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北斗-日月’ 표상의 원형 연구

        鄭景姬(Jung Kyung-hee)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6

        한국 밝사상(천손사상)의 기반 이론인 ‘一?三?九論(三元五行論)’에서는 모든 존재의 본질로서 북두칠성 근방에서 시작된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에너지인 ‘1氣(3氣), 삼신하느님(삼신할미, 마고할미), 天符’를 제시한다. 이는 ‘미세한 소리와 파동을 지닌 빛(밝음)’으로 이것이 한국 상고 이래 밝사상에서 이야기하는 ‘밝음’의 실체이다. 배달고국 홍산후기문화에서는 ‘일?삼?구론(삼원오행론)‘에 대한 배달인들의 인식을 담은 ‘1기’, ‘3기’, ‘음양 2기’, ‘1기(3기)-음양’, ‘5기’, ‘9기’형 표상이 나타나는데, 이들중 특히 ‘1기(3기)-음양’ 및 ‘음양’ 표상은 공히 존재의 본질인 ‘1기(3기)’의 음양 이원적 분화 방식을 표현하되, ‘1기(3기)-음양’ 표상은 ‘1기(3기)’의 중심점을 드러내며, ‘음양’ 표상은 ‘1기(3기)’의 중심점을 드러내지 않은 표현상의 차이를 지녔다. 배달고국 이래 ‘1기(3기)-음양’ 및 ‘음양’ 표상은 ‘북두-일월’ 및 ‘일월’ 표상으로도 표현되었다. ’1기(3기)‘는 우주의 중심점인 ’북두칠성‘ 근방에서 시작된 근원적인 생명에너지이기에 ’북두칠성‘으로도 표현되었으며, 또한 북두칠성에 버금가는 존재로 현실적으로 사람들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월은 대표적인 ‘음양’ 상징물이었기 때문이다. ‘북두-일월’ 표상은 존재의 본질인 ‘1기(3기)’의 음양 이원적 분화 방식을 나타낸 배달고국 밝문화(천손문화)의 사상?종교적 표상이었지만, 중원에 이르러 밝문화(천손문화)의 종주국인 배달국과 중원에 흩어진 배달계 통치자간의 神政的 臣屬 관계를 상징하는 정치적 표상으로도 사용되었다. 배달고국의 ‘북두-일월’ 및 ‘일월’ 표상은 후대로 전승되었는데, ‘음양오행론’을 위주로 하였던 중원 일대에서는 ‘일월’ 표상이 상대적으로 우세하였다. 반면 ‘일?삼?구론(삼원오행론)’을 위주로 하였던 한반도?일본열도에서는 애초 ‘북두’ 표상 또는 ‘북두-일월’ 표상이 우세하다가점차 ‘음양오행론’의 영향으로 일월’ 표상의 비중이 높아져갔다. 특히 일본열도의 경우 최종적으로 ‘일’ 표상을 중심으로 하게되었으니 신도 북두신앙의 일신앙으로의 변화를 알게 된다. The basic theory of ‘Park(밝, ‘the Light’) Culture’[‘Chunson(天孫, a descendant of Heaven) Culture’]’ is ‘the idea of ‘One-Three-Nine(一?三?九論)’, i.e.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In this theory, it is considered that the substance of being is ‘One Ki氣(Three Ki)’. ‘One Ki(Three Ki)’[Samsin-Hananim(three dimensions of the whole), Chunbu(天符)], cosmic energy originated in one spot nearby the Big Dipper is the light with the minute sound and vibration and is just ‘the Light’ in Park Culture. It has the nature of ’naught and whole’ and this nature works as the law to harmonize the physical world. In Late Hungshan Culture(B.C.3500~B.C.3000) of Baedalkook period, several symbols to represent ‘the idea of One-Three-Nine’(‘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were come onstage. Among these symbols, ‘One Ki(Three Ki) -Yin and Yang Two Ki’ symbol and ‘Yin and Yang Two Ki’ symbol were represented the ‘One Ki(Three Ki)’s dual differentiation process into Yin and Yang Two Ki alike. Just two kinds of symbol had the representative difference that ‘One Ki(Three Ki)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exposed the substance of ‘One Ki(Three Ki)’ and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coverd the substance of ‘One Ki(Three Ki)’. Since Baedalkook period , ‘One Ki(Three Ki)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identified with ‘the Big Dipper- the sun and the moon’ symbol and ‘Yin and Yang Two Ki’ symbol was identified with ‘the sun and the moon’ symbol. ‘The Big Dipper- 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applied to the political symbol to represent the hierarchy of Baedalkook theocracy, definitely the hierarchy with the priest king of Baedalkook, Jejune[帝俊, Hanwoong(桓雄)] and Jejune’s feudal princes in China. ‘The Big Dipper- the sun and the moon’ symbol and ‘the sun and the moon’ symbol of Baedalkook were handed down to after ages. In China as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Yin and Yang(陰陽五行論)’ was maintained a superior position, ‘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prevailed.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s ‘the idea of One-Three-Nine’(‘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was maintained a superior position, ‘the Big Dipper-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prevailed. But ‘the sun and the moon’ symbol was come up gradually for the inflow of ‘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Yin and Yang’ from China. Especially in the Japanese Islands, as the pivot of Japanese Shinto(日本神道) was moved ‘the Big Dipper belief’ into ‘the sun belief’, ‘the sun symbol’ was become the symbol of Japan finally.

