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창가학회(KSGI)와 국제창가학회(SGI)의 평화주의에 대한 비교연구 -종교유형론적 관점에서-

        유광석 한국신종교학회 2022 신종교연구 Vol.46 No.-

        While existing studies of religious pacifism excluded the typological perspective on religions, the paper tries to make clear certain sectarian characteristics inherent in a ‘sectarian pacifism’, noting that they should be understood differently from the pacifism of established churches. In particular, despite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SGI peac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on understanding sectarian specifications of KSGI that are bound to reflect the Korean context rather than SGI pacifism itself. Theoretically, the supply-side and demand-side aspects of Korean religious market are examined together to consider KSGI pacifism as a religious good, and further compare KSGI with the pacifism of Christian sect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an increasing membership of KSGI, the paper also pays attention to social differences between KSGI and SGIs in USA, UK, and Australia. In conclusion, through the 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sectarian pacifism, the paper argues that it is an essentially religious act that cannot be simplified into a political act or a social movement. 논문은 종교평화주의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종교유형론적 관점과 특성을 배제 한 것과 달리, 종교유형론적 관점에서 ‘종파적 평화주의(sectarian pacifism)’라는 개 념으로 종파적 유형에서 두드러진 현상적 특징에 주목하여 그것이 한국창가학회와 국제창가학회에 의해 어떻게 그리고 왜 다르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국제창가학회(SGI)가 추구하는 국제주의, 시민운동, 현세주의 및 인간중심주 의적 평화주의가 한국창가학회(KSGI) 평화활동의 이념적 및 실천적 지향점임에도 불구하고, 종교유형론적 관점에서는 평화주의 그 자체보다 한국적 맥락을 반영한 KSGI의 종파적 특수성을 더 중점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론적으 로는 종교재(宗敎財)로서 KSGI의 평화주의를 고찰하기 위해 종교시장의 공급 측면 과 수요 측면을 함께 검토하였고, 비교분석을 위해 미국, 영국, 호주의 창가학회, 여호와의 증인들 및 메노나이트와 같은 기독교종파들의 평화주의를 개괄적으로 검토 하였다. 결론적으로 논문은 창가학회의 평화주의에 대한 종교유형론적 비교분석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국에서는 정치행위나 시민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한 한국창가학회 의 사회적 특수성에 대한 종교유형론적 접근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SGI의 전개 과정과 포교 현황 -문화회관의 건립·활동을 중심으로-

