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기능이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희복(Kang Hee-Bok),김애리나(Kim Aerina),이상주(Lee Sang-Joo)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4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과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로 정신장애인의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가족기능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가족기능이 사회적응에 영향을 줄때 재입원횟수가 어떻게 조절해주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퇴원 후 서울ㆍ경기지역에 소재한 병원의 외래,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407명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가족기능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이 인지하는 가족기능이 긍정적일수록 사회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하위요인별로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족의 지지, 소외, 친밀도, 역할, 사회성, 갈등이 사회적응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고, 권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가족기능 하위요인들 중 사회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변인은 가족소외였으며, 그 다음이 가족갈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입원횟수가 가족기능과 시회적응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더니, 가족기능과 사회적응 사이에 재입원횟수가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기능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병기간에 따라서 큰 차이가 나진 않았지만, 가족기능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병기간이 짧은 경우에 사회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기능이 낮은 집단에서는 재입원을 적게 할수록 사회적응을 잘하는 반면, 가족기능이 높은 집단에서는 재입원을 많이 할수록 사회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기능을 높이고 사회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신장애인이나 그의 가족이 가족교육, 가족상담, 가족치료 동의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가족들이 자조모임을 통하여 개인적인 스트레스와 부담을 줄이고 서로 지지를 주고받아야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정신장애인이나 가족을 위한 지역사회내의 자원들이 긴밀한 연계를 가지고 제공되어야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소외되지 않고 사회복귀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who live in local communities and family function, and it aims toexamine the effect that family function as subjectively perceived by the mentally disabled has on their social adaptation, and how family function, when it affects social adaptation, moderates the frequency of re-hospitaliza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study objectives, 407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use the hospitals that a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as out-patients, as well as the mental health center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used as subjec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social adapta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positive family function was as perceived by the mentally disabled, the better they were shown to adapt socially. When the effects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function on social adaptation were examined, family support, alienation, intimacy, role, sociality, and conflict had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daptation, while author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among the family function"s subordinate factors, the variable family alienation was found to exert the biggest influence on social adaptation, followed by family conflict. Third, when the frequency of re-hospitalization was examined as an indicator of family function"s effect on social adaptation, it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explanatory force for family function"s effect on social adaptation. In other words, in the group with low family function, fewer re-hospitalizations produced better social adaptation while in the group with high family function more re-hospitalization produced better social adaptation. Accordingly, in order to raise family function and enhance social adaptation, the mentally disabled or their families must have access to various services such as family education, family counseling, and family treatment. Also, the families must, through self-help gatherings, reduce personal stress and burdens, and give and receive support to an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help the mentally disabled in their social adaptation Furthermore, the local community"s resource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their families must be intimately connected when they are provided in order for the mentally disabled to not become alienated from their local communities and succeed in returning to societ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가족과 비장애인가족의 가족기능 비교연구: McMaster Model의 적용

