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방안식 군현지도의 발달 연구 - 『東國地圖 三』을 중심으로

        金基赫(Kihyuk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7 문화 역사 지리 Vol.19 No.1

          이 연구는 방안식 군현지도책의 바탕으로 계열을 확인하여, 조선 후기 방안 지도의 발달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지도책인 『동국지도3』, 『해동여지도』, 『조선지도』과 다른 6종의 지도책 내용 분석한 결과 방안식 군현지도는 『동국지도3』-『해동여지도』-『청구도』로 이어지는 계열과 『조선지도』 계열로 구분되었다. 『조선지도』와 『동국지도3』의 관계에서 『동국지도3』이 『조선지도』의 자본일 가능성 높을 뿐 아니라 신경준이 제작한 초기의 방안식 군현지도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조선지도』는 중앙 기관에서 군현별 통일성을 기하기 위해 『동국지도3』를 바탕으로 재편집된 지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지도3』에서 수정ㆍ가필된 대부분의 내용 이 『해동여지도』에 반영되어 있으나 『조선지도』에서는 나타나 있지 않다. 이는 『조선지도』는 수정되기 전의 『동국지도3』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해동여지도』는 수정된 이후의 『동국지도3』을 저본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grid system county-maps in late-Chosun period and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grid system. Nine 이d county-map atlas reserved in library and museum are analyz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and place names. This research reveals that those maps can be classified into two series. Haedong-Yeojido was drawn on the base of Dongguk-Jido 3 which was added some touches  to original copy. Those series were developed toward the large scale whole map such as Cheonggu-do in the 19th century. Joseon-jido, which is one of atlases of another series, was drawn also on the base of original copy of Dongguk-Jido 3. In the process of map-making of map-making of Joseon-jido, geographical information such as numeric data of grid, road, and place names were standardized on cartographic rule. Atlases of those series were connected on transcription with each other.

      • 朝鮮 後期 方眼式 郡縣地圖의 제작과 『東國地圖』 제7책

        장상훈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6 한국고지도연구 Vol.8 No.1

        조선 후기 20리 방안식 군현지도의 제작과 관련하여 『동국지도』 제7책 (함경도 군현지도집)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국지도』 제3책 (경상도 군현지도집)과 같이, 현존하는 지도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지도로 판단된다. 해안선과 도서, 산줄기와 물줄기를 정밀하게 표현하였으며 이에 화려한 채색을 더함으로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조선지도』 등 현존하는 어떤 20리 방안식 고을지도에 비해서도 완성도가 높다. 이로 미루어 『동국지도』 제7책은 1770년 신경준이 제작하여 영조에게 바친 〈列邑圖〉의 실체에 가장 근접한 지도로 추정된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소녀’ 독자와 근대·대중·문학의 동시대성-일본 문학과 일본어 잡지 독서 경향을 중심으로

        김미지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2

        ‘소녀’들의 독서는 ‘여성’들의 독서가 그랬던 것과 마찬가지로 남성들의 독서에 비해서 저급하고 감상적이라는 굴레를 쓰는 경우가 많다. 흔히 ‘여성’ 작가들이나 그들의 작품에 ‘소녀적’이라는 딱지를 붙이는 것은 그녀들의 행위와 작업을 폄하하기에 매우 좋은 수단이 되곤 한다. 이는 식민지 시기 근대 교육의 또 하나의 주체(수혜자)가 된 소녀(또는 여학생)들이 서적 출판 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면서부터 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비록 전체 여성의 1~2퍼센트의 소수에 불과했지만 그녀들은 감상적 통속적인 대중문화와 지적이고 고급한 엘리트문화라는 점차 견고해지는 경계선 사이에서 자신들의 독서 취미와 취향을 발전시켜 나아갔다. 한편 30년대 들어 대중잡지를 비롯한 상업 출판 시장의 성장은 정교하게 독자층을 분화시키면서 독자를 늘려나갔는데 여성뿐만 아니라 소녀들을 타깃으로 하는 출판 경향도 일본과 조선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시장과 문화의 변화 속에서 소녀 독자들이 읽는 일본어 작품들(사이조 야소, 기쿠치 간 등)은 이전 시기(1910~20년대)에 담당했던 선구적인 가치를 상실하고 통속적이고 저급한 것으로 가치 절하되는 현상도 나타났지만, 또 한편으로 소녀 독자들의 증대는 남성과 청년과는 다른 몫과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독자 대중의 탄생을 알리는 것이기도 했다. 특히 일본어 문해력을 획득하여 직수입된 일본어 잡지를 읽는 ‘소녀’들은 성숙한 여성들이 남성들의 세계에 진입하여 겪어야 했던 여러 도전들과 당면한 현실의 문제들을 피해 있으면서, 유쾌하게 남성 중심의 문화 특히 엄숙주의, 계몽주의 등을 앞세운 남성 지식인 엘리트주의에 균열을 내는 존재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미조구치 겐지(溝口健二)감독의 작품 연구 -<잔기쿠 이야기(?菊物語)>를 중심으로-

