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붓다 시대의 다양한 장례법 고찰

        조준호 ( Cho Joon-ho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본고는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장례법 가운데 화장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불교의 율장과 경장 등에 화장 다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불교 흥기 당시의 장례법은 대체로 화장, 수장, 매장 그리고 초장 또는 야장과 같은 네 가지 장례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장례법은 모두 석가모니 붓다에 의해 비구들의 입적 시에 행할 수 있는 장례법으로 제시된다. 그렇지만 화장이 최선으로 권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구가 죽으면 시신을 길가나 시타림 등에 투기하는 것은 아니고 가능한 화장을 하라는 것이다. 붓다는 출가비구의 장례를 상황과 여건에 따라 화장 ⇨ 수장 ⇨ 매장 ⇨ 초장 또는 야장(野葬)과 같은 차선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출가자의 장례법에서 붓다는 화장의 한 가지 장례 방법만을 고집한 것이 아니다. 또한 초기경전에서 탑을 세울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존재는 첫 번째는 여래(如來), 두 번째는 벽지불(辟支佛), 세 번째는 성문(聲聞)들, 그리고 네 번째는 전륜성왕으로 나온다. 여기서 성문은 ‘완전한 열반’을 성취한 덕 높은 출가자만을 한정하는 경우로 보인다. 이렇듯 장례의식 후 탑을 세울 수 있는 경우는 모든 출가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일반 재가자는 화장의 경우에 기념탑까지 조성했던 사례가 나타난다. 붓다의 장례는 한역 『유행경(遊行經)』과 이에 상응하는 Mahāparinibbāna Sutta의 빠알리 경전에서 화장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붓다의 장례는 전륜성왕의 장례법에 준할 것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장례는 출가자가 아닌 재가자가 전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붓다의 다비식은 일종의 공양의식으로 축제처럼 묘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같은 다비 전통은 현재에도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불교국가에서 축제처럼 재연되고 있다. 또한 나라마다 다비의식의 규모나 내용이 약간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유행경』과 『대반열반경』에 나타난 부처님의 다비 화장은 불교가 전해진 모든 문화권의 화장 다비와 사리숭배의 근거가 된 것이다. 모든 불교국가에서 다비의식은 입멸자에 대한 최고로 경의를 표하는 장엄한 장례법의 표본이 된 것이다. Throughout human history, there have been many ways to dispose of corpses. Among them, cremation is one method. This paper discussed cremation among the funeral methods foun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For this purpose, we looked at how cremation appears in the Vinaya Piṭaka and Sutta Piṭaka of early Buddhism. At the time of the rise of Buddhism, funeral methods were generally divided into four types: cremation, burial at river, burial under earth, and burial under grass, or wild funeral. The Buddha suggested this funeral method to be performed at the time of death of bhikkhus. However, the Buddha recommends cremation as the best funeral. When a bhikkhu dies, the body should not be dumped on the side of the road or in the cool grove charnel ground(sītavana), but should be cremated if possible. The Buddha suggests the next best methods for the funeral of a bhikkhu, such as cremation(fire funeral) ⇨ burial at river ⇨ burial under earth ⇨ burial under grass and plant or wild funeral,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ircumstances. In the funeral methods of monks, the Buddha did not insist on only one funeral method of cremation. Also, in the early scriptures, the first beings qualified to build a stupa(memorial towers) are Tathagata, the second is paccekabuddha(sk. pratyekabuddha), the third is disciples of the Buddha, and the fourth is the Wheel-turning King. Here, it appears that disciples of the Buddha who can build stupas are limited to highly virtuous monks who have achieved ‘complete nirvana.’ As such, the case where a stupa can be erected after a funeral rites does not apply to all monk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where laymen/laywomen even built memorial towers(stupa) in case of cremation. The Buddha's funeral appears as a cremation in the Mahāparinibbāna Sutta in the Chinese and Pali versions. Here, The Buddha's funeral is presented as following the funeral rites of the wheel-turning king. And it appears that laymen/laywomen, not monks or monks, are in charge of funerals. Additionally, the Buddha's cremation ceremony is described as a kind of festival-like offering ceremony. For this reason, this cremation tradition is still being reenacted like a festival in Buddhist countrie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cale and content of cremation rituals differ slightly from country to country, the cremation of Buddha in the Chinese translation and the Pali version of the Mahāparinibbāna Sutta has become the basis for funeral rites and worship of sacred relics in all Buddhist cultural areas where Buddhism was introduced. In all Buddhist countries, the cremation ceremony has become a model of solemn funeral practices that show the highest respect for the deceased.