      • KCI등재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글로벌 시대의 문화 표상-

        정수진 ( Soo Jin J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3 No.-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법제화된 무형문화재 제도는 국가로부터 비교적 자율적으로 영위되던 지역의 생활양식들 중 역사적?예술적으로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것을 선별하여, 그것이 국가적 정체성과 낭만적 민족의식을 담보하는 문화적 표상으로 기능하도록 작용해 왔다. 그러나 이제 그 문화적 표상은 국가적 차원을 넘어 세계적 표상으로 거듭나고 있는바, 이러한 양상은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둘러싸고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가속화되었다. 이른바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의 전환은 그 명칭의 변경 이상으로 그것이 기왕에 지녔던 문화적 표상으로서의 위상과 의미 및 기능의 변화를 수반한다. 이 글은 표상의 의미와 기능을 사회학적 차원에서 주목했던 뒤르케임과 오기노 마사오의 논의를 방법 삼아 그 변화의 양상을 고찰했다. 오기노는 지역의 생활양식이 문화재로 거듭나는 양상을 ``추억의 질서``에서 ``문화유산화``로의 전환으로 분석했지만, 이 글에서는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변화를 ``추억의 질서``에서 ``문화유산화``로의 전환으로 포착한다. 그리고 그 전환이 후기자본주의 시대 일기 시작한 문화유산의 산업화 양상과 연동하고 있음을 주목한다.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egislated by enactment of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t at 1965, has selected the things considered to have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among the local lifestyles that were engaged relatively autonomous from the state, and operated them to function as a cultural representation to guarantee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romantic national spirit. But now beyond the national level the cultural representation become a global representation, this aspect has been accelerated in a stiff competition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surrounding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The change so-called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tails the change of the previous social status, meaning and function the cultural representation had, more than the change of its name. This paper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change with the sociological dimension of Durkheim and Ogino Masao who noted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the social representation as theoretical methods. Ogino have explained the aspect that the local lifestyles are reborn as a cultural properties as the transition from the “order of memory” to “making heritage”, but this paper regards the change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the transition from the “order of memory” to “making heritage.” And it argues the transition to be interlocking directly to the commodification of cultural heritage started to happen in late capitalist era.

      • 문화원형의 개념과 범주 : 전통문화 기반 문화원형을 중심으로

        신창희,방문식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이 글의 목적은 문화콘텐츠 산업 소자로 두서없이 이용되고 있는 문화원형의 개념과 범주를 재단하는 것이다. 문화원형은 기존 문화산업에서 배태된 이후 학술적인 개념정립이 시도되었으나 현재도 저마다의 기준으로 서로 다른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실제 문화산업으로 이용 될 때마다 공감하기 어려운 소재로 공급자와 수용자가 유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일회성 기획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글에서는 문화원형을 집단적 무의식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침전시키고, 직접적인 문화산업 소자로써 ‘대리표상(代理表象)’을 부상시켜 보았다. 대리표상이란 용어로 기존 문화원형 목록을 모집하면서 문화원형을 구획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을 발견할 수 있었다. 기준은 공간(지역적 배경), 대상, 시간(시대적 배경)의 세 가지가 기본이 되며, 이로써 문화원형 범주의 경계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해당 문화원형 대리표상의 보편성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이야기자원이 필요하며, 이는 전통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냉전과 ‘원숭이’ 표상

