decision, sometimes they gave a tacit for continuous good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surveys, To revitalize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we will consider two sides. One is consumer’s value creation “Contents” aspect and the other is the “Systems” aspects. The meaning of the contents is education source for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of consumer and business. And the meaning of the system is the comprehensive conditions of business surroundings for example, information system, employee evaluation system, organization system, business managing system and so on. This study contributes to field of consumer’s sovereignty by conceptualization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n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for business also, because the meaning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s for win-win of both sides in market. Through performing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business can accomplish their profit seeking and existence.

      • KCI등재

        소비자 가치의식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임혜빈,정지나,한승훈,이병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o validate the Consumer Value Consciousness(CVC) Scale. The CVC scale is designed to identify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terests in both the acquisition utility and transaction utility. Using responses of 471 participants, a series of factor analyses i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CVC scale.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CVC supports a 2-factor structure with 6 items. The subfactors are named value searching and value confirmation, respectivel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CVC scale is explored by correlational analyses with other scales related to consumer decision making behavior. The value consciousnes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aximizing tendency and the analytical decision making style. The value consciousness tendency, however, is not correlated with deal proneness and price consciousness as expected. Finally, a further scenario-based study showed that the value consciousness was related to vulnerability to sunk cost.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n abundance of explanations for consumers who are highly consciousness of value.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재화가 가진 효용에 대한 소비자의 전반적 평가를 의미하는 소비자의 가치의식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매상황에서 소비자의 가치의식은 개인 마다 차이를 보이며 선행연구에 따르면 가치의식은 소비자의 관여도, 제품에 대한 지식, 거래 중단 후에 거래에 대한 평가, 쇼핑정보 탐색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침으로 소비자의 가치의식 수준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위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 가치의식 척도를 개발, 타당화 하기 위해 예비문항을 구성하여 성인 남녀 47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문항을 선정하였고 극대화성향, 의사결정유형, 가격의식, 할인선호성향과 같은 관련척도와 매몰비용 시나리오를 통해 그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예비문항이 2요인(가치탐색, 가치확인)의 6개의 하위문항으로 이루어진 요인구조임을 확인하여 최종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소비자 가치의식 척도가 극대화성향 척도와 의사결정유형 중 합리형과는 정적상관을, 의사결정유형 중 즉흥형과는 부적상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비자 가치의식이 가격의식, 할인선호성향과 구분되는 독립된 성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매몰비용 시나리오 설문 결과를 통해 소비자가치의식이 높은 소비자는 매몰비용에 덜 민감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추후 연구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폰의 소비가치와 소비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성희 ( Sung Hee Han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20~40대 남녀소비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의 소비행태 및 소비가치와 소비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스마트폰의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인구학적 요인, 스마트폰 소비행태, 소비가치 등을 선정하여 집단별 차이를 검증하고 관련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구매결정시 구매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인터넷이었으며 매장판매원과 신문기사 및 잡지에 대한 이용률을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스마트폰의 이용장소는 50%이상이 교통수단 및 길거리였으며 스마트폰 이용기능은 정보검색과 오락기능에 대한 것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월평균 이용금액은 71,500원이었다. 둘째, 스마트폰 소비가치는 요인분석을 통해 2개의 요인(쾌락적 가치, 차별화·상징가치)이 추출되었다. 스마트폰의 사용가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스마트폰 소비행태에 따라 집단별 차이를 보였다. 차별화·상징가치는 40대, 기혼자, 전문직인 경우 높게 나타났고 쾌락적 가치는 기혼자인 경우와 스마트폰의 이용기능이 의사소통에 해당하는 경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구매결정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사후관리(AS), 제품, 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집단별 차이를 보였다. 사후관리에 대한 중요도는 여성소비자의 경우, 기능의 중요도는 대학생/대학원생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폰의 소비만족도는 중요도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스마트폰의 디자인과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가격과 사후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 구매결정시 나타난 중요도에 대한 결과와 상반된 결과로 중요도에 따라 소비만족도가 상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마트폰의 소비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요인은 스마트폰의 쾌락적 소비가치였으며 스마트폰의 이용기간과 가격, 기능의 중요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로써, 스마트폰의 소비행태 및 소비가치, 중요도가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스마트폰의 소비가치, 소비행태, 그리고 중요도가 스마트폰의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인임을 밝혔다. 