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학전 장애아동가족의 가족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장용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mily resilience of families with disabled preschooler``s, their family adapt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e family resilience of their families to their family adaptation by applying strength perspectives to families with disabled preschool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6 families that had disabled preschool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families that made a difference to their resilience were type of disability,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s, mother age, and family income. Second, the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have relatively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family adaptation by family resilience is 52%. Among the subelements of family resilience, belief systems, organizational patterns was found as the significant element to affect their family adaptation. In conclusion, it``s proven that intervention for family resilience could serve to improve the family adaptation of families with disabled pres chooler``s. A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made a difference to family resilience and the family adaptation were presented, social workers should take an individualized approach toward each family considering their basic features and referring to their own case management. 본 연구는 취학전 장애아동가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가족탄력성, 가족적응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시 소재 장애인복지관과 장애아전담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학 전 장애아동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자료 중 12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 F검증, 다중희귀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학전 장애아동가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과 가족적용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가족월수입이 높은 가족이 가족통제감, 가족강점, 응집력, 가족자원, 의사소통, 문제해결 수준 등 가족탄력성의 거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적응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취학전 장애아동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가족탄력성의 응집력, 가족자원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연령이 30대인 가족이 가족탄력성의 가족통제감, 가족강점, 응집력 수준과 가족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학전 장애아동이 여자인 가족이 가족탄력성의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수준이 높았으며 가족적응 또한 높게 나타났다. 장애명이 지적장애인 아동을 가진 가족의 경우, 가족탄력성 중 높은 응집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탄력성이 취학전 장애아동가족의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족탄력성 하위요인 중에서 신념체계의 가족통제감과 조직패턴의 가족자원이 가족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가족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52%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복지실천현장에서 장애아동 개인에 대한 치료 및 재활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제를 보이는 그 가족들의 가족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 엽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탄력성과 한국판 동적가족화 반응특성 관계 연구

        현은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 탄력성과 가족의 역동성 및 심리적 측면을 반영하고 있는 동적가족화의 반응특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G지역 대학생 348명(남:149명/여:199명)을 대상으로 가족탄력성 질문지와 한국판 동적가족화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탄력성에서 가족탄력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 가족탄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가족탄력성(가족강점/가족자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한국판 동적 가족화 반응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물상의 행위와 특징, 역동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여자가 남자보다 얼굴․눈의 완성도가 높고, 얼굴표정이 우호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가족탄력성에 따른 한국판 동적가족화 반응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물상의 행위와 특징, 역동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가족탄력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인물상의 얼굴표정을 우호적으로, 어머니상과 자기상을 더 크게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탄력성은 한국판 동적가족화의 하위영역인 인물상의 행위와 역동성, 동적가족화 전체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동적가족화는 가족탄력성의 예측, 선별도구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family resil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etic Family Drawing(KFD) response completed by 348 Korean university students (149 male and 199 female) in the G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resilience leve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and low group. Second, the family resilience (family strength/family resource) level also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x. The characteristics of the KFD respon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gure action, figur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where the female students drew more perfect faces and more friendly facial expression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FD response in relation to family resilienc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gure action, figur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The high family resilience group drew more friendly facial expressions and larger mother figures and self-figures when compared with the low family resilience group. Fourth, the perception of family resil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figure action and subdomain dynamics of the KFD, and with the whole KFD. Therefore,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KFD is a useful tool for the selection and estimation of family resilience.