        남상욱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8 사이 Vol.25 No.-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verify aspects of ‘Cultural Cold War' and ‘Culture of Cold War' on focusing the representation of 'monkey' during Cold War. The Cultural Cold War is defined a global and academic cultural strategy designed to confront the enemy and rally our forces amid the logic of division of the Earth, that developed into a movement to stop animal images of enemies developed during World War II and to rally allies by establishing human figures with brains. Rebellion or acquiescence of this cultural Cold War creates a unique culture of the Cold War : Pierre Boulle and Oe Genzaburo summoned the monkey in a form of questioning the shape of the human being forced by the cultural Cold War, but the representation of ‘Monkey’ in “the Planet of the Apes” is performing its function to maintain the presence of the Cold War. The aspects of Cold War culture cannot be fully understood by just demonstrating that it is part of American cultural strategy, or by interpreting various cultural activities that have been forgotten as a product of the Cold War. Thus it's more understandable through these two-way attempts. This understanding ultimately leads to the fact that the Cold War is not just a past history, but still remains a problem as one of the cognitive coordinates that divides humans and animals today. 이 글은 냉전기 ‘문화냉전’과 ‘냉전문화’의 양상을, ‘원숭이’ 표상을 통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구를 양분하는 진영 논리 속에서 적과 대립하고 아군을 규합하기 위한 지구적, 학제적 차원의 문화 전략을 ‘문화냉전’으로 부를 수 있다면, ‘문화냉전’은 제2차 세계대전 속에서 전개된 적에 대한 동물 표상을 일단 중지하고, 뇌를 가진 인간의 형상으로 재규정함으로써 아군으로 규합하려고 하는 움직임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문화냉전’에 대한 반발이나, 혹은 묵인이 독특한 냉전의 문화를 만들어 나간다. 피에르 불이나 오에가 문화냉전이 강제하는 ‘인간’의형상을 의문에 부치는 형식으로 ‘원숭이’를 소환했다면, 영화 ≪혹성탈출≫ 속의‘원숭이’ 표상은 그러한 ‘문화냉전’에 동조하거나 묵인함으로써 실은 냉전체재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냉전기 문화의 양상은 미국의 문화전략의 일환임을 실증하는 것만으로도, 혹은 그것을 망각한 채 이루어진 다양한 문화적 행위를 냉전의 산물로서해석해내는 것만으로는 충분히 규명될 수 없고, 양자를 횡단하는 시도들을 통해서좀 더 제대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냉전이 단순히지나간 역사가 아니라, 오늘날 인간과 동물을 나누는 하나의 인식론적 좌표 중 하나로서 여전히 문제를 남기고 있음을 보여주려고 한다.

      • KCI등재

        중국의 "오악(五嶽)" : 지리적 표상에서 문화적 표상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신청을 계기로 다시 본 오악 담론-

