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7세기 초 신라의 對隋 군사외교에 대한 재검토 : 圓光 乞師表의 사실성 검증을 중심으로

        윤경진(Yoon, Kyeong Jin)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1 동국사학 Vol.71 No.-

        이 논문은 圓光의 乞師表 사적이 후대에 가공된 것이며, 신라의 對隋 請兵 또한 실재하지 않았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걸사표를 출발점으로 하는 7세기 신라의 대중국 군사외교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의 첫걸음이 된다. 신라의 대수 청병은 『隋書』에는 보이지 않으며, 당시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도 청병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 아니었다. 원광의 걸사표는 본래 그의 儒學 이해를 보여주기 위해 對唐 청병과 强首의 사적을 모티브로 가공한 것이며, 그의 활동 시기에 맞추어 對隋 청병으로 정리되었다. 그 원전인 신라의 『殊異傳』은 고려에서 金陟明, 朴寅亮 등에 의해 改作 내지 潤 文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불교 계율보다 국가를 우선하는 그의 답변 내용이 생성되어 추가되었다. 『삼국사기』는 백제의 청병 사적에 맞추어 청병과 수 양제의 허락을 608년과 611년에 나누어 넣었는데, 608년은 607년의 편집 오류로 파악된다. Confirmed in this article is the fact that the story of “Weon’ gwang(圓光)’s Geolsa-pyo(乞師表, the Appeal for a Military Relief)” is actually a false one, fabricated during later periods, and that Shilla never asked the Chinese Su(隋) dynasty for military troops and aid. This new confirmation requires us to reexamine the Shilla dynasty’s history of military diplomacy with the Chinese dynasties in the early 7th century, which has been believed to have initiated with Shilla’s said ask for a Chinese military relief. The supposed fact of Shilla asking the Su dynasty to dispatch military troops cannot be found from Suseo(隋書, The Official History of the Su Dynasty), a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Shilla at the time, it does not seem likely that Shilla was in need of a foreign military aid. The story of Weon’gwang’s Geolsa-pyo appeal was apparently modeled after the story of Gang Su(强首) who had earlier asked troops from the Chinese Dang(唐) dynasty, and set during his lifetime, in an effort to emphasize Weon’gwang’s expertise in Confucianism. The original text, Shilla’s Su’i-jeon(殊異傳), was rewritten(or supplemented) by Kim Cheok-myeong(金陟明) and Park In-ryang(朴寅亮)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in the process Weon’gwang’s “response” -of a nature prioritizing the state’s welfare than Buddhist teachings- was newly created, and added to the original text. Then, based on this fabricated story, Samguk Sagi documented Shilla’s supposed request for troops as well as Su Emperor Yangje’s authorization of dispatching them, in the entries(years) of 608 and 611 respectively, of which the former seems to be an error of 607.