      • KCI등재

        현대 한국불교의 다비의식 설행연구 - 성철․법정․고우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인묵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2 불교문예연구 Vol.- No.19

        다비의식은 전통적으로 승가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컸다. 현대 한국불교의 상장례, 즉 다비의식 또한 특정 종교의례를 떠나 전승되는 한국문화의 죽음의례 차원에서도 일반인들의 큰 관심을 끈다. 특히 사회적으로 존경받던 큰스님들의 죽음을 대하는 사부대중들은 그/그녀의 다비의식에 직접 참관하는 모습도 보인다. 그러나 오늘날 큰스님들의 ‘전통적’ 다비의식에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보아도 그 의식들마다 서로 다르게 설행되는 것을 쉽게 발견하게 된다. 그야말로 전통의 전승에 있어서 무엇이, 왜, 그렇게 의례화되고 있는지를 학술적으로 탐색해 볼 만하다고 본다. 본 논고는 오늘날 한국불교에서 설행되었던 다비의식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위와 같은 문제제기가 갖는 현대적 의미를 다비의식의 문화콘텐츠적 시각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고는 본문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에 주안점을 두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불교 다비의식의 정의와 유래, 그리고 그것의 불교철학적 의미를 언급하고 있다. 또한 이 의식을 한국불교의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조선 중 후기 이래 제작된 의문[의식문]를 검토하고 있다. 이 과정은 현대 다비의식의 원류를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보았다. 본문의 3장에서는 20세기와 21세기 한국불교계에서 큰 족적을 남긴 성철스님, 법정스님 그리고 최근의 고우스님의 다비의식 사례를 제시하고 이를 문화유산과 현대의 문화콘텐츠적 시각에서 접근하여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실제 다비의식의 사례를 문화콘텐츠적으로 접근할 경우, 다비의식 설행과정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되는 지점에 대한 이해를 보다 현대적인 의미에서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전통 다비의식의 보존과 현대적 다비의식의 고민을 담아 향후 불교 다비의식 문화콘텐츠 연구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서도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여긴다.

      • KCI등재

        고려 묘지명을 통해 본 고승 상장례(喪葬禮)

        문상련 ( Moon Sang-le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본 논문은 고려 묘지명 중 승려 묘지명을 대상으로 임종의례와 다비를 통한 산골 형식, 입탑(入塔)과 고승 장법(葬法) 등 승려 상장례 전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승려 임종의례의 경우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내지 『사분율산번보궐행사초』 등 율장 및 청규에 영향을 받았음을 말하였다. 또한 다비와 관련해 중승(衆僧) 장법(葬法)의 경우 『선원청규』 「망승」 항목에 의거해 다비 후 유골을 수습해 물속에 뿌리는 예가 행해졌음을 『고려사』 내용과 결부해 설명하였다. 한편 고승 장법(葬法)의 경우 『선원청규』의 「존숙천화」 항목에 의거해 분화(焚火)를 통한 다비와, 입탑(入塔)을 위한 매장 등 2종의 장법(葬法)이 행해 졌음을 말하였다. 이 가운데 입탑(入塔)의 경우 탑 밑 석실에 널[柩] 그대로를 안치한 장법은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영탑비」의 예와 같이 통일신라 이래의 전통을 답습한 것임을 말하였다. 또한 입탑의 경우 대각국사 의천의 예와 같이, 매장이 아닌 화장 후 수골(收骨)을 통한 입탑이 행해졌음을 말하기도 하였다. 이외에 묘지명 기록을 통해 상장례의 요소로서 창의(唱衣)의 전통 또한 행해졌음을 말하였다.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overall funeral and burial rituals for Buddhist monks including the scattering forms of ashes through deathbed rites and cremation and burial rituals for high priests based on the epitaphs for Buddhist monks during Goryeo. It was found that the deathbed rites for Buddhist monks were influenced by Vinaya-pitaka and Qinggui such as Mulasarvāstivādavinayakṣudrakavastu and Sbunyulsanbeonboguel- haengsacho. The burial rituals for common Buddhist monks in relation to cremation were explained based on the items of "Dead Monks" in Chanyuan Qinggui that the ashes were collected and scattered into water after cremation in connection to the content of History of Goryeo, Goryeosa. In the cases of burial rituals for high priests, two burial methods were practiced, which were cremation and enshrinement in a pagoda after entombment, based on the items of “Deathbed of Exalted Monks” in Chanyuan Qinggui. In the practice of enshrinement in a pagoda, the burial method of putting a sarcophagus in a stone chamber under a pagoda followed the tradition of Unified Silla like the example of the tombstone in Jingamkuksa at the Ssanggye Buddhist Temple. Like the example of Uicheon the Daegakguksa, there was the other method of putting ashes in a pagoda after crem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tradition of relic auction as an element of funeral and burial rituals.

