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벌열소설(閥閱小說)의 효(孝) 구현(具現) 양상(樣相)에 대한 연구-벌열소설(閥閱小說) 전개의 한 측면: 「유효공선행록(柳孝公善行錄)」, 「엄씨효문청행록(嚴氏孝門淸行錄)」, 「보은기우록(報恩奇遇錄)」을 중심으로-

        조광국 ( Jo Gwang-gu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3 No.4

        조선 후기 閥閱小說 전개의 한 축으로 孝의 談論化가 자리잡고 있다. 그런 작품들의 敍述公式은 ‘父惡子善’이다. ‘父惡子善’의 서술 공식은 인물 성품의 차원에서 제시되고, 부자갈등을 통해 구체화되며 여타의 사건을 통해 확대된다. 이 서술 공식은 孝談論으로 이어지는데, 그 효담론은 ㉮ 子가 惡父 혹은 惡母의 비뚤어진 삶의 방식에 직면하는 과정, ㉯ 子가 惡父 혹은 惡母의 악행을 따르지 않음으로써 박해를 받으나 子가 至孝를 다하는 과정, ㉰ 惡父 혹은 惡母가 悔過하여 惡이 제거되고 父子間에 혹은 母子間에 화해가 깃드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그 命題는 ‘善한 子가 父로부터 박해를 받으면서도 至孝를 다해 惡한 父의 價値觀을 바꾼다.’이다. 그러한 命題는 家門의 進路 및 盛衰와 깊은 관련을 맺는데, 「柳孝公善行錄」은 閥閱家門의 自己更新을, 「嚴氏孝門淸行錄」은 名分論的 宗統繼承의 閥閱家父長制를, 「報恩奇遇錄」은 道德과 宦路의 회복을 지향한다. This paper aims at understanding the Incarnation of the Filial Duty in the Beollyol-Soseol. Beollyol-Soseol is the novel which puts in the high official class world. Some Beollyol-Soseols have the descriptive and narrative formula; the point is that father's or mother's character is bad, but son's character is good-natured and tenderhearted. This formula appears through hero's nature and disposition, through the complications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rough many other events, things, persons. This formula gets connected the discourse about filial piety. That passes three phases; one is that the good-natured son stands on the brink of father's or mother's many bad behaviors. Another is that the son suffers oppression from the father or the mother because of disobedience to father's or mother's thought and ideas, but the son shows his parents every attention. The other is that father or mother repents over sins and crimes, and reforms himself or herself, so they restore family peace, they are in harmony. A proposition and a statement is that even though the good-natured son suffers oppression, he does the utmost filial piety, then the father or mother changes a sense of values. The proposition is connected with a course of family. Yuhyokongseonhaenglok heads toward the selfrenewal and the selfrenovation of his Beollyol-family. And Poeunkiulok heads toward the upper-class family's reconstruction which is based on the morality and the government post. And Umsihyomuncheonghaenglok heads toward Beollyol-Patriarchy which is based on the moral obligations.