        석말숙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2

        This study proposes to compare the family function of disabled and non-disabled families by using the McMaster FAD(McMaster Family Assessment Device). In order to compare seven subdivisions of family function in a family with a disabled adult, a family with a disabled child, and a non-disabled family and reveal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opulation-sociological features of the examinees and the subdivision of family function. I conducted MANOVA, which is an analysis of multi-variables, and carried out corre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abled family functions at a lower degree than the non-disabled family in general subdivisions of family function, such a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role, and behavior control, but did not function at a lower degree in the subdivision of emotional involvement. Second, a family with a disabled adult functions at a lower degree than a family with a disabled child, especially in the areas of behavior control, general function, role, and emotional response.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area of the disabled family and subdivisions of lowered family function corresponds to the age of the disabled family member. The family functions at a lower level especially in role,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 control. Fourth, the older the disabled family member becomes, the lower the family function, especially in regards to role,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 control. Fifth, in the non-disabled family, higher family income results in lower family function. The older the respondents are, the higher the family function works. Likewise, a disabled family usually lives in a difficult situation, but close analysis shows many problems in family function. Accordingly, it is highly recommendable that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ovides corresponding services by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본 연구는 장애인가족의 가족기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McMaster Family Assessment Devise (McMaster 가족사정도구)를 사용하여 비장애인가족과 비교 분석하였다. 성인장애인가족, 장애아동가족, 비장애인가족의 가족기능 7개 하위영역별 비교를 위해서는 다변인 변량분석인 MANOVA를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족기능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가족은 비장애인가족에 비하여 정서적 관여를 제외한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역할, 정서적 반응, 행동통제, 일반적 기능 등 가족기능의 하위영역 전반에 걸쳐 낮은 수준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행동통제기능과 역할수행기능에서 가장 많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인장애인가족은 장애아동가족에 비하여 7가지 가족기능의 하위영역 전반에서 모두 낮은 수준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행동통제기능, 일반적 기능, 역할기능, 정서적 반응 기능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가족의 일반적 사항과 가족기능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를 보면 장애인의 나이가 많을수록 전반적인 가족기능의 수준이 낮고 특히 역할, 정서적 반응, 행동통제, 일반적 기능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의 장애발생시기가 늦을수록 전반적인 가족기능의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역할, 정서적 반응, 행동통제 기능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장애인가족의 경우는 가족소득이 많을수록 가족의 역할기능과 행동통제기능이 떨어지고 응답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전반적인 가족기능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나이와 문제해결기능, 의사소통기능, 역할기능, 정서적 반응기능, 일반적 기능 등이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처럼 장애인가족은 대체로 어려운 가운데 적응하며 살아가고 있지만 심도 있게 분석해 보면 가족기능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반드시 고려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IT(Information Technology) 기반 가족복지 서비스의 탐색적 사례 연구

        이선형,안준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2

        As family structure is gradually becoming more diversified in most developed countries these days, the functions of the family are also chan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T(Information Technology) to support four major functions of the family: care and nurture, emotional support, leisure, and education. The study employed case studi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IT to support family functions in Korea while also relying on a FGI (Focus Group Interview) of experts in different fields. There were four main results. First, U-care service can help improve the caring functions of a family with elderly members, resulting in a reduction of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dens of family care-givers. Second, Smart phone and Smart TV can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living separately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s. Third, the U-table game can be utilized as a family leisure activity. Particularly, its table-top system is an effective tool to increase cooperation between family members and to provide motivation to engage in certain tasks. Fourth, the e-learning system can serve as an assistive device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se results have crucial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IT-based family support services in Korea, which may lead to a reduction of policy costs. 사회가 정보화사회로 빠르게 이행되면서 정보기기가 우리의 일상성을 규정하고 지배하는 생활기술로 자리매김 되어가고 이러한 변화가 가족의 의사소통이나 가족관계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 가족이 사회변화로 인한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겪으면서 가족기능 수행에 어려움을 표출하고 있다고 보고, 이러한 기능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의 기능 수행을 지원하는 IT의 역할을 사례조사와 FGI를 통해 탐색해보았다. 가족의 고유기능인 돌봄 및 보호의 기능, 자녀양육 및 사회화 기능과 파생기능인 정서적 기능, 여가적 기능을 지원해줄 수 있는 IT를 중심으로 사례조사를 하였고, 이에 대한 FGI를 병행하였다. 주된 결과로, 노부모 돌봄기능 보완을 위한 IT 활용의 경우 노인의 건강 욕구와 가족의 돌봄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인력이나 장비, 정책 등의 문제점은 보완되어야 하며, 둘째, 정서적 기능 보완을 위한 IT 활용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가족이나 맞벌이 등으로 함께 보내는 시간이 적은 경우 활용 가능성이 있으나, 기기 자체의 보급이나 실감도를 높이는 기술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기능 보완을 위한 IT 활용의 경우 가족용 게임의 개발이 세대간 공동의 관심사를 찾기 어려운 가족들에게 좋은 시도가 될 것이나,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이의 보급 및 일반화에 대한 과제가 남아있다. 넷째, 취약계층인 다문화가족의 교육기능 보완을 위한 IT 활용의 경우 이들의 욕구가 높으나 인프라 보급이나 교육 대상자의 저연령을 고려할 때, 그 부모, 특히 엄마를 대상으로 한 교육을 강화할 것이 제안되었다. 아직까지 가족기능 보완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IT가 아니라, 개발되어있는 IT를 가족기능 보완에 접목하는 형태이므로, 앞으로 가족의 욕구를 고려한 IT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족기능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선애순,이미나 한국심리협회 2012 심리행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족기능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 구의 연구대상은 J도 Y군, H군, G군, J군, A군지역의 다문화가정 부모와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으며,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해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 다문화가정을 방문하는 교사들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11년 3월 8일부터 5월30일까지 약 3개월 동안 수거한 219부를 최종 연구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986년 Olson, Portner 및 Laves등에 의해 개발된 평가도구인 FACES Ⅲ(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를 이경희(1994)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Pease, Clark과 Crase(1981)가 개발한 ISCS(IowaSocialCompetenceScale)를 번역·수정한 송나리(1993)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가족기능과 사회적 능력, 각각의 하위요인에 대한 평균(M)과 표준편차(SD),다문화 가정 아동의 가족기능과 사회적 능력은 Pearson 적률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족기능이 사회적 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SPSS WIN 17.0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족기능의 수준은 가족 결속력, 가족 적응성, 가족 표현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능력 수준은 사회적 과민성, 사회적 안정성, 사회적 지도력, 사회적 유능성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족기능과 사회적 능력에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다문화 가정의 가족기능 수준이 높을 수록 사회적 능력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족기능이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심유화,정미경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군사회복지학 Vol.8 No.2

