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명당 유정의 강화활동을 통해 본 조·일 갈등과 치유

        이철헌(Lee, Cheol-he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1

        임진왜란 이전 조선과 일본의 갈등은 남부지방을 침략하는 왜구문제였다. 고려 말부터는 남해안뿐만 아니라 전라도, 경기도, 강원도에 이르기까지 전국에서 왜구들이 공물 운반선을 약탈했다. 끊임없는 왜구의 침탈과 살육은 조선조에 들어와서도 계속되었다. 조선은 일본이 왜구의 노략질을 통제해 달라며 매년 세사미(歲賜米)를 대마도에 주고, 삼포(三浦)를 열어 교역을 허가하고 서로 사신을 보내는 등 일본과 강화를 이어갔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조선무역이 끊어지자 전쟁이 끝난 직후부터 대마번(對馬藩) 소 요시토시(宗義智)는 여러 차례 사신을 보내 강화를 요청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는 국내정치의 구심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명 ․ 조선과의 국교회복을 필요로 하였기에, 가또 기요마사(德川家康)와 소 요시토시의 조선강화교섭을 한층 본격화했다. 조선은 임시방편으로 일본의 거센 강화요청을 무마하고자, 정식 사신이 아닌 개인 자격으로 국서(國書)를 주지도 않고 사명대사를 일본에 보냈다. 유정은 조 ․ 일 두 나라의 갈등을 인식하고 원인을 알고 있었고 갈등을 치유함으로써 두 나라의 이익을 증대할 수 있다는 걸 알았기에 중생을 구제한다는 자비의 마음으로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 유정과 이에야스의 회담으로 조선에서 일본과의 강화가 허락되고 1607년에는 이에야스의 국서에 대한 회답과 끌려간 동포들을 쇄환하기 위한 사신을 보내면서 조선통신사로 이어졌다. 유정의 渡日 이후 260년간 동북아시아가 한차례의 전쟁과 분쟁이 없이 안정과 공존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은 유정이 개척한 조선통신사외교의 최대성과였다고 할 수 있다. 유정은 수행자로서 조선 ․ 일본의 갈등을 오직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보살의 자비심을 실천함으로써 갈등을 해결했다.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onflict between Joseon and Japan involved instances in which Japanese pirates made aggressive advances in southland. Since the Late Goryeo kingdom, these pirates had plundered ships carrying tributes not only from the south sea, but from all parts of the country, including Jeolla-do, Gyeonggi-do, and Gangwon-do. The widespread looting and slaughter of Japanese pirates continued during the Joseon dynasty. Joseon prevented Japan’s plundering, and remained at peace by providing Sesa-rice to Tsushima every year. This allowed commerce to open Sampo so that letters could be sent. However, Joseon’s trade efforts were terminated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okugawa Ieyasu advanced the peace negotiations of Kato Kiyomasa and So Yoshitoshi for the restor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Ming and Joseon in order to solidify his status in the domestic situation. Joseon sent Monk Samyeong as a private citizen without credentials, not as an envoy, but to appease Japan’s strong demand for peace. Yujeong knew about the conflict between Joseon and Japan, as well as the reason for it. He endeavored from the heart to save living things because he recognized that healing the trouble could provide benefits to both countries. Talks between Yujeong and Ieyasu eventually allowed peace among Joseon and Japan. Leyasu’s reply and letters to send back captives were transmitted to the Joseon news agency in 1607. For 260 years after Yujoeng’s visit to Japan, Northeast Asia was able to stabilize and coexist due to the Joseon news agency. Yujeong resolved the conflict between Joseon and Japan by practicing mercy to save living things as an asce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