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한방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삶의 질, 발병 전 환자와의 관계 및 가족지지 비교

        김미숙 ( Mi Sook Kim ),한상숙 ( Sang Sook Han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6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2 No.1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양·한방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삶의 질, 발병 전 환자와의 관계, 가족지지 비교는 선행연구가 없어 직접 비교할 수는 없으나 양방과 한방병원 각각의 뇌졸중환자 주간호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결과를 기초로 논의 하고자 한다. 일반적 특성의 동질성 검증은 주간호자의 삶의 질, 발병전 환자와의 관계, 가족지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고려하여 동질성 검증을 한 결과 주간호자와 환자에 따른 두군의 특성은 모두 동일하였다. 일반적 특성에서는 부양비에 차이가 있었으나 이는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한방뇌졸중환자집단과 양방 뇌졸중환자 집단 간에는 동질함을 전제로 분석하였다.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삶의 질은 양방(3.34점)과 한방(3.36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26, p=. 792). 본 연구의 양방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삶의 질(3.34점) 정도는 선행연구 Kim(2005)의 뇌졸중 환자 보호자 의 삶의 질(3.08점), Lee(2001)의 노인층과 청·장년층뇌졸중 환자가족의 건강상태·부담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노인층 환자 가족의 삶의 질(2.55점), 청·장년층 환자가족의 삶의 질(2.46점)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방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삶의 질(3.36점) 정도는 선행연구 Yang(2002)은 뇌졸중 환자의 자가간호 정도에 따른 가족원의 부담감과 삶의 질(2.92점) 보다는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입장에서 볼 때 양방의 경우 갑작스런 수술로 인한 정신적 충격과 수술 부위에 따른 부담감 및 수술비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 수술 후 치료 과정적 문제, 예후와 한방의 경우 한약 처방이라는 이중 부담, 자가간호 수행 제한으로 인한 주간호인의 상주요구의 증가로 인한 간병비용의 증가 및 가족역할의 변화, 주간호자의 수면부족, 행동제한, 피로누적 및 남은 가족에 대한 부담 및 일상 활동 제한 등으로 비추어 볼 때 주간호자가 느끼는 삶의 질 정도는 같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는 양방과 한방 주간호자의 삶의 질을 각각 보고한 선행연구들(Kim, 2005; Lee, 2001; Yang, 2002)에서는 대부분 양방이 한방병원 주간호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여러 병원에서 보다 많은 뇌졸중환자 주간호자를 대상으로 한 반복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발병 전 환자와의 관계는 한방(3.76점)이 양방(3.49점)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64, p=.009). 이는 양방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발병 전 환자와의 관계를 연구한 Yue(2000)의 주간호자의 발병 전 환자와의 관계는 가족간호자 간 관계의 질이 좋으면 역할 스트레스의 지각이 낮다고 하였으며, Yang(1992)는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발병 전 관계의 질이 좋을수록 부양 만족도도 높았다는 연구 결과를 볼 때 한방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는 환자의 부양만족이 높으며, 역할에 대한 스트레스도 낮을 것이며, 환자와의 관계가 긍정적임을 시사한다. 문항별로 비교하면 ‘환자와 가까웠다’, ‘환자는 나를 도와주었다’, ‘환자에게 사랑을 느꼈다’, ‘내가 쉬기를 원할 때 환자는 나를 편안하게 해주었다’, ‘환자와 서로 함께 웃는 일이 많았다’, ‘환자를 신뢰하였다’, ‘환자는 나에게 마음적으로 힘을 주었다’, ‘환자와 함께 보내는 시간을 즐겼다’, ‘환자는 나에게 따뜻함을 느끼게 하였다’ 등의 9개 항목에서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발병 전 환자와의 관계가 한방병원이 양방병원보다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가족지지는 한방(3.55점)이 양방(3.28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12, p=.035). 본 연구 결과에서 양·한방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가족지지(3.55점)는 양·한방 환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Kang(2000)의 뇌졸중 환자가족의 관계 연구에서의 가족지지(3.84점)보다 낮았다. 그러나 문항별 비교에서는 ‘우리 가족은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서로 도와준다’, ‘우리 가족은 각자의 친구를 알고 있고 그들을 좋은 친구로 인정해 준다’, ‘우리가족들은 서로 간에 매우 친근감을 느낀다’, ‘우리 가족은 함께 해야 할 일이 있을 때 가족 모두가 참석한다’ 등의 4개 항목에서 한방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가족지지가 양방보다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가족의 화합과 관련된 항목에서 한방에서 양방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삶의 질은 양방과 한방이 차이가 없었으나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발병전 환자와의 관계와 가족지지의 정도는 한방이 양방보다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양방보다 한방에 입원한 환자 가족 간의 지지가 더 돋독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는 양방과 한방병동 주간호자의 삶의 질, 발병 전 환자와의 관계, 가족지지를 처음으로 비교했다는 데 있다. 그러나 뇌졸중환자 주간호자의 삶의 질 문제는 양방·한방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주간호자의 발병이전 환자와의 관계나 가족지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차이가 없어 보다 많은 대상으로 한반복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compare of quality of life, relationship with CVA patients, and family support between caregiver of patient with CVA i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Method: Total 270 caregivers for CVA patients were selected from western medicine department (114) and oriental medicine department (156) at K hospital in Seoul. The instrument tool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quality of life, Family support, Caregiver``s relationship with patients, daily activ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χ2-test, t-test using SPSS Windows 12.0 Program. Result: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etwee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VA i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t=.26, p=.792).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ship with patients(t=2.64, p=.009) and family support(t=2.12, p=.035) before onset of disease betwee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VA i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Conclusion: As a result, caregivers of oriental medicine with CVA patients showed closer relationship with patients before the onset of disease and higher family support compare to caregivers of western medicine with CVA patients.

