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이 법적 의사결정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정진철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2009 법과인권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최근 사회과 법 교육에서 강의식 수업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논쟁문제 수업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법적 분쟁상황에서의 문제해결력, 기본적 인권을 존중하는 태도의 함양 등 법적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논쟁문제' 와 '논쟁문제수업' 의 개념과 '의사결정' 과 '의사결정능력' 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법적 의사결정능력' 의 개념 정의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논쟁문제 수업이 사회과 교육의 목표를 탄생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 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로 논의할 내용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첫재, 법적 의사결정능력의 개념 정의의 단초의 제공이다. 여기서는 아직 국내 학계에서는 활발하지 않은 개념 정의의 시도를 통하여 효율적인 법교육 목표를 탐색하고자 한다. 둘째, 논쟁문제 수업이 법적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연구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군산여자고등학교 2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눈 후, 법에 대한 사전 지식 및 문제해결력, 인권존중 태도 등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집단에는 논쟁문제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강의식 수업을 각각 6차시 동안 하였으며, 법단원의 학업성취도, 법적 분쟁상황에서의 문제해결력, 기본적 인권 존중태도를 알아보는 사후검시를 시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사전검사정수와 사후검사정수를 t 검증을 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사회과 법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논쟁문제 수업 모형 및 예시 자료 제공이다.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논쟁문제를 예시로 제공하여 일선 사회과 교사들의 고민을 덜고자 한다. 넷째, 법교육 분야에서 법 가치교육의 강조이다. 법 지식과 법 기능이 뛰어나더라도 결국 가치가 올바르지 못하연 정의로운 사회가 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따라 법 가치교육에 대한 관심 제고를 들 수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물리교사의 예제문제에 대한 인식

        조은하(Cho Eun Ha),신승희(Shin Seung hee),김성원(Kim Sung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8

        물리교육에 있어서 많은 학생들은 물리를 어렵다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물리 개 념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교사들은 학생의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시켜주기 위해 물리수업에서 예제 문제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물리교사의 예제문제에 대한 인식을 알기 위해 예제문제 활용 이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에서 활용하는 예제문제의 유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물리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 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 물리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예제문 제 활용의 효과는 학생들의 물리 개념 이해 도움, 예제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 의 물리 개념의 이해 정도 파악, 학생들에게 물리 개념과 공식의 적용 방법 제시, 학 생들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이상적인 접근 방법 제시, 학생들에게 물리 내용의 이해 기준 제공이었다. 교사들이 수업에서 활용하는 예제문제 유형은 개념학습 예제문제 와 탐구학습 예제문제로 구분되며, 개념학습 예제문제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요구되 는 수행방법에 따라 양적 수행 예제문제와 질적 수행 예제문제로 분류된다. 이에 비 해 탐구학습 예제문제는 양적 수행과 질적 수행이 동시에 요구되는 예제문제이다.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applying worked-out examples through contemplating the application of worked-out examples and their effect on teaching and learn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of 12 physics teachers who teach in high schools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mainly fiv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worked-out examples recognized by teachers. First, the worked-out examples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physics. Second, it can be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Third, it suggests a way to apply the notion and formulas of physics. Fourth, it suggests the ideal way of problem-solving for the students. Fifth, it provides the standard for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he worked-out examples utilized by the teachers can be classified depending on their meaning and characteristics. Worked-out examples used by teachers are mainly divided into those for concept learning and those for inquiry learning. Depending on the executive methods required for the problem-solving procedure, the worked-out examples are subdivided into quantitative-executive worked-out examples and qualitative-executive worked-out examples. Lastly, worked-out examples for inquiry learning process require both quantitative-executive and qualitative-executive by including the research study in worked-out examples with experimental executive procedure and outcome data, which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entire process from discovering the problem to generalization.

