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양오행적 상상력에 기반한 <구운몽>의 창작과 향유 방식 연구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5 No.-

        이 연구는 음양오행과 관련된 문화적 상상력이라는 참조 체계를 활용하여 <구운몽>의 창작과 향유 방식을 연구하였다. 음양오행의 상상력은 오랜 세월 생활문화뿐만 아니라 예술문화의 생성과 향유에도 영향을 끼쳤다. 김만중이 <구운몽>을 쓸 때에도 이러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인물과 관계, 인연을 이루는 사건들을 구성했을 수 있다. 특히 이 연구는 김만중이 아직 팔선녀들의 이름과 개성을 구체화하기 전의 구상 단계에서 갑녀, 을녀, 병녀, 정녀 등으로 순서를 정하고 해당 천간(天干)이 지닌 음양오행적 속성을 고려하여 형상화 작업을 시도하지 않았을까 가정하였다. 다양한 천간의 특성을 핵으로 삼아 개성적 인물을 만들어낼 때, 중첩되는 인물 창조를 피하고 이들이 만드는 다채로운 관계의 양상과 사연을 구성하기 용이한 까닭이다. 위 표는 천간에 대응되는 <구운몽>의 인물을 배치한 것이다. <구운몽>은 각 천간적 특성을 인물 개성의 핵심으로 삼아 등장하는 시기와 배경, 인물의 성격과 분위기, 인물이 겪는 갈등의 원인과 주요 사건 등을 구성하였다. 초봄의 버드나무를 연상시키는 갑목의 진채봉은 솔직하고 적극적인 한편, 분칠한 담을 배경으로 하여 만개한 앵두꽃 같은 을목의 계섬월은 을목 답게 섬세하고 부드럽다. 해로 비유되기도 하는 병화의 정경패는 화려한 정사도 집의 무남독녀로서 모든 것을 환히 비추는 병화의 능력을 발휘하여 양소유가 연주하는 곡의 의미와 의도를 꿰뚫어보기도 한다. 또 정경패는 예(禮)를 중시하고 화를 참지 못하는 병화의 성격으로 양소유에게 속아 체면을 잃은 것에 대한 앙갚음을 반드시 하고야 만다. 병화가 한낮의 작렬하는 태양이라면 정화는 밤에 빛나는 달이나 촛불에 가깝다. 정화의 가춘운은 단아하고 신비로운 정화의 매력으로 양소유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수시로 변화하는 불꽃처럼 여선이 되었다 귀신이 되었다 하는 등 연기에도 능하다. 영웅호걸을 마음대로 고르기 위해 자신을 창가에 팔거나 양소유를 따르기 위해 연왕의 천리마를 타고 도주하는 적경홍은 자주적이며 결단력 있는 경금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칼과 같이 날카로운 신금에 대응하는 인물인 심요연은 서늘한 기운과 함께 양소유 앞에 등장하여 창검 빛으로 화촉을 대신하며 그와 인연을 맺었다. 계수의 백능파는 물과 관련된 애욕으로 인한 고난을 겪으며 반사곡이란 차갑고 깊은 계곡에 유폐된 신세였다. 마지막으로 난양공주 이소화는 물처럼 아래로 흘러 하방(下方)의 존재를 감싸는 겸손함과 포용력으로 2처 6첩이 서로 자매로 일컫는 평등한 관계를 만들어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한편, 무토는 성진에, 기토는 양소유에 해당한다. 기토인 양소유는 무른 흙으로 팔선녀와 스며들고 동화되어 각색의 인연을 만들기에 적합한 기질을 갖추고 있으며, 그림의 ‘여백’처럼 자신은 비어 있으나 대상의 정을 비춰내는 기능을 담당한다. 무토인 성진은 너르고 단단한 무토의 기질답게 팔선녀와 양소유의 꿈[九雲夢]을 너른 흉중에 품고서 단단한 자신중심을 지키며 불도에 정념하고 자기를 따르는 도반(道伴)을 안정적으로 이끌 수 있었다. 개개 인물뿐만 아니라 서사세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도 <구운몽>은 음양오행적 상상력을 발휘한다. 음양오행에 따라 오악(五嶽)을 배치한 작품의 서두에서부터 작동시키는 음양오행적 상상력은 천간적 특성을 갖는 인물들의 개성을 감지하게 하는 생성적 틀로 작용하며, 나아가 인물의 개성이 잘 발현된 대화 장면에서 생동감 있게 움직인다. 인물의 형상뿐만 아니라 인물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오행의 상생상극의 기운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한다. 또 음과 양이 꼬리를 무는 미시적 사건의 연쇄, 양과 음의 세계를 오가는 거시적인 서사의 움직임, 그리고 음과 양이 서로를 품고 있는 구조 등을 갖춘 서사세계에 노닐며 수용자들은 마음속의 태극도가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 이런 점에서 <구운몽>은 추상적 음양오행론을 서사적으로 구현한 커다란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작가인 김만중이 음양오행의 원리(道)를 의도적으로 상징화하려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 역시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되어 이미 다른 학문과 종교 영역에 습합된 음양오행적 상상력의 자장(磁場) 안에 있는 존재였으며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구운몽>의 당대 향유자들도 마찬가지이다. 굳이 이 소설을 분석적으로 읽지 않아도 그들은 자연스럽게 음양오행적 상상력을 적용할 수 있었으며 익숙한 세계관과 인간관이 강화되는 쾌감을 얻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Kuwoonmong (九雲夢) using a reference system called the cultural imagin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Yin-Yang (陰陽) and Wu Xing (五行). When Kim Manjung wrote Guwoonmong, he may have composed figures and events based on this imagination. In particular, when he designed the eight seonnyeo (팔선녀), he set the order such as Gap (甲), Eul (乙), Byeong (병), Jeong (丁), etc. and characterized them according to the celestial stem (天干). Thus it was easy to avoid overlapping of characters and to construct various stor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 table below shows the characters of Kuwoonmong corresponding to the celestial stem. In not only the individual person but also the narrative world, Kuwoonmon demonstrates Yin-Yang and Wu Xing's imagination. In this respect, Kuwoonmon can be considered a large symbol encompassing the abstract theory of Yin-Yang and Wu Xing. Of course, the writer, Kim, Manjung would not have tried to symbolize the principle intentionally. However, he was also present in the environment of the cultural imagination that has been formed over the years. The same is true for the contemporary recipients of Guwunmong. They would have had a pleasant experience applying the cultural imagination and strengthening their familiar world view and human view.

