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해석학의 철학적 기초

        양천수(Chun-Soo Ya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江原法學 Vol.49 No.-

        전통적인 법적 삼단논법과는 달리 법해석학은 ‘선이해’와 ‘해석학적 순환’을 바탕으로 하여 법관이 법을 해석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고 주장한다. 법해석학에 따르면, 법을 해석하는 과정은 기존에 존재하는 법을 인식하거나 발견하는 과정이 아니라, 새로운 법을 형성하거나 창조하는 과정이다. 1970년대를 전후로 하여 주로 독일 법학에서 성장한 법해석학은 철학적 해석학, 그 중에서도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을 수용함으로써 이론화되었다. 이 글은 법해석학의 철학적 기초를 밝힌다는 취지에서 가다머가 정립한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을 분석한다. 이에 따르면,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다머는 딜타이처럼 해석학을 정신과학의 방법으로서 이해하는 것에 반대한다. 왜냐하면 해석학은 <주체-객체 모델>에 입각한 인식론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주체-객체>가 서로 융합된 존재론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이를 가다머는 이해자가 이미 지니고 있는 선입견을 통해 정당화한다. 이러한 선입견은 하이데거가 전개한 ‘이해의 선구조’를 수용한 것이다. 나아가 선입견은 권위와 전통에 바탕을 두고, 전통은 고전이라는 형식으로 존재하게 된다. 한편 가다머는 선입견에 입각한 존재론적-해석학적인 이해는 해석학적 순환이 역사적으로 확장된 지평융합을 통해 진행된다고 한다. 이를 가다머는 ‘영향사적 원칙’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가다머는 이러한 영향사적 원칙이 단순히 정신과학 영역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매개로 하여 심지어는 자연과학 영역에서도 타당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존재론적 해석학은 말 그대로 보편적인 존재론으로서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가다머의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은 이후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반향은 문학비평이나 역사해석 또는 고전철학과 같은 정신과학 영역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법학이나 사회과학 심지어 자연과학에서도 가다머의 해석학은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동시에 다양한 비판이 가다머의 해석학에 제기되었다. 이를테면 가다머와 해석학 논쟁을 전개한 하버마스는 철학적-존재론적 해석학이 이데올로기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Legal hermeneutics asserts that judges intervene actively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laws based on ‘preunderstanding’ (Vorverständnis) and ‘hermeneutic circle’ (hermenutischer Zirkel), which is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legal syllogism. According to legal hermeneutics,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laws is neither the process of perceiving nor discovering the existing laws but that of constituting or creating new laws. Legal hermeneutics has mainly been formulated in the German jurisprudence in pre and post-the1970s, accepting and theorizing philosophical hermeneutics and in particular,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that Hans-Georg Gadamer established.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established by Gadamer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hilosophical bases of legal hermeneutics. According to its theory, Gadamer’s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adamer does not advocate that hermeneutics is understood as methodology of humanities (Geisteswissenschaft) just as Wilhelm Dilthey does. This is because hermeneutics does not assume epistemological characteristics but rather ontological characteristics. Gadamer justifies this based on the ‘prejudice’ (Vorurteil) that any understander has already had. This prejudice accepts ‘the pre-structure of understanding’ established by Heidegger. Furthermore, prejudice is based upon ‘authority’ and ‘tradition’. Meanwhile, Gadamer states that ontological-hermeneutic understanding is being considered through historically broadened fusion of horizon (Horizontverschmelzung)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hermeneutic circle. Gadamer cites it as the ‘wirkungsgeschichtliches Prinzip’. Yet, Gadamer asserts that the wirkungsgeschichtliches Prinzip is not merely limited to humanities areas but is even applied to natural science areas, using languages as the medium. Taking it into account, ontological hermeneutics is literally established as universal ontology. The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formulated by Gadamer has later created much sensation. However, such sensation has not been limited to humanities areas such as literary critics, history interpretation or classical philosophy. Gadamer’s hermeneutics has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laws, social sciences and even natural scienc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have been criticisms for Gadamer’s hermeneutics. Making the debate about hermeneutics with Gadamer, Jurgen Habermas, for example, criticizes that philosophical-ontological hermeneutics could be distorted by ideology but this is left disregarded.

