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상 현실 내 이동 방법에 따른 가상 멀미와 임장감에 관한 연구

        용지광(Jikwang Yong),서병기(Byeonggi Seo),김창섭(Chang-seop Kim),김광욱(Kwanguk (Kenny) Kim)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가상 멀미는 가상 현실의 주요한 부작용 중 하나이다. 가상 공간에서의 이동 방법은 가상 멀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현재 존재하는 대표적인 상호작용 방법론으로는 직접 이동 (steering), 순간 이동(teleportation), 팔 흔들기 (arm swing)가 있다. 그러한 이러한 이동 방법론들의 가상 멀미와 임장감의 측면에서 직접적으로 비교되지 않았다. 이 이슈를 다루기 위하여 가상 환경과 세 이동 방법론을 구현하고, 통제된 시간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때 사람들이 느끼는 가상 멀미와 임장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teleportation 방법론으로 이동할 때 가상 멀미를 가장 낮게 느꼈으며, 임장감을 가장 높게 느꼈다. 본 연구 결과는 가상 현실체험 시간을 통제하고 이동 방법들을 직접적으로 비교한 연구로 향후 가상현실 내 이동 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가상 이동의 개념과 인식에 대한 연구

        임태성(Lim Tae-sung)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0

        이 글은 ‘가상 이동’의 개념과 그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가상 이동’의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가상’, ‘이동’이라는 용어를 각각 살펴보았다. 우선 ‘이동’에 대한 인식은 ‘실제 이동’의 체험이 심리적으로 확장되며, ‘이동 사건’ 내에서 그 의미가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다음으로, ‘가상’은 인간의 상상력에 의해 투사되는 실재로 간주된다. 이를 통해 ‘가상 이동’은 ‘물리적 공간에서 비이동체의 위치 변화 인식’으로 정의된다. ‘가상 이동’의 인식을 언어적, 인지적 측면으로 살펴보았는데, 우선, 언어적으로 ‘가상 이동’은 ‘전경’, ‘참조점’, ‘경로’를 통해 표현되었다. 첫째, ‘전경’은 실제 대상에 대한 인식에서 관찰 가능 여부 및 인식적 거리에 따라 표현된다. 둘째, ‘참조점’은 이동체에 대한 인식이 나타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제시된다. 셋째, ‘경로’에서 속도와 시간은 ‘실제 이동’에 비해 덜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가상 이동’ 표현을 인지적으로 해석해 보았다. 첫째, 전경은 ‘주의’, ‘전경-배경’ 역전, 그리고 ‘무대 모형’을 통해 이해된다. 둘째, ‘참조점’에서 직, 간접 이동에 대한 체험이 반영된다. 셋째, ‘경로’를 통한 ‘시간’ 인식이 ‘주사’라는 방식으로 해석된다. The paper aims to explain concept and perception in fictive mo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ords ‘fictive’ and ‘motion’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 of fictive motion. First, the meaning of motion is explicit in a ‘motion event’. Also, ‘motion’ psychologically extends from an experience of actual motion. Next, ‘fictive’ is regarded as the reality projected by human’s imagination. Through each perception, ‘fictive motion’ is defined as perceiving the changes in direction of the non-moving entity in the physical space. This study also examines linguistic and cognitive aspects of perception in fictive motion. Regarding linguistic aspects, the expressions of fictive motion linguistically differ from actual motion in ‘figure’, ‘reference point’ and ‘path’. First, ‘figure’ which expresses the subject in sentences is perceived in two ways in fictive motion. One is observable or unobservable, and the other is perceived as distance. Second, ‘reference point’ which is expressed as an adverb in sentences is perceived as a moving-entity or not. Third, the expressions of speed and time in ‘path’ are not specific in fictive motion expressions. Next, linguistic phenomena construe cognitive aspects. First, ‘figure’ is understood by ‘attention’, ‘figure-ground’ reversal, and ‘stage model’. Second, ‘reference point’ is regarded as experiences of direct or indirect motion. Third, time perception through the ‘path’ is understood by ‘scanning’.