      • KCI등재

        『수이전』지은이에 대한 남북의 관점과 제3의 시각

        김종군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1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author of Suijeon, which occupies the forefront of the history of narrative literature in Korea. To this end, I would like to compare and review the author's debates that have been discussed in the inter-Korean academia, and approach the reality of Kim Cheok-myung from a third perspective on the author. Regarding the author of Suijeon, South Korean academics recognize that the author of Shilla Suijeon is Choi Chi-won, while Suijeon in Goryeo was edited by Park In-ryang, and it is posited that Kim Cheok-myung reworked some works. In contrast, North Korean academia recognizes Choi Chi-won as only the author of “The Tomb of Two Women” among Shilla Suijeon, and holds that many works were newly created and compiled while Park In-ryang reworked and supplemented Shilla Suijeon. In the North Korean academic circle, Kim Cheok-myung was mentioned only in one kind of literary history, In later descriptions, many writers participated in the rewriting of Suijeon, and Kim Cheok-myung was excluded from the description. The discussion on the author of Suijeon in the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a is the result of strictly observing the literature records. Nevertheless, the reason that North Korean academics exclude Kim Cheok-myung, who is mentioned in the Samguk Yusa as a prospective author and categorize it as having been written by “many writers” seems to be that no evidence of Kim Cheok-myung’s authorship can be found even while comparing historical documents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find a new answer to these doubts, among the articles of Lu In-ryang included in the Cheongpa Jabji of Juwhi of the Song Dynasty in China, I tried to suggest a third perspective that he could be Park In-ryang = Kim Cheok-myung, focusing on the fact that his courtesy name was Cheok-myung. In order for this reasoning to gain strength, the fact that Cheongpa Jabji was introduced to Goryeo before the compilation of Samguk Yusa and the circumstance in which Ilyeon encountered it must be studied.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우리 서사문학사 벽두를 차지하는 수이전 의 지은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남북 학계에서 논의된 지은이 논쟁을 비교 검토하고, 지은이에 대한 제3의 시각으로 김척명의 실체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한다. 수이전 지은이에 대해 남한 학계에서는 신라수이전 의 지은이는 최치원으로 인정하고, 고려의 수이전 은 박인량이 편찬하였는데, 김척명이 일부 작품을 개작하였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에 비해 북한의 학계에서는 신라수이전 가운데 <쌍녀분(두 녀자의 무덤)>에 대해서만 지은이를 최치원으로 규정하고, 박인량이 신라수이전 을 개작 증보하면서 많은 작품들은 새롭게 창작해 편찬했다고 보는 시각이다. 북한 학계에서는 김척명에 대해서는 문학사 한 편에서만 언급하였고, 이후의 서술에서는 다수의 작가들이 수이전 개작에 참여하였다 하면서 김척명을 서술에서 배제하는 입장이다. 남북 학계의 수이전 지은이에 대한 논의는 문헌 기록을 철저히 준수하면서 도출한 결과들이다. 그럼에도 북한 학계에서는 삼국유사 에 언급된 김척명을 지은이에서 배제하고 ‘다수의 작가’로 범주화하는 이유는 기록 문헌을 서로 비교하는 가운데서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의구심을 새롭게 구명하고자 중국 송대 주휘의 청파잡지 에 수록된 루인량의 기사 가운데, 그의 자가 척명이라는 데 착안하여 박인량=김척명일 수 있다는 제3의 시각을 제시해 보았다. 이 추론이 힘을 얻기 위해서는 청파잡지 가 삼국유사 편찬 전에 고려에 유입된 사실과 일연이 이를 접했다는 정황이 포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해동고승전』 원광전의 찬술과 사학사