      • KCI등재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통한 무용창작 프레임과 상호작용

        김경신 ( Kyoung Shin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이 연구는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차용하여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창작과정을 텍스트화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텍스트 작업은 내가 무용수와 안무가로서 경험한 과거의 창작과정을 이해하고 탐구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었다. 나의 창작과정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행위에 있어서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은 이론적인 바탕과 철학적인 근거로 활용되었으며, 디지털매체인 영상편집프로그램과 음악작곡프로그램은 작품을 분석하고 움직임을 탐구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또한,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디지털매체를 실제 안무에 적용하여 그 창작과정을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나의 움직임 재현하기”에서 나의 과거의 춤과 안무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의 움직임과 창작과정을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함께 상호보완적 연속성이 존재하는 반성적 구도를 유지하면서 기술할 수 있었다.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은 과거와 현재에 존재하는 나의 춤과 창작물에 대한 접근방법을 전체와 부분으로 나누어 관찰할 수 있는 이해의 도구로 활용되었다. 영국 안무가와의 협업작품 < Unplugged Bodies >의 창작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무용창작과정에 대한 연구의 가치를 기술할 수 있었다. 이후,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창작과정을 철학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하기 위해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차용한 무용창작과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다머와의 조우를 통해 자기반성적 태도를 가지는 안무자의 능동적 반성 체계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거치며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의 상호작용으로 안무되어진 나의 작품 < Empty Project >의 창작과정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기술할 수 있었다. 나아가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디지털매체가 어떠한 형태와 방법으로 상호작용을 하였는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을 바탕으로 무용창작과정에서 발견된 상호작용인 나와 무용수, 나와 디지털매체, 나와 참여자 그리고 나와 해석학적 순환이론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내가 주체가 되는 창작과정을 연행적으로 기술하였고,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나만의 창작프레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석학적 창작 프레임은 관찰, 분석, 편집, 반성, 적용이며 이와 같은 요소들이 비순차적으로 창작과정에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나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창작과정을 이해하고 자기반성적 견해로 접근함으로써 가다머의 해석학적 순환이론과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창작과정의 결과는 새로움을 창조하는 예술가와 안무자에게 모종의 타당성을 인식시켜 새로운 매개체를 통한 창작과정의 접근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xtualise creative processes with a digital medium by adopting Hans Georg Gadamer’s so-called ‘hermeneutic circle’. This texualisation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previous creative processes that I experienced as a dancer as well as a choreographer. In terms of evaluating and analysing the processes, Gadamer’s hermeneutic circle functions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philosophical basis, and also video editing and music composing programmes were utilised as a tool to examine art works and to investigate movements. Besides, this paper analyses and describes how Gadamer’s hermeneutic circle and the digital medium were applied into the actual choreography. From “Reproducing My Movements”, descriptions of my dance and choreography in the past are shown. Through such step, I was able to evaluate my own movements and creative processes with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by maintaining the self-reflective structure that exists in the complementary continuity. Gadamer’s hermeneutic circle was used as an understanding too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s and the wholes towards my dance and creative works in the present and past. Analysing the creative process of < Unplugged Bodies >, which is a cooperative work with British choreographer enabled me to recognise the value of the study on the creation process of the dance with the digital medium. In order to understand and approach to it philosophical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hole process borrowed from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Moreover, through the encounter with Gadamer, it was feasible to pay attention to an active self-reflective system in which choreographers can bring critical attitudes. Going through all the procedures gave me an opportunity to scrutinise and transcribe the work < Empty Project > I choreographed with a concentration on the interaction with Gadamer’s hermeneutic circle from the various point of view. Furthermore, this study states which forms and what methods allow Gadamer’s hermeneutic circle and the digital medium to be interactive to each other. In addition to this, it analy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lf-dancers, the self-digital medium, the self-participants, and the self-hermeneutics coming from the interaction founded in the creation processes of the dance based on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Herewith, the creative processes becoming the self, are described performatively, and by the benefit of this research result, my own frames for the dance creation are discovered. It has shown that the hermeneutic creative frames consist of observation, examination, compilation, reflection, and application: these factors appear non-sequentially. By understanding the creation processes grounded in my own story and accessing them in the self-reflective views, the outcome from the creative processes using the theory of Gadamer’s hermeneutic circle and the digital medium can offer new approaches to creative processes through a vehicle for making artists and choreographers searching for newness aware of a certain validity.