      • KCI등재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족탄력성과 부부적응에 대한 연구 -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양명숙,이혜선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dyadic adjustment of married couples in multicultural families so 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family resilience of married couples in multicultural familes on dyadic adjustment. In other words, it is to examine how family resilience factors, such as belief systems, organizational patterns, and communication processes, affect dyadic adjustment as well as to prove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resilience and the necessity of counseling services to improve those factors.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32 married couples in multicultural families(264 people) in Dae-jun and Chung-nam province, and it was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rough SPSS Win. 18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family resilience of married couple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dyadic adjustment. As long as a husband is concerned, the family resilience factor related most to dyadic consensus of dyadic adjustment was the organizational patterns; for the dyadic satisfaction, the communication process; for the dyadic cohesion, the belief system. As for a wife, what contributed most, among the family resilience factors, to the dyadic consensus of dyadic adjustment was the organizational patterns; for the dyadic satisfaction, the belief system; for the dyadic cohesio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 degree of the effect of the family resilience of married couples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dyadic adjustment is, for a husband, 43% and for a wife, 53%, which can be seen as relatively high. For a husband, the organizational patterns has positive effects respectively on dyadic consensus; for the dyadic cohesion, the belief system. For a wife, the organizational patterns has positive effects respectively on dyadic consensus; for the dyadic satisfaction, the belief system; for the dyadic cohesio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refore, as it can be figured from the research, the family resilience of married couples in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considered as a significant factor in explaining dyadic adjustment. Also, as the influences for each couple differ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couples i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subordinate factors in case of developing concerned programs or counselling them in order to enhance the dyadic adjustment through the family resilience of married couples in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족탄력성과 부부적응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족탄력성이 부부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이 부부적응 하위요인들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가족탄력성의 하위 요인인 신념체계, 조직패턴, 의사소통과정이 부부적응의 하위요인인 일치감과 만족도 그리고 응집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대전과 충남지역의 다문화가정 부부 132쌍, 264명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SPSS WIN 18.0을 통하여, 기술분석, 단순적률상관관계,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족탄력성과 부부적응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남편의 경우 가족탄력성의 조직패턴과 부부적응의 일치감이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고, 가족탄력성의 의사소통과정과 부부적응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상관을 나타냈다. 아내의 경우는 조직패턴과 일치감이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고, 의사소통과정과 만족도가 가장 낮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가족탄력성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남편의 경우 가족탄력성의 부부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43%이며, 아내의 경우는 가족탄력성의 부부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53%로 비교적 높은 설명력을 가졌다. 남편의 경우는 가족탄력성의 조직패턴이 부부적응의 일치감에 그리고 신념체계가 응집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낸 반면에, 부부적응의 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아내의 경우는 가족탄력성의 조직패턴과 신념체계가 부부적응의 일치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부적응의 만족도에는 신념체계가 그리고 응집도에는 가족탄력성의 의사소통과정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족탄력성은 부부적응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별에 따라서 부부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기에,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족탄력성을 통하여 부부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그리고 상담 개입시에 하위요인들을 중심으로 부부 특성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청소년의 기질,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정지영,임정하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mperament, family strength and social support on ego-resilience of adolescents. Four hundred fift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participated. Temperament,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were evalua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es, t-tes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ego-resilience. Adolescents' ego-resilie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tivity level and persistence in temperament, family strength and social support,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rigidity in temperament. Furthermore, gender, temperament, family strength and social support of class teacher and close friends significantly predicted ego-resilience of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족·사회적 요인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적 요인으로서 기질, 가족적 요인으로서 가족건강성, 사회적 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지를 선택해, 이들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450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청소년의 기질,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은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 빈도분석, 백분율, 기술통계,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표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은 기질의 지속성, 사회적 지지의 담임교사의 지지, 친한 친구의 지지, 자아탄력성 전체와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에서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기질의 지속성과 활동성,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기질의 경직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즉, 한 가지 일에 집중하는 성향이 높고, 움직이는 것을 좋아하고 명랑할수록, 익숙한 것만 고집하는 성향이 낮을수록, 가족이 가족으로서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수록, 담임교사와 친한 친구의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성별, 기질,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별, 경직성, 지속성, 활동성, 가족건강성, 담임교사의 지지, 친한 친구의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학생집단이 여학생집단보다 자아탄력성이 높고, 익숙한 것만 고집하는 성향이 낮고, 잘 집중하며 움직이는 것을 좋아하고 명랑한 성향이 강할수록, 가족원간의 친밀감이 높을수록, 가족이 가족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수록, 담임교사와 친한 친구의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개인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 뿐 아니라 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성인 지적장애인 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무순,김동주 한국직업재활학회 2011 職業再活硏究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family resilience of familie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on their family adap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and family-related variables affecting family adaptation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intervention geared toward facilitating the adaptation of familie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of the familie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every factor of family resilience that included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attern and communication process had a close positive correlation to family adaptation. Second,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familie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exerted an influence on their family adaptation. Out of the family resilience factors, organizational pattern was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make a 44.8% prediction of family adaptation. Concerning each subfactor's influence, the communication factor, one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factors, and family cohesion and family resources, two of the organizational pattern factors, made a strong 59.9% prediction of it and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i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grams geared toward boosting family resilience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every member of families, and there should be institutional aid from the government to ensure their financial stability.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 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가족적응에 영향력이 있는 가족 관련변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지적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재활을 위하여 가족이 보다 건강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실천 개입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인 가족의 가족탄력성과 가족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가족탄력성의 구성요소인 신념체계, 조직패턴, 의사소통과정 모든 요인에서 가족적응과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인 가족의 가족탄력성은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탄력성의 요인 중 조직패턴이 44.8%의 설명력을 보이며 가족적응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별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의사소통과정 요소 중 의사소통 요인, 조직패턴 요소 중 응집력과 가족자원 요인이 59.9%의 높은 설명력을 보이며 가족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가족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가족단위로 확대ㆍ실시하고, 가족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 장애정도에 따른 가족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을 제시하였다.