향후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자 특성별 요구도를 세분화하여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고 전달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the usage pattern and the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usage value of the smart phone users of the age of 20~40s. The socio-demographic factor, the usage pattern and the usage value of smart phone were selected as the elements affecting consumer satisfaction factors on smart phone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its relative influences were analyzed with those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net was the most favorite information source of purchasing of smart phones, and the information usage from the sales clerks and the articles on magazine or newspapers were ranked low. Th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is filled with diverse information from commercial usage such as PR or advertising to comments from smart phone users.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internet sites that consumers use and to analyze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information. Compared to receiving detailed information from other sources, consumers relatively rely lower on the information given from sales clerks. It means consumers need to receive useful product information and not just information that has commercial related intentions from product sellers.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oduct information given to consumers before purchasing smart phones could contribute to consumers being more effectively informed and receiving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they wish to learn more about from different information sources. The 50% or more of smart phone users used their phones in the transportation or along/on the streets. The surfing web-site or searching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s were measured as the main functions of the smart phone usage. Consumers who use smart phones on average of two hours or less per day is the highest ranked which is about 36%. And also, consumers who use smart phones three hours or more show to be about 17%. A monthly average of the phone charge was 71,500. Second, A factor analysis results of smart phone usage extracted two factors of the enjoyment value and differentiate/symbolic value. The usage value of the smart phone showed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usage patterns. The differentiate/ symbolic value was measured high with the 40s, the married and the professional practices. The enjoyment value was high with the married and the smart phone usage case of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short time of release for smart phones and the 93% of smart phone users within one year, the different consumer values with owning a smart phone such as a differentiate/symbolic value to an enjoyment value or another value needed to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usage period of smart phones, the consumption values and evaluation that may change over time is recognized by consumers. In other words, consumers who have a differentiate/symbolic value are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enjoyment value while they use their smart phone and as they increase their usage period over time. Conversely, consumers who recognized the enjoyment value by using various smart phone applications may change to the differential value over increasing usage periods. Because the usage of smart phones and functions from applications changes their daily life, it comes to be unconsciously a part of their life. Third, the most important details when purchasing of smart phones were found to be A/S (After service), the products and the function. The importance was varied with groups. The women users ranked high with the A/S and the university/graduate students recognized high with the functions. A/S service (After Service being warranties or product replacement provided to consumers) is the most important purchasing factor for consumers when making a decision to buy a smart phone. It means that consumers know the poor A/S service as a risk factor which can reduce the benefits and satisfaction of using a smart phone. Consumer`s dissatisfaction comes from the psychological or economical inconvenience of the current inadequate A/S service.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 more efficient A/S service and should notify consumers where they can receive this in the future. Forth, when consumption satisfaction analyses of smart phones were done with weight factor of the importance, the design and the function were highly satisfied,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rice and the A/S were low. There were two contrasting views between the results of purchasing decision and the results of the consumer satisfaction of smart phones. This showed the consumption satisfaction would vary with the importance. The most important influential factor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was enjoyment value, and the usage time, price and functional importanc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Thus, it is verifi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usage patterns, values, and importance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lso, these three decisive factors impact consumer satisfaction regarding smart phones.