      • KCI등재

        인문학적 지표로서의 가다머의 예술 철학 : 칸트와 하이데거의 예술철학과의 비교 관점에서

        서동은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문화 Vol.0 No.8

        이 논문은 가다머가 어떻게 칸트의 예술철학과 대립시키면서 자신의 예술철학을 전개하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가다머는 어떻게 하이데거의 예술철학을 수용하면서 독특한 예술철학을 전개하고 있는지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가다머는 칸트의 예술에 대한 입장과 그에 따른 영향관계를 플라톤 철학의 연장선상에서 보고 있다. 그래서 가다머는 기존의 플라톤 해석에 문제를 제기하고 새로운 플라톤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플라톤에서 칸트에 이르기까지의 이러한 전통적인 예술 이해에 대한 비판은 사실 가다머가 처음은 아니다. 가다머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하이데거의 예술철학에서 배운다. 하이데거의 시각에서 전통철학을 비판적으로 보는 안목을 배운 가다머는 이제 그의 스승 하이데거와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특별히 선이해 개념이나 이웃성 개념 등을 하이데거에게서 수용하고, 언어에 대한 하이데거의 관점을 수용하여 새로운 인문학적 철학적 해석학을 정초한다. 이에 따라서 가다머의 예술 이해는 전통적인 예술 이해와도 구분되고 하이데거와도 구분되는 독특한 인문학적 지표로서의 예술 이해가 형성된다. Die folgende Interpretation verucht, die Texte Gadamers durch deren eigene Begrifflichkeit in einer auch wirkungsgeschichtlich zugaenglichen Weise zu verstehen. Dabei setzt sie einerseits eine gewisse Kenntnis der Aesthetik Kants, Heideggers voraus. Andererseits versucht sie den Leitfaden, d. h. das Problem der Aesthetik von der jeweiligen Begrifflichkeit deutlich zu unterscheiden durch Gadamers Kritik, die die Kunst als die geisteswissenschaftliche Wahrheit und die Tragweite der kunstphilosophischen Problematik erkennbar macht.

      • KCI등재

        선입견, 역사 그리고 이성 : 가다머 ‘선입견’ 개념의 비판적 고찰

        김동현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9 국제정치연구 Vol.22 No.1

        This study is a cri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prejudice’,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of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e primary concern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lies in the awareness of the universality of human existence based on the finiteness of human beings. Gadamer articulates human beings are imperfect existential beings that cannot transcend time and space. He considers both the prejudice and historicity of understanding based on the finite human life are closely linked, and prejudice underscores the fact that human beings are historical ones. Gadamer appropriates the concept of prejudice not only by emphasizing the positive aspect of it, but also even claiming the rehabilitation of it. Gadamer argues human beings are the subjectivities that merely live finite human life according to which the demand of the time and human beings follow the authority of the tradition fabricated by the prejudice. However,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akes a halfhearted outlook to the possibility of critical reflection in that the prejudice and tradition should necessarily be accepted as taken-for granted notions in certain cultures of society.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ider Gadamer’s understanding of ‘temporal distance’ associated with the notion of prejudice, which distinguishes true prejudice from false prejudic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diachronic analysis. To do thi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Gadamer’s thought on the concept of prejudice that is mainly derived from the historically diachronic exploration by way of proposing a synchronic analysis. 이 논문은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선입견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다. 철학적 해석학의 관심사는 인간의 유한한 삶에 그 근거를 두고 인간존재에 대한 보편성을 자각하는 데에 있다. 가다머는 인간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수 없는 유한한 삶의 주체이자 불완전한 실존적 존재로 규정한다. 그는 유한한 인간의 삶을 전제로 한 이해의 역사성과 선입견이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고 보고, 인간이 역사적 존재라는 사실을 부각시킨다. 가다머는 선입견 개념의 정당화를 주장하면서 부정적인 개념으로만 취급되어 왔던 선입견 개념의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며 선입견의 복권을 주장한다. 더욱이 가다머는 유한한 삶을 사는 인간이 그 시대의 요구에 따라 선입견을 형성하고, 역사적 존재로서 인간은 선입견에 의해 고착된 전통의 권위를 충실히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은 특정한 문화와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익숙한 선입견으로 받아들여진 전통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가능성에 대해 미온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가다머의 선입견 개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성의 비판적 성찰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또한 이 논문은 가다머의 시간간격, 즉 시간의 흐름이 지난 후에야 참된 선입견과 그릇된 선입견 개념의 구분이 가능하다는 통시적 측면의 분석에 대한 재 고찰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가다머의 통시적 역사관과 시간간격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공시적 관점에서의 분석을 시도한다. 요컨대, 이 논문은 가다머의 선입견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함께 그의 선입견 개념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선입견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수립하고자 한다.