      • KCI등재

        汉韩虚拟位移表达的类型学考察 - 以延伸型虚拟位移为例 -

        白雪飞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4 No.-

        가상 이동은 비이동체의 이동을 개념화하여 나타낸 언어적 현상으로, 정지된 공간 관계에대한 인식 및 언어적 표현과 관련이 있다. 이는 공간적 개념에 대한 주관적인 구성 능력을반영할 뿐만 아니라 사고방식의 역동성과 창의성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가상 이동 중 확장경로(coextension paths)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동체, 배경, 경로, 방식 등의 요소를 나타내는데 중국어와 한국어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가상 이동 표현에 나타난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행성이 없는대상물은 두 언어에서 모두 이동체로 삼을 수 있다. 둘째, 중국어와 한국어는 모두 경로 제약을 받는다. 즉 가상 이동 표현에서는 경로요소가 확실하게 드러나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중국어와 한국어는 방식 동사 및 부사어구를 통해 이동의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방식요소는 경로요소와 연관성이 없으면 가상 이동 표현에서 사용할 수 없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가상 이동 표현에 나타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경로요소에 있어서 중국어는 주로 추향동사와개사구를 통해 이루어지며 한국어는 주로 경로의 의미를 포함한 동사, 구 및 격 표지를 통해나타난다. 그리고 한국어의 격 표지는 경로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적 차원도 표현할 수 있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가상 이동 표현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은 사고방식의 규칙과 관련이 있으며 언어 체계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가상 이동 표현에 대한 연구는 각언어에서 드러나는 인지기제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When non-moving objects described as moving objects, we call it fictive motion. Fictive motion relates to people's cognition and expression of static spatial relationships,its formation and language characteristics reflect people's subjective construction of the concept of space and the dynamic and creative thinking. Fictive motion in language encompasses six categories, but in this study, we only take the "coextension paths"as research object. After comparing the figure, path, and manner’s expression of fictive moti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we discus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similarities of fictive motion expressi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are as follows. First, in Chinese and Korean, untravelable subject is allowed to appear in fictive motion sentences. Second, Chinese and Korean are subject to path constraints. That is, the path information must appear in the fictive motion sentence. Third, the way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through verbs, adverbs, and adverbials of manner in Chinese and Korean. And the emergence of the manner adverbial are subject to certain restrictions. The differences of fictive motion expressi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are as follows. Chinese mainly use path verbs and prepositional phrase to express path information, while Korea mainly use path verbs, phrase and case-auxiliary words to encode path information. The case marking of Korean not only can express path information, but also can express spatial dimension.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not only related to the law of human thinking, but also related to the language system. The study on it will help us to explore the cognitive mechanism behind the different languages.

      • KCI등재

        가상 이동 구문의 확장 양상 연구

        임태성 ( Lim Tae-su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3 No.-

        이 연구는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가상 이동에 나타난 구문의 양상과 그 의미 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상 이동`이란 실제 이동에 대한 경험의 확장으로, 비이동체를 이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인지 능력으로, `상대적 이동`과 `심리적 이동`으로 분류된다. `구문문법`은 `구문`이 인간 경험에 본질적인 장면을 지시하며, `구문` 자체의 의미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가상 이동` 표현에서 나타난 구문을 살펴보았다. `가상 이동`의 유형 중 `상대적 이동`에서 `개념화자의 이동`은 대상이 경로로 움직이다와 대상이 배경을 통해 움직이다라는 경험을 가지며, `참조대상의 이동`은 대상이 배경인 이동체를 통해 경로로 움직이다라는 경험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이동`에서 `육안 관찰적 이동`은 대상이 경로나 양상으로 움직이다라는 경험을 가지며, `심안 관찰적 이동`은 대상이 경로로 움직이다와 대상이 움직이다라는 경험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각의 경험들은 서로 연결되는데, `개념화자의 이동`에서 `참조대상의 이동`과 `육안 관찰적 이동`으로 확장을 살펴볼 수 있고, `육안 관찰적 이동`에서 `심안 관찰적 이동`으로 확장을 살펴볼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mantic properties of Fictive Motion Construction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Fictive motion is a cognitive ability that perceives a non-moving entity as a moving entity based on the experience of motion. Fictive motion is sub-classified relative motion and psychological motion. Its construction reflects scenes that are basic to human experience, and then the construction has its own meaning in Construction Grammar. First, the conceptualizer motion in relative motion has an experience on The object moves to a path and The object moves through the ground, whereas the reference motion has an experience on The object moves to a path through the moving entity as ground. Second, the-naked-eye motion in psychological motion has an experience on The object moves to a path or an aspect, whereas the mind`s eye motion has an experience on The object moves to a path and The object moves. These constructions interlink with each other. The conceptualizer motion constructions extend to the reference motion constructions and the-naked-eye motion constructions. The-naked-eye motion constructions extend to the mind`s eye motion constructions.