      • KCI등재

        시장지위와 제품특성이 소비자의 소비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일(Lee, Yeoung-Il) 한국상품학회 2009 商品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소비자가 소비 상황에서 지각하게 되는 가치를 Holbrook(1999)의 주장에서 제기된 8가지의 가치로 분류하여 우리나라 소비자가 이러한 가치를 지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과 개별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시장지위에 따라서 이러한 가치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또한 구매상황에서 소비자가 고려하는 제품특성에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가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연구에서는 Holbrook(1999)의 가치 분류와 같이 소비자들이 8가지의 가치를 사회지향적 가치와 자아지향적 가치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시장지위에 따라서도 각 가치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제품특성에 따라서도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가치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지위에 따른 소비자의 가치 지각은 연구에서 주장한 것과 같이 시장지위가 높은 브랜드들이 시장지위가 낮은 브랜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8가지 가치 중 윤리의 경우는 연구의 가설과 같이 시장지위가 낮은 브랜드가 높은 브랜드 보다 높게 나타났다.또한 쾌락적 제품의 경우가 실용적 제품의 경우보다 소비자 가치 지각이 높게 나타났으며,자아지향적 가치와 사회지향적 가치의 구분에서는 제품특성에 따른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erception of consumer value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market position of brand. The consumer value is based on 8 types consumer value of Holbrock (1999). Also we tried to reserch about difference of perceived value of consumer at purchase situation. Results support the different value perception of consumer that consumer recognize value perception of two types which are the self-oriented value. And also consumer recognize difference of value according to market position of brand and product characteristics.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which is high market position is higher than brand which is low market position. Bur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which is low market position is higher than brand which is high market position in the case of the value of ethics of 8 types consumer value. And hedonic goods are higher the value perception than utility goods. And there are not the difference of value perception in the case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sepf-oriented value and the other-oriented value.

      • KCI등재

        소비가치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연구

        구명진 ( Myoung-jin Koo ),김난도 ( Ran-do Kim ),김소연 ( So-yun Kim ),나종연 ( Jong- Youn Rha ),여정성 ( Jung-sung Yeo ),최현자 ( Hyun-cha Choe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6

        소비자가 소비생활에 있어서 어떠한 선택을 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현대 소비사회와 소비자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본 연구는 소비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소비생활 전반을 포괄할 수 있는 소비가치 척도를 개발하고, 하위 소비가치들의 소비자 인식 상 위치를 시각화한 지각도를 도출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 고자 하였다. 기존의 소비가치 척도가 주로 초점을 맞추었던 상품에 근거한 소비가치 외에도, 소비생태계의 중요한 요소인 소비자와 소비공동체에 근거한 소비가치들을 고려 여 소비가치 척도의 하위차원과 측정문항을 구성하였고, 소비자설문과 통계적 검증을 통하여 효용지향, 안전지향, 저가지향, 쾌락지향, 심미지향, 혁신지향, 타인지향, 공동체 향, 자율지향, 자기표현지향 등 10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된 소비가치의 척도를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소비가치의 지각도(perception map)는 소비자설문 결과를 활용 서 소비자들이 인식한 소비 가치의 상대적 거리를 반영한 것을 시각화하여서 도출하였고, 소비자의 지각도 상에서 소비가치들은 소비자들이 해당 가치를 추구할 때 판단의 기 이 무엇인가에 따라 판단의 기준이 소비자 자신인 소비가치들과 기준이 타인인 소비가치들로 분류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대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소비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포함해야 할 중요한 소비가치 하위차원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소비가치들의 구조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지각도를 실증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소비가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귀중한 실증 자료를 축적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Consumption value is a critical keyword to understand and predict contemporary consumer society.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 consumption value scale with sub-dimensions including important consumption values which are related with consumption life in general.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draw a perception map of consumption values based on empricial data from consumers. From the consumer-ecological perspective, the consumption value scale was theoretically proposed, which embraced not only product-related values but the values derived from consumers and consumption-community. Through the preliminary and the main test, the scale was improved and finally fixed with 10 sub-dimensions including utility oriented value, security oriented value, low-price oriented value, hedonism oriented value, aesthetics oriented value, innovation oriented value, others oriented value, community oriented value, autonomy oriented value and self-expression oriented value. The perception map of consumption values was deducted from the empirical data by MDS methodology, which visualized consumers’ perception on the individual consumption values. According to the loacation of each values on the derived map, the 10 value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The value group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map were the values to be judged by the consumer’s own criteria, while the values on the right side were rather other-directed.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was named ‘the judgement criteria’.The present study developed the consumption value scale with sub-dimensions for measuring essential consumption values comprehensively. Futhermore, it also provided the empricial clue on the structural framework of consumption values in consumers`` percep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help understanding consumption values and provide a useful tool to accumulate valuable empirical data.