      • KCI등재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

        정영환(CHUNG YOUNG-HWAN) 한국법학원 2016 저스티스 Vol.- No.157

        본고는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 - 재판제도/재판권/연방문제재판권을 중심으로 -’라는 제목으로 미국의 재판제도 일반과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 일반 및 연방법원의 물적 재판권 중 연방문제재판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미국의 재판제도 일반을 보았다. 연방 재판제도의 목적과 당사자주의(the adversary system)을 본 후에 연방과 주(州)의 재판제도와 판사의 임명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 일반에 관하여 보았다. 연방법원의 재판권은 크게 물적 재판권(Subject Matter Jurisdiction)과 인적 재판권(Personal Jurisdiction)으로 나뉜다. 물적 재판권은 다시 ‘연방문제재판권(Federal Question Jurisdiction)’, ‘주(州)가 다른 주민 사이의 소송에 있어서 재판권(Diversity Jurisdiction)’과 ‘관련재판권(Supplemental Jurisdiction)’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인적 재판권에 있어서는 개인의 주소지(domicile), 회사의 설립지 또는 사업근거지, 특별한 입법에 의한 경우(Long-Arm Statutes), 최소한의 접촉이론(Minimum Contacts) 등 다양한 재판권의 원인이 되는 문제들이 논의된다. 연방법원의 재판권 일반에서는 연방법원의 재판권에 관한 종류 및 개념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설명하였다. 그 이후 연방법원의 물적재판권 중 하나인 연방문제재판권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연방문제재판권은 연방헌법 제3조 제2항, 28 U.S.C. 제1331조에 규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해석상 문제되는 것은 ‘연방법 하에서 발생하는(arising under federal law)...’ 것의 의미, 그것의 헌법적 한계, 판례에 기초하여 정립된 ‘소장 자체에 잘 주장되어야 한다는 원칙(The Well-Pleaded Complaint Rule)’과 그 이후의 구체적 적용에 관하여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미국 연방법원의 재판권에 관한 논의가 우리나라 재판권제도에 대하여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Under the title of ‘Jurisdiction of the U.S. Federal Courts’, this article introduces overall court proceedings in the U.S.; jurisdiction of the U.S. Federal Courts; and Subject Matter Jurisdiction in the U.S. Federal Court, specifically about Federal Question Jurisdiction. To understand jurisdiction of the U.S. Federal Courts, one needs to know about overall court proceedings in the U.S. As an effort to explain about the court system general, this article introduces purposes of the U.S. federal civil procedure and its adversary system. Then, it further explains about court proceedings of the state courts and federal courts, and about how judges are appointed in each court system. After providing such explanation of the U.S. court system, this article deals with jurisdiction of the U.S. Federal Courts, dividing it into two categories: Subject Matter Jurisdiction and Personal Jurisdiction. With respect to Subject Matter Jurisdiction, this article describes how Federal Question Jurisdiction, Diversity Jurisdiction, and Supplemental Jurisdiction play out. For Personal Jurisdiction, this article examines various issues related to basis of personal jurisdiction, such as, domicile, corporation’s place of establishment or place of principal office, Long-Arm Statutes, and Minimum Contacts. By touching these issues, this article aims at providing general understanding of types and concepts of jurisdiction of federal courts. After that, this article examines more specifically about Federal Question Jurisdiction, which is one type of the Subject Matter Jurisdiction, and regulated by U.S. Constitution Article 3 Section 2 and 28 U.S.C. Section 1331. Regarding interpretation of such rules, two issues have been raised: meaning and Constitutionality of the language, “arising under federal law,” an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Well-Pleaded Complaint Rule.” This article reviews these issues through analysis of U.S. Supreme Court cases. Lastly, this article analyzed what implications discussion on jurisdiction of U.S. Federal Courts has for Korean jurisdiction system.

      • KCI등재

        Applying a p-median algorithm to zone design problems

        Young-Hoon Kim 한국지도학회 2009 한국지도학회지 Vol.9 No.2

        p-median 문제는 복잡한 공간문제, 특히 시설물 입지선정에 있어 최적 지점과 해를 탐색하는데 적용되어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p-median 문제해결에 적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또 다른 공간최적화 문제중의 하나인 구역설정문제(zone design problem)의 적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구역설정문제는 인구센서스 구역 계획, 학군설정, 및 선거구 획정과 같은 공간단위와 관련된 다양한 현실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 지리적 탐색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스 구역 설정문제와 연관하여 p-median 문제해결에 적용되어 온 대표적인 알고리즘과 Cooper 탐색 휴리스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센서스 집계구(census output areas)를 대상으로 가상적인 구역들을 설정하여 설정과정에서의 p-median 알고리즘의 탐색 결과와 향후 구역설정문제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P-median problem has been found to provide optimal solution in a wide range of spatial complexity problems, especially facility location problems. In this paper, the p-median algorithm has been used to deal with the complex problem of zone design. The zone design problem comprises a large number of geographic tasks, from which census zone redistricting, electoral districting, school zone planning. In this paper, a formalization of the census zone problem, suitable for processing by the p-median algorithm is described, and its solution heuristic is tested for different zoning cases. Cooper’s search heuristic, suited to the p-median algorithm is presented together with a p-median objective function. A practical real world example with census output areas is given and test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median approach.