      • KCI등재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인생 회고 기법을 활용한 노래 중심 음악치료가 환자와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 관계에 미치는 영향

        홍정인,김경숙 한국예술치료학회 202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인생 회고 기법을 활용한 노래 중심 음악치료가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받고 있는 환자와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I광역 시 B구 C대학병원의 가정형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 이용 가족 중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환자와 주 돌봄 가족 1인 10쌍으로 총 20명이었다. 사전 검사 후, 지나온 삶을 회고하고 지나온 과거를 재경험하며 자신의 삶에 가치를 부여하도록 유도하는 인생 회고 기법을 활용한 노래 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 씩 2주간 총 4회기 중재하고,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호스피스 암 환자 의 삶의 질 측정 도구(Hospice Quality of Life Scale: HQLS)’, ‘삶의 질 측정 도구(Quality of Life: QOL)’ 그리고 ‘가족 관계의 질 측정 도구(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and patient)’를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Z=-2.805, p<01)와 주 돌봄 가족(Z=-2.701, p<.01)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가족 관계의 질(Z=-2.803, p<.01)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총체적인 돌봄에 의한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의 목적과 목표에 부합하는 것으로,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와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 관계의 질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적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ng-oriented music therapy using life-retrospective techniques on the quality of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of patients and primary caregivers receiving home-bas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0 pairs of patients and one of his(her) primary caregivers, a total of 20 subjects. After the pre-test, a song-oriented music therapy program using life-retrospective techniques that induce reflecting the past, re-experiencing the past, and giving value to life was perform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4 sessions for 2 weeks; followed by a post-test. The tools used to measure the changes in subjects were Hospice Quality of Life Scale (HQLS), Quality of Life (QOL), and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and patient.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of home-bas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Z=-2.805, p<01), primary caregivers (Z=-2.701, p<.01), and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and patient (Z=-2.803, p<.01).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goals and objective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families by holistic care and signifies that the promotion of home-based hospice and palliative music therapy are strongly required to improve the patients’ and caregivers’ quality of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 KCI등재

        장기요양보호노인을 돌보는 배우자의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이 부양부담 및 부양경험의 보상에 미치는 영향