      • KCI등재

        <창선감의록>의 명가 실현과 17세기 벌열 관료가문의 지향의식

        김위경 ( Wi Kyoung Kim )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7 No.-

        조성기(1638-1689)의 <창선감의록>은 名家 실현의 서사를 통해 17세기 漢黨계 벌열 관료가문의 지향의식을 표명한다. 이 지점은 조성기의 林川趙門의 家學 전통과 맞닿아 있다. 임천조문은 西人 漢黨계 閥閱 官僚家門인 김육의 淸風金門, 신흠의 平山申門과 정치적 행보를 같이 하였고, 조성기는 작은형 조현기를 통해 청풍김문과 평산신문의 가학을 접하게 된다. 그 결과 작자 조성기의 사유는 17세기 한당계 벌열 관료가문의 경세이념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이념 지향성을 <창선감의록>의 명가 실현의 서사에서 읽을 수 있다. <창선감의록>의 花門은 刑政과 戰功에 기반해 가문내적 문제를 해결한다. 제도로 표상되는 형정은 범법자들을 철저히 응징하며 화문의 폭력적 상황을 해결해준다. 형정의 현실적 적용은 동조자였던 화춘과 심씨가 본성을 회복하는 매개로 작용한다. 제도를 통한 理의 구현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전공을 통해 화진의 효우는 온전히 승인받는다. 형정과 전공은 화문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인이다. 화춘과 심씨는 자기반성을 통해 화진의 효우를 진정으로 받아들이며, 화문은 가문내적 역량을 갖춘 명가로 복원된다. 또 하나 주목할 지점은 주인공 화진이 국가적 인물로 부상한다는 것이다. 하춘해와 유성희는 그 됨됨이를 알아보고, 국난을 해결할 인재로 화진을 천거한다. 이들은 윤여옥과 더불어 그의 재능과 역량을 신뢰해주며, 충을 구현할 기회를 제공한다. 비록 화진은 효우를 위해 출사했지만, 관료로서 왕 중심의 권력구도에 구심적 역할을 한다. 주인공 화진은 우도와 군신의리에 기반하여 국가적 인물로 부상하며, 화문은 명가의 위상을 확립한다. 이러한 <창선감의록>의 명가 실현의 서사에는 17세기 한당계 벌열 관료가문의 지향의식이 투영되어 있다. 대대로 서울지역에 세거하던 실무 관료 집단인 한당계 벌열은 博學의 개방적 학풍을 추구하며 제도와 국가를 중시하고, 충의 가치와 왕의 권위를 지향한다. <창선감의록>에 투영된 조성기의 지향의식은 한당계 벌열 관료가문의 이러한 경세이념의 자장 안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is focusing on realization of prestigious family(名家) in Changseongamuirok and Jo seong-gi family``s academic tradition(家學) under the influence of the Beollyeol(閥閱) bureaucracy families(官僚家門) consciousness. In aspects of narrative, Hwa family(花門) resurrected the prestigious family(名家) of a nation by the penal administration(刑政) and military victory(戰功). Also, Hwajin and his colleagues reconstructed the political power structure. Their political attitudes showed Udo(友道) and the duty of king and ruling elites(君臣義理) and contributed to righteous execution of royal power. Consequentially Hwa family``s status as national prestigious family was established by Udo and the duty of king and ruling elites. This significance reflects on statecraft of the Beollyeol bureaucracy families. Jo seong-gi family``s academic tradition was related to the Handang(漢黨) based on the Beollyeol bureaucracy families with the particular political backing of the 17th century. They attached importance to the value of loyalty, national system and authority of the king. The significant of this study is approaching the political ideology of lineage of Rim cheon cho[林川趙門] and reading Changseongamuirok in the family age of the 17th century.