      • KCI등재

        우요칠잡에 대한 고찰 - 붓다의 다비식을 중심으로

        최복희(오인) 한국정토학회 2021 정토학연구 Vol.35 No.-

        붓다에 대한 다양한 예경법 중에 요잡(繞匝)이 있다. 이는 예배자가 예배대상인 붓다의 주위를 돌면서 예를 올리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우요삼 잡(右繞三匝)’이라고 한다. 하지만, 경전에는 요잡의 대상과 방향, 횟수가 ‘붓다’, ‘우요’, ‘삼잡’으로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잡이라고 하면, ‘우요삼잡’만을 말하며, 나아가 요잡연구는 불교건축, 탑돌이 등에서 일부 내용으로 다루어지는 정 도이며, 전문적인 연구논문은 한편도 없다. 본고에서는 우요삼잡과는 조금 다른 양상을 보이는 우요칠잡에 관하여 살펴보았는데, 특히 붓다의 다비식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우요 삼잡이 생신(生身)의 붓다에 대한 예법이라면, 우요칠잡은 붓다의 다비식 이나 붓다의 광명 등과 관계하기 때문이다. 전륜성왕의 장례법을 그대로 수용한 붓다의 다비식에서 칠잡을 한 것은, 붓다의 금관이 구시나가라 성문을 지날 때, 다비장에 도착하여 향나무 주변을 돌 때, 가섭에게 곽시쌍부를 하실 때 등이다. 이 가운데, 가장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붓다의 금관이 구시나가라 성문을 지날 때인데, 『대반열반경후분』에 나타난 방향성은 우요, 좌요, 직 진 등이 혼재되어 있었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우요칠잡’이라고 하지 않 고, ‘칠잡’이라고 하였다. 칠잡은 원래 고대 인도의 국왕에게 올리는 예법이었으며, 이는 전륜성 왕의 7보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상징하는 것이었다. 한편, 붓다에게 행한 칠잡은 7각지로 해석할 수 있으며, 또는 『대반열반경후분』에서 설한 3잡과 4잡이라면, 삼계와 사생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 다. 요잡에 대한 고찰은 한국불교에서 49재 등의 재의식에서 법당을 돌거 나, 탑돌이 등의 성격을 규명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관해서는 향후의 과제로 하고자 한다. There is Yojap (繞匝) that is one of the various manners of worship for Buddha. It is the worshiper's practice while walking around the Buddha, who is the object of worship, and is generally referred to as ‘U-yo-3-jap (右繞三匝)’. However, in the scriptures, the object, direction, and number of Yojap are not limited to ‘Buddha’, ‘U-yo’, and ‘3jap’, and appear in a wide variety of forms. Nevertheless, when speaking of Yojap, it means that only ‘Uyo3jap’ is spoken, and furthermore, Yojap research is covered in part in Buddhist architecture and Tabdori (Going-round-pagoda), etc., but there are no specialized research papers. In this study, we explored U-yo-7-jap, which has a slightly different aspect from U-yo-3-jap, and in particular, it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Buddha's cremation ceremony. It is because most of the Uyo3jap is a manner of living flesh (生身) Buddha, whereas Uyo7jap is related to Buddha’s cremation ceremony or Buddha’s light. The 7jap at the Buddha's cremation ceremony, which accepted Chakravartin funeral ritual as it is, includes when the Buddha’s brass crown passes the Kusinagara gates, when it arrives at Dabijang (Buddhist funeral ritual) and comes around the juniper, and when Gwakshissangbu (Showing two feet out of the coffin) is shown to Kashyapa. Among these, the most complex aspect is when the Buddha’s golden crown passes through the Kusinagara gate, and the direction shown in “the 2nd Half of Maha Parinirvana Sutra” was a mixture of Uyo, Gwayo, and Jikjin.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not called ‘Uyo7jap’, but ‘7jap’. 7jap was originally a ritual given to the king of ancient India, and it symbolized the respect and appreciation of Chakravartin’s 7bo. Meanwhile, 7jap conducted to Buddha can be interpreted as 7Gakji, or Or, if it is 3jap and 4jap as preached in “the 2nd Half of Maha Parinirvana Sutra”, it can also be seen as 3 Worlds and 4 Lives. Investigations of Yojap is important i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abdori (Going‐round‐pagoda) when visiting the temple hall in Jae ritual such as 49Jae (Jae; Buddhist service for the dead) in Korean Buddhism, and will be a future research task.