        한경혜(Han Gyoung-hae),손정연(Son Jeong-yeon)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보호 노인을 돌보는 배우자의 부양동기와 가족관계의 질이 부양부담 및 부양경험의 보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 시범사업지역에서 장기요양재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가족 중에서, 배우자를 돌보는 남성 151명, 여성 17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양상황에서 나타나는 부양동 기와 가족관계의 질이 부담 및 보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젠더의 영향을 탐색하고자 먼저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젠더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고, 다음은 남녀를 따로 구분하는 회귀분석을 통하여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부양부담 및 보상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 부양부담 수준에 있어 남녀 간 차이가 있었다. (2)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부양부담 및 보상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부양부담을 예측하는 요인과 부양경험의 보상을 예측하는 요인에 있어 유사점과 함께 차이점이 관찰되었다. (3) 특히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보상 간 관련성에서 남녀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 긍정적 부양경험을 설명하는 기제가 젠더에 따라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배우자 부양자가 인식하는 부양부담 및 보상의 의미와 관련요인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motives for caregiving and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have on caregiving burden and reward for spouse caregiver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Data were gather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321 spouse caregivers(151 men and 170 women) who were providing care for impaired elderl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spouse caregiving experience. Second, results show caregiving burden and reward not only have unique predictors but also share some similar predictors. Third, the effect of caregiving motive and family relationship quality on perceived reward of caregiving turned out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further.

      • KCI등재후보

        가족분화수준, 가족관계의 질 및 친밀감간의 관계

        남순현,한성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8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of family differentiation,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and intimacy with their partners in 381 adult children.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family differentiation and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family differentiation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to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This finding indicated that family differentiation may be used for an objective and useful index to measure the dynamics of emotional system and the level of family-of-origin emotional health. Second, the influence of the family of origin was studied through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family of origin, and adult children's intimacy with their partners. It was found that the family differentiation level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adult children's intimacy with their partners at each subsystem, but family differentiation levels of parents more influenced on adult male's intimacy than on adult female's intimacy with their partners.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자녀 381명을 대상으로 가족분화수준, 가족관계의 질 및 친밀감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첫째, 가족분화수준과 가족관계의 질간의 관계를 통하여 가족분화의 개념이 원가족에 대해 지각하는 정서적 건강과 실제 가족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을 나타내는 개념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가족분화수준과 가족관계의 질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원가족의 가족분화수준과 성인기 자녀의 이성파트너와의 친밀감간의 관계를 토대로 원가족의 부모와의 정서적 역동이 성인기 자녀의 현재 이성파트너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성인기 자녀는 모든 하위체계에서 원가족의 가족분화수준과 이성파트너와의 친밀감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아들이 딸보다 부모의 가족분화수준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자기개방이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온·오프라인 교류비교

        남순현,권정혜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family communication systems within the interpersonal paradigm of the digital era.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comparable analyses on the influence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and the online and offline self-disclosures in terms of family intimacy levels. The demography of the 1,697 research subjects ranged from teenagers to people in their thirties, who had been identified as active SNS users from December 2011 to March 2012 by the nationwide population and random sample surveys. The results showed that horizontal individual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frequency of online family interaction, whereas vertical collectivism has no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In terms of online self-disclosures, only the Domain A (intimate subject)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and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offline family interactions, the vertical collectiv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ff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In terms of offline self-disclosures, all variables regarding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no meaningful impact on the off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The research results also showed that individual cultural values and online self-disclosur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as mediators. In addition, the Domain C (simple acquaintance) of online self-disclosure and Domain A, B, and C of offline self-disclosure had directly influences with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The study results comprehensively verified that active online self-disclosure improved the frequency of online family interaction, thereby increased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in the society where horizontal individualism was becoming more prevalent than vertical collectivism. Therefore, the study indicated that a paradigm of family communication could also be transformed from offline to online.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여 대인관계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가족의사소통체계에 대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자기개방이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족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의사소통체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1년 1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전국비례할당표본과 임의표본을 통해서 표집된 SNS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10대에서 30대까지 1,697명이었다. 연구결과, 온라인 가족의사소통체계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는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었고, 수직적 집단주의는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온라인 자기개방은 A영역(가까운 대상)에서만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고,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는 가족관계의 질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오프라인 가족의사소통에서는 수직적 집단주의만이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고, 오프라인 자기개방의 모든 영역은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는 가족관계의 질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개인의 문화적 가치와 온라인 자기개방은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를 매개로 가족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온라인 자기개방 C영역(단순 지인)과 오프라인 자기개방 A, B, C영역은 모두 가족관계의 질과 직접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차 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넘어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활발한 온라인 자기개방이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를 촉진시킴으로써 가족관계의 질을 증진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점차 가족의사소통의 패러다임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성격, 애착, 온라인 자기개방,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간의 종단적 관계: 잠재성장모형 분석