      • KCI등재

        중ㆍ고등학교 가정과교과서 소비자교육 내용에 따른 대학생의 소비가치에 관한 연구

        김현정,유두련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교 가정과교과서를 통하여 실시된 학교소비자교육이 이들이 대학생이 되었을 때 소비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구․경북지역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총 555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기초통계 및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t-검증, 다변량분석, Duncan's test를 통한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가정과교과서 소비자교육 내용별로 어떠한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비자문제 및 해결교육, 합리적소비자교육, 소비문화교육, 소비자의사결정교육등 4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의 소비가치는 요인분석 결과 차별성, 과시성, 경제성, 윤리성, 심미성, 자기중심성 등 6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문제 및 해결교육은 부모와 광고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교육인지 수준이 높으며, 합리적소비자교육에서는 광고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교육인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문화교육에서는 친구의 영향은 적게 받지만, 부모의 영향은 많이 받는 2학년 학생들이 교육인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의사결정교육은 친구의 영향과 연예인의영향은 적게 받지만 부모의 영향은 많이 받는 2학년 남학생이 교육인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교육 인지수준에 따른 소비가치의 차이분석 결과 전체소비가치는 소비자교육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소비자교육은 올바른 소비가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넷째, 대학생의 소비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시성은 소비자의사결정교육을 많이 할수록 낮아지며, 경제성은 합리적소비자교육, 윤리성은 소비자의사결정교육, 자기중심성은 합리적소비자교육을 많이 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중․고등학교 가정과교과서의 소비자교육 내용별로 올바른 소비가치 형성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중요 소비자교육 내용을 밝혀 봄으로써, 학교소비자교육 내용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대학에서 소비자 교과목 개발이나 민간단체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소비자교육 정책 방향을 제시할 때 중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dministered via home economics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s university students’ consumption behavior and value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rom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univers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opic, posteriori tests were conducted on the 555 responses to the survey using basic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a reliability test, a t-test, multivariate analysis, the Duncan's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variables in the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dealt with consumer problems and solutions, rational consumer education, consumer culture education, and consumer decision-making educatio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n the consumption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they depended on six factors: differentiation, visibility, economics, ethics, aesthetics, and self-awareness.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have higher levels of cognition when they ar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and advertisements regarding education on consumer problems and solutions. Moreover, in the education toward becoming rational consumers,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cognitive levels regarding consumption behavior if they are influenced by advertisements. With regard to education on consumer culture, second-year students who are mor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than by their friends turned out to have higher cognitive levels about consumption values. Male students in the second year who are highly influenced by their parents and not much by friends or celebrities are seen to have higher cognitive levels of education in terms of consumer decision making. Third, a differential analysis conducted on consumption values based on the awareness level of consumer education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tire consumption value range between consumer education in its entirety and each subdivision of consumer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consumer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proper consumption values. Fourth,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sumption value of college students, the degree of visibilit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consumer decision- making education. Economic efficiency was found to be higher in rational consumer education, ethics in consumer decision-making education, and self-awareness in rational consumer education.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consumer education content should be improved in middle and high school courses for the formation of proper consumption values. Hence, the study provides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ontent of consumer education in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consumer education policy and serve as an important point of reference in proposing the development of consumer subjects at universities or in the different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private organizations, besides providing direction for consumer education policies.