      • 도시지역과 농·어촌지역아동의 가족 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2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8 No.-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어촌 아동들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에 의한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해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두 지역간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에 관련된 변인들을 규명하였다. 또한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좀 더 나아가 지역적 요소를 변인으로 넣어 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아동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환경적인 측면이 아동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지역적으로 비교분석을 하기 전에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만족도, 즉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만족도,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어떠한 변인보다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와 그 시사점을 논하고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regions centered around school life satisfaction by the cities and the agricultural and fishing communities of children in family health and self resilience related variables were identified and validated. Also,we analyzed the impact of the child's family health resilience and self to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Put variables as local factors, local cities and the agricultural and fishing communities of school children by comparing the life satisfaction, environmental aspects a little further about how it affects children were examined. Before compared to the regional analysis of the child's family health and self-resilience, school satisfaction, i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family health and self resilience, family health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ego resiliency and school satisfaction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t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family health and self resilience than any variables it has an impact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presented.

      • KCI등재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 가족탄력성 및 자존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경로모형 분석

        김민경 ( Min Kyeong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 가족탄력성, 자존감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자살생각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과 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있는 대학생 295명을 대 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사용된 척도는 Bradburn(1969)의 부정적 정서, 유영주(2004)의 가족건강성 척도 중 가족탄력성, Rosenberg(1965)의 자존감 척도와 Reynold(1988)의 자살생각척도이 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ANOVA, 상관관계와 구조모형방정식을 통한 경로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여자대학생이 남자대학생보다 부정적 정서가 높게 나타났으 며 남자대학생의 자존감은 여자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제수준이 높은 집단일 때 가족탄력성과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보면 대학생 전체집단에서 부정적 정서와 자살생 각과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정적 정서는 가족탄력성과 자존감과 유의한 부적 관계를 나타내었고, 가족탄력성과 자존감은 자살생각과 유의한 부적관계를 보였다. 셋째, 경로분석 결 과 부정적 정서가 자살생각에 직접적 정적 영향을 주고 있어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탄력성과 자존감이 낮을수록 자살생각은 높게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는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가족탄력성과 자존감을 통해 자살생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생각에는 가족탄력성도 자살생각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으나 자존감을 통 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 서는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가족탄력성과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emotions, family resilience, self-esteem and suicide ideation,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suicide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295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and AMOS. The instruments used were Reynold(1988)`s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Yu(2004)`s Family Health Scales, Rosenberg(1965)`s Self-Esteem Scale, and Bradburn(1965)`s Negative Emotion of Happine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university students` se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negative emotions and self-esteem and their family 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Negative emo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e ideation.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e ideation.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mediated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 and suicide ideation, and self-esteem mediated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and suicide ideation. Negative emotion influenced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negatively but suicide ideation positively.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influenced suicide ideation negatively.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in university students` suicide ideation through special education program and counseling in order to build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 KCI등재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의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예후에 관한 기대감의 조절효과