      • KCI등재

        <창선감의록>의 명가 실현과 17세기 벌열 관료가문의 지향의식

        김위경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7 No.-

        This paper is focusing on realization of prestigious family(名家) in Changseongamuirok and Jo seong-gi family's academic tradition(家學) under the influence of the Beollyeol(閥閱) bureaucracy families(官僚家門) consciousness. In aspects of narrative, Hwa family(花門) resurrected the prestigious family(名家) of a nation by the penal administration(刑政) and military victory(戰功). Also, Hwajin and his colleagues reconstructed the political power structure. Their political attitudes showed Udo(友道) and the duty of king and ruling elites(君臣義理) and contributed to righteous execution of royal power. Consequentially Hwa family's status as national prestigious family was established by Udo and the duty of king and ruling elites. This significance reflects on statecraft of the Beollyeol bureaucracy families. Jo seong-gi family's academic tradition was related to the Handang(漢黨) based on the Beollyeol bureaucracy families with the particular political backing of the 17th century. They attached importance to the value of loyalty, national system and authority of the king. The significant of this study is approaching the political ideology of lineage of Rim cheon cho[林川趙門] and reading Changseongamuirok in the family age of the 17th century. 조성기(1638-1689)의 <창선감의록>은 名家 실현의 서사를 통해 17세기 漢黨계 벌열 관료가문의 지향의식을 표명한다. 이 지점은 조성기의 林川趙門의 家學 전통과 맞닿아 있다. 임천조문은 西人 漢黨계 閥閱 官僚家門인 김육의 淸風金門․신흠의 平山申門과 정치적 행보를 같이 하였고, 조성기는 작은형 조현기를 통해 청풍김문과 평산신문의 가학을 접하게 된다. 그 결과 작자 조성기의 사유는 17세기 한당계 벌열 관료가문의 경세이념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이념 지향성을 <창선감의록>의 명가 실현의 서사에서 읽을 수 있다. <창선감의록>의 花門은 刑政과 戰功에 기반해 가문내적 문제를 해결한다. 제도로 표상되는 형정은 범법자들을 철저히 응징하며 화문의 폭력적 상황을 해결해준다. 형정의 현실적 적용은 동조자였던 화춘과 심씨가 본성을 회복하는 매개로 작용한다. 제도를 통한 理의 구현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전공을 통해 화진의 효우는 온전히 승인받는다. 형정과 전공은 화문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인이다. 화춘과 심씨는 자기반성을 통해 화진의 효우를 진정으로 받아들이며, 화문은 가문내적 역량을 갖춘 명가로 복원된다. 또 하나 주목할 지점은 주인공 화진이 국가적 인물로 부상한다는 것이다. 하춘해와 유성희는 그 됨됨이를 알아보고, 국난을 해결할 인재로 화진을 천거한다. 이들은 윤여옥과 더불어 그의 재능과 역량을 신뢰해주며, 충을 구현할 기회를 제공한다. 비록 화진은 효우를 위해 출사했지만, 관료로서 왕 중심의 권력구도에 구심적 역할을 한다. 주인공 화진은 우도와 군신의리에 기반하여 국가적 인물로 부상하며, 화문은 명가의 위상을 확립한다. 이러한 <창선감의록>의 명가 실현의 서사에는 17세기 한당계 벌열 관료가문의 지향의식이 투영되어 있다. 대대로 서울지역에 세거하던 실무 관료 집단인 한당계 벌열은 博學의 개방적 학풍을 추구하며 제도와 국가를 중시하고, 충의 가치와 왕의 권위를 지향한다. <창선감의록>에 투영된 조성기의 지향의식은 한당계 벌열 관료가문의 이러한 경세이념의 자장 안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김조순 집권의 정치사적 조명