        오수경 ( Soo Kyung Oh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5 No.-

        오악(五嶽)은 중국의 유서 깊은 명산인 泰山、華山、衡山、嵩山、恒山을 말한다. 본문에서는 근자에 중국이 오악을 유네스코의 세계자연 및 문화유산으로 등재시키기 위해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새롭게 현대의 오악 담론을 구축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고대 중국에서의 오악의 개념과 인식의 형성, 그리고 그에 대한 외부의 시선 및 현대의 시선을 통해 지리적 표상으로의 오악이 정치적, 문화적 표상으로 자리잡게 되는 양상을 살폈다. 오악은 고대 산악 숭배로부터 시작된 聖山 숭배의 중심에 있다. 특히 진한 이래 封禪을 거행한 帝國 영토의 상징으로서 정치적 의미가 부여되었고, 유가 사상 그리고 도교 및 민간신앙의 요람으로서 종교적 성산으로 인식되었고, 시인묵객들에게는 문학적 상상력의 온상으로서 은둔의 대상지로서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닌다. 그 중에서도 태산은 동방 태일신과의 결합으로 오악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聖山으로서, 封禪을 거행한 帝國의 중심으로서, 유가 사상의 요람으로서, 인문적 태산 문화의 다양한 의미망을 형성한다. 서양에서는 특히 오악 그 중에서도 태산의 봉선에 큰 의미를 부여하여, 제국의 중심으로 인식하는 동시에 동악대제와 벽하원군으로 대표되는 민간 신앙의 성지로서 주목하였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중국적인 방식으로 오악을 전유하고 있음이 두드러진다. 문화유산이 기존의 국가적 정체성과 낭만적 민족의식을 나타내는 문화적 표상으로 기능하는 양상은 아직도 전 지구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근자에 중국이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초미의 관심을 쏟는 것은 단순한 문화 정체성의 강화나 관광 자원의 개발을 넘어 새로운 제국의 문화적 표상에 대한 갈망으로 읽힌다는 점에서 중국 오악 담론의 현대적 부활의 가능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Five Sacred Mountains are the most famous mountains of China, including Taishan, Huashan, Hengshan, Hengshan, Chongshan in each direction of east, west, south, north and center. Recently China had only tried to apply the Five Sacred Mountains as a set for the World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of UNESCO. In the procession, there conforms a discourse of the Five Sacred Mountains in modern context. In this paper I tried to research how the symbol of the Five Sacred Mountains is formed, from the geographical meaning to political, religeous and cultural meaning. The Five Sacred Mountains were put in the center of the worship of mountains from ancient times. In Qin and Han dynasty, Qin Emperor began the sacrifice of Feng and Chan and the ritual added the Five Sacred Mountains very important political meaning, such as the power of emperor and the territory of the empire. It also became a sacred places of later religions and thoughts such as Confucious, Buddism and Daoism and got to have the religeous and cultural meaning. Especially folk religion to worship the God of Taishan which is called God of East Mountain, Dongyue-dadi and his daughter Bixiayuanjun became very popular in China, so people held big festivals for their nativity. The Five Sacred Mountains also became a cradle of literature of various genres and present various spectrum to the cultural landscape of Taishan and other four mountains. Westners are very interested in Feng-Chan and folk religion, but Korean accepted more naturally the way of Chinese thinking, also the meaning of the Five Sacred Mountains in chinese way. But now China put emphasis on the World Cultural Heritage, not only to get profit of the tourism but to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It seems to present a desire toward a new modern empire and it`s cultural pride.

      • KCI등재후보

        3향 문화권(三鄕文化圈) 설정을 위한 호남지역 문화표상의 탐색

        나경수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49

        During the late 1920s, the Students Movement was being developed based on the reading groups of students who were determined to study Socialism, Marxism were established in most of the middle schools. They were starting to engage in resistance movements against colonial education system which were builded by the Japanese imperial authorities. These experiences were the triggers of the Gwangju Students Movements in 1929. Moreover a massive arrest of students ensued the demonstration launched by Korean students which followed a rather fierce rumble between by Korean students and Japanese Students in November 3rd, 1929. Responding to such arrest, the students launched the Secondary Students demonstration movement on November 12th, with members of the reading groups as core personnel and under the guidance of the local youth organizations. The Gwangju Students Movements were never coincidental to expand throughout the country. It is not important that Korean girl students was sexual harassed by the Japanese male students. However, this incident caused the Emotion of Gwangju Students and National Sympathy. Both communality and public resentment took a key role of the dissemination of the Students Movements. And the students movements in the 1930s inherited the level of importance featured by the movements in the late 1920s. In the 1930s, the students were trying to reach the general population. 호남지역의 문화적 표상(cultural image)과 문화적 표식(cultural mark)을 근거로 하여 호남문화권의 개념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호남은 광주, 전남, 전북을 아우르는 지역으로서 광역문화권의 설정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로부터 출발한다. 호남의 3대 문화적 표상은 의향(義鄕), 예향(藝鄕), 미향(味鄕)이다. 문화적 표상은 문화적 표식의 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의향이라는 문화적 표상은 불의에 저항해 왔던 호남의 역사를 통해서 확인 가능하며, 또한 수많은 인물과 사건, 그리고 역사적 증거물들이 표식으로서 자격을 가진다. 예향과 미향 역시 마찬가지다. 이들 문화적 표상과 표식은 통시적으로 이루어진 것들이다. 또한 개별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서로 상통하는 배경을 가지고 있다. 호남지역은 농경사회였던 과거, 역사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풍요로웠다. 이러한 물적 토대는 자신의 것을 지키려는 의지가 의향, 풍류를 즐기는 마음이 예향, 그리고 넉넉한 물산이 미향을 낳는 계기가 되었다. 역사적 배경(background)은 앞으로의 전경(foreground)을 예상케 한다. 즉 축적되어온 호남의 문화적 표상과 표식은 앞으로 문화의 시대를 맞아 충부한 문화자원으로 가공 생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3향 문화권(三鄕文化圈) 설정을 위한 호남지역 문화표상의 탐색