        곽승훈(KWAAK Seung Hoon)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1

        Gak Hun(覺訓) wrote Wonkwang Chon(圓光傳) of Haedong Kosung Chon(『海東高僧傳』), by consulting Hsu Kao-Seng Chuan(『續高僧傳』), Wonkwang Bopsa Chon(「圓光法師傳」) by Kim Chok-myong(金陟明), and Samguksagi(『三國史記』). Wonkwang Bopsa attained Buddhahood while studying in China, which was demonstrated in his novel and peculiar act of Banggwang(放光) when he was tied up by the Sui(隋) forces and that of Dugwang(頭光) when he treated the illness of King Chinpyong(眞平王). Gak Hun thus emphasized the greatness of Buddhism eventually. Wonkwang Bopsa excelled in the study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including Confucianism and Lǎo Zhuāng and the study of Buddhism including the Seongsil(成實) and Seopron(攝論), thus being able to teach and reform people according to their talent and generosity. He taught Kwisan(貴山) to be discriminating about taking of life, and it was the same as the case of respect for life by T'āng(湯) and Kongzi and makes a good example of it. Gak Hun thus demonstrated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Wonkwang Bopsa drew up diplomatic documents including Geolsapyo(乞師表) for the country and taught the Five Commandments for Laymen(世俗五戒) to Hwarangs(花郞). He also treated the illness of the king, who, in turn, provided him with offerings heartily. Gak Hun proposed an ideal aspect of National Buddhism through Wonkwang's activities to protect the country and the king's protection of Buddhist teachings. On his way back to Silla, Wonkwang Bopsa met a King Dragon living in the Yellow Sea, who asked him to build a Buddhist temple in Chakgap(鵲岬) for him and pray for his fortune. Wonkwang thus established Unmun Temple in Chakgap and stayed there. When the Cheongdo(淸道) area had a drought, he instructed the female dragon(龍女) to bring rain to the area. By telling those episodes, Gak Hun revealed that Wonkwang Bopsa built Unmun Temple(雲門寺) in the Cheongdo area and educated people there. Wonkwang Bopsa always received assistance from the Sansin(山神) of Samgisan(三岐山), who recommended him to study in China and learn Altruistic Action(利他行). As a result, he had a realization and returned back, offering him the Bodhisattva ordination and paying him back. The episode shows that Buddhism replaced Shamanism and settled down in Silla and that Silla moved forward toward active Mahayana Buddhism. Gak Hun thus actively highlighted the position of Wonkwang in the history of Silla Buddhism. 覺訓은 『續高僧傳』, 金陟明의 「圓光法師傳」, 『三國史記』 등을 참고하여 『海東高僧傳』 원광전을 찬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훈은 원광의 출가와 수행, 중국 유학과 雲門寺 창건, 중생 교화와 호국활동, 그리고 여러 가지 神異 등을 수록하였다. 圓光法師는 중국 유학을 통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렀는데, 隋나라 군사에게 포박되었을 때 나타난 放光의 神異와 진평왕의 질병을 치료할 때 나타난 頭光의 神異 등이 그렇다. 이로서 각훈은 결국 불교의 위대함을 역설하였다. 원광법사는 유학과 老莊 등 諸子百家의 학문과 成實 攝論 등의 불교 교학에도 뛰어났다. 그래서 중생을 가르칠 때에도 사람들의 根機에 맞게 교화할 수 있었다. 貴山에게 가르친 殺生有擇이 湯王과 孔子가 생명을 존중한 사례와 같은 것으로서 그 적절한 예가 된다. 이를 통하여 각훈은 유불의 조화를 나타내었다. 원광법사는 나라를 위해 乞師表를 비롯한 외교문서를 지었고, 화랑에게는 世俗五戒를 가르쳤다. 또한 국왕의 질병을 치료하였고, 왕은 그에 보답하여 정성껏 공양하였다. 이같이 국왕의 佛法 보호와 원광의 호국활동을 통하여, 각훈은 이상적인 국가불교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원광법사는 귀국 도중 海龍을 만나 자신을 위해 鵲岬에 절을 짓고 복을 빌어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이에 작갑에 雲門寺를 창건하고 머무른다. 또 淸道 지역에 가뭄이 들자 龍女를 시켜 비를 내리게 한다. 이로서 각훈은 원광법사가 청도 지역에 운문사를 창건하고 교화한 사실을 드러내었다. 원광법사는 三岐山에서 神의 도움을 받고 또 利他行을 배우기 위해 중국 유학을 권유받는다. 이후 법사는 깨달음을 얻고 귀국하여 神에게 授戒한다. 이는 신라에서 巫佛교체가 이루어져 불교가 정착하고, 또 적극적인 대승불교로 나아가는 상황임을 알려준다. 이로서 각훈은 신라불교사에서 원광의 위치를 적극 부각하였다. 끝으로 사학사상에서 볼 때, 원광의 전기 서술은 신라시대에 그의 활동과 사상이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고려시대에는 기존 내용에 운문사의 창건연기가 추가되었다. 이는 불교사 서술 경향이 신라시대의 高僧 중심에서 고려시대에는 宗派나 寺刹 중심으로 변화되었음을 알려준다. 그것은 통일신라시대 국가의 교단 아래 종파불교가 성장하여 계승되었다면, 고려시대에는 어느덧 각 종파의 규모가 교단을 이루어간 때문이라 판단된다. 그에 따라 사찰에서는 역사적 전통성을 강화하는 노력이 경주되었다. 그 결과 고려 후기 불교사학사에는 자연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고, 『해동고승전』이 바로 그 중심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고려시대 운문사 창건연기의 변천과 역사적 의의

