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사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유월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5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selection criteria for Korean education items using the history of Korean, and to propose the effection of Korean education methods using the history of Korean based on this. First, we have reviewed the discussions that have been made so far on the usefulness of using the history of Korean in Korean education. Based on this, this article proposed a new selection criterion for educational items using the history of Korean, and proposed an educational method using the history of Korean. In addition, experiments have shown that teaching methods using the history of Korean are not only useful for teaching vocabulary, but also useful for teaching grammar. 본고는 한국어사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항목의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사를 활용한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사 활용의 유용성에 대해 이루어진 논의를 검토하고 3가지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한국어사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항목에 대한 적절한 선정 기준이 제시되지 못했다. 둘째, 한국어사를 활용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특히 문법 항목에 대한 교육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어사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의 평가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한국어사를 활용한 교육 항목의 선정 기준을 새로 제시하였고, 한국어사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사를 활용한 교육 방안은 어휘를 가르치는데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문법을 가르치는 데에도 유용하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다.

      • KCI등재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표현문법의 창립

        張光軍 中韓人文科學硏究會 2000 한중인문학연구 Vol.5 No.-

        隨着韓國國力的不斷增强, 對外韓國語敎育日益蓬勃發展. 1988年前, 中國僅有4所大學設有韓國語專業, 現在已達到33所. 從1949年到1988年, 中國培養的韓語專業畢業生不到500名, 而1999年12月有2000多名在校韓語專業學生. 在此情況下, 對華韓語敎學法的硏究日益得到重視. 要고好對華韓語敎學法的硏究, 首先要正確區分第一韓國語與第二韓國語. 第一韓國語是作爲母語學習的韓國語, 第二韓國語是作爲外語學習的韓國語. 兩者雖有一定的共同點, 但有更多的不同點. 如果不能正確區分, 在敎學中就會造成諸多失誤. 學習任何一種語言, 都要掌握語言的三要素--語音, 詞匯, 語法. 語音敎學各語種大同小異. 由于韓國語中有70%的詞匯是漢字詞, 詞匯學習比較容易. 在第二韓國語敎學中, 語法敎學占有흔重要的位置. 漢語是無形態的孤立語, 韓國語是典型的有形態的粘着語, 兩者的語法結構完全不同. 因此, 在對華韓國語敎學中, 語法是最重要的. 在第一韓國語硏究中, 語法硏究已經取得了豊碩的成果, 這此成果對第二韓國語敎學也産生了重大影響, 但是, 將適用于第一韓國語語法敎學的方法直接搬到第二韓國語敎學中是不合適的. 因此, 需要創立以中國人爲對象的韓國語表現語法. 曆代語法學家根據硏究語法的不同目的, 方法和觀點, 將語法學分爲各種類型, 這是非常必要的. 但是, 這些語法的共同點是以母語使用者爲對象, 采取解釋性的方法, 從形式出發, 解釋其意義. 對學外語的人來說, 解釋性的方法固然重要, 但更重要的是表達, 卽如何用語外表達自己的思想. 也就是說, 需要表達語法. 表達語法屬于實用語法, 規範語法的範疇. 表現語法旣然是一種語法體系, 其建立有相當的難度, 需要諸多學者共同的硏究筆者在本文中僅僅抛전引玉, 介紹自己正在從事的硏究. 在確立一種語言表現形式是, 要受到聚合制約和組合制約. 聚合制約是從多種表現形式中選擇最合適的一種, 組合制約是選定表現形式后如何按照一定的規律組合句子. 對于外國人來說, 這兩者都是難題. 而解決的方法, 是從硏究語法要素的句法語境, 卽語法要素前后的詞或詞尾入手. 筆者認爲, 漢語是無形態語言, 韓語是形態語言. 以無形態語言爲母語的人在學習形態語言時, 其難點是形態語言中的形態, 而要掌握形態, 其重點是掌握形態的 "形態" --語法形態前后的詞, 詞尾等. 這也可以說是形態的句法語境. 筆者認爲, 要建立韓國語表現語法, 必須結合詞尾的語境進行硏究. 在硏究詞尾語境時, 可以采取語境素的方法來表示詞尾語境和表現語法. 這樣, 可以使語境的描述形象化, 簡略化. 結合已有的解釋語法硏究的成果, 認眞分析韓國語每個語法要素的句法語境, 用語境素將這種句法語境加以描寫, 就是韓國語表現語法的一種模式.

