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개토대왕비의 건립목적에 관한 시론

        이성시(李成市),류미나(번역자)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0

        광개토왕비 서문에 이어지는 본론의 구성은 우선 8년 8조의 무훈기사와 그 무훈에 의해 생성된 수묘인연호 330호의 리스트, 그리고 마지막에 수묘인 연호에 관한 「교언」과 「제령」으로 이뤄져 있다. 이것들은 전체적으로 수묘인 연호에 관한 내용으로 일관되어 있고, 그러한 수묘역체제의 창출이 광개토왕의 훈적으로 찬양되고 있다. 그러므로 광개토왕비의 건립목적은 이러한 수묘역체제를 창출한 광개토왕의 공덕을 찬양하는 송덕비라 할 수 있다. 광개토왕의 훈적으로 일컬어지는 수묘역체제의 성립과정을 비문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즉, ①고구려에서는 조왕ㆍ선왕 이래, 수묘인은 ‘구민’만으로 담당케 했는데 광개토왕은 스스로 전투에서 얻은 ‘한ㆍ예’의 백성을 이용하도록 명령했다. ②그러나 그들이 고구려의 법을 모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구민’ 3분의 1을 여기에 더하기로 했다. 더욱이 광개토왕은 조왕ㆍ선왕의 왕릉에 비를 세워 수묘인연호의 혼란을 억제하고 이것을 근거로 삼아 ③수묘인의 매매를 금지하는 제령을 포고한 것이다. 이렇게 성립한 수묘역체제의 수묘인 330호는 왕릉수호의 직무를 직접적으로 수행한 ‘국연’ 3호와 국연의 직무를 각 방면에서 보증하는 임무를 띤 ‘간호’ 30호를 합해, 33호를 하나의 왕릉 수묘인연호 집단으로 했고, 이들이 10개의 왕릉의 수묘역을 담당했다고 추정된다. 이 10개의 왕릉은 구체적으로 보면, 3세기 초두, 고구려가 국내성으로 옮기면서 그 땅에서 왕이 된 산상왕에서 광개토왕까지에 이르는 10대를 가리킨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경위와 내막을 갖고 성립된 것이 고구려의 수묘역체제인데, 그 창출 과정에 대해 광개토왕비는 ①광개토왕의 「교언」과, ②「교언」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수묘역체제 및 각 왕릉의 건립경위와 효과, ③광개토왕의 「제령」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서술은 왕명을 나타내는 ‘교’자가 거듭 반복되어 있어 왕의 의지가 법제화되어 가는 과정을 엿보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서술 방법은 후한대의 공문서를 그대로 새기고 있는 을영비를 참조하여 생각해 볼 때, 광개토왕비 또한 그 서식 형식에서 석각문서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후한대에는 석각이 급격하게 증대하고 있었고, 이에 대한 고구려의 선택적 수용이 광개토왕비에서 보이는 독자의 석각형태와 비문의 구성을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 판명된 사실에서 보면, 고구려는 약자나 용자법 중에 한대에서는 반드시 일반적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을 포함하여 한대에 원류를 갖는 한자문화를 많이 수용하고 있었고, 이것들은 신라나 백제, 왜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한자문화의 전파와 수용의 큰 맥락에서 보아 광개토왕비도 문서비로서의 일면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면, 중원고구려비를 시작으로 6세기의 신라비 또한, 앞으로 문서비의 관점을 도입하여 볼 때, 새로운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고흥 충절인물 송제·송덕일의 활동과 현창

