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호주제도 위헌소송에 관한 법사회학적 고찰

        양현아(Yang Hyunah)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5

        본 논문은 호주제도의 존속과 현실가족의 변화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20이년 3월 서울지방법원에서 내려진 호주제도 위헌법률심판의 제청결정을 법사회학적으로 조망한다. 이를 위해 위헌심판이 제정된 사건의 내용과 그에 관한 재판부의 담론을 분석하고, 핵가족화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의 변화와 호주제도의 성격을 살펴본다. 이어서 호주 제도라는 제도적 ‘가족’이 실제 ‘가족들’ 속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작동하는지를 인구 및 주택 총조사에서 드러난 가구변화 추이를 통해서 살펴본다. 여기서는 (1) 가족의 소규모화, (2) 출생아 성비, (3) 이혼 및 재혼 양상을 호주제도의 제도적 원리와 대응시키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구변동에서 나타나는 소규모화 양상과 아들을 필요로 하는 호주의 승계제도와는 구조적으로 부조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괴리). 하지만 성비 불균형은 호주의 승계제도가 소규모 가족들 속에서 무리하게 실현되어 왔다는 것을 말해준다(실현). 다른 한편, 이혼 및 재혼관계를 가진 가족 등 호주제도의 틀 속에서 ‘비정상적’ 가족으로 규정되는 가족이 급증하고 있다(억압). 이렇게 볼 때, 본 호주제 위헌소송은 개별 사건의 당사자에 국한된 사익(私益)이 아니라 사회적이고 역사적 맥락 속에서 바라본 공익(公益)의 관점에 섰을 때에만 그 판단기준이 명확히 설 수 있다는 것을 밝히면서 이번 소송에 있어 사회학적 전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is is a study of the lawsuit about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family-head system(戶主制度) in the current Korean Family Law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law. The lawsuit was filed in 2000 by the victims of the system with the support of lawyers and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nd the final decision in the Constitutional Court is now pending. This study tries to incorporate the divergence between the law and societ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head(hoju) system and the changes in 'the families' in Korea. After delineating issues in the lawsuit, this paper reviews the nature of family-head system and the 'nuclear' family in Korean society. It then investigates if and how the 'family model' instituted in the family-head system could be realized in the current Korean families as revealed in the statistics in the national survey of the population and household. There are three focuses in this investigation: small¬family tendency (structural discrepancy); sex-ratio imbalance (realization); divorce and remarriage trends (oppression). As shown in this study, the system has been structurally discrepant from the current family trends and yet the influences of the family-head system are prevailing in the families in Korea. Thus, the judgement for this lawsuit need to be the criteria of 'public interests,' rather than that of 'private interests' of the individual victim families. This study points out indispensability of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for this lawsuit and suggests the abolishment of the system is not so much as the ending as the beginning of the new family relationship in Korea.

      • KCI등재

        戶主制度가 權威主義的인 國民意識과 男女差別法에 미치는 영향

        이화숙 연세법학회 2004 연세법학 Vol.10 No.2

        Head of family system, so called hojujedo in Korean civil law, is a typical patriarchal system which means there should be a head in a family. Even if the head of the family doesn't have any right and duty over to the families, the system has great problems in itself as follows: First, the census registration is organized so that the head of the family should be the standard of the family and should be centered of the family. Therefore the head of the family system symbolizes that the head person is very important, he should have some right over the family members, he should have some duty to support for the family members, not legally, but de facto. Furthermore, the patriarchal system give causes to the family members or society members that the head of the family can order or he can rule over his family members. Second, the status of the head of the family should be succeeded to the first son of the head of the family when he dies according to the family law. It is obviously discrimination of the daughters, who are women. Because of this rule, married men and women might think that they should have son for the succession of the generations. The reason that the birth rate of the sons exceed that of daughters is that Korean women don' t want to give birth of the daughter with the help of the scientific development even if it is illegal. Third, The head of the family system separate every men into high and law class, because every head of the family might be old men while family members are young children or women who are mother or wife of the head person. Fourth,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 head of the family system, people could easily think that all men are superior while all women are inferior. Fifth, this system could easily lead that adult should be respected and they should be always right, while children should obey or dependent to the adult member in the family or in the society. Sixth, this system has given patriarchal impact to the family related laws like a census registration law, law on medical insurance or several social security laws. Because the head of the family system in the family law is the principle of the family-related law, it is natural that family related laws should be enacted according to the basic principle of the family law, which is patriarchal. As a conclusion, I insisted that the head of the family system in family law should be abolished as soon as possible in this paper.