        김태희,Kim. Tae-Heui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3 No.-

        김조순의 집권은 정조의 선택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정조는 왜 김조순 또는 안동 김문을 선택했는가? 이즈음 정치세력 내지 정치지형에 나타난 추세를 어떻게 볼 것인가? 정조의 탕평정치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왜 정조가 죽자 세도정치가 출현했는가? 외척 세도는 종래 외척의 전횡과 어떻게 다르며, 군주제적 질서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 정조에 의한 김조순의 집권은 안동 김문의 정치적 승리를 의미했다. 안동 김문은 17세기 이래 주자학적 의리명분론의 상징이었으며, 영조를 즉위하게 한 노론의 핵심이었다. 안동 김문은 정조의 지향에 부합했다. 붕당이 퇴조하고 가문이 정치세력으로 부상했다. 벌열을 중심으로 정치 의 독과점이 추진되어가는 큰 흐름이 있었다. 정조의 탕평은 일시적으로 이를 저지했을 뿐이다. 더욱이 탕평정치의 유산은 노론 벽파가 파괴해버렸다. 노론 벽파가 축출되었지만 정치 참여 축소의 흐름은 결국 세도정치로 귀결되었다. 전제권력을 견제하기 위한 유교정치의 여러 장치가 약화된 가운데, 벌열 의 배경을 지닌 외척 세도가가 비변사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권을 장악했다. 김조순은 자제력과 조정력으로 벌열 중심의 타협과 안정을 이뤘지만, 사족 층의 소외, 서민층의 불만이라는 시대적 문제에 대해 별다른 공업을 남기지 못했다. Kim Jo-soon(金祖淳)'s seizure of power originated from King Jeongjo (正祖)'s choice. Why did King Jeongjo choose Kim and Andong Kim's family(安東 金門)? What trend was seen in politics power change in the late of Joseon(朝鮮)? In spite of King Jeongjo's Tangpyeong(蕩平, Impartiality)-politics, why Sedo(勢道)-politics appeared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 What's difference between the Sedo-politics and usual arbitrariness by the maternal relatives of the King? Which relations the Sedo-politics did have with monarchy order? Kim Jo-soon's seizure of power means the political victory of Andong Kim's family. Andong Kim's family had been the symbol of neo-Confucian justice and cause since 17C. And the family was the core of Noron(老論) who made King Yeongjo ascend the throne. The family accorded with King Jeongjo's orientation. The faction(朋黨) was in decline and Family was rising as political power. There was a growing trend of political monopoly or oligopoly by meritorious families(閥閱). It was stopped temporarily by King Jeongjo's Tangpyeong-politics and that's all. The heritage of King Jeongjo's Tangpyeong-politics was destroyed by Noron Byeok-pa(僻派). Even though Noron Byeok-pa was ousted, the trend of political monopoly or oligopoly resulted in Sedo-politics. The Confucianism-politics system restraining despotic power had been weakened. Meanwhile the influential maternal relatives backed by his meritorious family seized power through Bibyeonsa(備邊司) and it's effective means. Kim made a compromise and calmness among powerful families with self-control and coordination. But he didn't try to cope with alienation of scholar-gentry and complaints of ordinary people. he fail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time.