      • KCI등재

        붓다의 다비의식에 담긴 공동체의 변화

        원혜영(Won Hye-Young) 한국인도학회 2007 印度硏究 Vol.12 No.2

        초기 열반경 텍스트가 역사적인 사실의 기술로 전개되었다는 종전의 견해에 동의하면서, 이들 텍스트에서는 선명한 사례로부터 일반적인 이론 이상을 추출할 수 있다는 면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붓다의 입멸을 주 내용으로 다룬 초기 열반경 텍스트의 마지막 부분은 권력의 이행 또는 재구성을 드라마틱하게 다루고 있다. 권력의 이행은 붓다 옆에서 오랫동안 시봉한 아난이 아니라, 가섭에 의해 행해졌다는 점에서 흥미롭지 않을 수 없다. 가섭이 참석하지 못해서 붓다 유해에 불이 붙지 않았다가 가섭의 등장으로 다비의식을 수행할 수 있었다는 경전의 서술을 통해서, 가섭의 입지는 분명하게 드러났다. 필자의 견해에 의하면, 가섭이 지닌 위상은 아난이 여성에게 호의적이고 개방적인 입장을 고수하는 온건적 입장에 정면으로 승부하는 엄격성을 띠었다고 본다. 상가 공동체의 지위체계는 붓다의 다비의식을 무사하게 치를 수 있도록 진행한 가섭에 의해 주도되었다. 가섭은 공동체의 핵심 인물인 붓다의 장례에 깊이 관여하면서, 후대 제 1차 결집을 이끌었다. 가섭은 유행하는 비구와 정주하는 비구 사이에서 상가 공동체를 확대시키고 발전할 수 있게 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한 주요 인물이기도 하다. This paper remains to be said about the Venerable Mah?kassapa’s relation to ?nanda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 leading role in the Sa?gha after the Buddha’s passing away. We shall see later, Mah?kassapa referred to this very incident shortly after the Buddha’s cremation when he spoke of the need to convene a council of elders to preserve the Dhamma and Vinaya for posterity. When Mah?kassapa arrived, he walked around the pyre tree times, reverently, with clasped hands, and then with bowed head paid his homage at the feet of the Buddha. When his group of monks had done likewise, the pyre burst into flames by itself. With that suggestion, he turned the monks gathered at R?jagaha. The monk’s community agreed, and their request Mah?kassapa selected five hundred elders all but one of whom were arahants. The one exception was ?nanda, whose position was ambivalent. After the holding of the First Council, the high regard in which the Venerable Mah?kassapa was held grew still greater, and he was seen as the de facto head of the Buddhist Sa?gha. Thus Mah?kassapa, who had been generally recognized in the Order as the worthiest in succession. Taking about Mah?kassapa as a cipher for larger trends, we find a tension between forest and settled monastic points of view. The contrast between these two different ways of viewing the relation of settled monastic and forest Buddhism evident in Mah?kassapa’s personality.