        본 연구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기혼 직업군인 262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1일부터 2015년 5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PASW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모든 생태학적 체계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유기체 변인은 직업군인의 군복무기간이 짧을수록, 월 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맞벌이를 할수록 기능적이었다. 미시체계변인은 결혼생활과 직무에 만족할수록 기능적이었고, 중간체계변인은 이웃과의 유대가 강하고, 동네조직에 덜 참여할수록 기능적이었다. 외체계변인은 사회로부터 평가적 지지가 많을수록 기능적이었고, 지역의 공식적인 모임에서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하지 않을수록 기능적이었다. 거시체계변인은 직업군인에 대한 공직성과 군직성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기능적이었다. 둘째, 직업군인의 전체적인 가족기능과 3개의 하위 영역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생태체계 변인군은 미시체계 변인군이었다. 이는 미시체계가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가장 중요한 생태학적 체계임을 시사해 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면, 생태학적 모든 체계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생태체계는 미시체계 변인군이다. 본 연구는 직업군인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생태체계적 접근을 통해 탐색하였다는 점과,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보다 내실 있고 명실상부한 군인가족복지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variables influencing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by employing Bronfenbrenner’s Eco-systematic approach. 262 married professional soldi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ere done by using PASW softw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eco-systematic variables influence on the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In terms of the organism factors, the family has better function when it has shorter period of service, higher income per month, and a dual income. Regarding the microsystem variables, the family has better function when it has higher satisfaction on the marriage and the job, and for the mesosystem variables, it shows better function when it has stronger bond with its neighborhood and participates less in community organization. Besides, for the exosystem variables, the better family function can be predicted by having better social evaluation and less responsibility on any official community meeting, and when it comes to the macro system, higher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dentified as the predictor. Second, the microsystem variables has the highest influence on overall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its three subsets. The result could be interpreted in the sense of Eco-systematic perspective that all of the system have the effect on family function while the microsystem has the highest level out of the oth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determine the variables that predict the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its relative effect by employing Eco-systematic approach.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practical and political direction can be further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family welfare of professional soldiers.