        김현석 ( Kim Hyun Seok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21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7 No.-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전체 종교 신자의 수는 점점 줄어드는데 반하여, 한국 창가학회(이하‘한국SGI’ 로함)만이 성장을 계속하여 공칭 150만의 신자 수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SGI는 일본에서 1960년대 초 국내로 유입되면서 전국적으로 퍼지기 시작하였는데, 오늘날까지 다양한 성장 과정을 거치면서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SGI의 활동은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다. 일본에서 건너온 종교라는 점에서 왜색종교로서 정부·언론과 갈등을 빚기도 하였고, 그것이 종교 내부의 분열로 연결되어서 조직을 통합하기 위한 노력이 지금도 진행되고 있기도 하다. 왜색종교라는 비난을 극복하고 공칭 150만 신자를 가진 거대 종교집단으로 성장한 한국SGI의 존재는, 한국의 종교계는 물론 한국 사회 전체에 어떤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을 제기하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SGI의 발전과정과 현(現)실태에 주목하여 종교세력으로의 성장 과정을 살피고, 종교집단으로서의 조직과 활동의 거점이 되는 문화회관의 성립과 현황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SGI의 활동 거점인 문화회관은 초기 회원들의 영향으로 경상도 지역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한국SGI의 성장 과정의 성공은 문화회관의 수적 성장과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문화회관의 건립이 2017년부터 그 수가 줄어들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한국사회 전체 종교인구의 감소와 그 흐름을 같이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While the total number of religious believers in today's Korean society is decreasing, only the Korea SGI continues to grow, recording a nominal 1.5 million believers. Korea's SGI began to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in the early 1960s when it was introduced from Japan to Korea, and has continued its activities through various indigenousization processes to this day. however, Korea SGI's activities have had many ups and downs. The existence of Korea SGI, which has overcome criticism as a Japanese religion and has grown into a large religious group with a nominal 1.5 million believers, raises the question of what it should mean not only to the Korean religious community but also to the entire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indigenousization of SGI in Korea and examined the process of growth as a religious force, and reviewed the establishment and status of cultural centers that are the base of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as religious groups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Cultural Center, an active hub of Korea SGI, tends to be concentrated in Gyeongsang-do due to the influence of early members. Second, the success of the process of indigenousization of Korea SGI can be seen as proportional to the numerical growth of the cultural center. Third, the number of cultural centers has been decreasing since 2017, and this phenomenon is believed to continue in the future as it is in line with the decrease in the total religious population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한국SGI 회원의 종교적 가치관과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점숙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20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orea SGI members’ religious values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 of a survey of 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 (Korea SGI) members based on data on Protestantism, Catholicism, and Buddhism surveyed by Gallup Korea. Through this, this study would approach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Korea SGI, a Japanese religion and the growth factors of the Korea SGI religion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this survey, compared to the established religions, most of the Korea SGI members came to have the religion when they were younger than nine and in their 20s to 30s. In addition, the Korea SGI members had faith longer than those of the established religions did. As for the momentum they came to believe in the religion was mostly because they needed to or by another person’s propagation. As for the reason for believing in the religion, they wanted to be blessed or they would like to find the meaning of life.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religious gatherings, the number of personal prayers or wish, and the number of encounters with the doctrine were much more than in the established religions. Also, they had higher religious beliefs or more experiences of healing by the religious power than in the established religion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they felt great happiness and attached importance to the meaning of life as well. As for the important measure of life, the members of the established religions picked health while those of Korea SGI picked happy family life.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Korea SGI members had open values, instead of conservative ones tied up to Confucian values compared to the established religions.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Korea SGI members had religious values different from Protestantism, Catholicism, and Buddhism while they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eligion of Korea SGI. It is judged that the members’ religious values and life satisfaction are also considered one of the growth factors of Korea SGI in Korean society. 이글에서는 한국갤럽에서 조사한 개신교, 천주교, 불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SGI 회원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SGI 회원의 종교적 가치관과 생활 만족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계 종교인 한국SGI의 종교적 특징과 한국 사회 속에서의 한국SGI 종교의 성장 요인에 접근하고자 했다. 이 조사에서 살펴본 결과, 한국SGI 회원의 종교를 갖는 시기는 기성종교와 비교했을 때 9세 이하와 20대~30대가 가장 많았다. 또한 한국SGI의 회원은 기성종교 대비 신앙을 하는 기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를 믿게 된 계기는 스스로 필요해서와 다른 사람의 권유가 많았고, 종교를 믿는 이유는 복을 받기 위해, 삶의 의미를 찾기위해라는 특징을 보였다. 종교집회 참가 횟수, 개인적인 기도 또는 기원 횟수, 교리를 접하는 횟수도 기성종교에 비해 훨씬 많았다. 또한, 종교적 신앙심 정도나 종교의 힘으로 병을 나은 경험 역시 기성종교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생활 만족도 면에 있어서는 행복감을 크게 느끼고 있었고 인생의 의미도 중요하게 생각했다. 삶의 중요한 척도에서는 기성종교가 건강한 것을 꼽을 때 한국SGI는 가정생활이 즐거운 것을 꼽았다. 또한, 한국SGI 회원들은 기성종교에 비해 유교적 가치관에 얽매이는 보수적인 가치관이 아닌 개방적 가치관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혼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한국SGI 회원은 개신교, 천주교, 불교와는 다른 종교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SGI라는 종교와 삶이 매우 밀착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국SGI 회원의 종교적 가치관과 생활 만족도 특징 역시 한국 사회 속 한국SGI 성장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SGI 조직의 과거, 현재, 미래 -인간혁명의 종교, 광선유포(廣宣流布)를 위한 조직-