      • KCI등재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의 비교 연구 - 명사 목록을 중심으로 -

        이유경(Lee, YooKyoung)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선정 연구인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 선정」,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명사 어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목록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명사 어휘의 비율은 초급, 중급, 고급으로 갈수록 줄어들었다. 특히,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 선정」은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 등급 차이가 나는 어휘가 많았다. 이외에 세 목록의 차이는 어휘 선정 방식과 관련이 있었다.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 선정」은 동일한 어휘가 여러 품사에 나오는 경우 품사별로 어휘를 모두 제시하였다. 반면에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과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은 동일한 품사로 의미에 차이가 없는 경우 하나만 어휘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용 기초 어휘 선정」과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은 기본 의미를 중심으로 하나의 어휘를 선정하였는데 비해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은 다의어 의미별로 어휘를 각각 선정하였다. 또한, 어휘의 의미 구분을 위해 길잡이말과 사전의 어깨번호가 사용되었는데, 일부 어휘는 의미가 잘못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어휘의 공통 목록이 고급으로 가면서 줄어들었으나, 이는 고급 수준의 학습자가 많지 않았던 2000년대 초반 한국어교육의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어휘 구분을 위한 기준의 차이로 인해 어휘 목록이 달라진 양상을 보였다. 목록에 포함될 어휘를 정하는 기준의 차이는 어휘 목록이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현재의 목록들은 특정 목적을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휘 제시 방법을 달리하는 연구를 하는 경우 목록에 포함할 어휘의 기준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어휘의 의미 변별을 위한 장치가 좀더 정확한 정보를 가질 수 있도록 의미 설명 방식의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udy of selecting vocabulary lis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noun vocabulary of Vocabulary for learning Korea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which are studies on vocabulary lis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portion of noun vocabulary included in all three lists decreased toward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In particular, Vocabulary for learning Korean had a large difference in grade by vocabulary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lists was related to the vocabulary selection method. Vocabulary for learning Korean presented each vocabulary for a part of speech. On the other han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only one vocabulary was presented wh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meaning for part of speech. Vocabulary for learning Korean and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did not classify vocabulary by meaning. In contrast, some of the lis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classified vocabulary by meaning. In addition, the shoulder number and the guide word of the dictionary was used to distinguish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but some vocabulary words were presented incorrectly. To summarize the above, it is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common vocabulary for the three lists decreased as the level of advancement increased, but this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early 2000s, when there were not many advanced learners. Second, the vocabulary list changed due to different standards for vocabulary classification. Differences i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vocabulary may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vocabulary use, but the current lists do not consider specific purpo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vocabulary to be included in the list.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method of presenting meaning so that the meaning can be distinguished more accurately.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 공교육 내 교사 전문성 신장을 중심으로 -

        이승왕(Lee Seung-Wang) 우리말학회 2022 우리말연구 Vol.68 No.-

        이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 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한국어 교육과정은 주로 다문화 정책학교와 연구학교에서 적용되고 있으나 교육기본법 또는 교육과정에서는 일반 학교에서도 학생·교사·학부모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위한 교사 확보가 쉽지 않다. 공교육 내 한국어 교육 전문성 신장이 의무가 아니라 학교의 교육적 상황 또는 교사의 개인적 동기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 공교육 내에서 한국어 교육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정책적 지원 과정이 필요하다. 첫째, 교사 교육을 통해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 교육 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급별 특성에 알맞게 지원해야 한다. 담임교사가 수업을 하는 초등학교와 교과 담당 교사가 수업을 하는 중·고등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어 교육 기관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한국어 교육 유관기관의 역할을 강화하거나 전문적으로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가 주류 언어인 한국에서 다문화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고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언어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교사 요인에 주목하여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to find out the policy support way for increasing teachers’ expertise in Korean education. Even though Koean curriculum is applied in multiple cultures pllicy school or research school mostly, according to the Fundamentals of Education Act and Korean curriculum, usual school is also possible to apply Korean curriculum when students, tachers, parents demand this.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teachers in public education to apply Korean language curriculum. Trai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t mandatory but personal choice of each teachers. This means Korean Curriculum application urgently needs policy support. The following policy support is needed to develop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ise.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expertise as a program for teachers. Korean education program is operated ordinary to develop teachers’ expertise. Second, policy support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such as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Third, Conn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roles of Korean education related organization or to provide professional roles. In order to live without inconvenience in Korea for multicultural students, language problems must be solved at first. For this, policy support for Korean curriculum application is needed focusing on teachers’ expertise.