      • KCI등재

        고등학생의 가족기능과 자기분화, 자존감의 관계에서 또래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윤선,이규미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lf-differenti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family functioning and self-esteem and to examine whether peer support and family conflicts ha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For this purpose, 522 students from four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about their family functioning, self-differentiation, self-esteem, and peer support.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The mediating, modul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family functioning, self-differentiation, self-esteem, and peer support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peer support were as follows. First, self-differenti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elf-esteem such that family functioning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peer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elf-differentiation that promoted self-differentiation. Thus, peer support affected family functioning and self-differentiation. Third, verifying the moderated mediating model of peer support by combining the mediation mod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the moderation model of peer support identified above showed that self-differenti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elf-esteem. Thus, family support affected self-differenti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affected self-estee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self-differenti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elf-esteem,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elf-esteem. Second, it showed that peer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elf-differentiation, identifying a mechanism that promotes self-differentiation. Third, it showed the mediation of self-differenti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elf-esteem depended on peer support.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가족기능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또래지지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의 4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522명을 대상으로 가족기능, 자기분화, 자존감, 또래지지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SPSS 21.0과 PROCE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의 결과, 가족기능, 자기분화, 자존감, 또래지지는 유의미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또래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족기능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가족기능은 자기분화 수준을 높이고, 높아진 자기분화수준은 자존감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다음으로, 가족기능과 자기분화의 관계에서 또래지지는 자기분화를 촉진하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래지지가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높으면 자기분화가 더욱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분화의 매개모형과 또래지지의 조절모형을 결합한 또래지지의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가족기능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를 또래지지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래지지가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높으면 자기분화가 증가하였고, 높아진 자기분화가 자존감을 더욱 높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역할이 확인됨으로써 가족기능과 자존감의 관계가 보다 명확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가족기능과 자기분화의 관계에서 또래지지의 조절역할이 확인됨으로써 자기분화를 촉진할 수 있는 기제를 찾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가족기능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나타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가 또래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됨으로써, 자존감을 촉진할 수 있는 기제와 그 경로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가족기능이 수용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가족접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연희 아시아교정포럼 2015 교정담론 Vol.9 No.3

        수용자들은 교도소의 독특한 환경 속에서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쉽다. 이 연구는 수용생활의 적응여부는 교도소 환경에 대처하는데 필요한 자원에 달려있다고 보는 대처모델(coping model)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수용자들의 핵심자원인 가족요인들이 수용생활의 부적응을 초래하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수용자스트레스, 가족기능, 가족접견의 영향관계에서 가족접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국 44개 교정기관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기혼수용자 39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 및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주요 발견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자의 성별, 연령, 법률혼 여부, 형기, 복역기간 중에서 연령과 형기만이 수용자스트레스에 대한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용자의 연령이 적을수록, 형량이 긴 수용자일수록 스트레스가 더 많았다. 둘째, 가족기능이 수용자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접견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수용자 가족기능은 수용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고, 가족접견은 수용자의 가족기능과 스트레스를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수용자 가족기능이 긍정적일수록 수용자 스트레스를 줄어들게 하는 직접효과가 있는 동시에 수용자의 가족기능이 긍정적일수록 수용자와 가족 간 접촉을 활성화시키는 경로를 거쳐서 수용자 스트레스를 줄이는 간접효과 또한 있었다. 셋째,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수용자 스트레스 완화 및 수용생활 적응을 위한 개입은 개별수용자에게 비중을 둔 기존의 접근에서 벗어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적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는 환경 중심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Prison inmates experience stress during incarceration.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effects of family-related factors on the inmates’adaptation to incarcerated environments, based on the coping model which assumes that adapt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availability of coping mechanisms. Specifically, the paper collect and studies the relationship of stress levels of the inmates, family function, and family visitation on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visitations. For this study, 394 married inmates were surveyed from 44 correctional facilities. The surveys were then analyzed wi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Main findings are as followed. First, among the inmates’sex, age, marital status, sentence, and length of incarceration, only the inmates’ age and sentence had an effect on the inmates’ stress levels. Specifically, the younger the age and longer the sentence, the higher the inmates’ stress levels were. Second, family visitations showed to have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s and the inmates’ stress levels. An inmate’s family function affected the inmate’s stress levels, and family visitations had a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inmate’s stress levels and family functions. Specifically, positive the family functions of the inmate facilitated increased family contact and indirectly reduced the inmate’s stress levels. This proves the applicability of the coping mod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levels of inmates and family factors. Thir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per suggests that stress levels of inmates should be reduced through an environment-based approach by changes stress-inducing factors instead of the current approach where the emphasis is on individual inmates.