        이토 타카오 한국신종교학회 2019 신종교연구 Vol.41 No.-

        This study will make consideration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and operational formats that SGI of Korea has been establishing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ense of purpose they strove to realize. In addition, a cross-section of the factors that enabled Korea SGI to continue its growth under difficult conditions, along with some the tasks that need to be overcome in the future by the Korea SGI were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ltimate goal of SGI can be deemed as the efforts oriented toward revolution of the actual society, while having the foundation established on the entire internal innovation of mankind. In addition, it is conjectured that motivation can be offered from the fact that putting forward the concept of ‘human revolution’ ahead of ‘respect and affection for happiness’ that one can reach at the end of the Buddhist practices in individual domain, provides the opportunity to practice the ultimate goal ‘right at this moment’, rather than ‘sometime in the future’. In addition, not only within the organization, but also at all venues in which one allocates their time including the home, workplace, school, and local society, become the “stage for dissemination of broadened virtues” targeted from the collective domain by such virtues having multi-leveled structures in religious, social, and fundamental domains. That is, it is deemed that the awareness that even the most trivial efforts in one’s religious and social life are directly linked to the grand purpose of dissemination of broadened virtues that will bolster one’s enthusiasm for lif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operation format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a diverse range of ‘examples’ including ‘teachers’ are provided. Second, there exist elaborate ‘encouragement systems’. Third,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for activities are provided. Fourth, there are presentations of both detailed and specific goals, along with rational management systems. Fifth, education systems generally used in the social life exist. 이 연구는 한국SGI를 대상으로 그들의 목표의식과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구축해온 조직 및 운영방식의 특징에 대해 고찰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작업을통해 한국SGI가 어려운 여건 속에서 발전을 지속해온 요인의 한 단면과 더불어 교단이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에 대해서도 일부 검토하였다. SGI의 궁극적 목표의 특징은 인간의 내면적 혁신에 일체의 기반을 두며 현실사회의 변혁을 지향하는 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차원에서 불도수행 끝에 도달할 수 있는 ‘절대적 행복경애’보다도 ‘인간혁명’을 앞세운 것은 ‘언젠가’가 아니라‘지금, 이 순간’이 궁극적 목표를 실천하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 동기부여가 될 것으로 추찰된다. 그리고 집단적 차원에서 목표로 하는 광선유포가 종교적, 사회적, 근본적인 차원으로 중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조직 내부는 물론 가정, 직장, 학교, 지역사회 등 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공간이 “광선유포의 무대”가 된다. 즉, 자신의 신앙생활 및 사회생활에서의 자그마한 노력이라도 모두 광선유포라는 대(大) 목적과 직결된다는 자각은 삶에 대한 의욕을 북돋아줄 것으로 사료된다. 조직운영 방식의 특징으로서는 첫째, ‘스승’을 비롯하여 다양한 ‘본보기’의 존재, 둘째, 치밀한 ‘격려 시스템’의 존재, 셋째, 다양한 활약의 기회를 제공, 넷째, 세밀하고 구체적인 목표 제시와 합리적 관리 시스템, 다섯째, 사회생활에서 통용될 수 있는 교육 내용 등을 지적해볼 수 있다.