      • KCI등재

        음양오행사상에 입각한 심볼조형의 시각적 표현가능성에 관한 연구

        강미정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8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7 No.-

        음양오행은 우주 삼라만상의 현상을 철학적으로 개념화한 이론으로 동양사상의 핵심이며 지금까지 우리의식의 이념적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양오행이 가지는 정신적 자산을 심볼을 위한 조형 형태로 시각화하여 디자인의 전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념화하는 것이다. 디자인 분야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미약하였으므로 본 연구는 우리의 의식과 사고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음양오행사상을 심볼조형을 위한 디자인에 도입하여 활용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심볼의 의미를 음양오행의 이치에 따라 심볼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심볼의 발전적 모델의 창조를 위하여 심볼의 이미지를 도형적인 구성 요소에 따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심볼조형을 위한 조형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립할 수 있다. 첫째, 음양오행에 입각한 심볼 조형 개념을 디자인의 적용원리로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음양오행에 의한 5가지 기본 도형의 창조와 심볼 조형 개념을 시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음양오행에 입각한 조형디자인에서 상생상극의 개념을 설정하여 심볼을 좋은 의미와 피해야 할 의미의 조형개념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음양오행사상은 수천 년 동안 동양문화에서 생활의 지혜이자 정신적 지표였으며 나침반 역할을 해왔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음양오행에 입각한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위한 심볼 조형으로 창조하여 적용시킬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The Ideology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is a philosophical theory conceptualized all phenomena in nature, which is the core of the Orientalism. It ha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deological flow of our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lize the mental asset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o be a useful in every design area by visualization of symbolic art and design in the form of art and design.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to utilize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hat is closely related to our consciousness and thought by introducing to design for symbolic art and design. I analyze the meaning of symbol on the image of the symbol according to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And I develop the image of the symbol with the diagrammatic elements for the creation of improved symbol model. With this study, I summarized art and design concept for the symbolic art and design,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symbolic art and design based on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could be set the application principle of design. Second, I could be found that the creation of five basic diagrams based on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and the visualization of the concept of the symbolic art and design are possible. Third, in the art and design based on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I could analyze the symbolic art and design to classify the art and design concept form to good meaning and bad one setting the conceptual perspective of symbiosis and antipathy.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has performed the role of wisdom of life, mental indicator as well as compass in the Orientalism for thousands of years. Consequently, this study could be significant as a basic material to apply the creation of th symbolic art and design of the firms' identity based on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 KCI등재