      • KCI등재

        소비가치에 따른 밀레니얼세대 카페 소비자 세분화에 관한 연구

        조춘봉,진익준 한국외식경영학회 2022 외식경영연구 Vol.25 No.1

        카페는 이제 단순히 사람들이 만나거나 음식을 파는 공간의 기능을 넘어서고 있다. 카페가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이라고 알려진 밀레니얼세대의 변화된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기는 공간 마케팅을 위해서는 먼저 그들의 ‘내면적 소비가치’를 포착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카페시장을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시장세분화는 기업들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전개하기 전에 선행되어야할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활동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연구자 관점에서 선정한 속성에 대한 객관적 측정을 주로 하는 R 방법에 기반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R 방법 연구로는 소비자의 주관성에 기초한 선택행동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가치에 관한 선행 연구들의 검증된 심리적 가치척도와 주관성 연구에 적합한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최근 카페시장에 대한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들의 내면적 주관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밀레니얼 세대 카페 시장은 4가지 유형으로 나뉘는 것이 발견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개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함께 ’상품속성 가치‘지향적인 소비자들이다. 두 번째 유형은 ’개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상품속성 가치‘ 그리고 ’소비자 주체적 가치‘지향성을 복합적으로 갖고 있는 소비자들이다. 세 번째 유형은 ’개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소비자 주체적 가치‘지향적인 소비자들이다. 네 번째 유형은 ’타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소비자 주체적 가치‘지향적인 소비자들이다. 이처럼 밀레니얼 세대 카페 소비자들이라도 개인의 심리적 가치척도와 주관성에 따라서 선호하는 소비가치는 크게 다른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카페들은 목표고객에 따라서 그들이 선호하는 소비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공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통해 외식산업 종사자들이 공간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작으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rket segmentation is an essential activity of food service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internal subjectivity of millennial cafe consumers, who have emerged as the leader of consumption, using the Q methodology suitable for subjectivity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illennial cafe market was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s are 'personal-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and 'product attribute value' oriented consumers. The second type is consumers who aim for a combination of 'personal-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product attribute value', and 'consumer-independent value'. The third type is consumers who are oriented to 'personal-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and 'consumer-centered value'. The fourth type is 'other-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and 'consumer-centered value' oriented consumers. Therefore, cafes will need to establish and implement spatial marketing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consumption value preferred by their target customers.

      • KCI등재

        소비가치가 소비성향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시판김치 이용고객을 중심으로

        김문경,김형일 한국호텔관광학회 2020 호텔관광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시판김치 이용고객을 중심으로 소비가치가 소비성향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김치산업 경영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고하여 판매전략의 변화와 이익을 극대화 시키고 시판 김치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019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약 4주간의 조사 기간 중 서울, 경기, 강원 지역의 시판 김치를 경험한 20대에서 60대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고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의 표본추출방법은 판단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으며 SPSS 21.0을 활용한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가치 중 기능적가치는 소비성향의 건강추구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 중 경제적가치는 실속추구형, 계획추구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 중 상황적가치는 건강추구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성향 중 건강추구형과 실속추구형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가치 중 경제적가치와 상황적가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성향에 따라 소비자가 지향하는 제품에 대해 재구매할 것이며 시판김치의 소비가치, 소비성향의 변화점을 파악하고 재구매의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시판김치에 대한 소비자의 재구매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브랜드 중심으로-

        이길구,이선규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

        본 연구는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소비가치의 하위변수는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로 설정하였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하위 변수는 경제적 가치, 관계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소비가치의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관계적 가치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라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모두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웃도어 브랜드 산업에서 소비자의 소비가치나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이미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충분히 반영되었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outdoor brand consumer 's consumption value and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y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sub-variables of consumption value were set as functional value, condi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as factors affecting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sub-variables of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ies were set as economic value, relational value, social value . As a result of analysis, functional value, condi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of consumption valu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economic value, social value, and relational value of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were all positively influence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both consumption value of outdoor brand consumers and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ies are positive factors for purchase intention. This result can be deduced that consumers 'consumption value and company' s creating shared values activities in outdoor brand industry are already reflected i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