      • KCI등재

        비평에 관한 성찰

        이기언 ( Kie Un Lee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1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5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비평가 알베르 티보데는 1923년에 발표한 「출처 논란」이라는 글에서 당대 프랑스 비평계의 두 권력인 대학과 언론의 갈등을 적나라하게 비판한 바 있다. 40년 후인 1963년, 모리스 블랑쇼도 「비평은 어떠한가?」의 모두에서 대학과 언론의 권력 다툼을 비판하면서 비평의 무용론을 개진했다. 블랑쇼에 따르면, 작품 앞에서 비평은 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비평의 사라짐 자체가 비평의 존재 양식이라는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블랑쇼는 하이데거가 횔덜린의 시를 해석하면서 사용했던 ``종과 눈`` 의 비유를 제시하고 있다. 즉, 작품은 공중에 매달린 ``종``이고 비평은 이 종에 부딪쳐서 소리를 내고 사라지는 ``눈``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비평이란 ``부질없는`` 말 혹은 ``헛된`` 말에 지나지 않은가? 그런데, 블랑쇼 자신의 비평들은 오늘날까지도 왜 사라지지 않고 있는가? 하지만, 블랑쇼의 진정한 비평론은 비평의 무용론을 개진한 후에 이어지는 글에 제시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비평은 "문학 경험"을 추구하는 "창조적인 비평"인 바, 이 창조적인 비평은 "중재"를 점진적을 이행하고 "어둠"을 열어주는 "방황하는 활동"이자 "끝없이 다시 시작하기"라는 것이다. 블랑쇼의 언어가 늘 압축적이고 난해하듯이, 비평에 대한 이러한 성찰은 고도의 해석 작업을 요구한다. 이 작업을 위해서는 보다 더 근원적인 물음, 즉 ``비평 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해야 된다. 이 물음에 대해서는 너무나 많은 답들이 있지만, 우리는 롤랑 바르트의 답에서 출발하기로 한다. 바르트는 저 유명한 「비평이란 무엇인가?」라는 글에서 "모든 비평은 작품에 대한 비평이자 자기자신에 대한 비평이다. 클로델의 말놀이를 빌리자면, 비평이란 타자를 아는 것인 동시에 자기 자신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이다"라고 한 바 있다. 바르트의 비평에 대한 정의에서 출발해서 우리는 ``비평한다는 것은 곧 자기 자신을 비평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타자에 대한 앎을 통해서 자기 자신을 아는 것이다``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블랑쇼가 말하고자 하는 "문학 경험"이나 "창조적인 비평"이라는 것은 결국 타자 이해를 통한 자기 이해를 지칭하는 게 아닐까? 바로 여기에서 우리는 가다머와 리쾨르의 해석학 이론을 빌어 비평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다. 