      • KCI등재후보

        알코올 문제를 가진 보호관찰대상자의 효과적 지도 방안

        이옥선 한국보호관찰학회 2012 보호관찰 Vol.12 No.1

        음주는 더 이상 개인의 문제는 아니다. 음주에 따른 가정폭력, 실직에 따른 가정의 경 제적 어려움, 음주에 따른 범죄와 관련한 법적 문제, 사회적 수습 비용 등 음주는 사회 적 문제에 이르렀다. 음주를 더 이상 개인적 통제력의 문제에 맡길 것이 아니라 사회적 제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수강명령 프로그램은 집단 중심의 강의 교육이 주 이루고 있으며 교통사범의 경우 일반 단순 교통사범과 문제 음주자와의 구별이 이뤄지지 않은 채 공통 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며, 단순 교통사범과는 달리 문제음주의 경우 개인의 개 선 의지도 낮을 뿐 아니라 개인적 의지만으로는 쉽게 개선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재범률 이 높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현재 수강명령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개별화된 프로그램의 시행을 통해 재범 억제 효과를 예측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음주관련 문제를 지닌 보 호관찰대상자의 개별화된 프로그램의 시행을 통한 재범억제정책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 한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음주와 범죄의 실태를 면밀히 조사 한 후 음주가 가정폭력, 폭력, 그리고 음주운전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관성을 분석하고 보고하고자 한다. 나아가 보호관찰대상자들이 음주 문제의 심각성을 간파하고 획기적인 개별교육프로 그램을 통해 대상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음주의 심각성을 집중 교육을 통해 일깨워 개인적인 각성의 기회를 갖게 하고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 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한 변의 중점과 다른 두 점이 주어진 삼각형 작도문제의 해결에 대한 연구

        한인기,이정순 한국학교수학회 2009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세 점이 조건으로 주어진 삼각형의 작도문제들 중에서 해결과정이 삼각형의 외접원 작도와 관련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이들 작도문제 해결과정을 분석하여, 작도문제들 사이의 연결성을 밝혀 작도문제들을 체계화시켰다. 특히 Davydov의 이론적 지식에서 구체화의 개념을 바탕으로, 작도문제들이 일관된 체계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이론적 지식의 구체화의 과정, 작도문제 해결의 교수학적 활용, 교수학적 의의에 대한 폭넓은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학생들의 창의적 수학탐구 활동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관련요인: 2018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이래혁(RaeHyuck Lee),장혜림(Hae-Lim Chang),이재경(Jaekyoung Lee) 한국보건사회학회 2019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1

        본 연구는 돈내기 게임 경험이 있는 학교 및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관련요인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건강증진 모형(ecological health promotion model)을 기반으로 2018년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이차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조사시점 기준 지난 3개월 동안 돈내기 게임을 경험한 학교 청소년 5,080명과 학교 밖 청소년 510명 이었고, 문제도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도박문제 심각성 척도를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 및 문제 수준의 도박을 경험한 학교 청소년은 22.3%, 학교 밖 청소년은 50.4%였다. 둘째, 이와 같은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된 요인은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간에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학교 및 학교 밖 청소년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된 요인은 성별, 부모 동거 여부, 용돈 수준, 가족 간 대화 수준, 주변 도박자 유무, 예방교육 경험 여부였다. 반면, 주변 도박장 유무와 도박문제 인식 수준은 학교 청소년의 문제도박 수준과 학교 밖 기관 유형은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문제도박 예방 및 개입에 필요한 실천적·정책적 전략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 gambling among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who experienced betting games. For the purpose, based on the ecological health promotion model, this study conducted secondary data analyses by utilizing the raw data of the 2018 Survey on Youth Gambling Problems. The analytic samples of this study were 5,080 school and 510 out-of-school adolescents, respectively, who experienced betting games during the last three month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urvey, and the Gambling Problems Severity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2.3% of school adolescents and 50.4% of out-of-school adolescents experienced at-risk or problem gambling. Seco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differed between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Factors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consistently for both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gender, whether to live with parents, average amounts of allowance, levels of family communication, whether to live in a neighborhood with gamblers, and whether to receive education to prevent gambling problems. However, whereas whether to live in a neighborhood with gambling places and levels of perceiving gambling problems were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for school adolescents, the type of supporting institutions was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for out-of-school adolesc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e and policy strategies to deal with and prevent problem gambling among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수학 문제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성건,박만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수학 교육과정을 근거로 개발한 문제만들기 활동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만들기 활동을 하도록 하여 문제해결력과 수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반은 서울시의 J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문제만들기를 실시하고 비교반은 같은 기간 동안 문제만들기를 실시하지 않고 일반적인 교수?학습만을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로서는 문제해결력 검사와 수학 학습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각각 t검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학 문제만들기를 적용한 반이 문제해결력 향상에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수학 문제만들기를 적용한 반의 수학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결론으로, 학생들은 문제만들기를 통하여 문제를 충분히 이해하고 분석하게 되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력을 갖게 되고,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만들고 재구성하면서 수학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어 수학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문제해결 구조에 기반한 읽기,토론,쓰기의 창의성 이해 ― 영남대 「명저읽기와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