      • 한조 가상이동표현에서의 ‘경로’ 표현 대조

        백설비(白雪?)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8 중국조선어문 Vol.215 No.-

        이동은 이동체가 실제적으로 이동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실제이동과 가상이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실제이동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이동체가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가상이동은 실제이동에 대한 인식의 확장으로 비이동체가 이동하는 것으로 개념화하여 나타내는 언어적 현상으로 정의된다. 본 론문은 가상이동표현에서 한어와 조선어가 ‘경로’요소를 나타내는 표현방식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또한 ‘경로’를 벡토르, 구성, 방향, 차원, 직시 등 다섯가지로 나누어 한어와 조선어에서 ‘경로’를 나타내는 표현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할 것이다.

      • KCI등재

        가상현실 플랫폼에서의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이영수(Young-So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플랫폼을 사용하는 다큐멘터리에서 관객이 감정적으로 몰입하게 하기 위한 서사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현실 다큐멘터리를 가상현실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현실에 창조적으로 접근, 재구성한 다큐멘터리로 정의하고, 그를 대상으로 삼아 기존의 다큐멘터리와 비교하여 어떻게 상호작용을 통해 서사가 매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우선 기행 다큐멘터리에서 가상현실 공간 경험으로 매개된 콘텐츠들의 경우, 이동권의 체험을 위주로 한 이동 체험 서사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타자의 현실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의 경우 가상현실로 매개되면서 1인칭 다큐멘터리의 자기서사부터 웹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스토리텔링과 유사한 서사구조까지 보여주고 있었다. 가상현실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경우, 가상자아를 가지고 타자의 현실을 체험하게 한다는 면에서 체험 모듈을 가진 웹 다큐멘터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볼 수 있다. 이동권을 주는 가상공간의 경험 및 동질감을 주는 가상자아의 경험을 줄 수 있다는 면에서 가상현실 다큐멘터리는 다큐멘터리의 내적 진실에 도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많은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paper tried to study how the narrative to allow the audience to emotionally immerse in documentary using virtual reality platform has shown. For this purpose, it defined the VR documentary as contents what make creative approach and rebuild reality using VR media platform, and analyzed it by comparison with narrative of existing documentary. First, the contents like succeeding journey documentary use mainly virtual realty as experience of accessibility. However the contents that have purpose to experience other people’s reality show from self-narrative of first person documentary to interactive storytelling of web interactive documentary. The case of interactive VR documentary is taking a step forward from web documentary and shows easy way to reach internal purpose of documentary as making experience with virtual self. The VR documentary has a lot of possibility as virtual space experience to give accessibility and virtual self.

      • 汉韩延伸型虚拟位移对比研究

        单清丛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20 중한언어문화연구 Vol.19 No.-

        가상 위치 이동은 특수의 위치 이동 방식의 하나로 일반 위치 이동과 다른 특징을지고 있다. 그러나 가상 위치 이동 내부에 다양한 위치 이동 유형이 포함한다. 그 중에 연장(延伸) 성질의 가상 위치 이동은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연장 성질의 가상 위치 이동은 어느 언어에만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인류 언어의 보편적 언어범주에 속한다. 다른 언어의 소유자가 연장 성질의 가상 위치 이동을 가공(加工) 및 처리하여 다양한 언어 형식으로 표현된다. 본고는 주로 중한 두 언어의 연장 상질의 가상이동을 분석하도록 한다. 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두 언어 표현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조 및 분석한다. 또한, 인지언어학과 언어유형론을 바탕으로 두 언어가 나타나는 유사점 및 차이점을 간단하게 해석하도록 한다.