        곽승훈(Kwaak Seung Hoon)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0

        고려 전기 金陟明이 지은 「圓光法師傳」에 따르면, 운문사는 원광법사가 자신을 위해 절을 짓고 복을 빌어달라는 海龍의 부탁으로 창건되었다. 또한 절 이름을 운문사라 하였다. 仁宗代 國師를 지낸 學一은 雲門寺로 下山하여 머무른다. 그는 天台宗으로 귀의하라는 義天의 권유를 끝내 거부하고 禪宗 승려로서의 절개를 지킨다. 얼마 뒤 1161년 淸道郡 戶長들이 편찬한 『郡中古籍裨補記』에 따르면, 운문사는 鵲岬에 절을 지으면 護法賢君이 나와 후삼국을 통일할 것이라는 海龍의 권유를 받아들여 寶壤禪師가 창건하였다. 그리고 절 이름을 鵲岬寺라 하였는데, 운문사는 고려 太祖가 賜額한 이름이다. 이는 운문사의 창건자가 교종 승려인 원광이라는 이전의 주장을 선종 승려인 보양선사로 바꾼 것이다. 1277년 운문사 住持로 부임한 一然은 운문사 관련 사적을 열람하고, 김척명의 저술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한다. 일연에 따르면, 그의 저술은 『고본수이전』 원광전을 바탕으로 지었는데, 여기에는 원광이 운문사를 창건한 이야기가 없다. 또 고려 초 청도군에서 작성한 공문서에 의하면, 보양선사가 운문사 주지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된다. 따라서 김척명의 저술은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 나아가 일연은 그것을 考證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인 각훈 역시 잘못이라고 비판한다. 그렇지만 여기에는 일연이 선종승려라는 입장도 반영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운문사의 창건자와 創建 緣起가 바뀌는 것은 아무래도 불교사의 흐름은 물론 종파간의 경쟁에서 나온 듯하다 According to Wonkwang Bopsa Chon(「圓光法師傳」) written by Kim Chok-myong(金陟明), Unmun Temple(雲門寺) was founded by Buddhist monk Wonkwang Bopsa(圓光法師) at the request of a King Dragon(海龍, which lives of Yellow sea) that the monk build a temple and pray for him. The temple was named Unmun Temple by the monk. Hak Il(學一), a national priest during King Injong(仁宗)'s reign, went into and stayed at Unmun Temple. He refused Uicheon(義天)'s recommendation to convert to Tiantai Buddhism and remained faithful to Zen Buddhism to the end of his life. According to Gunjung Gojeok Bibogi(『郡中古籍裨補記』) published by local gentry in Cheongdogun(淸道郡) in 1161, Unmun Temple was build by Boyang Sonsa(寶壤禪師) at the recommendation of a King Dragon that a temple be built in Chakgap(鵲岬) for the emergence of a wise king who protects Buddhism and unifies Later Three Kingdoms. Boyang Sonsa named the Chakgap Temple(鵲岬寺). The name Unmun Temple was granted by King Taejo(Wang kon). This indicates that the founder of Unmun Temple is non-Zen Buddhism monk Wonkwang Bopsa but Zen Buddhism monk Boyang Sonsa. Ilyon(一然), the Buddhist monk appointed as the head priest of Unmun Temple in 1277, read books and documents on Unmun Temple and found out there was something wrong with the book by Kim Chok-myong. According to Ilyon, Kim's book was based on "Wonkwang chon" in Gobon Sui Chon(『古本殊異傳』), which did not say Wonkwang established Unmun Temple. Furthermore, official documents written by Cheongdogun in the early of Koryo period confirmed that Boyang Sonsa served as the head priest of Unmun Temple. Kim Chok-myong's book, therefore, was not in line with the historical fact. Ilyon also criticized Gakhun(覺訓) for accepting Kim's work as true without investigation. Ilyon's position as Zen monk is considered to contributed to this, too. In this respect, the difference in the founder and caused of foundation for Unmun Temple seems to have been originated by competition among denominations within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