      • KCI등재

        존속살해죄 특례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가족제도와 형법 제정 경위를 중심으로

        하지환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6 法學論集 Vol.21 No.1

        존속살해죄에 관해서는 상당히 오래 전인 1950년대 이전부터 그 위헌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최근까지의 연구는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는 ‘효사상’ 내지 ‘패륜성’에 대한 이념적 논쟁이며, 두 번째는 존속살해의 개별적 사건에 있어 국민이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패륜범죄인지를 통계를 통하여 연구하는 방식의 실증적 연구 방향이었다. 기존의 연구는 상당히 이루어졌으며 현재 조항의 해석과 형사정책적 입법정책에 기여한 바가 크다. 그러나 존속살해죄의 제정에 영향을 준 가족제도 및 존속살해죄의 제정경위를 확인하는 것도 존속살해죄의 위헌성 논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에 형법 제정 당시 경위를 확인하는 것으로 과연 존속살해죄가 우리나라의 고유한 법제도 및 법감정에서 계승, 발전된 것인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존속살해죄 규정의 전제로서의 가족제도를 확인하자면 우리나라는 조선 중기 이후 가부장적 제도가 강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수직적인 사고방식 하의 가부장제도는 아니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 형법을 직접 적용받았는데, 일제는 천왕 중심의 군국주의를 강화하기 위하여 봉건적 무사계급의 가족제도인 ‘이에제도’를 발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봉건주의적 가족제도는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우리사회는 과거에 비하여 상당히 강력한 수직적 사회로 바뀌게 된 것이다. 형법의 제정은 그러한 배경 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의 대명률직해의 모살조부모부모 규정에도 불구하고, 이와 상관없이 당시 일본형법과 일본개정형법가안의 규정과 동일하게 규정된 것으로, 이는 현행의 존속살해죄의 규정의 근원이 일제의 존속살해죄 규정임을 알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 제국주의를 실현을 위한 봉건적 가족제도를 전제로 하여 일본 형법을 모방한 현재 존속살해죄의 규정은 입법정책적으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we can establish the Parricide crimes clause in Korean penal code. In traditional Korean penal code known as Daemyoungryul, Parricide crime is considered to be an aggravating. But we could not inherit the traditional heritage. Because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Japanese Empire compel Japanese criminal law. They stress the need of allegiance to Japanese emperor. In this reason, Japan as patriarchal nation transplants their family law system called ‘Ie’ to korea. In Ie-system, a head of household is possessed of absolute power by patria potestas. After the liberation, we need to establish our own penal code. But there is no time to enact an entirely new penal code. So, Lawmakers refer to Japanese criminal law and Japanese Draft for Revising Criminal Law(1940). By ill-fortune, the Parricide crimes clause in Korean penal code, the Japanese Parricide crimes clause, a Parricide crimes clause of Japanese Draft for Revising Criminal Law(1940) are just the same. In its final analysis, we just follow and keep up Japanese Parricide crimes clause. We have to overcome brutal old Japanese criminal law.

      • KCI등재

        Evolution of Marriage Contracts under Conformism

        오승연(Oh Seung Yun) 한국사회경제학회 2015 사회경제평론 Vol.28 No.1

        결혼 제도는 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조응하여 발전하게 되는데, 가부장적인 제도는 여성의 시장참여가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본 연구는 가부장적 사회 규범에 순응하려는 개인들의 성향이 보다 평등한 결혼 제도로의 진화를 더디게 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확률론적 진화 게임이론을 사용하여 가부장제에서 평등한 결혼 계약으로의 진화과정을 분석하였다. 모형을 이용하여 가부장적 결혼 제도와 평등한 결혼 제도 각각이 균형이 되는 조건을 구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경제적 환경의 변화로 평등한 결혼 계약이 가부장적 결혼 계약에 비해 더 효율적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가부장제도에 대한 순응주의가 강한 경우, 평등한 계약으로의 이전이 일어나지 않고 가부장제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순응주의가 강한 경우 가부장적 계약에서 평등한 계약으로의 진화에 걸리는 시간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길어짐을 보였다. Why have patriarchal family institutions remained so persistent? Could stronger conformism to patriarchal norms retard the evolution of more egalitarian contracts even when egalitarian contracts are in some respects more efficient? To address these questions, I study the evolution of marriage contracts from patriarchal to egalitarian forms. In particular, I explore the ways in which normative dynamics such as asymmetric conformity could shape the evolution of marriage contracts-specifically, the equilibrium selection and the time that elapses in the transition from one contract equilibrium to another. I set up a micro stochastic process model to study the equilibrium selection of marriage contracts in various economic environments. Using parameters capturing the payoff within families and the degree of conformism between families of each contract, the model identifies the parameter range in which even though the egalitarian contract is optimal choice within family, the patriarchal contract pervades due to the strong conformism. Also I aggregate the micro stochastic process to obtain macro level stochastic process, which is the Birth and Death Markov process, to calculate the fixation probabilities of patriarchal and egalitarian regime. The result shows that the transition time from a patriarchal to an egalitarian equilibrium can be longer than the opposite direction under conformism.

