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자산의 유형별 규제방식에 관한 연구

        유양욱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고려법학 Vol.- No.105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어 가상자산이 처음으로 법적 규제대상이 되었지만, 여전히 가상자산에 대한 법적 규제는 미비한 실정이다. 미국은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이 대부분의 가상자산을 증권이라고 판단하여 적극적으로 증권법을 집행하고 있는 등 각 규제기관이 적극적으로 가상자산을 규제하고 있다. 유럽 연합은 자금세탁 방지를 위하여 5차 자금세탁방지정책(fifth Anti-Money Laundering Directive: 5AMLD)을 시행하고 있고, 나아가 가상자산 전반에 대하여 가상자산 시장법(Proposal for a regulation on Markets in Crypto-assets: MiCA)안의 입법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에서 가상자산을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 및 그에 관한 일체의 권리”로 정의하여 대부분의 가상자산에 대하여 자금세탁방지 규제를 적용하고 있고, 가상자산 구매를 위한 해외 송금에도 외국환거래법에 따른 신고의무가 있으며 가상자산 거래에 따른 차익에 대한 과세를 위하여 「소득세법」이 개정되어 시행을 앞두고 있다. OECD, IOSCO 등 국제기구들과 일부 국가의 규제당국들은 가상자산을 지급형, 증권형, 유틸리티형으로 분류한다. 결제나 지급을 위한 지급형 가상자산은 특수한 유형의 재산권으로 「전자금융거래법」상 선불전자지급수단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발행인이 명확하지 않거나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하여 중앙전산시스템이 없어 곧바로 「전자금융거래법」 적용이 어렵다. 엘살바도르(El Salvador)의 법정화폐가 된 가상자산의 일종인 비트코인(Bitcoin)의 경우 외국환거래법에 따른 환전영업자 등록이 필요할 수 있다. 투자성이 있는 증권형 가상자산의 경우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 금융투자상품에 해당하고, 특히 증권에 관련된 규제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유틸리티형 가상자산의 경우 경제적 가치가 없는 순수한 유틸리티형 가상자산은 별다른 규제가 필요하지 않으나, 지급형이나 증권형의 성질을 겸한다면 각 유형에 따른 규제가 혼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위 3가지 유형 이외에 새로운 유형의 가상자산들이 생겨나고 있다. 하나의 블록체인 내 각각의 가상자산이 대체불가능한 NFT(non-fungible tokens)는 f-NFT와 같은 NFT의 조각투자 유형은 증권성이 인정될 수 있어 개별적 NFT의 특성을 고려하여 규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가상자산의 가치가 법정통화에 연동되어 있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의 경우에는 지급형 가상자산으로 법정화폐의 공신력에 혼동을 줄 가능성이 있어 전자화폐에 준하는 규제가 가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발행 과정에서 증권성이 인정된다면 증권형 가상자산에 준하는 규제가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가상자산은 다양한 법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유형별 규제의 필요성이 크다. 대규모 이용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급형 가상자산의 경우 「전자금융거래법」상 전자지급수단에 준하는 규제를 입법하여야 하고, 증권형 가상자산의 경우 소관부처인 금융위원회의 가상자산에 대한 적극적 증권성 판단을 통한 투자자 보호가 필요하다. 다만 가상자산 기술의 발전을 위해 소규모 사업의 경우에는 규제를 면제하는 등 단계적 제도권 편입의 길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NFT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가상자산의 경... Despite virtual asset has been regulated for the first time by national law that is the amended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Reporting and Use of Certain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regulation for virtual asset is still imperfect. In the United States, regulatory authorities take action to regulate virtual assets independently. Especially,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aggressively apply and execute the 「National Security Act」 by deciding most of virtual asset is a investment contract. In the European Union, the fifth Anti-Money Laundering Directive(5AMLD) is enforced for preventing money laundering. In addition, the proposal for a regulation on 「Markets in Crypto-assets(MiCA)」 is in the ongoing legislative process for regulating all virtual assets. In the Republic of Korea, virtual asset is defined as “electronic certificates (including all rights thereto) that have economic value and that can be traded or transferred electronically” o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Reporting and Use of Certain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so that most of virtual asset is regulated by the act to prevent money laundering. Also, duty of registration is imposed when money is transferred oversee to buy a virtual asset by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Act」. Income tax is imposed on a profit margin when purchase and sale of virtual asset by amended 「Income Tax Ac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OECD, IOSCO and a few national regulatory authorities are categorizing virtual asset as payment tokens, security tokens and utility tokens. Payment tokens used for payment or settlement is a sepecial type of property right, and could be a electronic payment means defined on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However,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cannot be applied directly to payment tokens which issuer is not specified or central computer system not exist because of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Registration may be required by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Act」 for the virtual asset called Bitcoin which is now a legal tender of El Salvador. Security tokens, which is similar to a security or a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because of its investment characteristic, could be regulated as securities by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because security tokens are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defined in the above law. There is no need to regulate pure utility token which has no economic value. However, the regulation of payment tokens or security tokens also need to be applied together if a utility tokens served as payment tokens or security tokens. A new type of virtual asset which is not included above classification emerges. non-fungible tokens(NFT), which each tokens of the token’s block chain is unique, should be regulated on a case by case basis b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FTs because some NFT type such as f-NFT could be regulated as security. Stablecoin, which its value is linked to a legal tender, could be categorized as payment tokens and need to be regulated as electronic currency because it might cause a confusion with a legal tender. Also, regulation for security token could be applied when the offering of stablecoin is similar to a securities offering. Because virtual asset has various legal characteristics, segmented regulations by virtual asset’s category is needed. In case of payment tokens, regulation of electronic payment means on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should be applied to prevent massive user damage. Security tokens need to be included on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and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whose in charge of virtual asset policy, should decide which virtual asset is a security to protect investors. However, the way to legalize in stages such as making an exception for small-scale businesses should be provided to support...