        이수경(Su-Kyong Le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8

        전라남도 기념물‘남양송씨쌍충일렬각(南陽宋氏雙忠一烈閣)’ 에 명정된 남양송씨(南陽宋氏) 송제(宋悌)와 조카 송덕일(宋德馹)의 생애와 활동에 주목하였다. 임진왜란 동안 활동한 두 충신이 조선 후기‘쌍충’정려를 받는다. 쌍충 정려에 명정된 송제와 송덕일의 행적을 당대의 기록과 사후의 기록을 살펴본 후, 후손들이 선조(先祖)를 현창하는 일면을 찾아보았다. 두 충신 송제와 송덕일의 행적을 살피면서 남양송씨대동보 와 한국역대인물을 소개하는 누리집에서 이들의 출생 시기와 과거급제 시기, 사망 시기, 행적의 오류를 바로잡았다. 송제는 1559년 태어나 1585년 무과 급제하였다. 송덕일은 1565년 태어나 1591년 무과 급제하였다. 송제는 1593년 2차 진주성전투에서 충청병사 황진에게 소속되어 당진현감으로 참전하여 35세 나이로 순절하였다. 송제는 선무원종공신 2등으로 책훈, 진주 창렬사에 배향되었다. 조카 송덕일은 이순신 휘하의 군관으로 활동하다가 종전 후 1603년 목포만호, 1604년 임치진첨사, 1605년에서 1606년까지 진도군수로 재임한다. 1605년 선무원종공신 2등으로 녹훈된다. 이어 1611년 동관첨사, 1615년 부령부사를 역임하면서 부령산성의 적개루를 축조하였다. 1617년 송덕일은 삼도수군통제사로 천거되었다. 송덕일은 1594년부터 1595년까지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의 군관으로 한산도와 전라좌수영을 오고가며 군관으로 군무를 살폈다. 일부 자료에서 송덕일은 1597년 진도군수로 명량해전에 참전하여 적장 마다시를 사살한 것으로 기록하였으나, 1597년 진도군수는 선의문이며, 송덕일이 진도군수로 부임한 해는 1605년이다. 이러한 이유로 송덕일이 1597년 9월 명량해전에 참전하였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 문중 자료에는 송덕일이 1616년 8월 16일로 심하전투에서 전사하였다고 서술되어 있다. 이날은 송덕일이 오랑캐 박수희를 붙잡은 공로로 가선대부로 가자되어 상가교서가 발급된 날이다. 송제와 송덕일은 고흥 운곡사에 모셔져 있다. I paid attention to the life and activities of Namyang Song Clan Song Je and his nephew Song Deok-il, who are named in the Namyang Song Clan Ssangchung Ilyeolgak, a monument in Jeollanam-do. Two loyal subjects who were activ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ere treated as ‘ssangchu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examining the records of the time and posthumous records of Songje and Song Deok-il, which were specified in the Ssangchung Jeongryeo, I looked for the side of descendants honoring their ancestors. While examining the tracks of the two loyalists Songje and Song Deok-il, there were errors in the time of birth, the time of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 and the time of death in the website introducing Namyang Song Clan Daedongbo and historical figures in Korea. Songje was born in 1559 and passed the military examination in 1585. Song Deok-il was born in 1565 and passed the military examination in 1591. In the second battle of Jinjuseong in 1593, Song Je belonged to Hwang Jin, a Chungcheong soldier, participated in the battle as Dangjin County Governor and died at the age of 35. Songje was enshrined in Chaekhun and Changryeolsa Temple in Jinju as the 2nd class meritorious subject of Seonmuwon. His nephew Song Deok-il worked as a military officer under Yi Sun-sin, and after the war, Song Deok-il served as Mokpo Manho in 1603, Imchijincheomsa in 1604, and Jindo county governor from 1605 to 1606. Subsequently, while serving as Donggwancheomsa in 1611 and Buryeongbusa in 1615, he built Jeokgaeru in Buryeong Fortress. In 1617, Song Deok-il was also recommended as the Samdo Sugun Commander. From 1594 to 1595, Song Deok-il went back and forth between Hansando and Jeollajwasuyeong as an officer of Yi Sun-sin, the commander of the naval forces in Samdo, and supervised military affairs as an officer. Some sources record that Song Deok-il participated in the Battle of Myeongnyang in 1597 as the governor of Jindo and killed Madashi, the enemy commander. For this reason, it is unreasonable to say that Song Deok-il participated in the Battle of Myeongnyang in September 1597. Family materials describe that Song Deok-il died on August 16, 1616 in the Battle of Simha. In 1616, he was allowed to go to Gaseondaebu for his merits in catching Park Soo-hee, a barbarian, and this was the day when the Sangga Gyoseo was issued. Songje and Songdeokil are enshrined at Ungoksa in Goheung.