        「설괘전」의 물상이 팔괘에 배당되는 원리

        정석현 대동철학회 2023 大同哲學 Vol.104 No.-

        본 논문은 「설괘전(說卦傳)」의 물상(物象)이 어떻게 팔괘(八卦)에 배당될 수 있는지 알 아보려고 한다. 그런데 이를 위해서는 팔괘의 특징과 물상이 가지는 특징적인 면을 알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팔괘의 특징은 그것이 [陰]⚊[陽]의 3중 조합이기 때문에 음양의 특징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먼저 앞선 연구인 음양과 팔괘 및 64괘의 형성과정과 이를 통해 밝혀 본 음양의 특징을 상기해 본다. 즉 음양과 팔괘와 64괘는 자신 에 배당되는 사물들의 공통성(共通性)을 모사한 것이며 이에 따라 음양의 특징은 네 가지 원칙에 따라 추론된다. 즉 음양의 특징은 자신으로부터 느껴지는 인상이 되어야 하고, 그 인상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성질도 포함되어야 하고, 상호 상대적으로 표현되어야 하며, 어떤 관점(觀點)에서 그런지 명시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팔괘도 음양과 같은 맥락에서 형 성되었기 때문에 그 특징을 추론하기 위해서도 이 네 가지 원칙은 그대로 준용되는데, 여 기에는 하나의 원칙이 더 추가된다. 즉 팔괘의 특징은 네 쌍의 반대-괘(卦)들 간에 동일 한 음양의 특징을 적용하거나 아니면 각기 다른 음양의 특징을 적용하여 추론해야 한다. 이는 팔괘의 특징은 동일한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둘째 원칙에 따른 음양의 특징은 재차 추론한 특징이므로 그로부터 팔괘의 특징을 추론하 는 것은 비약이 된다. 따라서 다음으로 이 논문은 이 다섯 가지 원칙을 준수하는 한에서 첫째 원칙에 따른 음양의 특징을 적용하여 관점별로 팔괘의 특징을 추론한다. 그런 뒤 이 논문은 이들 관점별 특징과 관점별로 분류되는 「설괘전」의 물상이 가지는 특징적인 면이 서로 부합됨을 확인함에 따라, 물상이 팔괘에 배당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the wùxiàng(物象) in Shuōguàhuán(「說卦傳」) is allocated to bāguà(八卦). However, in order to do, it is necessary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ùxià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should be inferr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Yīn(陰) and ⚊Yáng(陽) as it is a triple combination of Yīn-Yáng(陰陽). Therefore, this paper first recalls the formation process of Yīn-Yáng, bāguà, and liùshísìguà(64卦), which were studied earli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Yīn-Yáng inferred in this process. that is, Yīn-Yáng, bāguà, and liùshísìguà imitated the commonality(共通性) of things allocated to them, so the characteristics are inferred according to the four principles: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Yīn-Yáng should be the impression felt from themselves, it should also is included image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impression, it should be expressed relative to each other, and it should be specified which points of view it is based on. Accordingly, since bāguà was formed in the same context as Yīn-Yáng the four principles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infer its characteristics. And there is one more principle added to this;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should be inferred by applying the same Yīn-Yáng characteristic to each of the four pairs of opposite-guàs(反對-卦), or by applying different Yīn-Yáng characteristics.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must be expressed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same points of view. However,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Yīn-Yáng based on the second principle are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secondarily inferred, it is a leap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from them. Therefore this paper next infers the characteristics of bāguà by points of view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Yīn-Yáng based on the first principle as long as these five principles are observed. Then this paper confirms that these characteristics by points of view can be match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ùxiàng in 「Shuōguàhuán」 classified by points of view, revealing that the wùxiàng can be allocated to bāguà.