      • KCI등재

        韓國語學의 發展을 위한 提言

        최명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8 No.1

        This paper proposed four tasks as a way of developing Korean linguistics. Firstly, to be a good Korean linguist, he/she should remember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including general linguistic theories, existing linguistic studies on Korean language, and linguistic data about synchronic and diachronic Korean language. And the information should be considered all together when they read other studies or examine linguistic materials. Secondly, the object of Korean linguistics should be not ‘standard Korean' but ‘Korean as a natural language of Korea'. Thirdly, existing studies of Korean linguistics, which have made in the frame of several different linguistic theories, should be reviewed critically and we should correct them if any problem is found. Fourthly, lecturers of Korean linguistics in university should train their students to have language analyse ability and guide them to study Korean linguistics through Korean language as natural language. 筆者는 이 글에서 韓國語學의 발전을 위한 4가지 課題를 提示했다. 첫째, 좋은 硏究者가 되기 위해서는, 一般言語學 理論, 現代와 現代 以前의 韓國語에 대한 旣存의 硏究 情報와 資料 情報를 가능한 한 많이 기억해야 하며 韓國語에 대한 旣存 硏究를 읽거나 韓國語 資料를 檢討할 때에, 그러한 情報를 同時에 適用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韓國語學의 硏究對象인 ‘韓國語’는 ‘標準 韓國語’가 아니라 ‘自然語로서의 韓國語’가 主가 되어야 한다. 셋째, 서로 다른 言語 理論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旣存의 韓國語 硏究를 批判的으로 檢討하여 問題點을 발견하고 그것을 바로 잡아야 한다. 넷째, 大學과 大學院 過程의 韓國語學 講義 擔當者는 ‘自然語로서의 韓國語’ 資料를 많이 活用하여 學生들이 言語 分析 能力을 가지게 하고 自然語로서의 韓國語 硏究를 하도록 指導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석사과정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유길상,정순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 of Adult LearnersParticipated in the Korean Education Master’s CourseGilsang Yoo & Soonin Ju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eachers preparing for retirement who participated in the master’s cour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acquiring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s as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4 teachers preparing for retirement who participated in the master’s cour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and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wo sub-themes were derived: ‘Creating a virtuous cycle of educational experience for domestic immigrants’ and ‘Putting on Korean wings for overseas educational service’, one super-theme was derived, ‘A teacher’s dream of preparing for retirement: to be reborn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 This is significant in that the process of acquiring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s throug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presented a meaning as a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that enables adult learners to be reborn as exper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research,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s so that retirement preparation teachers can have a good influence on our society by continuously linking their educational careers even outside of school after retirement. Key Words: Korean Education, Korean Teacher, Retirement Preparation Training, Adult Learner, Learning Experience 한국어교육 석사과정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유 길 상*ㆍ정 순 인** 요약: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석사과정에 참여한 퇴직준비 교원의 학습경험을 분석하여,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 과정이 성인학습자의 퇴직준비교육으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석사과정에 참여한 퇴직준비 교원 4명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및 학습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이주민을 위한 교육 경험 선순환 시키기’, ‘해외 교육봉사를 위한 한국어 날개 달기’라는 2개의 하위주제와 ‘퇴직준비 교원의 꿈: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다시 태어나기’라는 1개의 상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는 한국어교육 전공을 통한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 과정이 성인학습자에게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퇴직준비교육으로서의 의미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를 통해, 퇴직준비 교원이 퇴직 이후 학교 밖 사회에서도 자신의 교육경력을 지속적으로 연계하여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핵심어: 한국어교육, 한국어교원, 퇴직준비교육, 성인학습자, 학습경험 □ 접수일: 2022년 3월 29일, 수정일: 2022년 4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터랙티브콘텐츠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Inha Univ., Email: otx001@gmail.com)** 공동저자,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터랙티브콘텐츠학과 박사과정(Co-author, Doctoral Course, Inha Univ., Email: speechok@naver.com)

      • KCI우수등재

        한국어의 교육

        박재현(Park, Jae-hyun),김호정(Kim, Ho-jung),남가영(Nam, Ga-yeong),김은성(Kim, Eun-sung)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7