        김계숙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6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1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의 가족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족탄력성의 여러 변인 중에서 어떤 변인이 가족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지를 밝히고, 가족탄력성과 장애아동의 가족관계가 아동의 장애 예후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 특수학교 및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발달장애, 지적장애, 뇌병변 장애아동의 가족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장애아동의 가족관계에 대한 가족탄력성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아동의 장애특성 및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그리고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가족탄력성의 전체변인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62.0%의 높은 설명력을 보여 가족탄력성은 가족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효과(Main Effect)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가족관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가족강점으로 분석되었고, 이어 가족응집력, 정서반응, 문제해결, 장애에 대한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탄력성과 가족관계에 대한 장애 예후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족탄력성과 장애 예후의 상호작용 변수가 조절변수(Moderator)로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의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차원의 실천적 함의와 제도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n the family relationship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it identifie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s of family resilience on family relationship. The verification how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relationship are moderated by the variant of "family prognosis toward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y” is another aim of this study. 214 families were surveyed via self-report questionnaire whose children attended rehabilitation center or specialized school. The survey was analyzed by SPSS WIN pack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hole variables of family resili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family relationship by 62.0%, proving the main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family relationship, under the control of type of disability, family's socio-demographic status and sub variables of family resilience. The most influencing sub variable was identified as Family Strength, followed by Family Cohesion, Emotional Reaction, Problem Solving and Attitude toward Children. It’s found that the interaction variable of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prognosis moderates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relationship.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suggests several proposals to improve family relationship from social welfare perspective.

      • KCI등재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이영경,정명희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6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of the elderly. The study subjects were 188 upper 65 elderly. We collected data use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e used the Walsh(1998)'s family resilience model to measure family resilience variable. For this study, the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BM SPSS Statistics 20.0 was used. First, the score of the family trust system is higher than other components of family resilience. Second, as results of the differences of family resilience by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riage type, family type, health status, house type, economic status, economic activit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p<0.01). Third, as results of the differences of depression by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riage type, family type,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economic activit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p<0.01). Fourth, as results of the differences of suicide ideation by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riage type, family type,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economic activit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p<0.01). Fifth,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family resilience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Sixth, as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family resilience reduced elderly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Especially, the family resource and communication is effective factor to reduce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As we can see from the above results, we emphasize more family resilience on the academic and elderly policy perspective to improv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가족탄력성이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 군포시, 안양시, 의왕시,과천시를 포함한 서울시 지역의 노인복지관, 스포츠센터와 경로당을 방문하여 각 지역 당 50명씩 총 200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8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족탄력성과 우울, 자살생각 간에는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탄력성과 우울, 자살생각 간의 상관성을 보면 모두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가족탄력성(가족신념체계, 가족조직유형, 의사소통)이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조직유형의 구성요소 중에서 가족자원이 높을수록,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우울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탄력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조직유형의 구성요소 중에서 가족자원이 높을수록, 역할안정성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족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요구된다. 노인의 우울을 줄이고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가족프로그램 등을 실시하여 가족탄력성이 형성되는 데 도움을 주는 것도 필요하고, 가족내 자원과 지지의 정도도 중요하기에 가족 구성원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구성원 스스로가 가족내 자원과 지지체계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중심으로

        강효경,유장순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2 초등상담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546명으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유치원, 초·중·고등학교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조사대상자의 스트레스, 문제해결능력, 가족탄력성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적 분석과 상관관계, 그리고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 문제해결능력, 가족탄력성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가족탄력성의 신념체계와 의사소통과정은 스트레스와 문제해결능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낮아지고 문제해결능력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가족이 스트레스를 낮추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학교현장 및 지역사회에서는 장애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가족상담 및 부모상담, 가족탄력성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