      • KCI등재

        음양론의 연역과 문화적 양태

        심규호 중국학연구회 2022 중국학연구 Vol.- No.100

        중국인은 밝음과 어둠, 낮과 밤 등을 ‘陰陽’이라고 불렀다. 낮과 밤, 밝음과 어둠, 해와 달은 지구상 어느 민족, 어느 사회나 존재하고 인지하는 것이지만 중국에서 ‘음양’은 이러한 보편적 함의를 벗어나 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하나의 상징으로 자리하고 있다. 중국인들은 ‘음양’의 상대적 구분을 절대적인 차별로 부연했다. 음양으로 고하와 존비의 차별을 규정했고, 밝음인 양의 문화는 고급스럽고 존귀하여 긍정적이고 어둠으로서 음의 문화는 하급이고 비천하여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했다. 이것이 하나의 문화로 정착하면서 사람과 사회, 국가의 다양한 분야에 두루 적용되었다. 음양에 호오와 시비에 근거한 존비와 고하를 우겨넣은 것은 사실 의도적인 ‘편 가르기’일 따름이다. 편을 가를 때는 의도하는 바가 있으며, 그 의도의 동력은 주로 권력(지배권력, 또는 문화권력 등)이다. 그렇다면 보다 구체적으로 중국에서 음양이란 개념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상대적 구분에서 절대적 차별로 나아갔는가? 또한 이러한 음양의 차별성이 중국문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구체적으로 어떤 문화양태, 관념양태로 드러나는가? 본고는 이에 착안하여 음양의 釋義를 시작으로 음양의 철리화 과정을 개괄하고, 중국에서 음양 개념의 특징을 양면성, 공존성, 차이성, 표상성 등 네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중국에서 음양과 관련한 문화양태를 天人之際, 관념형태, 생활방식, 이중적 문화형태 등으로 개괄적으로 논의했다. 이를 통해 음양이라는 독특한 개념이 중국문화에서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어떤 형태로 중국문화와 중국인들의 관념에 영향을 끼쳤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 해석 교육의 가능성 탐색

        장상지(Jang, Sang-Jee),윤재웅(Youn, jae-woo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 해석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소설교육을 위해 음양오행 이론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논의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음양오행의 물질적 상상력과 과학적 정합성을 밝힐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학문적 접근을 시도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음양오행은 자연사물과의 경험적 인식과 상상적 체험을 통해 자연사물이 갖는 의미와 작용을 탐구하여 만물의 이치를 이해하도록 하는 자연과학의 철학이다. 한편, 음양오행과 관련한 일련의 논의들은 생태학과 연결된다. 생태학에서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즉 자신과 관계 맺고 있는 것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적응하고 공존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고민은 음양오행의 자연의 이치를 인간의 좋은 삶과 긍정적인 관계유지에 적용하고 있는 명리의 학문적 성찰의 목적과도 일맥상통한다. 이 연구에서는 소설교육의 입장에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와 관련하여 동양의 음양오행 이론과 접근법을 고민하고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음양오행을 적용한 실제 사례와 한계를 분석해보았다. 음양오행 소설 교육적 적용의 한계를 파악하고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 해석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ovel interpreting education based on Yin-Yang Ohaeng theory. It is meaningful to try the academic approach to establish the foundation to reveal the material imagination and scientific coherence of the viewpoint of the Myeongri-hak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direction of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for the novel education. By discussing the directions for the theory of the Yin-Yang and the Ohaeng theory for novel education, ultimately it is meaningful to attempt an academic approach to reveal the material imagination and scientific coherence of the viewpoint of science. Yin-Yang Ohaeng theory. is a philosophy of natural science that allows studen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ll things by explor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natural things through empirical perception and imaginary experience. Myeongri-hak is a practical study to look at human beings based on Yin-Yang Ohaeng theory. On the other hand, a series of discussions related to the Yin-Yang Ohaeng theory is linked to ecology. In ecology,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environment that can surround itself and adapt and coexist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ings that are related to oneself. This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academic reflection of Myeongri-hak which applies the nature of Yin-Yang Ohaeng theory to the good life of human beings and maintaining a positive relationship. In this study, I try to explore the approach of the study of the Oriental Yin-Yang Ohaeng theory in relation to how to read from the standpoint of nove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practical examples and limitations of applying the Yin - Yang Five - Elements around modern novels. I have identified the limits of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novel by Yin-Yang Ohaeng theory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novel interpretation education based on Yin-Yang Ohaeng theory.