        김기호 ( Ki Ho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문제해결의 인지모형을 기반으로 읽기와 토론, 그리고 쓰기의 창의성을 분석하고 이것의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읽기와 토론, 그리고 쓰기의 과정은 문제해결의 구조와 같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제해결의 구조는 문제 상태(A), 중간 상태(B), 목표 상태(C)로 관계화되고 있으며, 읽기와 토론, 그리고 쓰기의 과정도 이들 세 단계로 관계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문제해결의 구조적 상동성에 기반을 한 읽기와 토론, 그리고 쓰기의 창의성 생성 방식을 확인하였다. 읽기의 경우 <제시된 문제>와 문제해결 요소들의 새로움(unique)이 목표상태인 신의(新意)를 결정하였으며, 토론의 경우 <발견된 문제>의 새로움(unique)과 문제해결 요소들의 새로움(unique)이 목표 상태인 변증법적 이해를 결정하였으며, 그리고 쓰기의 경우 <발견된 문제>의 새로움(unique)과 문제해결 요소들의 새로움(unique)이 재구조화된 주제의 창의적 표현을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읽기와 토론, 그리고 쓰기의 창의성생성 방식이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하여 함의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논의하였다. 통합 교육과 관련하여 ‘읽기’와 ‘토론’, 그리고 ‘쓰기’는 7가지의 활동 가능성을 띠는데 가장 이상적인 것은 ‘읽기-토론-쓰기’의 통합 활동이라고 보았다. 읽기, 토론, 쓰기는 각각 구조적 독립체이기 때문에 통합 교육에서 대등한 관계로 인식하여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창의성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간 상태(B)의 수단들을 적극 발굴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각 구조의 문제 유형이 <제시된 문제>인지 <발견된 문제>인지에 따라 목표 상태가 결정됨으로 문제유형을 명확히 하는 교육이 요청된다고 주장하였다. In this study, the creativity of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based on cognitive models of problem solving is explained and the underlying educational meaning is analyzed. First of all, it is found that the process of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is the same with that of problem solving structure. In the structure of problem solving, the problem state (A), the intermediate state (B), and the goal state (C) are interrelated, and the process of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is also composed of these three related states. Secondly, the formation of creativity of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based on the structural homology of problem solving is analyzed. In reading, the uniqueness of a given problem and the elements of problem solving determines the new meanings, the goal state. In discussion, the uniqueness of a found problem and that of problem solving elements determine the dialectical understanding of the goal state. In case of writing, the uniqueness of a found problem and that of problem solving elements determine the creative expression of restructured themes. Finally, the study examines what the formation of creativity of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can suggest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promoting creativity.

      • KCI등재

        초등학생의 논쟁문제 인식에 관한 연구

        구정화(Jeonghwa K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관심에 기초하여 사회과 논쟁문제 주제를 유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러한 유형에 따라 논쟁문제 관심도와 토론수업의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초등학교 4, 6학년 학생 1,11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보이는 관심을 고려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논쟁문제 주제를 분류한 결과‘초등학생이 가까이 접하기 어려운 문제’와‘초등학생이 가까이 접하기 쉬운 문제’두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접하기 어려운 문제’에 비하여‘접하기 쉬운 문제’에서 초등학생들의 관심도나 심각성, 중요도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접하기 쉬운 문제’에 속하는 논쟁문제 관심도와 토론수업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변인은‘논쟁문제수업 참여의지’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논쟁문제에 대한 일상적 관심’으로 나타났으며 둘다 정적인 베타값을 보였다. 넷째, ‘접하기 어려운 문제’에 속하는 논쟁문제 관심도와 토론수업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변인은‘논쟁문제에 대한 일상적 관심’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논쟁문제수업에서의 토론참여’이며 둘 다 정적인 베타값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친‘성별’에서는 부적인 베타값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statistically analyze a model for the awareness of controversial issues of elementary students, using the data from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s 1,115 4th and 6th grad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ird findings of special interest emerged. First, there are the 2 types of controversial issues, one type is ‘controversial issues that close to every day life’, the other type is ‘controversial issues that far from every day life’. Second, ‘students’ everyday life interest in controversial issue’ and ‘students’ participation in issuecentered instruction’had high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awareness of ‘controversial issues that close to every day life’. Finally, ‘students’ participation in issue-centered instruction’, ‘students’ everyday life interest in controversial issue’, and ‘sex’ had high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awareness of ‘controversial issues that far from every da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