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인생 회고 기법을 활용한 노래 중심 음악치료가 환자와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 관계에 미치는 영향
홍정인,김경숙 한국예술치료학회 202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인생 회고 기법을 활용한 노래 중심 음악치료가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받고 있는 환자와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I광역 시 B구 C대학병원의 가정형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 이용 가족 중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환자와 주 돌봄 가족 1인 10쌍으로 총 20명이었다. 사전 검사 후, 지나온 삶을 회고하고 지나온 과거를 재경험하며 자신의 삶에 가치를 부여하도록 유도하는 인생 회고 기법을 활용한 노래 중심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 씩 2주간 총 4회기 중재하고,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호스피스 암 환자 의 삶의 질 측정 도구(Hospice Quality of Life Scale: HQLS)’, ‘삶의 질 측정 도구(Quality of Life: QOL)’ 그리고 ‘가족 관계의 질 측정 도구(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and patient)’를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Z=-2.805, p<01)와 주 돌봄 가족(Z=-2.701, p<.01)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가족 관계의 질(Z=-2.803, p<.01)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총체적인 돌봄에 의한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의 목적과 목표에 부합하는 것으로, 가정형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와 주 돌봄 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 관계의 질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적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ng-oriented music therapy using life-retrospective techniques on the quality of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of patients and primary caregivers receiving home-bas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0 pairs of patients and one of his(her) primary caregivers, a total of 20 subjects. After the pre-test, a song-oriented music therapy program using life-retrospective techniques that induce reflecting the past, re-experiencing the past, and giving value to life was perform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4 sessions for 2 weeks; followed by a post-test. The tools used to measure the changes in subjects were Hospice Quality of Life Scale (HQLS), Quality of Life (QOL), and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and patient.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of home-bas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Z=-2.805, p<01), primary caregivers (Z=-2.701, p<.01), and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and patient (Z=-2.803, p<.01).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goals and objective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nd families by holistic care and signifies that the promotion of home-based hospice and palliative music therapy are strongly required to improve the patients’ and caregivers’ quality of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장기요양보호노인을 돌보는 배우자의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이 부양부담 및 부양경험의 보상에 미치는 영향
한경혜(Han Gyoung-hae),손정연(Son Jeong-yeon)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보호 노인을 돌보는 배우자의 부양동기와 가족관계의 질이 부양부담 및 부양경험의 보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 시범사업지역에서 장기요양재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가족 중에서, 배우자를 돌보는 남성 151명, 여성 17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양상황에서 나타나는 부양동 기와 가족관계의 질이 부담 및 보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젠더의 영향을 탐색하고자 먼저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젠더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고, 다음은 남녀를 따로 구분하는 회귀분석을 통하여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부양부담 및 보상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 부양부담 수준에 있어 남녀 간 차이가 있었다. (2)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부양부담 및 보상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부양부담을 예측하는 요인과 부양경험의 보상을 예측하는 요인에 있어 유사점과 함께 차이점이 관찰되었다. (3) 특히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과 보상 간 관련성에서 남녀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 긍정적 부양경험을 설명하는 기제가 젠더에 따라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배우자 부양자가 인식하는 부양부담 및 보상의 의미와 관련요인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motives for caregiving and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have on caregiving burden and reward for spouse caregiver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Data were gather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321 spouse caregivers(151 men and 170 women) who were providing care for impaired elderl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spouse caregiving experience. Second, results show caregiving burden and reward not only have unique predictors but also share some similar predictors. Third, the effect of caregiving motive and family relationship quality on perceived reward of caregiving turned out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further.