      • KCI등재

        음양오행(陰陽五行)으로 해석한 태권도 동작의 유형분류에 따른 자유품새 구성방안

        이동희,전정우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4

        Taegeuk (Great ultimate), Eumyang (Yin-yang) and Palgwae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underlie the oriental mindset intrinsically, which is also represented at official Poomsae (some sequences of action representing attack and defence in Taekwondo) in linkage with spiritual philosophy. And yet connections of the current Taekwondo movements and Poomsae with Oriental principle couldn't be technically convinced so far and Poomsae players' ability is being upgraded in general these days. As a result, adoption of free-style Poomsae is required. Thus, this study classified technical types of Taekwondo according to the concept of Eumyangohaeng (Yin-Yang and Five elements) to explore the connection with Poomsae skills, and building on the result, sought to suggest the methods to compose the content of free-style Poomsae of Taekwondo as basic data.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inciples and concept of Eumyangohaeng via literature research, classify Taekwondo skills based on this and apply them to free-style Poomsae through verification of three Taekwondo experts and two Oriental philosophy experts. The study had findings as below. First, Eumyangohaeng could be interpreted by the ratio and flow of activity and inactivity, Second, the elements - types of Taekwondo skills - were represented by preparatory posture, one-time attack, continuous attack, slow move and defense move. Third,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t the time of composing free-style Poomsae. Finally, research tasks applicable in the future study can be proposed as follows. Firstly, Oriental philosophy like Eumyangohaeng allows diverse interpretations, making its generalization based on this study hard. For this reason, should it be interpreted through diverse interpretations and analysis, such study may draw more meaningful findings. Secondly, as Eumyangohaeng is a universal principle, there is no need to prove it only by skills of Taekwondo. Thirdly, the study believes, should other elements of Oriental philosophy such as Sasang (Four phases), Palgwae be interpreted as types of Taekwondo skills, the more diverse and deeper Taekwondo skills and philosophy could be suggested. 동양인들의 사고유형 기저에는 태극(太極), 음양(陰陽), 팔괘(八卦) 등 이 내재되어 왔으며, 이는 태권도의 공인품새에서도 정신철학을 접목한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현재 태권도 동작 및 품새 전체 진행 간 동양철학과의 연관성을 기술적으로 설득력 있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품새선수들의 실력이 상향평준화되면서 자유품새 종목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태권도 기술의 원리를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개념에 따라 기술유형을 분류하여 태권도 기술과의 연관성을 탐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유품새의 내용을 구성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태권도 자유품새 구성 방향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한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원리 및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태권도 기술의 유형을 분류하고 태권도 전문가 3인과 동양철학 전문가 2인의 검증을 통해 자유품새에 적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음양오행(陰陽五行)은 정(靜)과 동(動)의 비율과 흐름으로써 해석된다. 둘째, 요소들은 태권도 기술유형으로 준비자세, 단발성 공격, 연속 공격, 느린 동작과 방어 동작 등으로 표현된다. 셋째, 자유품새 구성 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후속 연구에 반영할 수 있는 연구과제에 대하여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양오행(陰陽五行)과 같은 동양철학은 각자 해석이 다양하여 본 연구의 결과로 일반화하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해석과 분석을 통해 적용하고자 노력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음양오행(陰陽五行)은 보편적 원리이기 때문에 태권도만의 기술철학으로 증명할 필요는 없다. 셋째, 음양오행(陰陽五行)뿐만 아니라 사상(四象)이나 팔괘(八卦) 등 동양철학의 다른 요소들도 태권도 기술의 유형으로 해석하면 더 다양하고 깊이 있는 태권도 기술과 철학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음양과 오행의 상관성 - 주돈이·주희 이론 중심의 기하학적 고찰 -