        이 연구는 기존의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이라는 잘못된 명명과 이로 인해 뒤틀린 의미 문제에서부터 출발하여, 지금 이 시점에 맞게 하나의 자연어로서의 한국어를 교육하는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새로운 틀 짜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어의 교육은 그 대상의 급속한 다변화, 다중 속성의 중첩으로 인해 더 이상 예전의 이분법적 구획으로 포괄될 수 없는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한국’, ‘학교’, ‘단일 언어 화자 집단으로서의 한국어 화자’, ‘청소년 시기의 학생’ 등의 전통적인 공간과 대상을 중심으로 한 틀과 관점을 근간으로 한국어를 교육하고 있다. 이전의 틀과 관점으로 현재 시점의 한국어 학습 주체의 요구와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대증적인 방편 마련을 멈추고, 근본적으로 새롭게 틀을 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시간과 공간 축에 따라 한국어를 교육하는 현상의 총체를 담아낼 수 있는 틀 짜기를 제안하였다. 그리하여 이른바 ‘한국어의 교육’이, 인간의 전생애주기를 아우르면서도 동시에 후기 세계화의 시대에서 한국, 국민, 민족, 혈통의 경계를 넘어 입체적으로 종횡무진하는 한국어 주체를 반영할 수 있기 위한 해결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departs from a question that there has been a wrong nomination and distortion in the two terms: “Teaching Korean as a mother tongue(국어교육)” and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한국어교육).”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a unique way of re-framing to search the phenomena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natural language. Teaching Korean language cannot be simply comprehended by the traditional binary concept due to the fast diversification of its subjects and multi-layered traits in the diversity. However, we still teach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frame and the perspective centering on the traditional space and subjects of ‘Korea’, ‘school’, ‘Korea Language Speaker as a single homogeneous society’, and ‘students in their adolescent periods.’ It has been always ineffective to deal with the current meaningful requests from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with the old framework. So the study suggests it’s time to stop prescribing public solution and build a new fundamental framework.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suggests a frame of concept to cover the whole phenomena of Korea Language Teaching using two axis of time and space. Therefore, it provides a principal idea of solution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to cover the Korean language subjects that are unbounded crossing the boundaries of Korea, a nation, peoples, and blood line.

      • KCI등재

        일반논문 : 몽골 대학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유의어 분석

        에르덴수랭 ( Z Erdene Su Re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4 No.-

        외국어를 학습할 때 기본 문법이나 어휘를 배우는 것이 중요하지만 학습자들이 초급 단계에서 중, 고급 단계로 올라갈수록 상황에 적합한 어휘를 사용하고 보다 정확하게 그 의미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하여야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상대방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인재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몽골인 학습자들의 특징은 비한자문화권 한국어 학습자고 또한, 영어보다 러시어가 가까운 이유로 학습 단계가 올라갈수록 어휘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어휘 중 유의어 학습을 개선 할 수있는 방법으로 학습자 및 교사를 위한 유의어 쌍 목록집을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번 연구는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를 위한 교육용 기본 유의어 쌍 목록집을 제시하기 위하여 한국어 연구의 주 자료들을 통하여 한국어 교육용 기본 유의어 쌍 추출 목록을 선정하고 몽골에서 대표적인 몽골국립대학교 및 몽골인문대학교의 한국어 학과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유의어를 분석하였다. 그래서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한국어 기본 유의어 쌍 목록 선정 및 몽골대학교 한국어 학과에서 사용하는 교재의 색인 부분에 없지만 한국어교육용 기본 유의어 추출 목록에는 존재하는 유의어 쌍 중 선별하여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용 기본 유의어 쌍 보완 추출 목록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명사유의어 460쌍(43.9%), 동사유의어 354쌍(33.6%), 형용사유의어 136쌍(12.9%), 부사유의어 101쌍(9.6%)으로 총 1051쌍을 추출하였다. 단계별로 보면 초급 단계 154쌍(14.6%), 중급 단계 353쌍(33.5%), 고급 단계 546쌍(51.9%)으로 구성하여 선정하였다. South Korea and several countries have active partnership in all sectors of globalization, and they have friendly relations with Mongolia since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The number of Mongolian people they are interest in Korean studies, Korean institution, Korean companies, and Korean institutions has been increased. For the first time the learners have learned in the Korean - Mongolian and contrast, but now there was a lot of interest about Korean and Korean studies. Mongolian learners, though do not find difficulties at the beginning, understanding of the kanji-based Korean language is found to be an uphill task at the higher stages of the education. Although it is imperative to learn the basic grammar and vocabulary when studying a foreign language,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differences of synonyms is equally important too. Because, having known such differences ensures fluent and precise use of vocabulary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making eas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Basic instructional Korean synonyms appeared in Korean textbooks used for the educational proposes at the Korean Department in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and Mongolian University of Humanities were extrac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vocabulary of both the learners and teachers could be improved effectively by the synonyms presented as a list of pairs of words with guidelines for the users.