        남순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8 No.4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650 adolescents' online self-disclosur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attachment, and changes to family and online peer relationships. Longitudinal data were collected, end-to-end, in three sessions over a 6-month (on average) period from December 2011 to February 2013.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alyses conducted in AMOS 20.0 were used. As a result, for Group A (friends) of online self-disclosure, it examined not only the direct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s’ openness and changes to family intimacy,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n changes to online friendships. Attachment anxiety manifested positive changes to family and online peer relationships through continual online self-disclosure with close peers.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predicted a negative effect on changes to family intimacy and online friendships. For Group C (distant acquaintances) in terms of online self-disclosure, adolescents’ neuroticism positively predicted changes to family intimacy and online relationship quality if online self-disclosure was continuous. Furthermore, adolescents’ conscientiousness directly affected changes to online friendship quality.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negatively affected changes to family intimacy. These results counter previous studies claiming that a strong affinity for peers aggravates parent-child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Instead, the present findings indicate that adolescents’ online communication can positively affect family conflicts, suggesting that active online self-disclosure is beneficial to both family and online peer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청소년 65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성격특성과 애착이 가족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때, 가까운 대상과 단순지인과의 온라인 자기개방 매개효과를 종단 연구한 것이다. 조사기간은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였고, 평균 6개월 단위로 3차례에 걸쳐 연구대상자를 종단추적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영역(가까운 대상)의 경우, 청소년의 개방성은 가족친밀감 변화에 직접효과와 온라인 자기개방의 종단적 변화에 따른 간접효과를 동시에 보였고,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변화에는 매개효과만 보였다. 애착불안은 친한 친구와 온라인 자기개방이 증가할수록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반면, 애착회피는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변화에 부정적인 직접효과만 보였다. C영역(단순지인)의 경우, 온라인 자기개방이 증가할수록 청소년의 신경성이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관계의 질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성실성은 온라인 관계의 질 변화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애착회피는 가족친밀감 변화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기 또래와의 강한 유대감이 가족관계를 약화시켜 청소년 가족문제를 초래한다는 기존 관점과 달리, 온라인에서 청소년의 활발한 자기개방이 가족과 온라인 친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상반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온라인 의사소통이 가족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노인의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사회활동참여를 매개효과로-

        남복현 ( Bok Hyun Nam ),정신섭 ( Shin Sub J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6 사회복지경영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노인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성공적인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노인의 특성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영등포구와 기타 지역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특성 중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관계나 신체적 건강보다는 가족관계와 경제적 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노인의 특성은(가족관계, 경제적 요인, 사회적 관계, 신체적 건강) 모두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특성요인 중 경제적요인, 사회적 관계 그리고 신체적 건강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관계와 삶의 질 관계에서는 회복탄력성이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특성 중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관계와 경제적 요인으로 검증되어 가족 간의 대화나 친화력이 매우 중요함을 나타냈고 어느정도 가족에게 의존하지 않을 정도의 경제력이 필요함을 나타냈다. 회복탄력성은 노인의 특성과 삶의 질 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의 적절한 노인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clarify what that impact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success factors in Korea, which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by rapidly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Only living in large cities such as Yeongdeungpo-gu, Seoul and other areas to conduct a survey of 65 years of age or older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or this purpos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showed that social relationships and physical health, family and economic factors rather than on the more of an impact.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on the resilience of the elderly was found on the (family relationships, economic factors, social relationships, physical health), everyon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at the resilience of the elderly i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Fourth,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elderly in economic factors,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showed that the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that it does not this intermediary resilience in quality between the family and life appear. A major contributor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on the quality of life is validated as family relationships and economic factors showed a conversation or affinity is very important between family members expressed the need for economies of degree not rely on a certain degree family.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ffect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se findings are relevant governments and appropriate senior program development and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ies to prepare for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s required.