      • 한국 창가학회의 내·외부적 갈등의 역사적 이해 - 절복(折伏) 개념을 중심으로

        이원섭 ( Lee Won-sub ) 한국종교학연구회 2020 宗敎學硏究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history of the conflicts faced by Soka Gakkai in Korea by focusing on missionary activities. Also, through an analysis of the changing meaning of jeolbok (折伏), the paper aims to ascertain how methods of propagation are influenced by context and changed in history. The early flow of Soka Gakkai's propagation to Korea differs from that in Japan. Early missions to Korea were mainly conducted by Japanese Koreans. Believers who embraced the magical faith of healing and blessing attempted to solve problems in their lives through Soka Gakkai's religious practices. Different from the case of Japan, however, there were no attempts to destroy such local communal practices. In addition, adherents were not interested in imperial praise or political activities, but due to the image of an ‘anti-ethnic organization’ created by the state and the media, even relatively open propagation of Soka Gakkai in Korea was difficult. Later, Soka Gakkai became separated from the Nichiren Shoshu (日蓮正宗) due to conflict, and Soka Gakkai's identity was newly established with the doctrine of “no distinction between master and disciple” (師弟不二). Soka Gakkai in Korea also followed this position. Soka Gakkai defined the Nichiren Shoshu as an object of aggressive jeolbok, i.e. a deviant tradition to be overcome, but in practice displayed an attitude of tolerance toward the spreading of all Buddhist virtues. With this attitude, the Soka Gakkai in Korea has been operating under the name 'Korea SGI' since 2000, gradually escaping the image of the “Japanese tainted religion” (倭色宗敎) and continuing to expand its social influence. However, it is striving to mitigate the negative conceptions of “political organization” and “pseudo-religion” that remain, and it is continuing its practice of spreading its virtues through peace, culture, and educational activities.

      • KCI등재

        韓國の宗敎市場と日本の新宗敎 -韓國創價學會, KSGIを事例として-

        이현경 한국일본근대학회 200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21

        韓國創價學會, KSGIは、 他の海外据点とは異なる布敎上の特質を持っている。日韓關係や日本の植民地支配に起因する反日感情の存在と、在日韓國人という存在は、布敎に際しての大きな規定要因として動いた。また、信者は100%現地韓國人であり、信者數も海外の創價學會の中では最も多く、異文化布敎で一定程度の成果をあげている。このように、韓國創價學會は韓國內に受容された日本の新宗敎のなかで最も大規模の敎團として成長したが、異文化布敎の課題を解決しつつ展開したというよりも、日本の本部と密接な關係の下に布敎を展開しつつ、各時期に生じた問題を乘り越えるための意識的な「戰略」の採用によって方向を轉換したのである。これが創價學會の組織運營の特質であると言えよう。したがって、本稿では適應·定着という異文化布敎の課題にどのように對應してきたのか、韓國における創價學會の成長要因は何なのか、アンケ―ト調査の結果からどのような信者たちによって構成されているのか、ということについて考察する。まず、創價學會では他の日本の新宗敎は重複所屬を許容しているのに對して、これまで所屬してきた宗敎から離れることを要求する。こうした狀況にも關わらず、韓國宗敎市場で韓國人信者に受け入れられ、異文化布敎の課題に適切に對應しながら、韓國での成長が可能になった理由は、大きく三つあると考えられる。, 1日系宗敎の最大の特徵である現世指向主義·卽效性のある宗敎實踐をとおして韓國旣成宗敎との差別化を圖り、宗敎市場に出て信者たちの宗敎的欲求に柔軟に對應している点。, 2しかし、單に現世指向主義だけだと長續きしないので、入信者の信心を持續·育成させるために、「激勵」システムや、役職を通じての育成システム、文化活動を通じての育成システムを採用している点。, 3單純明快な個人で行うことが可能な宗敎實踐という、都市化にみあった敎え、がそれである。なお、アンケ―ト調査からみた韓國創價學會信徒たちの實態は、旣成宗敎と日系宗敎との比較をとおして、まず、學歷や月收入も高いほうであった。そして、韓國創價學會信者の入信動機と入信後の變化では、日系宗敎の宗敎的特徵である現世指向性と、受容者の宗敎的求めに調和性·親和性があることが確認できた。最後に、生活滿足度では、韓國において日系宗敎信者のほうが旣成宗敎信者より、滿足する程度が高いことを確認した。