      • KCI등재

        가상자산의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이희종 ( Hee-jong Lee ) 한국법정책학회 2021 법과 정책연구 Vol.21 No.2

        최근 가상자산의 하루 거래대금이 주식시장의 하루 거래대금에 근접할 정도로 가상자산은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으며, 가상자산을 이용한 결제를 허용하는 회사들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가상자산과 가상자산 거래소를 포괄적으로 규제하는 법률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정부에서는 가상자산은 내재적 가치가 없으므로 금융투자상품에 해당하지 않으며, 투자자를 보호할 필요도 없다고 한다. 그러나 내재적 가치가 없는 것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화폐도 마찬가지다. 금화와 같은 실물화폐 · 금으로 교환이 가능한 화폐는 내재적 가치가 있으나 금으로 교환할 수 없는 명목화폐에는 내재적 가치가 있다고 단정할 수 없으므로, 가상자산이 내재적 가치가 없으므로 투자자를 보호할 필요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가상자산 거래에 대한 법률적인 규제가 없으면 강제성이 없는 업계의 자율적인 규제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투자자들의 손해는 제대로 보상을 받을 수 없게 될 것이다. 외국에서도 가상자산을 화폐로 인정을 하지는 않으나 투자자 보호를 위해서 가상자산을 규제하는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가상자산 산업을 포괄적으로 규제하는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 가상자산 사업자는 등록하도록 해야 하며, 가상자산의 발행과 사업 진행에 대한 중요한 내용을 백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투자자 보호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공시 규정과 해킹으로 인한 손해를 배상하는 규정이 필요하다. Virtual Assets is a newly developed type of decentralized digital, virtual assets that has no physical form. As of May 2021, there were 10,000 and growing virtual assets in existence. Korea's virtual assets have already exceeded the volume of large financial centers. There is no question that virtual assets is one of the hottest topics in South Korea. Virtual Assets trade in Korea is similar to speculation and gambling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60 virtual asset exchanges are being operated in Korea, and the number of virtual assets that can be traded exceeds 260. The domestic virtual asset transaction market has been growing since the start of the bit-coin boom in 2017. Virtual Assets will have evolved yet further. It is also important virtual assets legal status and the possibility of a government regulation.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lso paying attention to the need for various regulations or regulations based on the definition of virtual assets. In Japan,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Payment of Money regulates those who engage in the trading of virtual assets as virtual asset exchanges.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s and authorities have not established definitions and legal grounds on virtual assets. The development of new financial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assets,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users, while the absence of regulations can cause users to suffer unintended consequences. Therefore, it is urgent to prepare regulations to regulate the overall virtual assets. Also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legal nature of the regulation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when regulating the virtual assets.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the concept of virtual assets and to propose methods to efficiently regulate legal disputes.