      • KCI등재후보

        송대(宋代) 선종(禪宗)의 장법(葬法) -오산주지(五山住持)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김다감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4 무형문화연구 Vol.0 No.13

        송대에 오산주지의 입적 기록을 확인하여 화장과 토장 등 장법의 실시 상황을 정리하였다. 이번에 확인한 송대 선종 오산주지는 경산사가 41명, 영은사가 53명, 천동사가 43명, 정자사가 53명, 아육왕산이 49명으로 총 239명이다. 이 중 중복되는 주지가 29명임에 따라 총 210명의 주지에 대한 입적 기록을 확인한 것이 된다. 화장에 관한 기록이 나타난 사람은 16명(7.6%), 토장에 대한 기록은 29명(13.8%) 이었다. 총 45명(21.4%)으로 전체의 20% 정도이다. 이외에 입적만이 기술된 사람은88명(41.9%), 입적에 대한 기술이 없는 사람은 77명(36.7%)이다. 이들도 당연히 토장 또는 화장을 실시하였겠지만 본고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검토 결과 토장은 화장에 비해 2배 정도 그 실시 예가 기록되어 있다. 사리 출현으로 인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 입적자 또는 그 주변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화장을 하지않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보다는 인도와 다른 중국의 사생관의 영향이다. 중국은 예로부터 전신을 보존하고 사후에도 혼백의 결합과 부활을 기대하는 사생관을 가지고있다. 불교와 함께 인도의 장법인 화장이 전래되었지만 중국 장법이 뿌리 깊은 탓에확산되지는 않은 것이다. He record of the nirvana of chief priests of Osan in Song dynasty was checked to organize funeral methods such as cremation and vomiting. The chief priests of Osan of zen buddhism, which was identified this time, was 41 people from Gyeongsan Temple, 53 people from Yeongeun Temple, 43 people from Cheondong Temple, 53 people from Jeongja Temple, and 49 people from Ayukwangsan Mountain, a total of 239. Of these, 29 people from chief priests were duplicated, so a total of 210 people's nirvana records were confirmed. There are 16 people (7.6%) recorded for cremation and 29 people (13.8%) recorded for inhumation. A total of 45 people (21.4%) are about 20% of the total. In addition, 88 people (41.9%) recorded Nirvana and 77 people (36.7%) did not have information. Of course, they would have conducted inhumation or cremation, but it could not be confirmed in this paper. As a result of the review, inhumation has twice as many records as cremation.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caused by the appearance of Serira, nirvana or those around them deliberately did not cremation. However, this is more the influence of the afterlife view in India and other China. China has traditionally had an afterlife view that preserves the whole body and expects the combination and resurrection of the soul after death. Along with Buddhism, cremation, an Indian funeral method, was introduced, but it did not spread due to the old history of inhumation in China.