      • KCI등재

        재구성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재혼을 경험한 성인의 관점에서-

        박경례(Kyung-Lae Park),박재연(Jae-Yeon Park) 한국가족치료학회 2021 가족과 가족치료 Vol.29 No.1

        본 연구는 가족해체와 가족 재구성을 경험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재혼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경제적, 가족관계 및 사회적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재혼가족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탄력성이 높은 재혼가족일수록 다양한 갈등과 문제, 사건들에 대한 스트레스를 능동적, 수용적으로 대처하며, 위기나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인내와 노력을 더 기울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경제적 만족감이 클수록 재혼가족들은 재혼 생활에 만족하고 삶의 질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혼가족에게 있어서 부부관계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혼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성별 차이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삶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재혼가족들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제고와 재혼가족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재혼 생활을 지속하기 위하여 가족 차원에서 특화된 심리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psychological, economic, family relations, and social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remarried families. Methods: A total of 114 remarried families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Results: First, the more resilient remarried families tend to cope actively with stress caused by various conflicts, problems and events that arise during the dismantlement and family reorganization process. Second,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remarried family is, the better their quality of life is. Similarly, the greater their economic satisfaction is, the better their quality of life is. Third, the marital relationship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remarried families. Fourth, women have better quality of life than men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remarried families.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specialized psychological support and program development may be necessary to promote social awareness of remarried families and to maintain their healthy and happy remarried lives.

      • KCI등재

        저소득층 밀집지역 가정의 가족관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은정(Choi, Eun-Jeung),박순희(Park, Sun-Hee),양정남(Yang, Jeoung-Na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4

        본 연구는 저소득 밀집지역 거주자들의 가족관계가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가족관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저소득층 주민 3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 저소득층 가정의 가족관계를 독립변수로, 정신건강을 매개변수로,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성별과 연령, 소득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후의 정신건강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성별과 연령, 소득에 따라 주요 변수들에 차이를 보였고, 저소득층 가정의 가족관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가족관계가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기보다 매개변수인 정신건강을 통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가정의 의사소통 및 가족기능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정신건강 및 복합적인 욕구충족을 위한 사례관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o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residents of low-income area communities and verify whether mental health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hip and quality of life. 350 low-income area residents were investigated. The family relationship of low-income families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mental health, as a mediating variable; and quality of life, as a dependent variab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sex, age, and income were controlled and the mediating role of mental health was identified. The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sex, age, and income and mental health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hip and quality of life in low-income families. Family relationship(independent variable) fully mediated quality of life(dependent variable) through mental health(mediating variable) rather than had a direct effec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rograms for the recovery of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s should be developed in low-income area families and case management is necessary for mental health and to meet multiple needs.

      • KCI등재

        약물의존 여성의 가족관계망의 패턴과 삶의 질

        박현용 ( Hyunyong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여성의 알코올 사용장애가 증가하면서, 여성 약물중독자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는 약물의존 여성의 회복과정에 있어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 약물의존자의 가족관계망 특성을 활용하여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가족의 잠재적 하위유형을 파악하고, 회복의 한 지표로써 삶의 질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재계층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약물의존 여성의 가족은 다섯 가지 하위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적이고 비판적이지 않은 가족의 수는 심리적 삶의 질과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반면, 지지적이지 않고 비판적이며 약물을 사용하는 가족의 수는 환경적인 삶의 질과 부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약물의존자의 특성을 고려한 사회관계망에 대한 개입에 대해 논의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회복과정에서 가족관계망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가족관계망의 변화과 삶의 질의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As the numbers of women with substance use disorders (SUD) continue to rise, researchers have become interested in substance abuse treatment for women. Also, previous research has emphasized the role of women’s social networks on recover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latent subtypes of family networks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substance-using women.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show five distinctive subtypes of family networks. More supportive, non-critical family network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quality of life. More non-supportive, critical, substance-using family network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environmental quality of life. Based on findings, network-based interventions for women with SUD were discussed. Future study is needed to explore the changes in family networks and quality of life using longitudinal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