      • KCI등재후보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에 관한 법제도 분석 및 규제 개선 방안 연구 -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을 중심으로 -

        홍준호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2 법률실무연구 Vol.10 No.1

        Despite South Korea’s relatively large market among virtual asset trading counties around the world, the virtual asset industry is still undergoing a transition period, due to the government’s passive position on preparing the underlying legal system. Despite the revision of the Specified Financial Information Act in March 2020, which contains information on virtual asset business report, until now, when it was implemented, most virtual asset operators were closed because they failed to meet the reporting requirment, and this can cause damages to investors using the service and monoplies in the virtural asset market of some large exchange. Therefore, government intervention is needed to secure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In this study, Legal issue related to the requirements for reporting virtual asset business operators were derived, the nature and requirement of reporting virtual asset business operators appropriateness of the timing of application and whether the financial institution’s issuance of real name verification accounts are unique or delegated by the Financial Information Analysis Institute were reviewed. In addition, As measures to improve regulations on reporting virtual asset business operators measures to protect investors and prevent monoploy in the market, introduce a provisional permission system to ensure legal stability, and establish the virtual asset business management committee (tentative name) under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or the president to provide official guideliness. And it is proposed to secure the predictability of virtual asset business operators and investor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enforcement guidelin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safe and transparent transaction guarantees and investor protection of virtual assets can be achieved only when legitimate and vaild regulations are made, not legal and unfair regulation on virtual asset operator. 우리나라는 전세계 가상자산 거래 국가 중에서 비교적 큰 규모를 갖춘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기반이 되는 법제도 마련에 대한 정부의 소극적 입장으로 인해 가상자산산업은 아직 과도기를 겪고 있는 중이다. 2020년 3월에 개정된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에 관한 내용을 담은 특정금융정보법이 시행되면서 신고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가상자산사업자의 줄폐업으로 인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투자자들의 손해와 일부 거대 거래소들의 가상자산시장 독·과점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바, 예측가능성 및 법적 안정성 확보 차원에서의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자산사업자 신고 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사항을 도출하였으며,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의 성격과 그 요건, 적용시기의 적정성 여부, 금융기관의 실명확인계좌발급 업무가 고유의 업무인지 금융정보분석원에 의한 위임업무인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에 관한 규제 개선방안으로 투자자 보호 및 시장 독과점 예방 방안, 법적 안정성 보장을 위한 가허가제도의 도입, 금융위원회 또는 대통령 소속으로 가상자산사업관리위원회(가칭)를 신설하여 공식 가이드라인 및 집행 지침 배포를 통해 가상자산사업자 및 투자자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적법·부당한 규제가 아닌 적법·타당한 규제가 이루어져 안전하고 투명한 가상자산의 거래 보장, 투자자 보호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가상자산거래소에 대한 최근의 규제 동향과 개선과제 -이용자 보호의 측면을 중심으로-

        김범준 ( Kim¸ Beom Joon ),이채율 ( Lee¸ Chae Yul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홍익법학 Vol.22 No.3

        4차 산업혁명 물결의 가운데서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은 새로운 지급결제수단과 금융투자상품으로 급부상하였다. 특히,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 된 이후에는 세계적으로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개발 및 연구가 계속되어 오고 있고, 우리나라도 중앙은 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개발하기 위하여 정부와 대기업이 협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화폐 기술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가상자산에 관하여는 종래부터 부정적인 정책 기조로 일관하고 있어 가상자산 거래 이용자들이 법적 보호에서 소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2020년, 특정금융정보법이 개정되면서 가상자산사업자의 법적 정의와 신고제도 등이 마련되어 이용자 보호를 위한 입법적 배려가 시작되는 듯 하였으나, 그 내용이 자금세탁방지 등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큰 틀에서의 이용자 피해구제 방안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 하겠다. 특히,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증권금융회사 등으로 그 기능적 역할이 분화되어 있는 기존의 증권시장과 달리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거래소가 상장에서부터 예탁, 매매, 결제 등 거의 모든 업무를 수행하고 있어 시장감시 및 상호견제 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가상자산거래소와 이용자 간 이해상충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며, 실제로 부실코인의 상장, 허위 공시, 시세조종행위 등의 불공정거래행위로 인해 심각한 이용자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금융당국이 제시한 가상자산거래소 규제 가이드라인과 특정금융정보법 및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4건의 가상자산 업권법을 연구목적의 범위 내에서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보다 앞서 가상자산 거래와 이용자 보호 체계를 수립한 미국, EU, 일본의 법제를 분석하여 이상적인 가상자산거래소 규제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이용자 보호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국내에서도 이용자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여 가상자산 거래 전반에 관한 법제가 정비되고, 공적규제를 토대로 한 자율규제 시스템이 구축되어 가상자산 시장 전반의 건전성과 효율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In the mids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ve, blockchain and virtual assets have emerged as new means of payment and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In particular, after the spread of Covid-19, non-face-to-face transactions were activated, the government and large corporations are working together to develop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issued by the central bank. However, virtual asset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predecessor of digital currency technology, have always been negative policy tone, leaving users of virtual asset transactions out of legal protection. In 2020, 「Act on Reporting and Utilization of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was revised to establish legal definitions and reporting systems for virtual asset operators, and legislative considerations for user protection began. In particular, unlike the securities market, which has different functions such as the Korea Exchange, the Korea Securities Depository, and the Securities Finance Co., Ltd. In the virtual asset market, virtual asset exchanges carry out all kinds of businesses such as listing, deposit, trading, and settlement, and do not have market monitoring and mutual checks. As a resul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virtual asset exchanges and users, and unfair practices such as listing bad coins, false disclosure, and manipulation of the market are causing economic losses to users. This paper reviewed the regulatory guidelines for virtual asset exchanges proposed by the financial authorities, 「Act on Reporting and Utilization of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and four separate laws about virtual asset industry currently pending in Congress. Based on this, the U.S., EU and Japan, which have established virtual asset transactions and user protection systems in advance of Korea, are examined to find effective exchange regulations and user protection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domestic virtual asset market. Ultimately, it is hoped that the overall legislation on virtual asset transactions will be established based on user trust in Korea, and that self-regulation systems based on public regulations will contribute to the overall integrity and efficiency of the virtual asset market.