      • 경산의 문화유적기문연구

        이동근 우리말글학회 2002 우리말 글 Vol.25 No.-

        The result of this thesis is followings. The writing of facts is literature when it unite literary structure and literary value(instruction, interest). and The chinese charac-ter after the reform period〔개화기〕contains in korean literary history because it create in the present There are three local schools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향교), fifteen lectural halls(서원), one hundred fifty nine summerhouses(누정), sixty eight monuments(비), nineteen traditional temple(사찰) in Kyungsan city The content of literary relics is followings. The hanging board letter of religious ceremony place in local school(대성전)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 is etiquette and confuscian, knowkedge, ruin, the repair of new county headman, the praise of exploit and etc. The hanging board letter of Jogok lectural hall(조곡서원) is built year & religious person. built descendent, compiler's modesty, Anwoo(안우) & Anji(안지)'s contri-butions, the father of hometown & built process. the maintenance of family tradition. compiler's feeling and etc. The hanging board letter of Yeongmojai(영모재) is location, memorial person, appellation's meaning, the leading descendant and etc. The hanging board letter of Wangangjeong(완강정) is location & built motivation, memorial person compiler, the meanings of summer-house and etc. The hanging board letter of Jeongchoonggak(정충각) is. praise object, contributions, praise day, the father of hometown, built process, compiler's modesty and etc. The epitaph of Choimoonbyeong(최문병) is birth matters, contributions in a lifetime, a burial place, descendent, praise of contributions, compiler's modesty, an epitaph prose and etc. The hanging board letter related buddist statue in of Kyungheung temple(慶興寺) is built meeting, a ground-breaking ceremony, name a Kyungheung temple, enschrine buddist statue, pray eternity and etc The remaining subject is the interpretation & pursuit, of literay value of the hanging board letter of literary relics, and comparison in neighboring regions hanging board letter of literary relics.(Daegu University)

      • KCI등재

        고려 전기 上表 儀禮와 국왕 권위의 顯現

        이정란 수선사학회 2019 史林 Vol.0 No.68

        Various types of pyomun were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y were written to celebrate good national occasions, express gratitude to the king, or make a plea on important national affairs or personal wishes. In Goryeo, submitting pyomun was a duty of government officials. They were required to submit pyomun on major anniversaries, and those who neglect the duty were subjected to impeachment. Since pyomun was directly given to the king, they were rife with contents that praised the king’s virtues and blessings, and wished for the king’s long and healthy life. Writings that praise the king’s virtue reminded Goryeo people of the king’s peerless authority. The impact of pyomun was not limited to its contents only. They revealed the king’s authority through other means as well. Pyomun was written by many officials whenever suitable occasions arose, and many ceremonies accompanied to deliver them to the king, which made the officials and the people feel the king’s power. Through each stage of writing and delivering pyomun to the king, the king’s virtue was praised both in and outside its text, and visualized accordingly. In Goryeo, pyomun was an important instrument for expressing the king’s authority throughout the stages from writing to submission. During the Goryeo Dynasty, pyomun that represented the ruler’s absolute superiority was submitted frequently. Through production of various types of pyomun, the relationship of ‘a reigning king and obedient servant’ was steadily ‘documented,’ and visualized with accompanying ceremonies so that the king’s absolute authority was constantly reaffirmed in practice. In this regard, production of pyomun and its accompanying ceremonies can be seen as a key mechanism that realized the principle of absolute royal authority.