가다머와 리쾨르에 따르면, 텍스트를 이해한다는 것은 텍스트 뒤에 숨어 있을지도 모르는 "저자의 의도"를 파악해내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자체가 말하는 것, 즉 "텍스트의 것"(가다머) 혹은 "텍스트의 세계"(리쾨르)를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텍스트의 것을 자기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내가 나를 버리고 그 자리에 텍스트의 것을 수용해야만 한다. 그때 나는 독서 이전의 "나와 다른 자기" 혹은 "더 원대한 자기"를 발견하게 된다. 그때 나는 나를 더 잘 인식하고, 다른 자기를 발견한다. 이 "타자처럼 자기 자신"(리쾨르의 표현)인 다른 자기는 "독서의 산물"이자 "텍스트의 선물"이다. 이처럼, 직 접적인 자기 이해는 불가능하고 타자를 통한 간접적인 자기 이해만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 다머와 리쾨르가 한결같이 주장하는 해석학적인 사고이다. 하기야 이러한 자기 이해가 곧 우리가 문학 작품 읽기를 통해서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문학 경험이 아닌가? 바로 이러한 경험이 블랑쇼가 말하는 문학 경험이고, 타자 이해를 통한 자기 이해가 창조적인 비평을 낳는 것이다. 그런데 가다머가 지적하듯이, 해석 작업은 "끝이 없는 실행 과정"이다. 왜냐하 면 한 편의 문학 작품의 모든 것을 이해한다는 것은 결코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 서 가다머는 "해석은 해석된 작품의 자리를 차지할 수 없다"라고 단언한다. 비평의 사라짐을 주장하는 블랑쇼의 입장과 일치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가다머의 말을 들어보기로 하자. "자 이것이 역설적인 것이다. 해석이 사라질 준비가 되어 있을 때에만 오로지 그 해석은 정당하다. 그런데 그와 동시에, 사라져야 할 운명을 안고 있는 이 해석이 빛을 보아야만 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해 가능성은 그러한 중재적인 해석의 가능성에 달려 있다." 가다머의 말이 아니라 마치 블랑쇼의 말을 듣는 듯하다. 우리는 해석학적 사고의 에두르기를 통해서 블랑쇼에게로 되돌아온 것이다. 이 에두르기 덕분에 우리는 이제 블랑쇼가 말하는 비평 개념에 대해 좀더 명확한 설명을 할 수 있다. 즉, 비평은 종 위에 떨어지는 눈처럼 사라진다-하지만, 비평의 흔적은 남는다. 왜냐하면 "중재적인 해석"을 통해서 자기를 더 잘 이해하고, 그리고 다르게 이해하기 때문이다-해석 작업과 마찬가지로, 자기 이해도 끝이 없는 작업이다. 왜냐하면 인간 존재에게 고유한 어둠은 결코 걷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 이해를 위해 "방황하는 운동"을 마다하지 않고 "끝없이 다시 시작하기"에 나선다. 바로 이것이 블랑쇼가 말하는 문학 경험이고 창조적인 비평일 것이다. 블랑쇼는『문학 공간』의 <경험이라는 낱말>이라는 소절 에서 "여기에서 경험은 다음을 의미한다. 존재와의 접촉, 이 접촉을 통한 자기 자신의 혁신-하지만 끝이 없는 시련." 그렇다면 ``악순환``이 아니라 이러한 ``악무한 l`infini vicieux`을 극복할 수는 없는 것일까? 가다머가 제시하는 단 한 가지 해결책만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가다머는 "이해한다는 것은 늘-다르게-이해하는 것이다"라고 했는데, 이것을 비평 개념에 적용한다면, 비평한다는 것은 곧 다르게 비평하는 것이고 다른 눈으로 자기 자신을 비평 하는 것이다. 한 마디로, 다른 눈으로 Allo eidos gnoseos는 해석학적 비평의 좌우명이다.