        김학용 ( Kim Hakyong ) 퇴계학연구원 2021 退溪學報 Vol.150 No.-

        이 글은 음양과 오행의 相關性을 기하학적으로 究明해 보고, 오행 속에 내재된 ‘調和의 구체적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음양과 오행은 ‘음양오행’이란 말로 자주 쓰일 만큼 서로 밀접해 보이지만 양쪽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周敦頤와 朱熹는 음양에서 오행이 나온다면서도 그 이유는 말하지 않았다. 주돈이는 “오행은 하나의 음양이다[五行一陰陽也]” 라고 했으나 근거는 밝히지 않았다. 주희 역시 음양과 오행의 차이를 묻는 제자들의 질문에 “이치는 같다”면서도 자세한 답을 하지 않았다. 음양과 오행의 상관성은 數와 관련된 문제여서 오늘날 수학 전공자들은 집합 행렬 등을 통해 이 문제를 엄밀하게 설명할 수 있다. 이런 수학적 방법을 알 수 없던 과거에는 이 문제를 추상적으로 이해하는 수밖에 없었고 면밀한 설명이 어려웠을지 모른다. 본고는 일반적 이해가 가능한 수준에서 수와 기하의 방법으로 음양과 오행의 상관성 규명을 시도하였다. 음양오행은 數에만 그치는 개념은 아니다. 2000년 이상 동양사회를 지배한 사상이며, 宋代 이후 수백 년간 동양철학의 주류였던 성리학이 학문적 기초로 삼았던 이론이었다. 20세기 초 현대물리학자 닐스 보어가 兩立不可의 모순적인 물리현상을 이해하는 데 동원된 이론은 음양론이다. 본고는 3가지를 밝히고자 했다. 첫째, 음양과 오행의 상관성 규명을 통해 음양은 ‘[사물] 構成의 음양원리’이고 오행은 ‘關係의 음양원리’ 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오행에서 만물로 퍼진다는 주희의 주장은 바둑판 원리로 검증할 수 있다. 셋째, 조직[집단]에서 調和란 ‘개체별 균형과 전체적 균형을 동시에 이룬 상태’ 라고 定義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geometrically and examine the "meanings of harmony" inherent in the Five Elements. Although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are often combined together in "Yin-Yang · Five Elements," there are no clear relations demonstrated between them. Zhou Dunyi and Zhu Xi maintained that the Five Elements should come from Yin-Yang without offering any grounds for their argument. In his Taiji Tu Shuo, Zhou Dunyi stated that "The Five Elements are part of Yin-Yang," but he provided no grounds for his remark. Today relations betwee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can be explained in a strict and specific way with modern mathematics including geometry and matrix. In the past when there was no knowledge of such mathematical methods, the only way to understand relations betwee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was abstract, which raises the possibilities of understanding the Five Elements insufficiently. Yin-Yang · Five Elements is one of the essential concepts to explain Oriental ideas, and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academic treatments and perceptions betwee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One of the causes might be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Five Elements.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Yin-Yang · Five Elements and especially the Five Elements even a little bit in a geometric approach. The present study had three main findings: [1] "Correlations betwee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do not represent their relations as they exis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They refer to "intrinsic correlations" derived from the Yin-Yang rule of win-win conflicts inside the Five Elements; [2] Zhu Xi's argument that the Five Elements should spread to all things in the universe can be tested with the go board principle; and [3] "Harmony" of an organization[group] can be defined as the "simultaneous achievement of balance at each individual[member] level and the balance of the entire organization." The Five Elements make the only system capable of achieving this state.

      • KCI등재

        『管子』의 陰陽五行論

        이명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9 No.-

        This paper examines the distinct features of Yin-Yang and Five Elements(陰陽五行) in Guanzi(管 子). Yin-Yang(陰陽) and Five Elements(五行) respectively represented natural phenomena at the beginning, but became abstract and a ruling ideology going through the Warring States period. It began from Guanzi(管子)’s The thought of seasonal proper policy(時令思想) that Yin-Yang and Five Elements became a ruling ideology. In Guanzi, most of political actions a king takes and social systems for the purpose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and the stability of public welfare were related to Yin-Yang and Five Elements. As for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in Guanzi, first, Guanzi’s The thought of seasonal proper policy can be said to be the idea for the benefit of people that related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o increased agricultural production aiming at stabilization of public welfare, and reflects the principle of Yang-reward and Yin-punishment(陽德陰刑). Second, Guanzi’s The thought of seasonal proper policy can be said to be The theory of heaven and humans response(天人感應論) that includes The intimate theory(災異說)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ven and humans. Yet, the focus is on the heaven. Third, Yin-Yang and Five Elements became abstract in Guanzi for the first time. As for seasons, Yin-Yang and Five Elements were assigned, and regarding color, taste, sound, number, bearing, weapon and others, Five Elements were assigned. However, the ten celestial stems were not divided into Yin-Yang, so Yin-Yang cannot be seen to be combined with Five Elements. Fourth,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related to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prove the view that writers and the year of writing each chapter of Guanzi can be different. Guanzi’s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became one of main frames of Chinese philosophy later being transmitted to Yeossichunchu(呂氏春秋), Huainanzi(淮南 子), Chunchubeonro(春秋繁露), Baekhotongeui(白虎通義) and etc. 본고는 『管子』에 보이는 陰陽五行論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陰陽과 五行은 처음에는 각각 자연현상을 나타냈으나, 春秋戰國時代를 거치면서 抽象化되고 통치 이념화의 과정을 거친다. 陰陽五行의 통치 이념화는 『管 子』의 時令思想에서 시작되었다. 『管子』에서는 富國强兵과 民生安定를 목적으로 君主가 행하는 대부분의 정치행위와 사회제도를 陰陽五行과 연계시켰다. 『管子』에 나타난 陰陽五行論을 살펴보면 첫째, 『管子』의 時令思想 은 민생안정을 목적으로 陰陽五行論을 농업생산증대에 연계시킨 爲民思想이라고 할 수 있으며 陽德陰刑 사상을 반영하고 있다. 둘째, 『管子』에서의 天은 자연적 天보다는 의지적 天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天人 關係로 보면 災異說을 포함하는 天人感應論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무게 중심은 하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陰陽과 五行은 『管子』에서 최초로 抽象化되었다. 계절에 대해서는 陰陽과 五行이 배속되고, 色·味· 音·數·方位·兵器 등에 대해서는 五行이 배속되었다. 그러나 天干을 陰陽으로 구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陰陽과 五行이 결합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넷째, 陰陽五行論과 관련된 각 편의 내용적인 차이는 『管子』의 저자와 저술연대가 篇 별로 다를 수 있다는 說을 뒷받침한다. 『管子』의 陰陽五行論은 이후 『呂氏春秋』, 『淮南子』, 『春秋繁露」, 『白虎通義』 등으로 전승되면서 중국철학의 주요 골격 중의 하나가 되었다.