        김희경 한국일본어문학회 2011 日本語文學 Vol.51 No.-

        溝口健二の1939年の作品『?菊物語』は監督の作品の中でも芸道三部作と呼ばれる作品の中で最初の作品である。この作品は監督特有の順?と?牲の美?を持つヒロインが登場するという点で1930年代のサイレント映?である『?の白?』と『折鶴お千』のような作品と同一な?事を踏襲している。つまり、男を出世させようとする女性の?身を描いている典型的な新派メロディ?の作品ということである。溝口はその後ト?キ?映?である『浪華悲歌』と『祇園の姉妹』で男性本位の社?に抵抗する積極的な女性を描いているが、過去新派への回?ともいえるそういう現象は非常に異例的である。溝口は軍?主義が盛んだった?時、?家政策によって自由に映?が作れなくなり、やむえなく日本?統芸術の世界を扱った作品に旋回したと言っている。溝口が述?したように『?菊物語』は明治時代の芸道の世界という過去への回?の傾向がみえる。しかし、その過去への回?は素材と時代的な背景より映?が描いている主題意識の退?的な回?が問題である。溝口の述?のとおりに『浪華悲歌』の方向に進もうとすれば??的だと非難される難しい?況だったとしても順?と?牲の美?を?事の柱にしたのは時代?れという批判をまぬかれにくいだろう。映?の時代的な背景が仕方なかったとしても映?が作られた時点は1930年代後半であったことを忘れてはいけない。さらにお?の?牲と?身を?愛譚から外れた物語に解?するのは日本映?の三大巨匠である溝口健二のアウラを意識したのではないかと思われる。そういうアウラは溝口に?するヨ?ロッパの視線も一役しただろうが、それは主に映?の技法上の評?であったことを周知する必要がある。