      • KCI등재

        실감의 가상 걸음을 위한 발판타입 이동인터페이스의 네비게이션 알고리즘

        윤정원(Jungwon Yoon),류제하(Jeha Ryu)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2 No.6

        본 논문은 2개의 6자유도 제어가능 발판타입 플랫폼으로 이뤄진 이동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새로운 네비게이션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있다. 제안된 이동인터페이스는 2개의 플랫폼 위에 사람이 위치한 상태에서 사람의 걸음 모션을 센서시스템으로 예측하여 플랫폼 위에서 지속적인 걸음이 가능하도록 플랫폼을 제어하고 사용자 걸음 모션 정보를 가상환경에서의 네비게이션 입력정보로 사용한다. 따라서, 제안된 이동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실제 걸음을 유도하고 걸음 동안 사용자에게 실감의 시각 피드백 제공으로 몰입감을 가지고 가상환경과 전신 운동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이때, 가상환경 상에서 자연스런 네비게이션이 가능하도록 보행 분석에 사용되는 걸음 조건들을 사용하여 플랫폼 위에서의 자연스런 걸음 및 가상환경시스템에서의 자연스런 네비게이션이 가능토록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네비게이션 알고리즘 평가를 위해 3차원 객체모델러, 화면 매니져, 통신 매니져로 구성된 가상도시를 구축하여 발판타입 이동인터페이스에 네비게이션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평지 및 경사에서 사용자의 자연스런 걸음 및 시각 피드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제안된 이동인터페이스 및 네비게이션 알고리즘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가상지면에서 실감의 네비게이션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a novel navigation algorithm using a locomotion interface with two 6-DOF programmable foot platforms. When a human walks on the locomotion interface (LI), the walking motions of the human are recognized by several sensors. Then, the sensed information is used by the LI for generation of infinite surfaces for continuous walking and the virtual environments for scene update according to motions of the human walking. The suggested novel navigation system can induce user's real walking and generate realistic visual feedback during navigation. A novel navigation algorithm is suggested to allow natural navig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by utilizing conditions of normal gait analysis. For realistic visual feedback, the virtual environment is designed with three components; 3D object modeler for buildings and terrains, scene manager and communication manager component. From experiments,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 reality of the suggested navigation algorithm using the locomotion interface. Therefore, the suggested navigation system can allow a user to explore into various virtual terrains with real walking and realistic visual feedback.

      • KCI등재

        고전 번역에 나타난 한자 ‘走’의 의미 확장 연구

        임태성(Lim Tae-sung) 한글학회 2019 한글 Vol.- No.324

        이 글은 고전 번역에 나타난 ‘走’의 의미적 확장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走’는 이동이 개념화된 단어로, 물리적 이동에서 심리적 이동의 양상으로 확장되는 의미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물리적 이동에서 ‘走’는 ‘사람’이나 이동 가능한 ‘사물’이 이동체가 되어 나타나는데, ‘사람’의 경우 ‘달리다’, ‘가다’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달아나다’의 의미로도 해석된다. ‘사물’의 경우 곤충이나 동물에서 수직적 이동을 나타내는 경우를 살펴볼 수 있고, ‘구슬’과 같은 원형의 대상을 나타내는 데에도 ‘走’가 쓰인다. 둘째, 심리적 이동에서 ‘走’는 개념적 환유에 의해 ‘하인’과 같이 그 행위가 대상을 지칭하는 경우가 나타난다. 그리고 개념적 은유에 의해 ‘용’이나 ‘마음’과 같이 추상적 대상을 ‘사람’에 빗대어 나타나며, 또한 ‘신(神)’을 ‘走’와 함께 나타내어 이동하는 대상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走’는 가상적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어, 비이동체인 ‘산’, ‘식물’ 등을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나타난다. 이러한 ‘走’의 의미적 양상은 폭넓은 범주에서 나타났으며 의미적으로 연관성을 가진 것으로 살펴볼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extension of the Sino-Korean word “走” in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t incorporate the concept of motion, including both physical and psychic motion. In the context of physical motion, “走” represents the movement of an entity like a human or movable object. Its physical motion-related meaning has several dimensions. First, it can denote escape as well as running or going when used to describe human motion. Second, it denotes vertical motion when used to describe insects or animals. Third, it denotes the special motion of circular objects like beads. Its motion-related meaning is extended by conceptual metonymy and metaphor. One meaning describes the motivational force applied to an object through conceptual metonymy, like orders given to a servant. The other meaning maps human motions to those of beings like deities and dragons by conceptual metaphor. The meaning of “走” is also extended fictively. For example, a visible object like mountain or plant can be conceived of as moving by the speaker. This study found that “走” has various motion-related meanings.