남순현,한성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8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of family differentiation,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and intimacy with their partners in 381 adult children.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family differentiation and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family differentiation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to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This finding indicated that family differentiation may be used for an objective and useful index to measure the dynamics of emotional system and the level of family-of-origin emotional health. Second, the influence of the family of origin was studied through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family of origin, and adult children's intimacy with their partners. It was found that the family differentiation level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adult children's intimacy with their partners at each subsystem, but family differentiation levels of parents more influenced on adult male's intimacy than on adult female's intimacy with their partners.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자녀 381명을 대상으로 가족분화수준, 가족관계의 질 및 친밀감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첫째, 가족분화수준과 가족관계의 질간의 관계를 통하여 가족분화의 개념이 원가족에 대해 지각하는 정서적 건강과 실제 가족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을 나타내는 개념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가족분화수준과 가족관계의 질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원가족의 가족분화수준과 성인기 자녀의 이성파트너와의 친밀감간의 관계를 토대로 원가족의 부모와의 정서적 역동이 성인기 자녀의 현재 이성파트너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성인기 자녀는 모든 하위체계에서 원가족의 가족분화수준과 이성파트너와의 친밀감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아들이 딸보다 부모의 가족분화수준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성격, 애착, 온라인 자기개방,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간의 종단적 관계: 잠재성장모형 분석
남순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8 No.4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650 adolescents' online self-disclosur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attachment, and changes to family and online peer relationships. Longitudinal data were collected, end-to-end, in three sessions over a 6-month (on average) period from December 2011 to February 2013.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alyses conducted in AMOS 20.0 were used. As a result, for Group A (friends) of online self-disclosure, it examined not only the direct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s’ openness and changes to family intimacy,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n changes to online friendships. Attachment anxiety manifested positive changes to family and online peer relationships through continual online self-disclosure with close peers.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predicted a negative effect on changes to family intimacy and online friendships. For Group C (distant acquaintances) in terms of online self-disclosure, adolescents’ neuroticism positively predicted changes to family intimacy and online relationship quality if online self-disclosure was continuous. Furthermore, adolescents’ conscientiousness directly affected changes to online friendship quality.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negatively affected changes to family intimacy. These results counter previous studies claiming that a strong affinity for peers aggravates parent-child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Instead, the present findings indicate that adolescents’ online communication can positively affect family conflicts, suggesting that active online self-disclosure is beneficial to both family and online peer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청소년 65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성격특성과 애착이 가족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때, 가까운 대상과 단순지인과의 온라인 자기개방 매개효과를 종단 연구한 것이다. 조사기간은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였고, 평균 6개월 단위로 3차례에 걸쳐 연구대상자를 종단추적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영역(가까운 대상)의 경우, 청소년의 개방성은 가족친밀감 변화에 직접효과와 온라인 자기개방의 종단적 변화에 따른 간접효과를 동시에 보였고,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변화에는 매개효과만 보였다. 애착불안은 친한 친구와 온라인 자기개방이 증가할수록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반면, 애착회피는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친구관계의 질 변화에 부정적인 직접효과만 보였다. C영역(단순지인)의 경우, 온라인 자기개방이 증가할수록 청소년의 신경성이 가족친밀감과 온라인 관계의 질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성실성은 온라인 관계의 질 변화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애착회피는 가족친밀감 변화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기 또래와의 강한 유대감이 가족관계를 약화시켜 청소년 가족문제를 초래한다는 기존 관점과 달리, 온라인에서 청소년의 활발한 자기개방이 가족과 온라인 친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상반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온라인 의사소통이 가족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자기개방이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온·오프라인 교류비교
남순현,권정혜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family communication systems within the interpersonal paradigm of the digital era.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comparable analyses on the influence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and the online and offline self-disclosures in terms of family intimacy levels. The demography of the 1,697 research subjects ranged from teenagers to people in their thirties, who had been identified as active SNS users from December 2011 to March 2012 by the nationwide population and random sample surveys. The results showed that horizontal individual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frequency of online family interaction, whereas vertical collectivism has no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In terms of online self-disclosures, only the Domain A (intimate subject)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and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offline family interactions, the vertical collectiv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ff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In terms of offline self-disclosures, all variables regarding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no meaningful impact on the off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The research results also showed that individual cultural values and online self-disclosur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as mediators. In addition, the Domain C (simple acquaintance) of online self-disclosure and Domain A, B, and C of offline self-disclosure had directly influences with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The study results comprehensively verified that active online self-disclosure improved the frequency of online family interaction, thereby increased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in the society where horizontal individualism was becoming more prevalent than vertical collectivism. Therefore, the study indicated that a paradigm of family communication could also be transformed from offline to online.