      • KCI등재후보

        가다머와 아도르노 사유의 동일성과 비동일성 - 과학기술문명 비판을 중심으로

        이하준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3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20 No.-

        일반적으로 가다머와 비판이론, 그 중에서도 아도르노의 철학적 사유와의 유사성을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과학과기술비판 그리고 매체비판에 있어 친화성이 발견된다. 양자는 과학기술을 가능하게 한 기술적 합리성의 위험과 파괴성에 대해 인식을 공유한다. 매체의 의식조작 기능에 대한 비판에 있어서도 각론적 차원의 미세분석에 차이가 있을 뿐이지 기본적인 인식은 같다. 그러나 분석관점과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과 관련해 양자의 차이는 뚜렷하다. 아도르노가 사회학-사회철학적 관점에서 문제를 쟁점화한다면, 가다머는과학기술이 인간 삶에 미치는 다양한 부정성에 대한 일반적 논의를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가다머는 과학과 기술에 대해 직접적으로 비판했지만, 아도르노는 과학방법론과 경험연구 방법론을 집중적으로 비판하며 대안을 제시했다. 아도르노가 과학기술의 해방적 잠재력을 인정하지만. 가다머는 그것을 부정했다. 가다머가 과학기술 문명으로발생한 문제 해결의 열쇠로 유럽문화의 위대한 힘에서 찾았다면 아도르노는 과학기술 물신주의 비판과 함께 과학기술의 사회적 사용방식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입장을 강조한다. 가다머가 전문가와 엔지니어의 역할과 책임성을 강조하고 있다면, 아도르노는 전문가와 엔지니어가 권력의 봉사자, 행정적 사유의 실천가로서 소셜 엔지니어가 되는것을 경계했다. 가다머가 과학기술 문명 비판을 위한 체계적 이론 설계와 함께 구체성의 사유를 전개라고 아도르노가 자신의 이론과 과학사회학적 분석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켰다면, 이들의 논제는 과학기술에 대한 그 어떤 철학적 통찰보다 ‘이론생산적’이라 할 수 있다. In general.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similarities between Gadamer and critical theory. especially Adorno's philosophical thought. However, affinities are found in science and technology criticism and media criticism. Both share a general awareness of the dangers and destructiveness of the technical rationality that made science and technology possible. In the criticism of the media's consciousness manipulation function,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micro-analysis at the individual level, but the basic perception is the sa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evident in their analytical perspectives and practical alternatives for solving problems. While Adorno problematizes the issue from a sociological and social philosophical perspective, Gadamer does not go far beyond a general discourse of the various negative effects of technology on human life. Gadamer directly criticizes science and technology, whereas Adorno focuses on scientific methodology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suggests alternatives. Adorno recognized the emancipatory potential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Gadamer denied it. Where Gadamer looked to the great power of European culture as the key to solving the problems of a technological civilization, Adorno criticizes the materialism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emphasizes the position of the members of society in the social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Where Gadamer emphasize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experts and engineers, Adorno warned against them becoming social engineers as servants of power and practitioner of administrative thought. If Gadamer developed the idea of concreteness along with a systematic theoretical design for the critique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Adorno organically combined his theory with a sociological analysis of science, then their work is more "theory-productive" than any other philosophical insight into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가다머의 해석학적 미학으로 본 아폴리네르 칼리그람의 표현특성 - 예술의 존재론적 관점과 중간태적 개념을 중심으로 -

        박지영 ( Park Ji-young ),김동빈 ( Kim Dong-bi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7 No.-

        타이포그래피는 과거의 단순히 활자를 사용하여 수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했던 읽는 타이포그래피의 역할을 뛰어넘어 다양한 표현 관점에서 시각적 언어로서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가다머의 해석학적 미학과 놀이개념을 중심이론으로 상정한 근거는 가다머가 예술을 자기표현에 따라 그 자체로 존재하는 존재론적 관점과, 수용자와의 관계를 논하는 `중간태(Medium)`적 개념으로 보고 있다는데 있다. 기능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서의 보는 타이포그래피는 예술적 특징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타이포그래피 표현특성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가다머의 해석학적 미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놀이개념` 또한 매우 유용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가다머의 해석학적 미학과 놀이개념을 연구를 문헌고찰을 통해 진행한다. 아울러 기욤아폴리네르의 작가적 특성과 함께 그의 작품인 칼리그람을 중점으로 작품에서 나타난 가다머의 해석학적 미학의 놀이개념중에서 그 자체로서 존재하는 존재론적 관점을 논하는 `중간태(Medium)`적 개념으로 타이포그래피 표현특성을 분석한다. 가다머의 해석학적 미학과 놀이개념을 바탕으로 기욤 아폴리네르 칼리그람을 분석한 이 연구는 타이포그래피에서 다루는 영역에 있어서 새로운 관점으로 해석학적 미학이 인식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 차별적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자는 이 연구의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통해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인식적이고 시각적인 통찰의 새로운 가능성을 가져다 줄 것이라 기대한다. 나아가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양태가 고정된 개념이 아닌 생성과 해석의 존재바탕의 열린 의미 속에 존재되어지기를 바란다. Modern typography is continuously expanded from the read typography which simply delivered information to the recipients using types to a visual language of various expressional perspectives. The research sets Gadamer`s analytical esthetics and the notion of entertainment as a central theory because Gadamer views art as a being which exists as itself according to its self-expression and a “medium” in discussing its relationship with the recipeints. typographies with an independent position from function also exist can be defined to have an artistic characteristic. In addition, in analyzing the expressional features of typography, the “notion of entertainment” that Gadamer`s analytical esthetics suggests is also very useful. This research conduct literature research on the notion of entertainment of Gadamer`s analytical esthetics. In addi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expressional features of typography with the notion of medium which discusses the ontological viewpoint which exists as it is among the notions of entertainment in Gadamer`s analytical esthetics with his work Calligrammes as its center along with Guillaume Appollinaire`s characters as an artist. This research analyzes Guillaume Appollinaire`s Calligrammes based on Gadamer`s analytical esthetics and the notion of entertainment and is distinctive in the fact that it discovered and suggested that analytical esthetics can be the basis of cognition as a new perspective in the area that typography embraces. The author expects that a new possibility for cognitive and visual insight on typography will be derived from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is research. In addition, the author hopes that the expression of typography is conducted on an open basis for creation and interpretation not on a static notion.