      • KCI등재

        가상자산 회계처리 및 공시에 관한 사례연구

        송문섭,김기영,박경진 (사)한국정부회계학회 2022 정부회계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가상자산에 대한 회계처리와 공시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통일성과 정보제공에 기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은 해당 기업들이 적용하고 있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8호 ‘무형자산’에서 요구하는 공시내용도 충실히 공시하지 않아 이에 대한 충실한 공시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보유중인 가상자산의 재무제표 표시와 관련하여 “가상자산”이라는 별도의 과목을 사용하여 재무제표에 표시하고, 적용된 회계정책을 주석에 구체적으로 기재함과 동시에 필요한 추가 공시사항을 공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상자산을 발행한 기업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기업이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을 적용하였으나 이에 관한 충실한 공시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발행한 가상자산의 특성에 기초한 가상자산의 성격 및 수익인식과정, 인식하거나 예상되는 수익의 규모, 가상자산 생태계에 회사가 참여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활동에 관한 정보 등이 추가로 공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상자산거래소 운영기업들은 재무제표에 “가상자산”이라는 명칭의 별도 자산항목으로 보유하는 가상자산을 표시하였으며, 보유목적에 따라 대부분 “재고자산”관련 기준서를 준용한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거래소라는 특성에 따라 기업이 보유하는 가상자산과 고객의 소유인 가상자산을 구분하여 각각의 수량과 평가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가상자산의 법적 지위와 피해구제에 관한 법적 연구