      • KCI등재후보

        『황제내경(黃帝內經)』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의 음양오행(陰陽五行) 비교 연구

        조석연 한국국악교육학회 2020 국악교육 Vol.49 No.49

        Yin-Yang and Five Elements School(陰陽五行說) is the basic and major ancient theory of Eastern philosophy, which explains all phenomena of the universe and human world through the principles of Yin-Yang Forces. It is especially the most important and fundamental theory in Traditional Korean and Oriental Medicine. And it is applied as the frame of reference in treatment and therapy of Oriental Medicine, regarding the five viscera (of heart, liver, spleen, lungs and kidneys, 五臟), the five bodies(五體), the five cardinal colors(blue, yellow, red, white, black, 五色), the five direction(五方) etc. Also the five sounds(五聲, 五音: 宮, 商, 角, 徵, 羽) hold a key position in the Yin-Yang Theory. And this paper has researched the interrelation consistenc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黃帝內經)』 and 『Illustrated Text on Traditional Music(樂學軌範)』. 음양오행설은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양의 원리를 통해 사물을 설명하고 우주만물을 형성하는 원기로 동양철학의 기본이 되고 있다. 특히 음양오행설은 한방의학에서 중요한 기초이론이며 오장, 오체, 오색, 오방 등과 결부되어 한방 진료 및 진단에 중요한 준거이론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 중 오성(五聲)과 오음(五音) 역시 음양오행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관계를 『황제내경(黃帝內經)』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통해 음양과 오행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황제내경』의 음양이론과 마찬가지로 『악학궤범』에서는 12율명의 탄생이 상서로운 동물의 음양의 조합에 의해 정해졌으며, 양률과 음려의 음양 합성에 의해 만들어졌다. 또한 상생과 하생의 삼분손익법에 의해 음과 양의 6률과 6려로 12율이 결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황제내경』의 다섯 5가지 물질의 상호 발생관계를 설명하는 오행설은 음악체계인 궁상각치우에 잘 나타나 있다. 소리가 비장(脾臟)에서 나와 입을 다물고(合口) 통한 것을 궁(宮)이라 하고, 폐에서 나와 입을 벌리고 토(吐)하는 것을 상(商)이라 하고, 간에서 나와 이를 벌리고 입을 솟구치는 것을 각(角)이라 하고, 심장에서 나와 이를 다물고 입술을 연 것을 치(緻)라 하고, 신(腎)에서 나와 이를 벌리고 입술을 모은 것을 우(羽)라 하라 한다. 조선시대 때 이제마가 중국의 『황제내경』에 기록된 바와 같은 음양철학과 역리(易理)에 기초해 우리나라 고유의 체질의학인 사상의학(四象醫學)을 만든 것과 같이, 『악학궤범』에 기록된 시용궁상각치우(時用宮商各緻羽) 역시 중국 오성의 음양이론을 바탕으로 기록된 실용적이고 한국적인 음악체계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한국 고유의 사상의학과 같이 『악학궤범(樂學軌範)』에서도 시용궁상각치우(時用宮商各緻羽)는 동양 음양오행설의 철학을 바탕으로 한국인이 사용하는 평조(平調)와 계면조(界面調)를 중국 치조(徵調)와 우조(羽調)를 이용하여 사용한 흔적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음양감응(陰陽感應)을 통해 본 유교(儒敎)의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해