      • KCI등재

        불교민속의 이중구조 재론 -석가모니 열반이야기의 다비(茶毘) 모티프를 사례로-

        편무영 실천민속학회 2024 실천민속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석가모니의 열반 이야기 중에서도 특히 며칠 동안의 다비에 주목하였다. 불교민속이 갖는 성속의 이중구조를 재차 분석하여 이전의 연구에서 밝히지 못한 변증법적 전승 양태의 실태를 드러내려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범어 빨리어 본에서 다비를 살펴보니 인도의 신화와 불교 사이에서 경전이 만들어졌음이 재차 확인되었다. 그러나 불교가 중국으로 전파되면서는 중국의 문화와 불교 사이에서 한역 경론이 만들어졌기에 중국의 문화가 다수 섞이는 계기가 되었다. 가장 큰 이유는 인도 불교를 잘 설명하기 위한 대기설법의 일환으로 부득이하게 선택한 중국적 은유법이었다. 이를 두고 중국 양 나라 때의 승우는 성언과 속설로 설명하였으며 승우의 견해를 잘 이해한 조선시대의 석보상절 편집자들은 감로와 허언으로 바꿔 표현하였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속설과 허언이 무엇을 은유하려던 방편인지 오해나 망각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이것은 이중구조를 구성하는 성과 속이 각자의 길을 걷게 된 배경이었다. 석가모니의 시신을 올려놓았던 평상[牀]이 구(柩)나 관(棺) 곽(槨) 여(輿)로 점차 바뀌는가 하면 본래 없던 관에서 두 발이 밖으로 나온다거나 관이 허공을 난다는 식의 과장된 속설이 속속 만들어졌다. 한국 불교는 중국의 이러한 속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였고 작금에 전해지는 속강이나 팔상도 이야기가 이를 입증한다. 한편으로는 효(孝)를 중심으로 몇 가지 한국적 이야기가 엿보이는가 하면 감로와 허언에 주의하는 팔상도가 발견되기도 했다. 그런데 이러한 전승 과정은 일본도 예외가 아니어서 교리적 본질을 지키려는 속강이 있는가 하면 한편으론 석가모니의 죽음을 십이지의 동물들이 알리러 간다거나 마야부인의 하강을 새가 방해하고 약봉지를 허공에서 던지는 등 민담에 버금가는 그림 설법 또한 전하는 실정이다. 여기서 불교민속학은 이러한 속설과 허언에만 주목하기 보다는 성언과의 본질 문제에 입각하여 성속의 이중구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문제의 핵심은 불교민속 자체보다는 전승양태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성속의 전승양태는 일원론 이원론의 양면 구조라는 점과 더욱 발전하여 변증법적으로 전승됨으로써 발생하는 제3의 문화에 주목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요컨대 성과 속의 변증법적 전승양태를 더욱 심도 있게 밝혀나가는 연구야말로 불교민속학 앞에 놓인 우선 과제의 하나일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cremation aspect of the story of Buddha’s Nirvana. Its purpose is to re-analyze the dual structure of sacred and secular elements in Buddhist folklore and reveal the dialectical transmission patterns that have not been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First, by examining cremation in the Sanskrit and Pali scriptures, it was confirmed that these scriptures were created at the intersection of Indian mythology and Buddhism. However, as Buddhism spread to China, the scriptures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integrating Chinese cultural elements. The primary reason for this was the use of Chinese metaphors to make Indian Buddhism more comprehensible to Chinese audiences. In response, Sengyou (僧祐, 445~518), a monk in early medieval China, explained it in sacred and secular terms, which the editors of Seokbosangjeol (釋譜詳節, 1447), well aware of Sengyou’s views, paraphrased as nectar and falsehood. However, over time, misunderstandings occurred as to what the secular and false words were intended to express, and this is the background to the separated development of the sacred and secular dualism. The bed on which Buddha’s corpse was placed was turned into a coffin or hearse, and popular myths were created such as two legs coming out of the coffin, which should not have been there, or the coffin flying in the sky. Korean Buddhism was not free from these Chinese popular beliefs, which are supported by the sermons and palsangdo (Buddhist paintings of the eight great events) handed down to the present day. On the other hand, Korean stories centred on filial duty can be found, as well as palsangdo cautioning against nectar and falsehoods. Japan is no exception to such traditions. While there are sermons that are strict in their doctrinal essence, there are also pictures and sermons passed down, such as birds obstructing the descent of Maya, animals informing of Buddha’s nirvana, etc. Rather than focusing on such popular beliefs and falsehoods, Buddhist folklore should have focused on the dual structure of the sacred and secular based on the essence of the sacred word. This is because the core of the problem lies in the mode of transmission rather than in Buddhist folklore.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here to focus on the two-sided structure of monism and dualism and the third culture that arises from the dialectical transmission of the tradition. In essence, research to clarify the dialectical nature of sacred and secular traditions is one of the priorities of Buddhist folklore studies.