        나경수 ( Kyung Soo Na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49

        호남지역의 문화적 표상(cultural image)과 문화적 표식(cultural mark)을 근거로 하여 호남문화권의 개념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호남은 광주, 전남, 전북을 아우르는 지역으로서 광역문화권의 설정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로부터 출발한다. 호남의 3대 문화적 표상은 의향(義鄕), 예향(藝鄕), 미향(味鄕)이다. 문화적 표상은 문화적 표식의 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의향이라는 문화적 표상은 불의에 저항해 왔던 호남의 역사를 통해서 확인 가능하며, 또한 수많은 인물과 사건, 그리고 역사적 증거물들이 표식으로서 자격을 가진다. 예향과 미향 역시 마찬가지다. 이들 문화적 표상과 표식은 통시적으로 이루어진 것들이다. 또한 개별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서로 상통하는 배경을 가지고 있다. 호남지역은 농경사회였던 과거, 역사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풍요로웠다. 이러한 물적 토대는 자신의 것을 지키려는 의지가 의향, 풍류를 즐기는 마음이 예향, 그리고 넉넉한 물산이 미향을 낳는 계기가 되었다. 역사적 배경(background)은 앞으로의 전경(foreground)을 예상케 한다. 즉 축적되어온 호남의 문화적 표상과 표식은 앞으로 문화의 시대를 맞아 충부한 문화자원으로 가공 생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이다. I`m planning to make a conception of Honam culture based on it`s cultural images and marks. It starts from the general idea of possibility that Gwangju, Chonnam, and Chonbuk should be culturally together by area, which calls Honam. Honam`s 3 cultural images are justice, art, and taste. Cultural images are made by cultural marks. Justice of Honam should be known by it`s own history, resisted against injustice for a long time. Many people, cases and historical evidences have right for the cultural images. Art, and taste, also the same. Cultural images and marks are formed the same time. These look like individually but have common background. In an agrarian society on the past, Honam was affluent land than the other regions. This material basis made these chances;-willing of keeping their own, enjoying the art, and enough product became justice, art, and taste. Historical background anticipates the foreground. We would expect to make the Honam`s cultural images and marks to be great cultural resources in this cultural age.