        이주현,권한용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2 동북아법연구 Vol.15 No.3

        가상자산은 블록체인 분산원장 내 P2P 방식(person to person)으로 거래가능한 기존에 없었던 전자현금 시스템이다. 새로운 금융산업의 전통적인 금융시장 거래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은행이나 정부기관 같은 중개자가 필요없고 거래의 신뢰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듦으로 인해 경제성이 뛰어나고 분산원장의 특성상 거래의 정확성과 투명성 및 신속성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특성상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거래가 가능하기에 4차산업혁명 시대 의 핵심 아이콘으로 떠오르고 있다. 가상자산 기술을 이용하여 4차산업이 확장될 경우 은행 수탁 서비스와 블록체인 기술, 지갑 업체, 기관 투자자, 교육 기관, 마케팅 업체 등으로 다양한 사업이 새롭게 창출되며, 특히 금융회 사에서 디지털 화폐 개발에 있어서 기반 기술로 활용될 수 있으며 그 적용범위는 계속 확대되고 있어 그 잠재력은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단점도 분명히 존재하는데, 높은 익명성을 바탕으로 불법 테러자금 조달, 자금세탁 및 탈세, 도박, 투기, 다단계, 사기 등 지하경제에 적극 활용되어 범죄에 악용되는 위험성이 공존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금융당국은 2017년 국내에서 벌어졌던 비트코인 투기광풍 시점에 가상자산에 대해 부정적인 정책적 기조를 유지했으며, 꾸준 하게 관련 산업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과 규제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3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인 FATF의 가상자산 권고안을 국내법에도 반영한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을 통해 가상자산사업자와 가상자산에 대한 정의규정을 신설하고 가상자산사업자에게 기존 금융회사에 준하는 의무를 부과하였지만, 가상자산의 법적 성격은 여전히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았으며, 가상자산사업자의 금융투자자에 대한 구체적인 보호 의무나 손해배상 의무에 관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아 투자자에 대한 보호조 치는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자산 이용자의 피해에 대한 권리구제 방안의 법적 조치의 강화가 필요하 다. 첫째,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가상자산을 활용한 혁신적 금융기술을 보유한 핀테크 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의 시장 진출을 통해 가상자산 사업자에 대한 과도한 규제를 완화하여, 국내에 있는 가상자산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둘째, 가상자산은 증권형 토큰, 거래용 토큰, 유틸리티 토큰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가상자산사업자를 가상자산거래소, 가상자산 지갑업체, ICO 발행업체 및 가상자산 수탁(custody) 서비스 제공업자의 4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다. 각 사업자들은 가상자산 시장 내에서 용도에 따라서 규정이 상이한데, 금융투자자를 보호하고 성장시킬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가상자산 거래소 이용자를 위한 사전 보호대책으로 특정금융정보법 시행령 개정안을 통과한 가상화폐 거래소 임직원이 본인이 근무하는 거래소에서 매매, 교환을 금지해야 한다. 나아가 가상자산거래소 내의 보안체계를 강화하여 가상자산 유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해킹에 취약한 가상자산거래소에게 가상자산의 콜드월렛 보관 방식을 의무화하여 자체적으로 해킹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가상화폐의 법적 지위를 인정하면서, 금융소비자 보호법의 적용을 통해 가상자산거래소의 영업행위 규정을 마련하여 가상화폐 투자자의 투자피 해 구제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Virtual assets are greeted by a non-existing electronic money system that can be traded by the P2P method (person to person) within the block-chain decentralized director.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trust costs of transactions that are not required by intermediaries such as institutions, it has great advantages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entralized director, it has great advantages in transaction accuracy, transparency and speed. It has emerged as a core ic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can be trad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First, by utilizing the regulatory sandbox system to enter the market of fintech companies and start-up companies that possess innovative financial technologies that utilize virtual assets, excessive regulation on the virtual asset business will be eased and domestic virtual assets will be relaxed. The aim was to strengthen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asset industry. Second, virtual assets are categorized into securities type tokens, utility tokens, and trading tokens, and virtual asset companie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virtual asset exchanges, virtual asset storage service providers, virtual asset wallet providers, and ICO issuers. Regulations differ depending on the usage in the virtual asset market Additionally, as a preliminary protective measure for users of virtual asset exchange, I propose a countermeasure system for safe protection against the threat of hacking through establishment of an internal security system for virtual asset exchange, prior hacking and preven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 cold wallet storage system that is essential for leaks and virtual assets. A recent cabinet meeting announced that employees of crypto-currency exchanges that have passed a specific amendment to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Financial Information Law will be prohibited from buying, selling or exchanging at the exchange where they work. Korea does not have a law that regulates the legal nature of virtual currency and protects virtual currency investors. Under the current law, virtual currency is not recognized as a legal currency, and virtual currency is generally stored through a wallet, but virtual wallet providers store users’ virtual currency mixed, so it will be difficult to define it as “money” and assets. On the other hand, the legal nature of virtual currency should be defined as a product as individuals trade a significant amount of virtual currency through the exchange and individuals can individually manage and control wallets with private keys. If the legal nature of virtual currency is defined as a product and the contract between the user and the exchange is interpreted as consignment trading under the Commercial Act, unlike Mount Gox’s ruling, investors can exercise their right to redeem under Article 407 of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exchange users who suffered damage due to the bankruptcy of the exchange, effective rights relief can be obtained by exercising the redemption right from the bankruptcy foundation as a consignor and requesting the delivery of virtual currency.