      • KCI등재

        가다머의 그림 이론

        곽영윤 한국하이데거학회 202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Hans-Georg Gadamer’s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on plastic arts as the main content of his aesthetics by reconstructing his theory of picture. Gadamer inverts Plato’s ontology of images to insist that experience of truth is possible in plastic arts. Thus, in Truth and Method, he distinguishes images into mirror images, imitations, and pictures, and argues that pictures have the valence of being. To appreciate a picture is to experience the essence of what is existent, and that is the experience of aesthetic truth in works of art. Gadamer explains this experience using the example of portraits. In portraits, the essential aspect of a person, which cannot be seen in the usual appearance of the individual, is expressed through occationality; The viewer can thus experience the true nature of the person by having a speechless dialogue with the portrait. In Gadamer’s view, Plato’s dialogues depict essential aspects of his teacher Socrates. In that sense, Plato is a literary portraitist. 본 논문의 목적은 조형 예술에 대한 가다머의 철학적 고찰을 그의 그림 이론으로 재구성해서 가다머 미학의 주요 내용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가다머는 조형 예술에서 진리 경험이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플라톤의 『국가』에 나오는 상의 존재론을 전도한다. 그리하여 그는 진리와 방법 에서 상을 거울상, 모상, 그림으로 구별하고, 그림이 다른 상들과 다른 자신만의 고유한 존재가를 갖고 있음을 밝힌다. 그러한 그림을 감상하는 것은 존재자의 본질을 경험하는 것이며, 그것이 바로 예술 작품을 통한 미적 진리의 경험이다. 이러한 경험을 가다머는 초상화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초상화에는 실제 인물의 평상시 모습에서는 볼 수 없는 그 사람의 본질적 면모가 기회성을 통해 표현되어 있으며, 감상자는 초상화와 무언의 대화를 나눔으로써 한 인물의 참모습을 경험할 수 있다. 가다머는 또한 예술가들을 이상 국가에서 추방한 철학자 플라톤을 인물의 본질을 묘사하는 예술가로 재조명한다. 가다머가 보기에 플라톤의 대화편에는 그의 스승인 소크라테스의 본질적 면모가 묘사되어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플라톤은 문학적 초상화가다.

      • KCI등재

        통합적 해석학 구상을 위한 시론

        김선규(Sunkyu Kim)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8 철학탐구 Vol.50 No.-

        이 글은 ‘방법론적 해석학’과 ‘존재론적 해석학’으로 나뉜 해석학의 이분법적 담론지형을 통합할 수 있는 ‘통합적 해석학’의 가능성을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해석학의 이분법적 연구 동향은 더욱 심해지고 있으며, 양자 사이에는 소통할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처럼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해석학이 개별적으로만 정당성 내지는 학문적 가치를 획득할 수 있다는 통념이 고착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 속에서 해석학에 대한 통합적 전망을 제시하는 것은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통합적 해석학의 성립 근거로서 이 글은 가다머의 해석학이 방법론적 해석학의 ‘부정’이 아닌 극복ㆍ변형을 통한 ‘계승’임을 주장한다. 또한 이 글은 방법론적/존재론적이라는 이분법의 대립이 많은 부분 가다머의 해석학에 대한 오해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보이려고 한다. 통합적 해석학의 매개점으로 이 글이 제시하는 것은 ‘형성체(Gebilde)’와 ‘해석학적 동일성(hermeneutische Identität)’ 개념이다. 이 개념들은 가다머에 대한 비판의 중심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두 개념이 조화되기 힘든 개념, 상호 모순적인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다머의 해석학을 균형있게 파악하고 더 나아가 발전적 전망을 제시하기 위해서 이 개념들은 함께 논의되어야하며, 추후에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조명되어야 한다. 이 개념들은 ‘존재일변도의 철학’, ‘해석지상주의’, ‘이해 상대주의’와 같은 가다머 해석학에 대한 통상적인 오해들을 불식시킴으로써 이분법적 논의의 구도를 극복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integrated hermeneutics” to achieve integration in the dichotomous discourse topography of hermeneutics, which has been divided between “methodological hermeneutics” and “ontological hermeneutics,” in Gadamer’s Truth and Method. The dichotomous research trend in hermeneutics has been increasingly severe, and there seems to be a gap that will not be communicated between the two sides. As a result, a common idea is settling down that two branches of hermeneutics can achieve legitimacy or academic value only individually. In this trend, there has been no proposal of an integrated view for hermeneutics despite its need. Trying to present a ground for integrated hermeneutics, the investigator maintained that Gadamer’s hermeneutics was not to deny methodological hermeneutics but to inherit it through conquest and transformation. The present study also tried to demonstrate that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between methodological and ontological hermeneutics derived from a misunderstanding of Gadamer’s hermeneutics in many parts. Proposed in the study as media for integrated hermeneutics were ‘Gebilde’ and ‘Hermeneutische Identität.’ Although these concepts were at the center of criticisms about Gadamer, they had received little attention because the two concepts were considered to be difficult to harmonize with each other or contradict each other. These concepts should, however, be discussed together and illuminated in a new perspective through more researches in order to figure out Gadamer’s hermeneutics in balance and further propose a developmental outlook for it. The concepts may contribute to the conquest of dichotomous discussions by wiping out common misunderstandings of Gadamer’s hermeneutics such as ‘philosophy devoted to being,’ ‘supremacy of interpretation’, and ‘relativism of understanding’.