      • KCI등재

        기억의 시학

        정경운(Jeong, Gyeong-u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6

        이 글은 A. Assmann과 J. Assmann의 ‘문화적 기억’ 개념을 중심으로, 손광은의 『땅을 딛고 해가 뜬다』에서 드러나는 시 작업이 어떤 ‘기억’의 대상을 발굴해 우리를 ‘기억의 공동체’로 이끌고자 하는지, 그가 우리 앞에 펼쳐놓은 시간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손광은의 시집은 호남지역의 특정 역사적 사건, 인물, 장소, 건축물, 문화적 자산 등에 대한 헌사로 가득 차 있다. 이 기억 대상들은 호남의 집단적 경험과 관련되어 있는 것들로, 이 지역의 ‘공동체적 기억’으로까지 확장, 전승될 수 있는 것들이다. 손광은이 시적 작업을 통해 이 기억대상들과 만나는 방식은 대략 3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금석문 현장> 시들은 기념 장소에 시를 통해 이야기와 의미를 ‘덧붙임’으로써 잃어버린 것을 회복시키는 ‘기억의 장소’를 만들고 있다. 이 시들은 기념비라는 기억물을 다시 기억하는 행위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기억의 기억’으로 불릴 수 있다. 둘째, <헌시(獻詩)>의 시들은 송덕(頌德) 기능을 갖는 것으로, 기억 대상의 이름들을 공적 차원에서 불멸로 남게 하는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트라우마 장소를 다루고 있는 <역사 현장> 시들은, 우리에 요청되는 ‘기억하기의 윤리’를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손광은의 ‘기억-시’들은 ‘기억공동체’로서의 호남지역의 집단적 정체성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있는 것들이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what kind of objects of ‘memory’ will be discovered during the process of writing poems in The Sun Rises after Stepping on the Ground by Son Gwang-eun to lead us to the ‘community of memories’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memory” argued by A.Assmann and J. Assmann,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time Son unfolded in front of us. The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Son Gwang-eun is full of the tributes to particular historical incidents, figures, locations, buildings and cultural assets in the Honam area. These objects of memory are related to the collective experiences of the Honam area, which can be expanded and passed down to ‘communal memories’ in the region. The ways of Son to meet such objects of memory through writing poems can be roughly summarized by the following three: First, the poems in “The Site of Epigraph” are creating a ‘place of memory’ to recover what we have lost by ‘adding’ the stories and meanings to the place of memory through poetry. These poems can be regarded as the ‘memory of memory’ as they are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to remember the monument named memorial. Second, the poems in the “Poetry in Tribute” have the function of eulogy, in the form that leaves the names of memory objects forever on a public level. Third, the poems of “Historical Scenes” describing the traumatic places show us the ‘ethics of memory’, which is required to us. As a result, the ‘memory-poems’ by Son Gwang-eun can be considered to be something that is reformulating the collective identity of the Honam area as “community of memori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서진(西晉)-유송시기(劉宋時期) 묘지(墓誌)의 구성(構成)과 역할(役割) -묘지의 기원과 출현에 대한 분석을 겸하여-

        홍승현 중국사학회 2014 中國史硏究 Vol.89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imely role of tomb inscriptions after the tombstones had been prohibited. Usually, tomb inscriptions are known to exist to give information about the deceased. However, as there are differences in components and contents of tomb inscriptions in different period of history, it is understood that the tomb inscriptions also reflect the needs of the times. One of the most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omb inscriptions during Western Jin was the disappearance of epitaph(銘辭). The epitaph that had been used to eulogize the deceased when the tomb inscriptions were buried became rare to find as there were fewer and fewer readers. Instead, the description of family relations became increased, which characterized the tomb inscriptions of Western Jin as a monument for the family and tribes. As for the tomb inscriptions of Eastern Jin, there were more of horizontal relations described among the family relations. That was resulted from the trend of independence of individual families in earnest. The epitaph reappears in the tomb inscription of Liu Song. It signifies that the eulogy for the owner of the grave was again becoming socially emphasized. This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event that the Liu Song Dynasty did not acknowledge the titles of the old dynasty, but awarded titles on the basis of achievement and loyalty to the new dynasty. In short, the individual merits were regard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family privilege. Thus, the records revealing an individual`s achievement, not the family superiority, became required. It was the main factor of the reappearance of epitaph that praised the virtues of the decea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