      • KCI등재

        종교의 가부장문화에 대한 진보적 여성신자들의 대응 전략

        류지아(Ji-A Ryu)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4

        본 연구는 종교의 가부장문화에 대응하는 진보적 여성신자들의 전략을 가톨릭 A여성단체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신학적 담론에서는 제도종교 안에 만연한 가부장문화로 인해 여성신자들이 여성으로서의 온전한 인간성을 펼치기 어려움을 지적하고 있다. 경험적 선행연구를 통해 집단수준과 개인수준에서 진보적 여성신자들이 제도종교의 가부장문화에 대응하는 전략들을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한국 가톨릭 A여성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집단수준에서는 종교제도 개혁 및 여성신자들의 의식 개선을 위한 노력, 여성의 사도신경이나 여성전례(典禮)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종교적 행위의 변화 등이 나타났다. 개인수준에서는 종교적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는데, 세부내용은 ?종교?와 ?제도교회?의 구분, 영성의 강조, 예수와 성모 마리아의 인간적 이해, 종교는 여성적이라는 인식 등을 내용으로 한다. 또 다른 개인수준의 전략으로는 거리두기 방식이 나타났는데, 그것은 제도교회에 참여하기는 하지만 적극적이지 않은 제도 교회와의 거리두기와 제도교회에 대한 무관심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중, 영성의 강조나 제도 교회에 대한 무관심 등은 종교적 개인주의가 가부장문화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rategies of progressive female believers who respond to the patriarchal culture of the institutional religion. In the feminist theological discourse it is hard for female believers to be fully human because of the patriarchal culture of the religion. Through empirical advanced researches, it can be classified into roughly two categories like group level and individual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focuses on Korean society are as follows: In the group level, there are efforts to reform religious institutions and improve female believers? consciousness and there are alternative religious behaviors which includes women?s apostles? creed and women?s ritual. In the individual level, there are religious cognitive alternatives such as distinction of religion and an institutional church, emphasis on spirituality, understanding Jesus and the Virgin Mary as human being and religion as feminine characteristics. Another strategy in the individual level is keeping in distance. It has two sub-strategies such as keeping in distance even though they are still participating in institutional local church and indifference in institutional church. Among those strategies, the two strategies like the emphasis on spirituality and indifference in institutional church can be concluded into religious individualism.