      • KCI등재
      • KCI등재

        강릉 선교장의 형성과 발전

        차장섭(Cha, Jang-syup)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장서각 Vol.0 No.39

        강릉의 선교장은 ‘만석꾼’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대지주였다. 영동지방은 물론 강원도 일대의 땅 상당부분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선교장이라는 당호에 ‘莊’을 붙인 것은 장원이라는 의미이다. 선교장은 1760년대에 처음 성립된 이래로 200여 년 동안 주인의 의지와 경제적인 배경, 그리고 시대적 변화를 바탕으로 건축적인 확장과 함께 가문의 지위를 상승시켰다. 선교장은 양반이라는 명분보다는 경제적 이익이라는 실리를 선택하였다. 선교장은 과감하게 염전의 운영을 통해 부를 축적하였다. 그리고 이앙법 등 새로운 농업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개간을 통하여 새로운 농지를 확대하였다. 이처럼 선교장은 명분과 체면을 중요시하는 사회적 논리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이익을 가져다주는 경제적 논리를 바탕으로 대장원을 경영하였다. 선교장은 경제적인 부를 바탕으로 가문의 지위를 단계적으로 높여서 閥閱과 동일한 수준에 이르렀다. 첫 단계로 경제력을 바탕으로 납속을 통해 空名帖을 구입하였다. 공명첩에 명시된 직위는 비록은 實職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국가로부터 합법적으로 직위를 인정받는 것이다. 1대 이내번은 공명첩의 구입을 통해 몰락 양반의 위기에 몰린 가문의 양반적 지위를 공고히 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는 것이다. 관직에 나아간다는 것은 경제적인 보장뿐만 아니라 가문과 개인의 지위를 유지 발전시켜주는 가장 좋은 방법이었다. 3대 이후는 적극적인 경영으로 만석꾼의 지위에 오른 다음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러나 두 아들 이용구와 이의구가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그리고 한양 재동에 60칸 주택을 구입하고 居京人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단계는 벌열가문과의 혼인하는 것이다. 婚姻은 자신뿐만 아니라 가문의 지위를 상승시키거나 유지하는데 기능하였다. 4대 이용구의 아들 이회숙과 이회원은 서울에 거주하면서 서울에 거주하는 벌열가문들과 혼인하였다. 이회숙은 당시 벌열가문인 기계유씨의 사위가 되었으며, 이화숙은 반남박씨의 사위가 되었다. 당시 벌열가문과 혼인을 하는 것은 중앙의 주류사회에 편입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선교장의 지위는 경화사족의 수준으로 상승하였다. 넷째 단계는 문집의 간행을 통해 가문의 학문적,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는 것이다. 선교장은 장서와 저술, 출판 등을 통해 가문의 문화적 지위를 높이고자 하였다. 선교장은 지방에서 보기 드문 장서가로 서적의 개방을 통해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그리고 석판인쇄기를 구입하여 문집을 직접 인쇄하여 출판함으로써 학문이나 문화적 수준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과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선교장은 가문의 사회적 지위에 걸맞는 공익적인 의무를 실천하였다. 6대 이근우는 한말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국가를 회생시킬 방안으로 근대학교인 東進學校를 설립하였다. 신식교육을 통해 쓰러져 가는 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울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한일합방 이후에는 국가의 광복을 위해 독립자금을 지원하였다. The owner of Seongyojang was a big landowner who was rich enough to be called ‘Manseokggun,’ which literary means a person who owns fields yielding as much as 10,000 seok of rice. He owned large lands in Yeongdong and Gangwon-do areas, and, tellingly, the ‘jang’ whose meaning is a manor was added to the name of the house Seongyo. Seongyojang was established in the 1760s and developed and expanded through the owners’ resolution and economic background in conjunction with the changes by time period over 200 years. Seongyojang pursued practical interest over rationale of Yangban class. It accumulated a fortune from even running saltpan business, which was not considered to be a decent one. It also expanded landownership of the farming field through irrigation and agribusiness. It established a big manor and managed it by means of business mind and logic rather than social ethics of rationale and decency required to Yangban class. With wealth and fortune accumulation, Seongyojang raised the family status step by step to the level of a meritorious family clan. The first step it took was the purchase of ‘ Gongmyeongcheop.’ The position manifested in ‘Gongmyeongcheop’ was not a real one but significant enough to be legitimately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The first generation of Seongyojang Lee Nae-beon solidified his family clan as Yangban class through the purchase of ‘ Gongmyeongcheop.’ The second step was entering into state ranking officials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 ‘gwageo.’ Becoming a state ranking official was the best way to obtain economic security and establish and upgrade social status of an individual and family unit. After having established the status of ‘Manseokggun’ during the first three generations, Seongyojang family began to take ‘gwageo,’ only to fail. Finally, the fourth generations Lee Yong-gu and Lee Ui-gu passed ‘gwageo’ and entered the officialdom. They bought a big house of 60 rooms in the capital Hanyang and began to live as its residents. The third step was the marriage to families of political power, which was a convenient means of increasing status of oneself and the whole family. Lee Yong-gu’s two sons, Lee Hoe-suk and Lee Hoe-won, married to some families of political power in the capital city. Lee Hoe-suk married to a daughter of the Yoo family of Gigye, while Lee Hoe-won to the Park family of Bannam. Through these marriages, Seongyojang was able to raise its family status to the level of ‘Gyeonghwasajok,’ the gentleman class of Seoul and its suburbs. The fourth step was ostentation of the family’s academic and social status through the publication of family’s anthology. Seongyojang made an effort to improve the family’s cultural status by publishing collection of works. With a vast collection of books, which was rare to a local family, Seongyojang opened its study to the public and became correspondent with scholars. It even printed anthology and published it, boasting that it reached a high level of scholarship and culture. Lastly, Seongyojang fulfilled public good appropriate to the family’s social status. The sixth generation Lee Geun-woo established a modern-style Dongjin School with an ambition of revitalization of its homeland at the turn of the century. The main intention of establishing the school was to raise the talented young generations with new education in order that they would keep their homeland from falling. This family also financed the Korean restoration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평안도의 문화변동과 지역민의 동향