      • KCI등재

        가상자산거래와 소비자보호법의 과제

        고형석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論叢 Vol.29 No.2

        유체재화, 용역을 비롯하여 영화ㆍ음원ㆍ게임아이템 등과 같은 디지털콘텐츠거래가 주로 이루어져왔던 전자상거래 시장에 가상자산이라는 새로운 재화가 등장하였으며, 그 거래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투기성이 강하기 때문에 가상자산을 재화로 인정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초기단계에서 많은 고민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가상자산거래를 규율하는 법도 제정되지 못하였다. 다만, 2020년에 특정금융정보법이 개정되어 가상자산에 관해 규율하고 있지만, 그 목적이 투명한 금융거래 질서 확립이기 때문에 가산자산거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규율하고 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급증하고 있는 가상자산거래에 대한 법률관계를 규율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법안이 발의되었다. 물론 가상자산거래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이를 규율하는 것도 시급한 문제이지만, 현행법이 가상자산거래를 적절하게 규율할 수 있는가 그리고 그 한계점 내지는 문제점에 대한 분석과 함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현행법 중 소비자보호에 관련한 법을 중심으로 가상자산거래를 적절하게 규율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물론 가상자산은 디지털콘텐츠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상거래법 등이 적용된다. 그러나 전자상거래법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청약철회 등을 투기성 거래에 대해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으며, 모순이 많은 규정을 적용할 경우에 더 큰 문제를 유발한다. 특히, 가상자산거래는 온라인 중개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법률관계 역시 제3자인 운영사업자의 약관에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약관규제법은 이러한 약관에 대해 규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들은 현행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들이 가상자산이 등장하기 이전에 제정되었기 때문에 당연한 한계 내지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가상자산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에도 이를 방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그렇다면 가상자산거래에서 발생하는 소비자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이는 현행 소비자보호법을 개정하여 가상자산거래를 규율하는 방안과 가상자산거래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현행 소비자보호법의 적용을 배제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그러나 투기성이 강한 가상자산거래에 대해 현행 소비자보호법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후자의 방안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방문판매법이다. 즉,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제정에 따라 동법의 적용대상인 금융상품거래에 대해 방문판매법의 적용을 배제하였다. 이는 거래방식을 기준으로 소비자보호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방문판매법보다 금융상품의 특성을 감안하여 이용자보호를 규정하고 있는 금융소비자보호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가상자산에 대한 거래 역시 이와 같은 방식을 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가상자산거래에 관한 특별법이 조속히 제정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가상자산시장 불공정거래의 규제-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규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안현수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22 금융소비자연구 Vol.12 No.2

        The virtual asset markets grew rapidly on a scale similar to those of the stock markets. The virtual asset markets need investor protection due to unfair trading such as market manipulation. However, the virtual assets market have no unfair trading regulation system such as the Capital Markets Act. The virtual asset exchanges perform all functions of market exclusively, but there are many problems with market fairness. In addition, the virtual asset markets do not differ from the stock market in terms of trading methods and price disclosure methods, the patterns of market price manipulation and fraudulent transactions like the stock market. Major countries recognize the substance of virtual assets and embraces them as an area of regulation. The United States regulates virtual asset exchanges and ICOs of virtual assets by utilizing existing capital market regulators and legal systems such as SEC and CFTC. The European Union enacted a plan for the Regulation on Markets in Crypto-assets by referring to the Market Abuse Regulation. Japan has established a new regulation on the prohibition of unfair trade of non- securities-type cryptographic assets in the Financial Instruments and Exchange Act to provide the basis for criminal punishment. Each country uses the Capital Market Act as a supplementary regulation to regulate virtual assets. Korea’s virtual asset bills reflect the prohibition of unfair trade by referring to the Capital Market Act, but generally various contents were not reflected except for the ban on market manipulation. The regulation of linked market manipulation is necessary for stable coins and ETFs with virtual assets as underlying assets. Regulations on insider trading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insiders and to specify inside information, but market abuse regulation has the advantage of embracing various information that may affect stock prices. The prohibition of unfair trading is useful in regulating pump and dumps or new unfair trading practices prevalent in the virtual asset market, so it must be reflected in legislation. As in the current Capital Markets Act, the penalty provisions can be calculated by a simple difference method and used as some sentencing factors rather than necessarily linked to unfair gains. As for the regulatory system for virtual assets, using existing capital market regulations such as the EU and Japan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current regulatory system and infrastructure. 가상자산시장은 주식시장과 견줄 정도의 규모로 급격히 성장하였다. 하지만 높은 변동성과 시세조종 등 불공정거래에 노출되어 투자자 보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비트코인과 같은 교환형 가상자산은 대체로 내재가치가 없기 때문에 수급상황과 시황에 따라 등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가상자산시장은 자본시장과 같은 불공정거래 규제체계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가상자산 거래소는 유통시장의 모든 기능을 독점적으로 수행하지만 시장의 공정성에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또한 거래방식, 호가공개방법 등에서 주식시장과 차이가 없어 주식시장과 같은 시세조종, 부정거래 등의 양태를 보인다. 각국은 가상자산을 규제의 영역으로 포섭하고 있는 추세이다. 미국은 SEC, CFTC와 같은 기존의 자본시장 규제기구 및 법률체계를 활용하여 가상자산거래소 및 가상자산의 ICO를 규제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기존의 시장남용규칙을 참고하여 암호자산시장규칙안을 제정하여 비금융상품인 가상자산의 불공정거래 등을 규제할 계획이다. 일본은 금융상품거래법내에 증권형 이외의 암호자산(암호자산 관련 파생상품 포함)의 불공정거래 금지규정을 신설하여 형사처벌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각국의 제도를 보면 기존의 자본시장규제를 유지하면서 보완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우리나라의 가상자산법안들은 기존 자본시장법을 참고하여 불공정거래 금지조항을 반영하고 있지만, 시세조종 금지를 제외하면 대체로 상당 부분 반영이 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시세조종 중 연계시세조종의 경우 스테이블 코인, 가상자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 등을 이용한 연계시세조종의 개연성이 충분하므로 조문 반영이 필요하다.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 규제는 내부자의 특정이 어렵고 대상 정보를 구체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나, 시장질서 교란행위를 도입할 경우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정거래행위 금지 규정은 가상자산시장에서 성행하는 펌프 앤 덤프나 신종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하는데 유용하므로, 반드시 입법에 반영이 필요하다. 벌칙 조항은 현행 자본시장법과 같이 부당이득에 반드시 연동하는 방식보다는 단순차액방식으로 산정하여 일부 양형인자로 활용하는 것이 처벌제도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다고 본다. 증권형 가상자산의 규제체계는 영국, 일본과 같이 기존의 자본시장 규제를 활용하는 것이 현행 규제체계와 인프라의 효과적인 활용의 장점을 갖는다.