      • KCI등재

        가정폭력가해자 상담제도와 효과성

        박소현(So-Hyun Park)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3 이화젠더법학 Vol.5 No.2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가정폭력 재발을 막기 위하여 가해자에 대한 성행교정은 중요한 가정폭력대응전략의 하나인데, 이를 가해자 상담제도라는 큰 틀로 논의할 수 있다. 한편, 가정폭력의 발생에 대한 여성주의적 관점에 의하면 가정폭력이 가부장성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미국, 독일, 일본의 가정폭력가해자 상담제도와 우리나라의 제도를 비교하여 시사점을 살펴보고, 가해자의 가부장성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상담위탁 보호처분의 효과성을 살펴봄으로써 유의미한 가정폭력 대응 방안을 모색하였다. 가정폭력문제에 국가가 개입하는 목적은 가해자로 하여금 폭력행위를 중단하게 하는 것인데, 이는 가해자를 형사상 처벌하는 것 이외에도 가해자의 폭력적인 태도를 변화시키는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그러한 점에서 가해자 상담제도는 의미가 있다. 상담위탁 보호처분이 가해자 환경의 조정과 성행 교정이라는 관점에서 가부장성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폭력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성역할 태도와 폭력허용도에서 상당한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담을 통하여 가정폭력의 주요 원인인 가부장성을 구성하는 성역할 태도와 폭력에 대한 인식이 개선된 결과 폭력재발률이 유의미한 정도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가해자의 가부장성 교정에 대한 상담위탁 보호처분의 효과는 뚜렷하다. 따라서 상담위탁 보호처분을 확대 실시함으로써 가해자의 가부장성을 교정하여 가정폭력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Correction of domestic violence offender’s personality and behavior is one of the important strategies for addressing domestic violence to improve attitudes toward domestic violence and to prevent recurr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it could be discussed within the framework of counseling system for offenders. On one hand, according to the feminist perspective on occurrence of domestic violence, the occurrence is based on patriarchal aspects. Hence, this thesis compares the counseling systems for domestic violence offender in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with the system in Korea and examines the implications, and it searches for meaningful ways to address domestic violence by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Entrustment of Counseling from the aspect of correcting patriarchal aspects of the offender. The purpose of the nation’s intervention in the problem of domestic violence is to stop the offender from committing an act of violence; other than through criminal punishment of the offenders, this is possible through a variety of methods of changing the offenders’ violent attitudes. In that aspect, counseling system for offenders is significant. Upon examining by types of violence whether Entrustment of Counseling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patriarchal aspects in the perspective of changing offender’s environment and correcting offender’s personality and behavior,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improving sex role attitudes and acceptability of violence. Plus, through counseling, sex role attitude and awareness of domestic violence, which comprise patriarchal aspects, the main reason for domestic violence, were improved, and as a result, recurrence of domestic violence reduced significantly. As such, the effect of Entrustment of Counseling on correcting offender’s patriarchal aspects is significant. Therefore, by further implementing Entrustment of Counseling, the effect of preventing recurrence of domestic violence through correction of offender’s patriarchal aspects can be expected.

      • KCI등재후보

        양성평등과 개인의 존엄의 시각에서 본 가족법 : 헌법과 가족법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the ba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and Family Law

        차선자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아시아여성연구 Vol.43 No.1

        우리 헌법은 제36조1항에서 "혼인과 가족생활은 양성평등과 개인의 존엄을 근간으로 유지되고 국가는 이를 보장 한다"고 규정하여 양성평등과 개인의 존엄을 보장하는 민주적 가족제도를 헌법이 보호하고 있음을 명백히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헌법 조항은 단순히 제도보장으로서 의미만이 아니라 국민의 기본권을 규정한 것으로 입법자는 이러한 민주적 가족제도를 침해하는 입법을 해서는 아니 되며, 또한 특정의 입법으로 민주적 가족제도가 침해된 경우 가족의 구성원들은 국가에 대해서 기본권의 침해를 주장하고 이에 대한 구제를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민주적 가족제도와 달리 현행 민법은 전통적 수직적 가족제도를 여전히 그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것은 친권개념, 호주제도 등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족법이 전통적 수직적 가부장제를 전제로 하여 규정됨으로써 현행 가족법은 우리사회 내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혼과 재혼 등을 통하여 변화된 유형의 가족관계를 효율적으로 규정하지 못하며, 아동의 권리를 보호하기에도 미흡한 면이 있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입법자는 현행 가족법을 좀 더 헌법 이념에 충실한 구조로 개정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Marriage and family life shall be organized on the basis of individual dignity and equality of sexes by Art. 36 I of korean constitutional law. That means, the first,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protect a democratic family system on a guarantee of equality of sexes and individual dignity in family life and the second, the democratic family system is protected not only as system guarantee, but also as constitutional rights. So law-makers must not legislate against democratic family system and the family member can demand a special preventive measure from the Nation, if the democratic family system is infringed through the legislation. Without regard to democratic family system, which is secured by Art. 36 I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the korean family law is based on a traditional patriarchal family system and a strong family-clan system. As a result of that, the korean family law is not suitable for the family relation which is reorganized through divorce and remarriage and for protecting the children's rights. And many articles and systems in the korean family law include a possibility of violation the constitutional law. This paper deals with two issues. The first is about which and how articles in korean family law include a possibility of violation. And the second is why the law-maker has to revise articles of korean family law.