        河明埈(Ha, Myung-j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6 No.-

        18세기 후반 평안도 사회는 종래 京鄕分岐에 입각한 京과 鄕의 양극화된 설명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질적 변화의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평안도는 고조선을 거쳐 고구려와 고려의 도읍지였던 경험과 전통을 가진 지역이었다. 이처럼 일정 부분 ‘京’으로서의 면모를 지니고 새롭게 전개되는 상황 속에서 평안도의 지역 문화와 지역민의 동향도 그만큼 이전 시기에 비해 다른 차원에서 개진될 공산이 커지고 있었다. 이와 관련해서 평안도 사회에서 자기 지역 문화에 대한 전통을 정리·발굴하고 그 가치를 음미하거나 재조명하는 양상이 군현 단위로 강하게 대두하였다는 점이 주목된다. 16세기 말 평양을 필두로 몇몇 군현에서 간헐적으로 편찬되던 읍지가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에는 각 군현마다 고르게 작성되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는 지역 내에서 인물과 재력 등 제반 역량이 갖추어지고,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선양하려는 인식 등이 뒷받침되었기에 성사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군현과 군현 간에 지역사 인식이 충돌하여 평안도 사회에 균열이 야기되는 사태도 발생하였다. 군현마다의 개별적·독자적 문화 성장으로 평안도의 문화 역량이 증대되는 가 운데 道外 다른 지역과의 관계도 재설정되고 있었다. 평안도 유생들은 대체로 18세기 전반까지는 三南地方과의 對比를 통해 지역 사정을 호소하거나 지역의 요구를 제시하곤 하였다. 그러나 경향분기가 극대화되는 추세에 따라 점차 삼남을 넘어 권력이 집중된 서울과의 대결 의식을 전면화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홍경래 난(1811)을 위시해서 19세기 전후에 평안도인에 의해 주도된 각종 반역·반란 사건에서 그러한 면모를 뚜렷이 목도할 수 있다. 그런데 反京勢力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러한 부류와는 달리 체제 내에서의 지위 상승을 도모하는 세력도 존재하였다. 이들은 문과 급제에 부심하고, 족보와 문집 등을 대대로 편찬하면서 외형상 경화사족과 같은 벌열로서의 모습을 구축해 나가다가, 홍경래 난을 맞이해서는 ‘忠義’를 생존전략으로 삼아 反京 활동을 진압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따라서 19세기 전반 평안도 사회를 격동시킨 홍경래의 난은 평안도 지방을 공통 지반으로 하는 反京세력과 忠義세력이 격돌하는 場이 되었다. 여기에서 후자가 승리를 거두게 되면서 忠義는 평안도 사회를 운영·지배하는 강력한 명분과 노선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렇게 향촌 지배권을 장악한 충의세력은 善의 강조와 相互扶助, 지역 적폐를 해소하기 위한 三政策의 제시와 실천 등을 통해 홍경래 난 진압 이후의 지역간 내부 갈등과 분열을 수습하는 자세를 보여주었다. 19세기 후반 평안도 문인의 중앙 진출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었던 계기는 이와 같은 토대에서 마련되고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ivergence between Seoul and other regions("京鄕分岐") in understanding P’yŏngando society, a phenomenon which prevailed throughout 18, 19 century choson, An example can be found in the typical explanation of Hong Kyŏngnae Rebellion as a rebel against central concentration and monopolization of power and wealth. However, Pyŏngan society at that time was not only exposed to the circumstance of 'regional discrimination' but was also undergoing a substantial change following the steps of Seoul. It is fair to say that P’yŏngando was growing to show several aspects of ‘the capital(京)’, and there was increasing probability that regional culture and local movements were about to advance toward another direction. This regarded, it is worthy to note the ascending trend of unearthing and organizing cultural traditions of their regions and of savoring and illuminating their values, which was integrated in the compilation of upji. Upji compilation was possible due to the expansion of human and material capacity and the support of regional consciousness. However the abundance in cultural capacity and the growing individuality of provinces also became a cause of regional diversion and rupture which resulted in numerous conflicts and challenges among provinces. As the gap between Seoul and the other regions widened, Pyongando also started to express a defiant stand against the powerful and wealthy Seoul. This is evident in various rebellions leaded by people of P’yŏngando around 19th century, represented by the Hong Kyŏngnae Rebellion. On the contrary, there was also a group of people seeking an elevation in their social rank inside the existing system(anti-capital forces, 反京勢力). Showing striking resemblances with the central aristocratic family status(閥閱), they made substantial efforts to pass the civil service exam and to compile family genealogies(族譜) and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文 集). They also adhered to a position suppressing the rebellion(‘義兵’) with loyalty(忠義) as their survival strategy. In this view, Hong Kyŏngnae Rebellion in 1811 can be read as a collision of the anti-capital and loyal forces both based on P’yŏngando. The triumph of the later gave loyal forces a strong ground for advancing into the central government while justifying their rule and control over the Pyŏngan society.