      • KCI등재

        茶毘의 현대적 활용

        조동섭 한국선학회 2005 한국선학 Vol.10 No.-

        宗敎는 죽음을 비롯한 인간에게 내재된 많은 모순과 문제들에 대한 불안감의 해결을 위해 존재하며, 宗敎儀禮는 그러한 인간 제반 고민의 해결을 위해 제시된 궁극적 목적을 향한 순차적 과정의 정형화된 행동규범으로 해당 종교의 인간관, 시간관, 내세관 등을 내포하고 있다. 喪葬儀禮 역시 종교별로 그 방법과 의미를 달리하는데 佛敎의 상장의례는 불교의 궁극적 목적인 解脫을 위한 방편으로 표현되고, 의례를 중시하는 儒敎의 경우 그 목적인 仁과 孝의 실천을 복잡한 상례의식의 과정을 통해서 표현한다. 불교식 상장의례는 死者에 번뇌와 업장을 소멸하고 불생불멸하는 열반에 이르라는 기원과 生者도 죽음 이후에 같은 길을 걸을 수 있기를 염원하는, 처음부터 그 마지막 순간까지 관조와 깨달음을 촉구하는 법문으로 이어지는 특징을 갖는다.葬法은 그 시신을 보존 또는 환원하는 방법에 있어 각자 주어진 기후와 토질 등 자연 지리적인 환경과 문화와 종교적인 습속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 되어왔다.유교식 埋葬法은 보다 넓은 공간을 장기간 死者에 할애하고자 하는 반면에, 불교에서 다비로 표현되는 火葬法은 짧은 시간 동안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에 拙稿는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고비용ㆍ저효율이던 기존의 장례문화에 대한 대안으로 불교의 상장의례법인 다비의 현대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불교 장례 의문에 밴 언어의 미학

        이성운 ( Lee Sung-woon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귀환의 몸짓인 불교의 화장을 뜻하는 다비와 풍장의 시다림 문화가 합해졌다고 보이는 한국의 불교 장례 의문인 다비문은, 대부분 16세기 중반 이후의 자료이다. 다비 절차 가운데 발인 이후의 의식을 떠남의 몸짓으로, 육신을 불태우고 산골하는 의식을 되돌림의 몸짓으로 분류하여 의문의 미학을 살펴보았다. 발인 이후 떠남의 몸짓은 극락세계로 나아가라는 데 초점이 있으며, 떠나는 출발지를 ‘만타청산(萬朶靑山)’ ‘일간홍일(一竿紅日)’으로 대비하는 등 문예 미학으로 깨달음의 법문을 잇고 있으며, “곳곳의 푸른 버들 말을 맬 만하고, 집집마다 문밖은 장안 가는 길”이라고 하는 데서 미학을 맛볼 수 있다. 화장하여 유골을 태우고 부숴 오방으로 뿌려 본래 자리로 돌려보내는 되돌림의 몸짓에도 아름다움은 널려 있다. “삼계의 혼미한 꿈 깨어나 몸 바꿔 법왕 성에 이르소서.”라거나, “번뇌의 고통을 벗고 쌍림 열반의 즐거움을 얻으라”, “오대산 허공 속에서 흰 구름으로 유유히 떠돈다”라고 하며 자유자재를 노래하는 데 아름다움이 넘실댄다. Most of the ritual orations for the Korean Buddhist funeral, Dabimun, which seems to be a combination of Sidarim(Requiem) culture of Dabi meaning cremation and its aerial burial, date from after the mid-16th century. This paper considers the aesthetics of its ritual oration, with the ritual after the departure of the funeral service classified as a gesture of leaving, and the ritual of burning the body and dispersion of ashes as one of returning. The ritual after departure of a funeral procession classified as a gesture of leaving focuses on going to the world of paradise, which shows the teachings of enlightenment through literary aesthetics, such as contrasting the departure point with 'a green mountain with numerous branches hanging down(萬朶靑山)' and 'red sun caught on a fishing rod(一竿紅日)'. The aesthetics can be seen in the sentences that “there are green willows here and there that can be used to tie horses, and that outside the door of every house is the road to Changan.” We can find beauty in the gesture of returning, such as cremation, burning and crushing the remains, scattering them to the five directions, and returning them to their original places. It is full of beauty in singing of perfect freedom, with the lyrics that “May you awaken from the delusive dream of the Three Realms, change your body into a new one, and reach the palace of Dharma-King”, that “get rid of the pain of suffering and gain the joy of entering parinirvana under the twin Sara tree,” and that “become a white cloud and wander leisurely in the air of Odae mountain.”