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여 대인관계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가족의사소통체계에 대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자기개방이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족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의사소통체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1년 1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전국비례할당표본과 임의표본을 통해서 표집된 SNS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10대에서 30대까지 1,697명이었다. 연구결과, 온라인 가족의사소통체계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는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었고, 수직적 집단주의는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온라인 자기개방은 A영역(가까운 대상)에서만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고,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는 가족관계의 질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오프라인 가족의사소통에서는 수직적 집단주의만이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고, 오프라인 자기개방의 모든 영역은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는 가족관계의 질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개인의 문화적 가치와 온라인 자기개방은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를 매개로 가족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온라인 자기개방 C영역(단순 지인)과 오프라인 자기개방 A, B, C영역은 모두 가족관계의 질과 직접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차 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넘어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활발한 온라인 자기개방이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를 촉진시킴으로써 가족관계의 질을 증진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점차 가족의사소통의 패러다임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재구성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재혼을 경험한 성인의 관점에서-
박경례(Kyung-Lae Park),박재연(Jae-Yeon Park) 한국가족치료학회 2021 가족과 가족치료 Vol.29 No.1
본 연구는 가족해체와 가족 재구성을 경험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재혼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경제적, 가족관계 및 사회적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재혼가족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탄력성이 높은 재혼가족일수록 다양한 갈등과 문제, 사건들에 대한 스트레스를 능동적, 수용적으로 대처하며, 위기나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인내와 노력을 더 기울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경제적 만족감이 클수록 재혼가족들은 재혼 생활에 만족하고 삶의 질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혼가족에게 있어서 부부관계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혼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성별 차이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삶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재혼가족들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제고와 재혼가족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재혼 생활을 지속하기 위하여 가족 차원에서 특화된 심리적인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psychological, economic, family relations, and social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remarried families. Methods: A total of 114 remarried families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Results: First, the more resilient remarried families tend to cope actively with stress caused by various conflicts, problems and events that arise during the dismantlement and family reorganization process. Second,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remarried family is, the better their quality of life is. Similarly, the greater their economic satisfaction is, the better their quality of life is. Third, the marital relationship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remarried families. Fourth, women have better quality of life than men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remarried families.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specialized psychological support and program development may be necessary to promote social awareness of remarried families and to maintain their healthy and happy remarried lives.
저소득층 밀집지역 가정의 가족관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은정(Choi, Eun-Jeung),박순희(Park, Sun-Hee),양정남(Yang, Jeoung-Na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4
본 연구는 저소득 밀집지역 거주자들의 가족관계가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가족관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저소득층 주민 3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 저소득층 가정의 가족관계를 독립변수로, 정신건강을 매개변수로,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성별과 연령, 소득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후의 정신건강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성별과 연령, 소득에 따라 주요 변수들에 차이를 보였고, 저소득층 가정의 가족관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가족관계가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기보다 매개변수인 정신건강을 통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가정의 의사소통 및 가족기능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정신건강 및 복합적인 욕구충족을 위한 사례관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o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residents of low-income area communities and verify whether mental health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hip and quality of life. 350 low-income area residents were investigated. The family relationship of low-income families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mental health, as a mediating variable; and quality of life, as a dependent variab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sex, age, and income were controlled and the mediating role of mental health was identified. The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sex, age, and income and mental health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hip and quality of life in low-income families. Family relationship(independent variable) fully mediated quality of life(dependent variable) through mental health(mediating variable) rather than had a direct effec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rograms for the recovery of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s should be developed in low-income area families and case management is necessary for mental health and to meet multiple needs.