      • KCI등재

        우산본 <복선화음록>의 특성 연구

        윤주필 ( Ju Pil Yoon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8

        변형계녀사의 성격을 띠고 있는 <복선화음가>는 아주 많은 이본을 거느리고 있는 유형이다. 그것은 대개 가난한 집으로 시집간 여성이 큰 재산을 모으고 남편과 아들을 성취시킨 후에 혼사를 앞둔 딸에게 훈계하면서 악행으로 패가망신한 괴똥어미 내력을 곁들여 들려주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단락은 치산내력, 계녀훈, 괴똥사설이다. 계녀사라는 이 가사유형의 본래 취지를 가운데 두고 작중화자의 긍정적 경험담과 괴똥어미의 부정적 목격담이 에워싸고 있는 형국이다. 계녀훈의 진실성이 이중으로 보강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전통사회에서 여성의 힘만으로 그같은 치산과 성취를 실제로 이뤄낼 수 있는가? 또 그 목적은 궁극적으로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를 옹호 유지하기 위한 것인가? 이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복선화음가>는 구한말에서 일제초기까지 세 계열로 변모되어 갔던 것으로 판단된다. Ⅰ계열은 액자구조에 충실하면서 개인서사에 초점을 맞춘 기본형이며, Ⅱ계열은 계녀사설에 구체적 행동강령과 생활적 지식을 추가하여 교술적 내용을 확대한 변이형이며, Ⅲ계열은 괴똥사설을 약화시키고 내포화자의 신분을 상층가문으로 바꾸면서 가문서사로 방향을 틀은 또 하나의 기본형이다. 우산본은 대체로 Ⅲ계열의 특징을 극단화하면서 Ⅰ계열보다는 6.5배, ⅡⅢ계열보다는 3~4배로 그 분량을 대폭 늘린 특이한 이본이다. 그것은 부(富)와 귀(貴)를 동시에 성취한다는 새로운 주제의식을 다루면서, 여성의 욕망과 그 충족이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상상해 보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우산본은 일제시대 이후에 창작된 작품으로서 당시의 어휘나 분위기가 곳곳에서 드러난다. 반면 작품내용은 숙종에서 정조까지의 노론 벌열가문을 배경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간극은 사실과 허구의 가상적 결합이라는 우산본 특유의 상상력으로 봉합되고 있다. 그것은 작중화자나 시집식구의 가공적 인물상, 벌열가문의 안살림과 바깥일, 여성의 치산과 문화향유 의식이라는 여러 측면에 일관되게 작용하고 있다. 사실관계에 있어 여러 모순점을 드러내지만 굳이 노론 벌열가문의 가상적 삶을 통해 여성의 부와 귀를 꿈꾸고자 했던 것은 우산본 <복선화음록>의 상상력이며, 이 이본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그러나 우산본은 부의 축적보다 신분의 고귀함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은 <복선화음가>의 여러 계열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결과이다. 부유한 물화를 온전하게 누리는 길은 가정이라는 한정된 범위에서 보장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문제의식으로 제기했다. 물화를 인간 관계 속에서 어떻게 누리고 베풀 것이냐의 문제를 두고 우산본은 전근대적 가치관인 귀족가문으로서의 번영에다가 꿈을 기탁했다. 그러나 벌열가문을 지탱해 줄 물리적, 이념적 보호막이 제거된 일제시대에서 그것은 서술자가 작품 대미에서 스스로 밝혔듯이 한갓 "봄꿈 같은 일"에 불과하다. 하지만 어렴풋하나마 돌파구 비슷한 것이 숨어있기는 하다. 그것은 전통문화와 연희에 대한 여성적 관심과 계승의식이었다. <Bok-Seon-Hwa-Eum-Ga>, which is a type of transformational poetry of advising daughter, have a great many of versions. They have story geneally that a woman to be married to the poor family make fortune, let husband and sons succeed in passing Kwago(科擧), subsequently advise her duaghter just before marriage, accompaning KeoTongMother`s history to go to ruin because of her wrongdoing. Among this story, more important parts are making fortune, advising daughter, and KeoTong history. It is appeared that the original point i.e. advising remarks in this Kasa(歌詞)-type called `poetry of advising daughter`, are surrounded with the interior narrator`s positive story of experience herself and KeoTongMother`s negative story to be observed. The fidelity of that remarks are built up twofoldly. However there are sevral problematic consciousness in this type. In traditional society can really a woman accomplish such making fortune and her family`s succeeding? And are ultimately her aims in order to support male-oriented patriarchal system? In the midst of such consciousness this type <Bok-Seon-Hwa-Eum-Ga> has been derived to three groups from the last period of Choson Dynasty to the first time of Japanese colonialism`s rule. 1st group is one basic sort to sustain picture-frame structure and to focus on individual narrative. 2nd group is a tranformational sort to add practical principles of behavior and knowledges in life, hence to enlarge didactic parts of contents. 3rd group is another basic sort to weaken KeoTongMother`s story, to change the interior narrator`s status to high rank and to shift to family narrative. The version owned by WooSan is very special one to go to extrems in the 3rd group. The quantity is enlarged greatly, 6.5 times 1st group, 3~4 times 2nd or 3rd groups. The version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it develop new theme to accomplish wealth(富) and nobleness(貴) at the same times, hence it imagine in what process for woman`s desire and its fulfillment to be able to realize. Also It has the characteristics formally that it combine facts and fiction imaginatively; it`s story is telling in the context of a distinguished family at the time from King Sukjong to King Jeonjo, on the other hand it was created in the first time of Japanes colonialism, so reflected that time`s cultural atmosphere. Such splits are sewing through Woosan-version`s special imagination of combination with facts and fiction.

      • KCI등재후보

        沈能淑의 문학 세계와 <玉樹記>

        이기대 민족어문학회 2003 어문논집 Vol.48 No.-

        본고에서는 심능숙의 현실 처지와 문학 세계의 변모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옥수기>의 의미를 논하고자 하였다. 심능숙은 벌열 주변의 문인으로 벌열적 성향을 지니지만, 현실적 출사의 어려움 때문에 젊어서는 도선적 세계에 빠지기도 하였다. 이는 자신의 재능을 펼칠 수 없는 현실에 대한 불만을 개인적 도피를 통해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심능숙은 현실 문제에 대한 냉철한 판단보다는 원론적인 수준에서의 인식을 보인다. 이는 <옥수기>에서 벌열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이나 갈등보다는 벌열에 기생하는 현실지향적 인물을 문제삼는 것을 통해 드러난다. 그러면서 현실 문제를 자신의 개인적 재능의 발현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였다. Sim Neung-suk's literature and <Oksugi>