      • KCI등재

        가상자산의 특성과 법적 규율 - 블록체인 기반 가상자산의 위험성과 규율 방향을 중심으로 -

        신지혜 한국소비자법학회 2022 소비자법연구 Vol.8 No.3

        Recent discussions of ‘virtual assets’ are mainly focused on blockchain-based cryptocurrencies including Bitcoin. Although the essential nature of blockchain is the guarantee of anonymity and decentralization in principle, in real transactions, users trade virtual assets under their real names through virtual asset exchanges. Therefore, many risks in virtual asset transactions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by regulating virtual asset exchanges. The Act on the Reporting and Utilization of the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has also been amended in this respect and is being implemented. However, even if the virtual asset exchanges are actually involved in a significant amount of virtual asset transactions as a central management agency, regulations on them alone do not solve all risks, because they do not have the legal authority or technical capacity to engage or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the blockchain. To give a single example, while the existing regulations have been made to prevent the Mt.Gox incident surrounding the virtual asset exchanges, future regulations should be made to prevent the Luna incident, which is the realization of the risks inherent in the blockchain-based virtual asset itself. Regulating the issuer of virtual assets and/or the blockchain on which each virtual asset is issued should be considered as an ultimate measure. Still,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se regulations would be realistically possible due to the technical and essential nature of blockchain, the decentralization and anonymity. Moreover, in a situation where the blockchain-based virtual assets are practically recognized and distributed for economic value, any excessive intervention may cause a hardship in the entire marke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ispel excessive expectations or illusions about the blockchain or virtual assets and to actively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gulations while considering the scope that can be covered by existing systems. 최근의 ‘가상자산’ 논의는 주로 비트코인(Bitcoin)을 비롯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cryptocurrency)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블록체인은 원칙적으로 익명성 보장과 탈중앙화를 본질로 한다. 그런데 실제 거래 현실상 이용자는 가상자산사업자(거래소)를 통하여 실명으로 가상자산을 거래하므로, 가상자산사업자를 규제함으로써 가상자산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우리나라의 특정금융정보법도 이러한 측면에서 개정되어 시행 중이다. 그러나 가상자산사업자가 사실상 중앙관리기관으로서 상당량의 가상자산 거래에 관여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이 블록체인 운영에 관여하거나 참여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이나 기술적 능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규제만으로 모든 위험성이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단적으로, 기존의 규제가 가상자산사업자를 둘러싼 마운트곡스 사건의 예방 차원에서 이루어졌다면, 향후의 규제는 블록체인 기반 가상자산 자체에 내재된 위험이 현실화된 루나사태를 예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가상자산의 발행인과, 각 가상자산이 발행되는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을 규제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으나, 탈중앙화와 익명성을 본질로 하는 블록체인 특성상 현실적으로 규제가 가능한지 의문의 여지가 없지 않다. 게다가 블록체인 기반 가상자산이 현실적으로 경제적 가치가 인정되어 유통되고 있는 상황에서 과도한 개입은 시장 전체를 경색시킬 우려도 없지 않다. 우선 블록체인이나 가상자산에 관한 과도한 기대나 환상을 불식시키고 기존 규제로 포섭될 수 있는 행위에 관하여는 보다 적극적으로 규제 가능성을 탐색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가상자산 범죄에 있어서 자산 동결 제도 도입 제안