      • KCI등재
      • 동아시아 불교계 종단의 종헌 비교연구

        원영상(Won, Yongsang)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20 충청문화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동아시아 대표적인 불교계 종단의 종헌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한국, 일본, 대만의 불교계 종단의 종헌에 나타난 정신과 교단구조, 그리고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무엇보다도 종파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 만큼, 종교법으로서의 각 종단의 성격이 잘 드러나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교단의 전통과 정신을 강조하는 종헌 외에 국가의 종교법인법에 따른 교단의 운영에 관한 법규를 두고 있다. 대만이나 한국의 경우, 종헌에 교단의 역사적 발원에 관한 언급을 시작으로 전체적인 조직,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이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동아시아 불교종단의 공통점은 대체로 종단의 역사적 연원, 법의 계승, 종조의 깨달음, 소의경전 등을 명기하는 등 自宗의 전통을 드러냄으로써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하고 있다. 대승불교라고 하는 전체적 이념을 공유하는 동시에 자종의 전통을 강하게 드러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종단 최고지도자의 역할에는 법의 계승, 해석을 통한 종단의 구심적 역할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원불교의 경우는 최고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집단 지도체제가 이러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조직적 측면에서는 불법의 가르침에 입각한 종단의 정책 결정, 행정 등이 최고지도자와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분리해가는 면이 나타난다. 근현대 사회의 조직적 분화 또는 권력의 분권적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본다. This study compared and studies charters of sects of monastic orders in the East Asian Buddhism Circles. It examined the spirit of Buddhism, structures of religious bodies, and each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charters of sects of the monastic orders in the Korean, Japanese, and Taiwanese Buddhism circles. First of all, character of each monastic order as the religious laws is well reflected as they have sectarian characteristics. In case of Japan, there are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operation of religious bodies according to the national religious corporation act except the charters of sects that emphasize their tradition and spirit. In case of Taiwan or Korea, the details about the entire organizations and their operation are generally reflected in the charters of sects starting with the mention of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monastic orders in it. For a common point of the monastic orders in East Asian Buddhism they typically tried to secure their identity by showing tradition of the sects of religious order that they belong to sect of one"s own including specifying their historical origin, succession go Dharme, enlightenment of the founders of sects, the main texts of Buddhist schools, etc. It"s because they share an idea called Mahayanist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strongly showed tradition of the sects of religious order that they belong to. And the supreme leaders of the monastic orders strongly show their central roles in the monastic orders through succession to and interpretation of Dharma. Won-Buddhism has found that the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that centers on the supreme leaders plays this role. The organizational aspect has found that policies, decis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monastic orders based on the teaching of the Buddha-dharma are reasonably separated from the relationships with the supreme leaders. It is thought to be influenced by systematic differentiation or decentralization of power of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 KCI등재

        국내 일본 신종교 신자의 라이프 스토리에나타난 입신 과정과 신앙의 시작 - 한국SGI 회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제점숙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8 No.-

        이 글에서는 일본 신종교 중 국내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을 보이는 한국SGI(이하 KSGI)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KSGI 회원의 라이프 스토리에 주목한다. 인터뷰 조사는 2018년 11월 부터 2019년 7월에 걸쳐 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인터뷰 내용을 기반으로 이들의 입신 과정을 1 가족이나 자신의 병 치유가 원인, 2 집안사정이나 가정불화가 계기, 3 모태신앙인 경우, 4 화광신문이 매개가 된 경우, 5 결혼이 계기가 된 경우, 5가지 유형별로 소개했다. 그 결과 KSGI 회원 입신 동기는 가족 중 KSGI 회원 유무, 모태신앙자의 종교적 체험 유무, 입신 과정의 여성들의 큰 역할 비중, KSGI 회원들의 일상 삶 속 자연스러운 포교 활동과 같은 특징을 나타냈다. 이러한 특징이야말로 오늘날 KSGI가 일본계 종교 중 거대 종교로 여전히 막강한 회원 확보와 존재감을 나타내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으며, KSGI의 특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life stories of KSGI member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SGI (hereafter KSGI), which is the most active of the Japanese new religions in South Korea.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KSGI members between November 2018 and July 2019. Based on the interviews, this study categorized the process of joining KSGI into five types: (1) healing of family members or one's own illness, (2) family affairs or domestic discord, (3) maternal faith, (4) Hwakwang Newspaper, and (5) marri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ation for joining KSGI wa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KSGI members in the family, the presence of religious experience of believers from birth, the large role of women in the joining process, and the natural propagation activities of KSGI members in their daily lives.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strong membership and presence of KSGI, which is still one of the largest religions of Japanese descent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