      • KCI등재

        18세기 후반 혜경궁 가문의 정치적 역할과 위상

        이근호 조선시대사학회 2015 朝鮮時代史學報 Vol.74 No.-

        This article is written to review the trend of Hyegyeonggung family in the late 18th. It aims to reconstruct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time and ,at the same time, explain, the trend of Hyegyeonggung family which is classic one of great family in the late choson period. After Hyegyeonggung was selected as Crown Princess Consort, her family’s political role had been more and more emphasized. In this circumstance, Hyegyeonggung’s father, Hongbonghan(洪鳳漢) took lead of Tangpyeong(蕩平) as bureaucrats and regard himself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at that time. After Imohhwabyeon(壬午禍變), although there was controversy about who should took responsibility of it, the members of Hyegyeonggung family including Hongbonghan totally dominated from prime minister to panseo(判書) of six jo, cham-pan(參判) or a member of the Censorate, based on Youngjo(英祖)’s implicit faith. In addition, political situation was taken lead by the power related to Hongbonghan. Literally, it was the political situation leaded by Beolyeol(閥閱). In this situation, political competition about whether the eldest son of the Crown Prince succeeded the throne or not became more and more intensified. Eventually, it caused the difference of political viewpoint between family members. At the end, Hyegyeonggung family faced the crisis when Honginhan(洪麟漢) was declared as offender of political justification right after Jeongjo(正祖) mounted to throne. However, due to Hyegyeonggung, the biological mother of king, the political care about Hyegyeonggung family continued even after Jeongjo’s accession to the throne, with the status of “Womb main family(慈宮本家)”. Under the lead of king, honorable title was given to Hongbonghan, a funeral oration was continually sent to their family and glorious Hyegyeonggung family’s fortune was highlighted. Furthermore, the publication of 『Modang naewae sonlok(慕堂內外孫錄)』 maximized it. On the other hand, Jeongjo utilized this book as a base of Tangpyeongchaek(蕩平策). He expressed that some members related with loyalty were intentionally left out, recruiting beyond political party. And then after, he made members of Hyegyeonggung family participate in Eulmyo(乙卯) year Wonhaeng(園行) and trace of the past associated with Hongbonghan had been organized. What made it possible was the special statues of Hyegyeonggung family, “Womb main family”. 이 글은 18세기 후반 惠慶宮 가문의 동향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조선 후기 門閥의 대표적인 가문인 혜경궁 가문의 동향을 해명함과 동시에 당대 정치사를 재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혜경궁 가문은 혜경궁이 世子嬪으로 간택된 이후 정치적 역할이 더욱 강조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혜경궁의 아버지인 洪鳳漢은 蕩平官僚로서 활동하며, 당대의 “經濟”를 자임하였다. 단, 세자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추진된 濬川 사업을 홍봉한이 주도하는 모습은 思悼世子에 대한 정치적 후원자로서 역할을 포기하였음을 보여준다. 壬午禍變 이후 책임 소재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英祖의 절대적인 신임을 바탕으로 홍봉한을 비롯한 혜경궁 가문의 구성원은 大臣職에서부터 6조의 판서나 참판 및 언관직을 장악하였다. 또한 홍봉한과 관련이 있는 세력들에 의해 정국이 주도되었다. 그야말로 閥閱이 주도하는 정국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왕세손의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정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가문 구성원 사이에서 정치적 입장에 차이를 가져왔다. 결국 정조 즉위 직후 洪麟漢이 義理罪人으로 천명되면서 가문의 위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정조 즉위 이후 국왕의 생모인 혜경궁의 존재로 인해 혜경궁 가문은 “慈宮本家”라는 위상을 갖게 되면서 국왕의 정치적 배려가 계속되었다. 국왕의 주도하에 홍봉한에게 諡號가 내려지고 계속적으로 제문을 보내면서 풍산 홍씨의 혁혁한 가세가 강조되었다. 정조는 『慕堂內外孫錄』의 간행을 통해 이를 더욱 극대화하는 동시에 탕평정치를 위한 기반 구축에 활용하였다. 일부 의리와 관련된 인원은 의도적으로 누락시키되 당파를 초월하여 등재하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이후 을묘년 원행에 구성원들을 참여시키고, 홍봉한 관련 사적을 정리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혜경궁 가문이 “자궁본가”라는 특수한 위상 때문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