      • KCI등재

        러시아어권 한국어 문법서의 품사 체계와 대역어 양상

        최지영(Ji-young Choi) 한국노어노문학회 2016 노어노문학 Vol.28 No.1

        본 연구는 러시아어로 저술된 한국어 문법서를 대상으로 문법 교육의 기초가 되는 한국어 품사 분류와 러시아어 대역어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러시아 한국어학계의 기초를 마련한 2권의 책과 한국인 학자가 펴낸 3권의 책을 분석하였다. 한국인이 저술한 러시아어 한국어 문법서는 한국어의 학교 문법에 따라 9품사로 분류하는 반면 러시아인 한국어학자가 저술한 한국어 문법서는 명사, 수사, 형용사, 동사, 부사, 감탄사나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묘사어(изобразительное слово)로 구분하는데 학자들마다 품사를 다르게 분류하고 있다. 러시아의 한국어 문법서에는 조사를 품사로 인정하지 않고 소사(частицы)라는 광범위한 형태소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 대역어는 한국어의 여러 품사를 같이 혼용하여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조사의 문법적인 특징을 반영한 대역어로 부적절하므로 한국어의 원어를 살려 조사 ‘чоса’로 쓰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Sinc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the number of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is increasing through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various fields with the support of Korea, however target words of part of speech appear variously in Russian Korean grammar book, which is the base of grammar technique. In respect of Korean linguistic theory grammar book, Korean language school grammar classifies part of speech into 9 parts of speech, i.e. noun, pronoun, numeral, verb, adjective, adverb, modifier, interjection, postposition, however Russian Korean language grammar book classifies into noun, verb, adjective, adverb, interjection and noun, pronoun, numeral, verb, adjective, modifier, adverb, interjection, послелог (postposition), изобразительное сло во, accordingly, each scholar suggests different word classification system. Particularly, postposition is interpreted as particle (частицы), in Russia, it means part of speech of morpheme that has independence, nonindependence, non-refractivity, and syntactic functionality, which is very widely used. Russian Korean grammar book does not acknowledge postposition as part of speech. Case particle is acknowledged as a part of noun declination, some part of auxiliary particle is translated as a postposition, which is not the target word that reflects grammatical characteristic of Korean postpos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search target words that correspond to postposition in Russian languag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чосa’ by saving original word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스리랑카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정서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3

        스리랑카는 중고등학교에 제2외국어로 한국어를 채택하여 스리랑카 한국어 교육은 급속도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스리랑카의 한국어 교육 열풍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유능한 교사를 육성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연구는 현행 스리랑카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현직 스리랑카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를 조사하였다. 또한 현행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한계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후 발전을 위한 교육 기반의 필요성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스리랑카에서의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먼저, 스리랑카 중고등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제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두 번째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은 학습자 변인의 특성을 고려한 상태에서의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세 번째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가 분명해야 한다. 네 번째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체계적 운영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수료하고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에 대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앞으로 다양한 국가의 한국어 교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학습자 요구와 현지 한국어 교육 상황에 대한 정보들이 수렴된다면 더욱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이 설계되리라 기대한다. Since Sri Lanka chose to offer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t secondary schools,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spread rapidly. Thus, training competent Sri Lankan teachers of Korean has become of utmost importance to meet the popular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ri Lank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in Sri Lanka and the results of a survey administer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ways to enhance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program and shows the implications of the needs of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e results suggest that, first, an analysis of the reality of Sri Lankan secondary schools is needed. Second,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different learner characteristics. Third, the program should have clear goals and purposes. Fourth,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rogram is needed. Finally, a support policy is needed for teachers who enter the educational field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If from other countries and information on various Korean education environments are collected, non-native Korean speaker teacher education will become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