      • KCI등재

        가다머 해석학의 실용주의적 읽기

        정소라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2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structure of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in light of his major notions of ‘communicative truth’ and ‘the constraint of Wirkungsgeschichte,’ and seek for the way it can avoid the relativistic implications in terms of Deweyan pragmatist view. Despite the radical insights into the conundrums of the traditional objectivism, Gadamer’s hermeneutics does not seem to have made the case against the suspicion of relativism to its success. First, ‘the constraint of Wirkungsgeschichte’ which comes out from history and tradition does not seem successful in that it has to be a parochial notion which holds good only in the same cultural sphere in question. Second, despite Gadamer’s claim that interpretation does not fall into relativism because interpretations are influenced by ‘the constraint of Wirkungsgeschichte,’ his view tends to be seen more as a form of relativism that puts more emphasis on contextuality. I suggest that for Gadamer’s notion of ‘the constraint of Wirkungsgeschichte’ to make a working constraint, while avoiding the suspicion of contexualism or arbitrariness, it needs to be supplemented by an additional notion of ‘experiential commonality’ which underlies all aspects of human experience, part of which is interpretation. In this regard, I argue that Dewey’s conception of ‘organic commonality’ may well serve this purpose. If this attempt is successfully done,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would take a form of modified relativism, which offers a more experiential and comprehensive account of interpretation as a form of human experience.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의 구조를 ‘의사소통적 진리’와 ‘영향사적 제약’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그것이 불러오는 상대주의적 함축을 비켜서는 가능성을 듀이의 실용주의적 시각을 통해 제안하려는 것이다. 필자는 전통적인 객관주의의 극복이라는 관점에서 가다머의 해석학이 가지는 날카로운 통찰에도 불구하고 열린 해석 개념이 불러오는 상대주의적 함축을 충분히 제약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역사와 전통에서 발생하는 ‘영향사적 제약’은 이론적 요청의 산물일 뿐만 아니라, 같은 문화권 안에서만 적용되는 국소적인 개념이라는 점에서 성공적이지 못하다. 둘째, 가다머는 해석이 ‘영향사적 제약’을 받기 때문에 상대주의에 빠지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오히려 그의 이론은 맥락성이 더욱 강조된 상대주의로 분류될 소지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가다머의 의도대로 ‘영향사적 제약’이 의미 있는 제약으로 설명되기 위해서는 맥락주의나 임의성과는 구분되는 ‘경험의 공공성’ 개념이 추가적으로 보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이것이 모든 해석의 공통 지반을 이루고 있는 듀이의 ‘유기체적 공통성’ 개념을 통해 보완될 수 있다고 제안하려고 한다. 만일 이 시도가 성공적이라면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은 ‘완화된 상대주의’의 한 형태로서 경험적으로 더 포괄적인 설명력을 갖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