      • KCI등재

        1950년대 잡지에 나타난 문화재건 담론과 젠더 표상 ―『文化世界』를 중심으로―

        장은영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2

        This paper discusses the Cultural Person’s Topology and Gender Politics in the period of cultural reconstruction, focusing on the magazine Munhwasegye. The cultural reconstruction that took place after the Korean War was led by writers, artists, journalists, and intellectuals. It was a process of nationalizing members and forming the identity of a new nation. However, the process of nationaliz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assets was to re-organize morality from a masculine perspective. “Cultural-man” produced gender norms, mainly criticizing women’s moral depravity and sexual ethics. “Cultural-man” advocated the restoration of social morality. However, the works discussed negative and positive gender representation and provided standardized gender representation that conformed to the new society. The normed gender representations set masculinity as an exemplary model for the people and stratified the people according to their gender in the process of cultural reconstruction in which nationalization was taking place. Ignoring the fact that the war caused family break-ups and the absence of men, gender ethics for women only were considered negative. The cultural reconstruction that took place during the postwar period was an opportunity to create a national identity. However, if groups of people are formed based on an unbalanced gender system, as shown in the Munhwasegye, the people’s state will inevitably be a system of discrimination. The gender images of the works in the Munhwasegy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hierarchy among the people. “Cultural-man” carried out differentiated nationalization based on culture. 본 논문은 1950년대 잡지 『文化世界』를 중심으로 문화재건 담론과 젠더 표상을 논의하였다. 전후의 문화재건은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이자 구성원을 국민화하는 과정이었다.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와 휴머니즘을 지향하며 문화재건에 앞장서고자 했던 문화인들은 사회적으로는 모랄리스트를 자처하며 국민의 정신적 지도자가 되고자 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문화의 구체적 수행은 가부장적 시선으로 가족질서와 연애문제, 성윤리 등을 바로잡고자 하는 태도로 나타났다. 『文化世界』에 수록된 소설은 전후 사회의 세태와 풍속을 재현하며 규범화된 젠더 표상을 만들어냈다. 여성의 성적 욕망을 소재로 삼으면서도 성적 욕망의 표출을 통제하고자 하는 가부장의 시선은 결과적으로 여성을 가족 질서 안으로 수렴되어야 하는 존재로 간주하는 젠더 규범을 재생산했다. 여성을 자율적인 개인으로 인정하기보다 아내, 어머니, 며느리, 딸 등 가족 질서 안에서의 위치를 통해서만 국민이 될 수 있는 존재로 규정하고자 했던 것이다. 반면 남성 표상은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주체인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일제시대의 구태를 벗어나지 못한 채 무능력하고 이기적인 구세대와 전쟁 이후 등장한 의욕적이고 믿음직한 신세대를 대비시켜 이상적인 남성상을 제시하거나 또는 무기력한 남성이 각성을 통해 책임감을 되찾고 가족의 위기를 극복한다는 낙관적 전망을 예고하기도 한다. 전쟁의 여파 위에서 전개된 문화재건은 국가의 정체성과 함께 국민의 모랄과 표상을 설정하려는 과도기적 욕망이 함축된 슬로건이었다. 그러나 전시체제에 대두되었던 성별화된 국민화 방식을 탈피하지 못한 채 가부장적 질서를 모랄의 기준으로 삼은 젠더 규범과 그것에 기초한 국민화는 국민이라는 집단 안에 내부적 위계를 만들 수밖에 없었다. 문화재건에 앞장 선 잡지였던 『文化世界』에 수록된 작품들이 보여주는 젠더 표상은 문화 혹은 모랄의 이름으로 성별화된 국민, 위계화된 국민 표상이 생산되는 과정을 반영하고 있으며, 전쟁 직후, 한국 사회가 지향해야 할 ‘모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에 앞서 급박하게 문화재건을 추진한 문화인들의 과도기적 인식을 보여준다.

      • KCI등재

        아시아 열두 띠 설화2의 동물 표상을 활용한 상호문화 감수성 신장의 문화교육 : 이주민 구술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김정은(Kim Jung-Eun)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0