      • KCI등재

        『釋譜詳節』의 涅槃相 고찰 - 『Buddhacarita』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유미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8 No.-

        본 논문은 인도 찬술의 불타전 『Buddhacarita』와 한글 최초의 불전인 『釋譜詳節』의 涅槃相에 나타난 붓다와 붓다의 유훈에 따른 수행의 관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붓다짜리타』는 A.D 1~2 세기경의 작품으로 초기 대승의 경향을 지닌 불전이다. 이 책의 저자인 Aśvaghoṣa는 당시의 전형적인 불교도의 신앙형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작가로 평가되는데, 붓다짜리타 의 열반상에서 그려지고 있는 붓다는 자신의 열반 후 제자들의 수행을 염려하는 자비심 있는 人天의 스승으로 나타난다. 또한 붓다의 유훈을 통해 강조하고 있는 것은 八正道의 실천과 수행정진이다. 이에 반하여 A.D 5~6 세기의 『釋迦譜』와 A.D 6~7 세기경의 작품인 『釋迦氏譜』를 중심 底經으로 편찬된 『석보상절』에서는 붓다는 절대적인 神力을 가진 신앙의 대상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 두 기본 저경과 구별되는 『석보상절』만의 독특한 부분은 佛像造成을 강조하며 붓다와 佛舍利 신앙을 추구하도록 한다. 또한 善業의 축적과 붓다에 대한 신앙을 강조하는데, 이와 같은 신앙의 길은 일반 대중이 깨달음을 얻기 위한 적절한 방법으로 제시된다. 이것은 붓다짜리타 에서 강조하고 있는 자력적 요가수 행과는 대비되는 것으로, 그 이유는 석보상절 이 주요 독자층을 일반 대중으로 상정하고 있는데 있다. 또한 석보상절 에서는 기본 두 저경과 마찬가지로 孝를 강조하고 있는바, 이것은 동아시아의 문화를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Buddha and the view of practices expressed in the characteristic of Nirvāna in Buddhacarita written in India and Seokbosangjeol ( 釋譜詳節 )which is first Korean Buddha biography. Buddhacarita was written in A.D 1~2C ,which has the tendency of early Mahāyāna. The author of this book is Aśvaghoṣa who was considered as one who depicted realistically the form of Buddhist faith those days. Buddha presented in the characteristic of nirvāna appears as the benevolent teacher of the human and heavenly beings who was concerned about the practices of His disciples after His nirvāna. And the thing emphasized through His nuncupation is the exercise of the Noble Eightfold Path(八正道) and ardent practice. On the other hand, Buddha is described as the object with absolute god power in Seokbosangjeol that was written based on the Seokgabo ( 釋迦譜 ) in A.D 5~6C and Seokgasibo ( 釋迦氏譜 ) in A.D 6~7C . The distinctive part of Seokbosangjeol different from these two based books is emphasizing on making the Buddha statue and pursuing the faith of Buddha and Buddha Śarīra(the relics of the Buddha). And it stresses on the good deed and the faith of Buddha. And this kind way of faith is presented as the proper way in which populace can get enlightened. This is distinguished from the yoga by one's own efforts practice which is accentuated in Buddhacarita , the reason of this placing in that the main readers of Seokbosangjeol are the general public. And filial deeds are stressed in Seokbosangjeol like the two fundamental books and this seems to represent the culture of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