      • KCI등재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서지은,김희정 한국가족치료학회 2012 가족과 가족치료 Vol.20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family functioning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it. The researchers were guided b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factors and associated effect sizes frequently investigated in previous studies of family functioning? Methods: The researchers selected 96 studies conducted in Korea between 1989 and 2011 and calculated 850 effect sizes. They identified six main factors (parent and child demographic variables, parent psychosocial variables, child psychological variables, family system variables, and family health-related variables) and 31 sub-factors. They calculated the effect sizes from the selected studies using meta-analytic method, and they analyzed the results. Results: Regarding overall family functioning, results indicated a large effect size for family communication and medium effect sizes for family support, existence of disability or illness, satisfaction with life, and family structure. In addition to parents’ age, education, depression, leisure, parenting style, and stress level, children’s self-esteem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with regard to family functioning. Conclusions: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findings and offered sugges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하여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고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 대상 논문과 분석의 방법을 선정하였고, 1989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국내학술지와 석․박사 학위논문들 중 가족기능과 관련된 요인들에 관한 연구 96편을 대상으로 850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부모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부모의 심리사회적 특성 요인, 자녀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자녀의 심리적 특성 요인, 가족 체계 요인, 가족 건강 관련 요인 등 총 6개 요인과 31개의 변수로 분류한 후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기능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부모의 심리사회적 특성 요인, 가족 체계 요인이 가장 많았으며, 각 요인들과 가족기능 간의 관계를 효과크기로 환산하여 분석한 결과, 가족기능에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이는 요인은 가족 체계 요인 중 의사소통이었으며, 질병, 장애유무, 그리고 만족도 및 가족구성 등이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그 밖에 부모의 연령, 학력, 우울, 만족도, 가족여가, 양육태도, 스트레스 등과 더불어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가족기능에 유의한 효과크기를 나타내어 가족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상담 현장 차원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가족기능회복을 위한 사례관리 실천 방법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복지관의 적용 방안 제시를 중심으로

        손병덕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09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4 No.-

        본 연구는 가족에 대한 전통적 가치관의 변화와 가족관련 문제 증가, 가족해체 현상 속에서 가족의 기능을 재고하고 가족 역기능에 의한 가족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가족체계론적 관점에 기초한 가족사례관리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가족체계 안에서 가족 구성원은 고유의 역할, 규범을 형성하고 그러한 가족규범에 대한 이해와 동의로 긍정적 가족역할이 수행될 수 있다. 가족구성원 전체가 긍정적 상호작용을 지속하고, 가족역기능을 유발하는 행동을 억제함으로 건강한 가족체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지역의 가족사회복지사는 문제가족을 개입하여 가족의 강점강화, 효과적인 가족기능유지, 만족스러운 일상생활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체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가족문제를 유발하게 하는 가족역기능을 분석하고, 가족사례관리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전문사회복지서비스를 통한 개입을 시행할 수 있는 가족사례관리 시스템 구축과 실행이 지역사회의 가족문제를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실천전략으로 제시하였다. A family social worker in local areas can play a role as an enabler who intervene family matters, better empower, retain effective family functions, and enjoy satisfying daily lives. Therefore, building and practicing a family case management system which analyzes family dysfunctions, and practices effective interventions through family case managements and professional social work services to deal with those family conflicts in the local areas are strongly suggested.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a practice model for family case management based on the family system theory as a method to solve family conflicts by family dysfunction in the milieu of changing traditional family perspectives, growing family related problems and family breakdown. Family members may be able to play a family role positively, by forming family regulations and accepting those family regulations with understanding and consen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