        This study suggests a teaching strategy to increase intercultural sensibility using “The Origin of Twelve Zodiac Animals,” as narrated by Asian immigrants from various countries living in Korea, as the cultural context. The tales’ common thread is the use of animals as symbols. However, the animals and their behaviors vary from one culture to another, suggesting different cultural values. Discussing these differences can enhance intercultural sensitivity. This study presents a teaching strategy in five steps to increase intercultural sensitivity by engaging students in interpreting the animal symbols’ cultural implications. The teaching strategy’s content builds intercultural sensibility by discussing and interpreting the real and mutant animals’ representations in “The Origin of Twelve Zodiac Animals.” By highlighting how different cultures use different and even opposite descriptions of the animals’ traits and behaviors, the course uncovers the backgrounds and histories that have formed each country’s cultural values. For example, Japanese and Chinese folktales describe a conflict between a mouse and a cat, whereas Kazakh and Mongolian folktales describe a similar conflict, except theirs feature a mouse and a camel. The folktales compiled from Japan, China, Kazakhstan, and Mongolia depict confrontations between thirteen animals vying for twelve positions; this set of confrontations has cultural mean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various animals can be seen as “inside the culture” vs. “outside the culture,” allowing us to see the cultures’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Korean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created by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different animal representations—examining, for example, why some cultures chose a mouse and a cow while others chose a mouse and a camel by delving into the roles of specific animals in each culture. Mice do not have the same deep-rooted attributes that symbolize cultural traits; in contrast, cows represent agricultural cultures, and camels represent nomadic cultures. However, mice do have symbolic characteristics: they are found near (and thus could “communicate” with) nearly all other types of animals, and in their travels, can grasp the flow of a community with a wide field of view. Thus, they can symbolize connections and communications—ways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in and between cultures. Therefore, mice are interpreted as the head of the twelve zodiac cultures in most countries’ stories; they are the mediators, the final stage of integration in intercultural sensitivity. This paper proposes using this concrete educational content on the twelve zodiac animal folktales to enhance intercultural sensibility. 이 글은 한국에 사는 이주민이 구술한 <열두 띠 유래>를 활용해 상호문화 감수성을 신장하는 교수전략으로 아시아 나라의 이주민이 구술한 열두 띠 설화를 제시하고, 문화인식의 맥락과 통합적 가치를 생성하는 문화교육의 내용을 구체화한 연구이다. 이주민이 구술한 <열두 띠 유래> 설화들의 상징적 표상은 ‘동물’로 나타나며, 동물 대결의 변이로 문화적 가치를 차이 나게 전승하고 있어, 상호문화 감수성을 신장하는데 좋은 텍스트임을 논했다. 이때 기호화된 동물 표상의 문화적 함의를 맥락화 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상호문화 감수성이 신장될 수 있게 하는 교수전략을 5단계로 제시했다. 이주민이 구술한 아시아 <열두 띠 유래>를 중심으로 변이가 생기는 동물의 표상이 어떤 대립자질을 형성하며, 각 나라의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가를 해석해 보는 상호문화 감수성의 내용을 단계별로 구체화해 보았다. 이주민이 구술한 베트남 설화에서는 한국의 설화와 비슷하게 ‘쥐와 물소’가 대립하지만, 일본, 중국의 설화에서는 ‘쥐와 고양이’의 대립구도가 보이는 점에 주목하게 된다. 카자흐스탄, 몽골의 이야기는 소가 아닌, ‘쥐와 낙타’의 대립구도가 나타난다. 일본, 중국, 카자흐스탄, 몽골의 설화를 접하게 되면, 열두 동물의 ‘열두 자리와 들어가고자 하는 열세 동물의 대립(12:13)’으로 문화적 의미를 생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대립은 다시 ‘문화의 안 : 문화의 밖’의 대립자질을 생성하며, 문화의 내부와 외부의 관계를 보게 하고, 자문화와 타문화의 관계를 통찰하게 한다고 해석했다.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전승된 ‘쥐와 소’의 대결구도가 가지는 동물표상의 문화적 함의를 중앙아시아의 ‘쥐와 낙타’의 대결구도와 연결했을 때 어떤 의미가 생성되는 지도 주목해 보았다. 쥐는 소처럼 농경문화를, 낙타처럼 유목문화를 대변하지 않으며, 특정 문화를 대표하는 뿌리 깊은 속성이 없지만, 오히려 모든 동물과 소통하고 넓은 시야로 흐름을 파악하는 특징이 있다고 해석했다. 쥐는 모든 동물표상으로 상징되는 타문화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존재이기에 모든 나라의 이야기에서 열두 띠 문화의 수장이 된 것으로 맥락을 생성하고, 이와 같은 쥐의 특성을 상호문화 감수성에서 말하는 마지막 통합의 단계인 ‘문화적 매개’의 태도와 연결했다. 이 과정을 통해, 이주민이 구술한 설화 중 아시아의 열두 띠 설화가 상호문화 감수성을 어떻게 신장할 수 있는지의 교육내용을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아리랑의 국면 전개에 관한 거시적 조망