이성교제 중인 미혼남녀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및 이성교제 관계의 질과 결혼이미지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원아름,박정윤 한국가족치료학회 2016 가족과 가족치료 Vol.24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family strengths, views on marriage, and quality of dating relationships on unmarried men and women’s awareness of marriage intenti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411 unmarried couples.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using an SPSS WIN 20.0 program. Results: First, 88.8%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ere willing to get married. The average scores of the quality of dating relationships, family strengths, and views on marriage were higher than average. Second, no affective variables on the marriage intentions of the subjects were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family strengths, quality of dating relationships, and views on marriage (based on marriage inten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all subordinate areas. Fourth, higher marriage intentions resulted from family strengths, positive views on marriage, younger ages of subjects, and higher evaluations of the quality of current relationships with partners. Conclusions: When addressing late-age marriage and lack of marriage with individuals, the possibility of entering marriage increases by increasing the marriage intention. Improvements in family strengths, higher quality dating relationships,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views on marriage all need to be considered. 본 연구는 이성교제 중에 있는 미혼남녀들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이성교제 관계의 질 그리고 결혼이미지가 그들의 결혼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저출산 및 혼인율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초자료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이성교제 중인 미혼남녀 411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교차분석,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관련 변인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면, 결혼의향에 대한 응답으로 ‘결혼을 할 의향이 있다’가 88.8%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의 평균은 5점만점 중 3.51점이었으며, 이성교제 관계의 질은 5점만점 중 3.98점, 결혼이미지의 평균점수는 7점만점 중 5.53점으로 모두 평균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결혼의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영향변인은 없었다. 셋째, 결혼의향에 따른 가족건강성, 이성교제 관계의 질, 결혼이미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련 변인들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관련변인을 투입할수록 설명력이 증가하였으며, 현재 파트너와의 이성교제 관계의 정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긍정적인 결혼이미지를 가질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결혼의향이 있을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미혼남녀의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결혼진입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가족의 가족건강성을 강화하고, 이성교제 관계의 질을 높이고, 긍정적인 결혼이미지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안들을 제안할 수 있다.
송민정(Song Min Ju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19 안전문화연구 Vol.- No.5
본 연구는 가족스트레스가 출소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출소자의 가족스트레스가 가족관계회복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도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용역사업에서 수집된 자료 중에서 결과분석에 사용하였다. 출소자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주요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이변량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에 특화된 AMOS 21.0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소자의 가족스트레스가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출소자의 가족스트레스가 가족관계회복을 매개로 삶의 질로 이르는 경로가 유의미하고 가족스트레스가 삶의 질로 이르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출소자의 재범을 낮추는 요인 중 가족관련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는 출소자 가족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stress on the quality of life of former prisoner and the effect of ex husband s family stress on quality of life through mediating family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216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pport program provided by the Korean Legal Protection and Welfare Service from July to August 2018, and 150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to analyze the demographic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main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family stress of former prisoner is a factor that lowers quality of life. Second, the path of the family stress of the former prisoner leads to the quality of the life through the medium of family relationship recovery was significant and the path of family stress to quality of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verifying the family - related factors among the factors reducing the recidivism of former priso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ex-offspring families.
강소랑,문상호 한국행정학회 2012 한국행정학보 Vol.4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관계 사회자본이 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제2차 고령화연구패널(KLoSA)을 사용하였으며 가족관계 사회자본, 성공적노화, 삶의 질 간의 경로인과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가족관계망`` 형태를 제외한 유대적·경제적 연대에 기초한 ``가족관계 사회자본``은 ``성공적 노화`` 변인을 매개로 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대단히 큰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제안하는 바는 중·고령자의 소외감, 외로움, 사회적 고립감등 삶의 질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이 지닌 부정적 영향력을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결속적(bonding) 사회자본인 가족관계의 개선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가족관계 사회자본은 고령화 복지 프로그램을 보완하는 근원적 사회정책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중·고령자가 수령하는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 간 상호작용효과를 극대화하는 정책설계가 유효할 것임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