      • KCI등재

        『朝鮮武士英雄傳』의 저술 의미와 근대적 신체인식

        최형국 한국무예학회 2019 무예연구 Vol.13 No.1

        In this research, I examined the change of body consciousness through martialarts and the book's written meaning of "『The hero story of Joseon warriors(朝鮮武士英雄傳)』" published by Jasan Ahn Hwak in 1940. 『The hero story of Joseon warriors(朝鮮武士英雄傳)』 is worth comparing with 『Bushido : the Soul of Japan』(1900) written by Japanese Nitobe inajo (新渡戶稻造) and 『中國之武士道』 (1904) written by Chinese Lyangchichao (梁啓超). This book can be seen in important writings that understand the spiritual axis of the modern oriental martialarts spirit. The martial arts awareness of Ahn Hwak that added national consciousness was influential enough to make a public lecture for Joseon young people together with Yeo Un Hyeong in 1935. hrough this book, the Joseon people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of dark colonies through spread of martialarts spirits. And he tried to account for the need to remodel and develop for the modern people. Specifically, as a measure to be able to overcome the reality of Joseon colonization through "『The hero story of Joseon warriors(朝鮮武士英雄傳)』" through martial arts traditionally trained by Joseon such as Archery, Sword, Horse racing, Kicking balls and Kyugu, Stone fighting he explained how to make advantage of martialarts spirit. he explained the framework of modern body consciousness based on anatomy. It also highlighted the heroes that were not noticed so far, like women and slaves. This also explained the cultivation of modern citizen consciousness. 본 연구는 1940년에 자산 安廓이 발간한『朝鮮武士英雄傳』의 저술의미와 무예를 통한 신체문화인식의 변화를 살펴본 글이다. 『朝鮮武士英雄傳』은 일본의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가 쓴 『Bushido : the Soul of Japan』(1900)과 중국의 량치차오(梁啓超)가 쓴『中國之武士道』(1904)와 함께 동양삼국의 근대 상무정신의 축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저술로 볼 수 있다. 민족의식을 가미한 안확의 무예 인식은 1935년 몽양 呂運亨과 함께 조선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무예인식 변화를 통한 대중강연을 진행할 정도로 영향력이 있었다. 안확은 이 책의 저술을 통해 조선 민족이 무예와 무예정신의 함양을 통해 암울한 식민지 현실을 타파하고 근대국민으로의 개조 및 발전해야함을 설명하고자 했던 것이다. 구체적으로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방안으로『朝鮮武士英雄傳』에서 弓術·擊劍·柔術·競馬·蹴球/擊球·石戰 등 한민족이 전통적으로 수련해오던 무예를 통해 武士的 기풍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해부학을 바탕으로 한 근대적 신체인식의 틀로 설명하였다. 또한 여성이나 노비와 같이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민중의 영웅을 부각시킴으로써 근대적 시민의식의 함양까지도 저술에 녹여내었다.

      • KCI등재

        정상기의 《동국지도》 수정본 계열의 제작 과정에 대한 연구

        이기봉(Kibong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8 문화 역사 지리 Vol.20 No.1

          본 연구는 정상기의 《동국지도》에서 촉발되어 1700년대 후반에 제작된 4개의 수정본 계열이 어떤 자료에 입각하여 자세하고 정확하게 조선을 그릴 수 있었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지도 제작에 대한 문헌 기록과 지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4개 수정본 계열의 제작지를 추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수정본 계열의 지도(1769년 이전)는 정상기가 참고하지 못한 1리 방안의 《호서지도》, 《호남지도》, 《영남지도》, 《해서지도》, 《함경도전도》(1750년 안팎) 등의 최신 정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둘째, 〈팔로총도〉ㆍ《동역도》계열의 지도(1770년 이전)는 내륙 지역은 초기 수정본 계열과 거의 비슷한 반면 섬과 해안은 훨씬 자세하고 정확해졌다. 셋째, 1770년 신경준이 제작한 20리 방안의 군현도와 도별도는 〈팔로총도〉ㆍ《동역도》계열의 지도를 가장 중요한 바탕 지도로 사용하면서 국가가 제공한 각종 지도와 지리지 정보를 사용하여 훨씬 자세하고 정확해졌다. 넷째 초기 수정본 계열과 〈팔로총도〉ㆍ《동역도》계열의 지도는 모두 정철조가 제작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다섯째, ‘해주신본’으로 알려진 지도 계열은 정철조와 신경준의 지도 정보와 기타 자료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정철조의 동생인 정후조가 제작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4 revision series of Donggukjido by Jeong Sangki in late 1700s to know how they could draw Chosun more accurat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initial revision series map was made by using newest information suggested by Hoseojido, Honamjido, Yeongnamjido, Haeseojido, and Hamkyeongdojeondo. Pallochongdo and Dongyeokdo series showed similar up-country district but more correct details on islands and coastline. Map of 20-ri plot made by Shin Kyeongjun in 1770 were mainly based on Pallochongdo and Dongyeokdo series and used various maps and geographical documents provided by the county. Initial revision series and Pallochongdo and Dongyeokdo were thought to be made by Jeong-Cheoljo. The Haejusinbon series were made by using information provided by Jeong Cheoljo"s and Shin Kyungjun"s maps. They were made by Jeong Hujo, younger brother of Jeong Cheolj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