        강등학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향촌의 소박한 아리랑을 사당패가 대중화로 이끌었고, 대중화된 아리랑을 나운규가 민족의 노래로 승화시켰다. 그리고 영화 아리랑과 그 주제가 <본조아리랑>의 자극으로 대중가요 아리랑이 출현하였다. 그런데 대중가요 아리랑은 민요계 아리랑이 공유하고 있는 노래구성의 형체적 기반을 지니고 있지 않다. 대중가요 아리랑은 아리랑의 유전적 진화의 결과물이 아니라, 개인의 창작물이기 때문이다. 이로써 아리랑은 <본조아리랑>을 계기로 유전적 진화에 의한 동종번식의 진행을 마감하고, 이종이식의 양상을 보이며 문화적 진화라는 새로운 국면으로 넘어가고 말았다. 이종이식은 아리랑이 다른 문화영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말한다. 아리랑의 이 같은 장르전이는 영화 <아리랑>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이 영화가 일으킨 문화적 센세이션이 아리랑을 무용, 연극, 소설로 형상하게 하였고, 또한 <본조아리랑>의 인기가 대중가요 아리랑의 창작을 이끌어냈다. 그리고 아리랑의 장르전이는 영화 <아리랑> 이후 거의 모든 문화영역을 망라하며 오늘까지 지속되고 있다. 아리랑이 창작원천으로서 대표적 위치를 확고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아리랑의 문화적 진화는 형질실현과 의미표상의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형질실현은 아리랑의 자질을 가져와 아리랑의 세계를 재현하고자 하고, 의미표상은 아리랑을 한국, 한민족 등을 가리키는 문화기호로 인식하고, 그 의미와 정서를 형상에 활용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형질실현의 아리랑 작업이 아리랑을 문화적으로 되살리는 일이라고 한다면, 의미표상의 아리랑 작업은 아리랑의 문화적 가치를 기리고 드러내는 일이 된다. 근래 아리랑의 문화적 수급이 외부를 향한 동력과 외부에 의한 파장에 영향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이 월드컵축구대회에 계속 참가하면서 응원가 아리랑이 여럿 생겨났고, 정부의 국가브랜드전략이 수립되면서 그 여파로 아리랑세계화추진위원회가 생겨나 여러 사업과 이벤트를 만들었고, 또 중국이 조선족 아리랑을 자국 무형문화재로 등재하면서 해외홍보와 내부적 문제의식 고취를 위해 여러 이벤트를 치룬 바 있다. 이처럼 아리랑이 외부적 동기에 의해 문화적 수요가 이루어지면, 아리랑의 공급 시각은 한국과 한민족의 노래라는 문화코드로 단순해지고 만다. 이제 아리랑이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만큼 외부적 동기에 의한 아리랑의 문화수요는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리랑의 문화적 진화 방향에 대한 문제의식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의미화 된 아리랑이 지식이라면, 형질로 된 아리랑은 문화이다. 그러므로 외부적 동기에 의한 아리랑의 사업들이 아리랑의 의미를 기리고 선양하는 쪽에 경도될 경우 상대적으로 아리랑의 문화적 진화는 그 동력을 잃게 된다. 기존의 아리랑 형상물은 아리랑 선양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새로운 형상물은 의미표상의 방향으로 생산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아리랑은 본래 약자와 어려운 자가 세상살이를 말하며, 세상을 살아내는 문화도구이다. 따라서 우리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 외부에 보여 줄 아리랑은 어려움 속에서도 아리랑과 함께 세상을 살아낸, 그리고 그렇게 살아내고 있는 우리의 과거와 당대의 세상살이를 담아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외부적 동기에 의한 아리랑의 문화적 수요에 대한 공급이 아리랑의 형질실현을 경시하지 않고, 문화 ... The cultural roots of the song Arirang, leading to the rural folk songs, urban popular folk songs, pop songs, a song adapted to the tastes of each era, as well as the persistence and diversity gain came in today. But, after the deadline has evolved as a folk song, Arirang let legacy continue on heteroplastid. I mean to say that Arirang is culturally developing to let legacy continue with loss of transmission as folksong. In addition to the song Arirang, was transferred to a variety of genres as a source of creative recycling. These recycling from the start in 1926, the film Arirang throughout the culture, pop music, poetry, fiction, dance, theater, and appeared until now. By the way, Arirang has been culturally develpoed on next two ways; to transmit traits or to symbolize meaning. And now the latter is leading cultural development of Arirang. Specially festival and business to carry the banner for Arirang mostly make to symbolize meaning of the song. While pop music have a tendency to symbolize meaning, also those are greatly transmitting traits of the song. In recent years, growing the Arirang demand by external factors. Things affected by this demand focus on making Arirang the symbol of Korea, or on enhancing symbolic meaning of it. Bu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ultural value of Arirang through putting forward symbolic meaning. Thus, administrative works for Arirang will do better to focus on fulfilling its cultural trait, namely on culturally realizing the trait of Arirnag. Though there are diverse songs of Arirang, it is their essential trait in the sociocultural role that Arirang is the song of the weak, or person faced life’s difficulties. Because people who have sung Arirang are nonperson by status system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by military forc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is view development of Arirang must revive the cultural soul and practice sociocultural role of the song. In other word let make Arirang culture for nonperson, or person faced life’s difficul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