      • KCI등재

        원불교 정녀(貞女)제도와 성적 통제

        장신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4 여성학논집 Vol.21 No.2

        본 연구는 원불교에서 여성들이 교역자인 '교무'가 되기 위해서는 미혼의 독신이어야 한다는 것을 규범화한 '정녀제도' 여성교무의 성을 통제 관리하는 장치가 되고 있는 것에 문제의식을 갖고 출발한다. 따라서 성평등한 교리와 제도를 가지고 있는 원불교 교단에서 어떻게 '정녀제도'를 통해 여성교무에 대한 성적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성통제의 재생산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전통 종교들에서 가부장적 남성들이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를 남성들과의 이해관계에 따라 규정하고 다루어 왔던 방식은 오늘날 원불교 교단에서 정녀제도를 통해 드러나는 성적 통제의 방식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정녀제도의 개선은 교단 내의 일임과 동시에 서로다른 종교들과 간문화적으로 소통되면서 그들 종교들의 여성 관련 교리 및 제도의 외연에 충격을 주는 교호작용을 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female clergy system' of Won-Buddhism which dictates that 'female clergy' be unmarried, single women, and argues that this system is used to control these women's sexuality. First, it examines how controlling women's sexuality has come about within Won-Buddhism despite the fact that gender equality is a central tenet of their teaching and beliefs. Second, it analyzes various factors that reproduce control of sexuality. The 'female clergy system' as a way of controlling women's sexuality within Won-Buddhism is similar to the ways that other traditional religions control women's bodies and sexuality. Thus, this paper argues that reform of the 'female clergy system' is needed within Won-Buddhism. These reforms are expected to bring about a ripple effect in other religious organizations regarding their own teaching and practices related to women.

      • KCI등재
      • KCI등재

        儒家의 服喪制度에 있어서의 孝思想

        장세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6 No.-

        Feudal society that Confucianism is to idealize was based on the "Jong bub(宗法)" system. The "Jong bub" system has organization on "Jong bub" politically. The "Jong bub" system prewcribes active of "Jong bub". The "Boak sang" system is related filial duty of Confucianism. Filial duty is care of moral rule. Filial duty content is parent respecting and esteeming and sacrificial rites to ancestor. "斬衰三年服“ of "Boak sang(服喪)" system undertakes on "家無二主” of "Jong bub". Giving to "長子“ that right sacrificial rites to ancestor is feature of Filial duty ideology. 宗法을 바탕으로한 儒家의 倫理는 孝를 가장 重視한다. 바로 孔子가 仁의 실천은 父母에 대한 孝로부터 시작한다고 한 것과 같다. 孝의 특징은 父母를 恭敬奉養하고 祖上에 대하여 祭祀지내는 것에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자식이 되어 父母에게 孝道를 하는 것은 人間으로 지켜야할 道理이기 때문이다. 宗法은 바로 이러한 혈연을 바탕으로한 인간의 관계를 잘 설명해 주는 것이다. 그렇기에 血緣을 바탕으로 한 것에서 人間關係의 親疎가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바로 服喪制度에 있어서 그 親疎에 따라 喪服을 입는 것의 差異가 있게 되는 이유이다. 가장 친밀한 관계가 喪禮에 있어서는 斬衰三年服에 해당한다. 喪服의 기간과 종류가 다른 것은 儒家의 差等制 사랑에 의한 불가피한 것으로 儒家가 이상적인 制度로 내세운 封建制度는 종법을 전제로 한다. 宗法은 家族制, 家長制, 世襲制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尊尊의 原理에 기초한 嫡長子相續制度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家長은 가족을 통제하는 강력한 家長權을 가지게 된다. ‘家無二尊’ ‘家無二主’ 등의 표현이 단적으로 그 權力을 말해 준다. 宗法은 宗族의 活動을 規定하고 있는데 그러한 活動에서 나타난 規範의 核心이 孝이다. 服喪制度는 家統을 바르게 유지하기 위하여 服을 입는 禮다. 宗法에서의 家長의 지위에 있는 아버지가 至尊에 해당한다. 家統은 父子가 서로 잇는 것인데 자식이 아버지를 위해서 斬衰三年服을 입는 것이 孝思想의 기본적인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바로 嫡長子일 경우에는 祭祀를 지내는 것까지 이어받게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아들이 없을 경우가 있는데 바로 爲人後者의 문제가 대두되는데 이러한 경우도 孝思想을 잘 보여주는 儒家의 특징이다. 무엇보다 맏아들이 죽었을 경우에도 아버지가 자식을 위하여 三年服을 입는다. 바로 父爲長子의 경우가 儒家 服喪制度에 있어서의 孝思想의 특징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