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운행기록 장치(Digital Tachograph) 자료기반 운전자 행태를 고려한 위험운전자 판별분석

        장재민,이영인,임재경 한국교통연구원 2017 交通硏究 Vol.24 No.4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deaths in Korea has been somewhat lowered, but it is still high compared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This study suggests ways to reduce traffic accidents caused by taxies, which are low in road occupancy but high in mileage and travel time, considering car performance. This study utilizes taxi DTG data on the assumption that drivers with frequent misbehaviors such as rapid acceleration/deceleration and high speeding will have a high car accident rate. As an evaluation index, a risky driver was identified through the RPM and speed of vehicle, acceleration/deceleration rate, and the number of brakes us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risky driver using high rpm and brake frequently, has a wide distribution and rapid change of acceleration/deceleration. In addition, if a high-speed fare is applied to reduce the speeding of taxi accidents, 20%, 10%, and 5% discounts can be applied to speed limits of 100, 95 and 90㎞/h.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rive an evaluation index for driver’s behavior eliminating the impact of vehicle performance as much as possible and to suggest ways to reduce car accident rate by lowering taxi speed with an introduction of high-speed fare. 국내의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있으나, 교통선진국과 비추어 볼 때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 위를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만 주행거리 및 주행시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택시를 기준으로, 자동차 성능을 고려한 택시사고 감소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자료는 급감가속 및 과속 등의 운전행태 빈도가 높은 운전자일수록 사고가 잦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택시 DTG 자료를 활용하였다. 차량의 RPM 및 속도, 가감속도, 브레이크 사용횟수와 같은 평가지표를 통해 위험운전자를 판별하였다. 분석결과 위험운전자는 고 rpm 및 브레이크 사용횟수가 높았으며 가감속도의 분포가 넓고, 변화량도 급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속택시의 사고를 줄이기 위해 과속안전요금제를 적용할 경우 제한속도 100㎞/h, 95㎞/h, 90㎞/h에 각 20%, 10%, 5%의 할인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자동차의 성능을 최대한 배제한 뒤 운전자 행태에 입각한 평가지표 도출 및 과속안전요금제 도입을 통해 택시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연속교통류에서의 끼어들기 행태 분석 및 모형 개발

        김경희,장명순,김응철,김진태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지 Vol.22 No.6

        끼어들기 행태는 차로변경 대상 측면차로에 충분한 차간간격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운전자가 강제적으로 차간간격을 만들어내는 적극적인 운행행태이다. 이러한 끼어들기는 주변 주행차량들의 움직임에 종속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능동적인 운행행태로 간격수락이론이 주요 기반을 이루는 기존 차로변경모형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보다 현실적인 교통류 흐름의 모사를 지원하기 위하여 끼어들기 행태를 설명하는 운전자 운행행태 모형 개발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본 연구에서는 합류부와 분류부를 대상으로 끼어들기 특성 분석 및 분포 추출을 하였으며, 끼어들기 판단지표를 도출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합류부와 분류부를 대상으로 차로변경행태 분석 결과 차간시간의 경우 차로변경차량과 차로변경 종료차로 선두차량과의 차간시간은 Erlang(0.343, 3) 분포, 후미차량과의 차간시간은 Weibull(1.12, 1.81) 분포, 상대속도의 경우 차로변경차량과 차로변경 종료차로 선두차량과의 상대속도는 Lognormal (11.8, 4.6) 분포, 후미차량과의 상대속도는 Lognormal (6.01, 4.27) 분포, 차로변경차량의 가속 분포는 Lognormal (1.24, 2.5) 분포, 감속 분포는 Normal(-1.51, 1.27)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관측 자료를 토대로 끼어들기 판단지표 도출 결과 감속하는 차로변경 종료차로 후미차량의 속도 분포가 평균값 6.78m/sec, 분산 9.84m/sec인 Gamma(2.74, 1.74)분포를 따르며, 현장관측 자료의 분포와 모형결과 분포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신뢰수준 95%로 -test 검정을 실시 한 결과 “모형결과 분포는 현장관측 자료의 분포를 따른다.”고 검증되었다.

      • KCI등재

        대피선 최소화를 고려한 광역·도시철도 급행화를 위한 고성능 열차 가감속도 분석

        고경준,김정태,김무선,장동욱,홍재성,류상환,정종덕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지 Vol.33 No.6

        As shown by the popularity of the rapid train in the Seoul Metro Line No. 9, the demand for the rapidization of the metro transit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However, it needs tremendous cost to construct new additional infrastructures to the existing line for the rapidiz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utilizing the existing infrastructures such as crossing tracks as railroad sidetracks can be considered to be a good method of reducing the cost. In this case, there is a way exploiting the existing train as an express train and the advanced train, which increases both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as a local train , but achievabl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have not been analyzed rigorously. In this paper, we analyze feasible ranges and optimal values of both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advanced train analytically when we consider the rapidization of the metro transit utilizing the existing infrastructures and verify the results in Seoul Metro Line No. 3. Simulation results show ranges and optimal values of achievabl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exist when minimum gap between an express train and a local train is smaller than 40 seconds. 서울 지하철 9호선의 급행열차에 대한 높은 인기에서 볼 수 있듯이, 광역·도시철도 급행화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노선에 건설된 노선을 급행화하기 위해서는 인프라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유치선, 건넘선 등 기존에 구축된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서 대피역의 역할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급·완행 열차의 교차점을 줄이기 위해, 기존 열차는 급행열차로 활용하고 가·감속도를 증가시킨 고성능 열차를 완행 열차로 투입하는 방법이 있지만 실현 가능한 고성능 열차의 가·감속도와 최적의 가·감속도를 분석하는 현재까지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여 급행화 방안을 추진할 때, 고성능 열차의 실현 가능한 가·감속도의 범위를 수식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서울지하철 3호선에서 검증한다. 실험결과는 열차 간 최소간격이 40초 이하일 때, 실현 가능한 가·감속도의 범위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신호교차로 황색현시에서의 운전자 형태 및 딜레마 구간 연구방안

        이승환,이성호,박주남 대한교통학회 2003 대한교통학회지 Vol.21 No.4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drivers' behaviors at signalized intersection during yellow interval. For this, deceleration rate of stopping, PRT(Perception-Response Ti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lemma zone and deceleration rate of stopping were surveyed at two signalized intersections located at urban area (Songtan and Suwon) and local area(Yongin), As a result, the deceleration rate of stopping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a range of dilemma zone were estimated. It was found that the deceleration rate of stopping and PRT were 1.6 m/sec² and 1.27 sec, respectively. These values are bigger than ITE's values which have been used in our country.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these values should be used as a new design criteria for the traffic signal control. 본 연구는 딜레마구간 제거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황색신호 등화시 신호교차로에 접근하는 차량들의 운전자 행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시부 2개 지점(송탄, 수원 영통)과 지방부 1개 지점(용인)의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차량들의 정지 감속률과 운전자 인지반응시간, 그리고 딜레마 구간과 정지율과의 관계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호교차로의 정지율과 이에 따른 딜레마구간의 범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운전자들의 정지감속율과 운전자인지반응시간(PRT)은 각각 1.61m/sec2과 1.27초를 보였다. 이러한 값들은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왔던 ITE 기준보다 큰 값들로서 향후 신호교차로에서의 안전을 고려한 설계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조사 대상 범위를 더욱 확대하여 다양한 운전자 행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향후 신호교차로 안전시스템 개발시 적극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