        이천승 東洋哲學硏究會 2008 東洋哲學硏究 Vol.54 No.-

        이 논문은 오늘날 자연과 인간, 동양과 서양 등 두 가지 이질적인 대립쌍이 자아내는 문제점을 유교의 사유 속에 내재된 음양의 논리를 통해 동양적 사유의 일단을 살펴본 것이다. 동양의 전통에서 자연이란 인간 주체와 연관되어 진행하는 거대한 생명체로서 이해되어왔다. 그 기초로서 음양의 틀은 인간을 둘러싼 세계의 존재양상에 대한 총체적 인식이자 유비적 대응을 통한 자연과 인간의 상호관련성을 확인하는 유효한 개념으로 활용되었다. 아울러 정지상태가 아니라 음양의 끊임없는 순환과 대립과정은 상대 보완적이면서 동시에 갈등을 止揚해가는 역동적 측면을 드러낸다. 음양이 배타적 존재로 설정된 것이 아니므로 상대에 대한 인정 속에 자기의 모습을 확인하는 순환고리는 상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파멸로까지 이끌지 않는 절제의 미덕이 자연스럽게 배태되어 있었던 것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음양의 유비적 대응구도 및 순환과 대립을 통한 변화양상이 맞물리는 지점인 음양 ``感應``의 논리에 주목하였다. 끼리끼리의 느낌과 그에 대한 대응이라는 감응의 논리는 『주역』 咸卦에서 보여주듯 인간을 포함한 자연계 모두가 교감하고 소통하는 자연스런 과정에서 단절을 넘어선 합일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상황에 대한 주체의 다양한 대응양상을 뜻하는 감응의 논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인과율과는 또 다른 동양적 사유의 특성을 드러내주는 개념으로 자리잡는다. 물론 자연이란 본래 당연히 그러하다는 동양의 전통적 사유체계에서 과학 그 자체보다도 상대적으로 그와 유비된 인문적 질서에 더욱 관심을 보였다는 한계로 남는다. 그러나 인문학의 축소와 과학의 방향상실을 우려하는 현대에 있어서 자연과 인간을 분리시켜보지 않고 연관시켜 보려는 동양적 사유는 오늘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출발점이자 목적지가 될 수도 있다. 음양논리를 통해 보았듯이 복원해야 될 동양의, 유교의 모습이란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지고 서로 感應할 수 있는 바탕에서 상호공존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本論文通過儒敎思維中內在的陰陽倫理來分析當今自然與人以及東洋與西洋等兩種不同性質的對立事物引發的問題点, 以此來考察東洋思維的一個斷面. 在東洋傳統中, 所謂的自然一般被理解爲與人類主體相關的巨大生命體, 陰陽是其基礎. 陰陽的광架一般被活用爲對圍繞人類的世界存在樣相的總體認識以及通過類比對應來確認自然與人之間相互關聯性的有效槪念. 同時, 陰陽不是靜止的, 其不息的循環和對立過程旣是相互補充的, 同時又展現了揚棄矛盾的力動的一面. 陰陽不是作爲排他性的存在而設立的, 而是在對對方的認識過程中조到自己. 這樣一種循環련接揭示了相生的可能性, 同時也흔自然的孕育了不會招致滅忙的節制的美德. 特別是, 本文將關注的對象置于陰陽的類比對應結構以及循環和對立的變化狀態所弦合的支点,卽陰陽感應的邏輯. 感應邏輯指的是對同類的感覺和對應, 如同《周易》咸卦所展現的那樣, 包括人類在內的自然界的一切都在相互交感和溝通的自然過程中, 展現了超越斷絶的合一的可能性. 感應原理意味着主體對情況的多種多樣的對應, 타是與我們通常使用的因果律所不同的, 展現了東洋思維的特性. 當然, 所謂的自然在本來就當然如此的東洋的傳統思維中, 與科學相比, 會更加關注與之相類比的人文秩序, 這也是一個局限性. 但是, 在人文學萎縮和科學會喪失方向性的現代, 東洋將人與自然相聯系來看的思維旣是出發点, 也是目的地. 如同我們在陰陽邏輯中所看到的那樣, 我們應該將東洋, 特別是儒敎復原, 在自然與人相協調的相互感應的基礎上探尋共存之路.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