      • KCI등재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개인정보 국외 이동의 개념에 관한 연구

        노현숙 ( Hyeon Sook Roh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고려법학 Vol.0 No.79

        클라우드 서비스는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의 컴퓨팅 자원을 언제 어디서든지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컴퓨팅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이다. 이용자가 필요한 때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에 편리하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분산화 및 가상화 기술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든지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적 기술인 반면,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 또는 데이터센터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국외로 이동하게 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분산화 및 가상화 기술에 의하여 클라우스 서비스 데이터센터에 저장된 데이터는 여러 국가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저장되기도 하고 실시간에 걸쳐 여러 데이터센터로 이동하기도 하는 등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센터에 저장된 개인정보 등의 데이터는 국경을 초월하여 이동한다. 개인정보가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된 개인정보에 다른 국가의 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국가에서 보호되는 수준만큼 개인정보가 보호되지 못하기도 하므로 개인정보가 국경을 초월하여 이동하는 문제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한 중요한 법적 문제의 하나이다. 개인정보의 보호와 관련한 주요한 국내법인 개인정보 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은 개인정보의 국외 이동과 관련한 동의 규정을 두고 있으나, 국외 이동의 명확한 의미와 범위 등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법적용상의 문제가 있다고 본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 국외 이동에 개인정보 보호법 및 정보통신망법 등의 적용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국외 이동을 가리키는 ‘국외 제공’과 ‘국외 이전’의 의미가 정의될 필요가 있다. 국외의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와 국외의 제3자가 국내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상황이거나 접근하는 경우는 ‘국외 제공’으로 정의하고, 개인정보가 단순히 국외의 서버나 데이터센터에 이동되는 경우와 국외로부터 제3자가 아닌 동일주체가 국내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접근하는 경우는 ‘국외 이전’으로 정의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본다. Cloud computing can be defined as a new computing paradigm which gives users ubiquitous access to computing resources, such as networks, servers, storage and applications through the Internet, without their purchasing and managing their individual resources. That is, cloud computing lets users enjoy the immediate and convenient cloud service according to their needs without their having to own computing resources. However, the definition neither has a consensus nor is confirmed. A cloud service functions on the basis of critical cloud computing`s technologies such as virtu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While virtu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allow the cloud service to supply an ubiquitous, low cost, and stable service, uploaded data in the cloud service may be stored in the cloud service provider`s datacenters abroad and move from one datacenter to another. With various data, personal data are also transferred abroad and, therefore, personal data transferred abroad may not be protected or be infringed because countries have various laws regarding personal data. The issue of transferring personal data beyond borders is one of the critical issues in cloud services, as the user`s personal data cannot help but move from a datacenter in this country to another datacenter in that in the event a user uses the cloud service. Korea has some laws regarding personal data, notabl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However, the two laws do not have any clear definitions of transferring personal data abroad. To appropriately apply the two laws to transferring the personal data abroad in the process of cloud service provision, the definition of transferring personal data abroad should be stated clearly, distinguishing transfers of personal data to third parties and just movements of such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