        유지연(Ji Yeon Yoo),김기윤(Kieyoon Kim) 대검찰청 2022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5

        본 글에서는 가상자산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수사 방법 및 피해 구제수단으로서 자산 동결 제도 도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가상자산은 거래의 익명성 및 탈중앙화로 인하여 한번 도난 당하면 추적하여 찾기가쉽지 않다. 따라서 가상자산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는 수사 초기 단계에서부터 신속하게 자산을 동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입법화된 자산 동결 제도로서 전기통신금융사기피해방지및피해금환급에관한특별법에 지급정지가 규정이 있다. 본 글에서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대응수단으로 규정된 지급정지 제도를 구체적으로 검토한 후, 이를 가상자산 범죄 특성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본 글에서는 미국이 ‘바나나펀드(Banana Fund)'라고 불리우는 폰지 사기 조직에동원된 전자 지갑을 압수한 후 대물 민사 판결을 청구한 사례를 검토 하였다. 이 사건에서범죄자가 자국 내에 있지 않았고 형사기소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수사기관은 민사몰수 청구를 통해 피해 자산이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민사몰수는 다수 피해자가연관된 폰지 사기 사건에 있어서 피해자 보호를 위한 효과적인 기능을 하므로 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도 이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법체계의 차이로 인하여 우리나라에 민사몰수를 도입하려면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다. 따라서 당장 급증하는가상자산 범죄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산 동결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법체계 충돌을 피하는 더 현실적인 방법이다. 자산 동결은 피해자 입장에서는 피해구제 신청으로 피해금을 반환 받을 수 있는 민사적인 구제기능을 한다. 또한 법원이 발부한 압수・수색영장 없이 수사기관이 곧바로압수 및 몰수하는 것과 다름없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재산권 침해를 최소한으로하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로서 이해관계인으로부터 이의신청이 들어오면 법원이 영장집행에 대한 항고사건을 처리하듯 심사하는것이 바람직하다. Currently, discussions are being made on the establishment of a ‘Digital asset basic law', such as the preparation of regulations on issuers related to virtual assets and the prohibition of unfair trade. At this point in time,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asset-related crimes,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ed to introduce an asset freezing system that can freeze criminal proceeds at the initial stage of an investigation. We analyzed the properties of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stablecoins, and NFTs. Due to the decentralization, internationality, and anonymity of virtual assets,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ceive criminal proceeds after money launder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freeze funds from the early stage of the investigation for thorough recovery of criminal proceeds and protection of victims. As a similar system, in the case of ‘voice phishing’, a system that can suspend payment of related accounts only with the request of a victim or an investigative agency was examined. And how it can be transformed and applied in crimes related to virtual assets was reviewed. The United States has a civil forfeiture system, which enables effective early response even in cases of Ponzi fraud involving multiple victims. In the Ponzi fraud case related to the ‘Banana Fund’ in 2020, there was a case in which more than $6.5 million of Bitcoin and Tether were confiscated in advance to reduce the damage to investors. In the long term, it is desirable for Korea to introduce a civil forfeiture system. However, this is a problem that requires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nfiscation system itself, and it will tak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for discussion of the system to settle. In order to immediately respond to crimes related to virtual asset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n emergency fund freezing system similar to the payment suspension system under ‘Special Act on Refund of Amount of Damage Caused by Telecommunications Bank Frau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n emergency asset freezing system for virtual asset-related crimes was discussed in the ‘Basic Act on Digital Assets’, which is being discussed for enactment. However, since it is different from the crime of ‘voice phishing’, it is necessary to be cautious so that the objection procedure through the arbitration of a neutral court that can adjust interests is democratically conduct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normal economic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