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 수용과 변용 : 『원돈성불론』을 중심으로

        김천학(Kim, Cheonhak)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3 No.-

        지눌 연구성과 가운데 미진한 부분이 이통현과의 사상적 관계를 논한 연구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원돈성불론』을 중심으로 이통현 화엄사상의 수용과 변용 양상을 분석하고, 그 간의 지눌 사상 이해를 보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지눌의 문제의식은 선교와 계합점을 찾는 것과 범부가 믿음에 들어가는 방법을 찾는 두 가지로 수렴된다.『원돈성불론』에서도 이와 같은 지눌의 문제의식을 읽을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고찰하는데 핵심어는 돈오와 점수가 될 것이다. 그리고 돈오와 점수를 화엄사상에서 찾는 다면 발심, 발심과 관련된 십신·십주의, 보광명지에 대한 지눌의 해석과 관련될 것이다. 지눌은이러한 개념들의 해석에서 이통현의 화엄사상을 거의 수용한다. 그렇다면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을 어떻게 자신의 사상체계에 수용했을까?발심에 관련된 용어는 발심, 초발심, 발보리심, 발신심, 초심등이 있다. 각 용어는 십신과 십주, 전체의 계위에 통하는 3가지 용례가 검토된다. 지눌의 발심에 관한 사용예는 이통현과 비교할 때 대체로 문제는 없으나, 이통현과 상위를 보이는 경우도있다. 십신과 십주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는 지눌 독자의 조어가 보이며, 지눌은 십신을 중시하는 반면에 이통현은 십신과 십주를 함께 중시하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위는 지눌이 종밀, 천태의 사상 등을 수용함으로써 빚어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통현에게 영향을 크게 받으면서도독자적 해석을 견지하는 지눌의 자세를 읽을 수 있다. 지눌이 연기론의 차원에서 원융론과 항포론을 논하는 반면에, 이통현은 항포에 대해서는 거의 무관심하다. 또한, 이통현에따른다면, 불과위는 십주위의 단계에서 비로소 성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눌은 이통현의 십주 단계의 설명을 십신 단계로 끌어들여 설명한다.지눌은『원돈성불론』에서 이통현이『화엄경』의 근기를 일승에 한정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현재 이 땅에 사는 중생들 모두에게 열어놓았다. 그만큼 지눌에게는 고려시대 불교 현실의문제가 절박했기 때문일 것이다. 보광명전은 현실의 땅이다. 지눌이 이통현과는 달리 부동지보다 보광명전을 즐겨 사용한 것도 현실의 중생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보인다 This article purpor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Jinul [知訥]'s adoption of Litongxuan [李通玄]'s Huayan Thought mainly in the W?ndons?ngbullon [圓頓成佛論]. Generally, Jinul's concern is divided into two, one being the search for the agreement with the teachings of S?n [禪] and the other being the search for the method of ordinary persons' entering faith. The W?ndons?ngbullon also shows such a concern, which could be ascertained in the comparison of Jinul's interpretation of Balsim [Faxin 發心], Sibsin [Shixin 十信], Sibju [Shizhu 十住], and Bogwangmy?ngji [普光明智] with Litongxuan's. Jinul adopts Litongxuan's Huayan thought, developing his own distinctive terms frequently. In addition, while Litongxuan emphasizes Shixin and Shizhu simultaneously, Jinul only emphasizes Sibsin [Shixin]. Such discrepancies are resulted from Jinul's adoption of some thoughts from Zongmi [宗密] and Tiantai [天台]. Thus we can understand Jinul's maintaining independent attitude of interpretation in spite of being influenced greatly by Litongxuan. According to Litongxuan, the Fuguowei [佛果位] cannot be achieved until the stage of Shizhuwei [十住位]. Nevertheless, Jinul introduces Litongxuan's explanation on the stage of Shizhu[十住] into the stage of Shixin [十信]. In addition, while Litongxuan limits the capacity for the Avatamsaka sutra into the Ekayana [一乘], Jinul opens it into every sentient being on the earth. For Jinul,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at his time seems to have been pressing. Bogwangmy?ngj?n [普光明殿] is our real world. Unlike Litongxuan, Jinul likes to refer to Bogwangmy?ngj?n more than Budongji [不動地] from his concern for the real sentient beings near him. From now on, Jinul's attitude in citing Litongxuan's works throughout his oeuvre need to be analyzed more thoroughly. Besides, more advanced understanding of Jinul requires more profound research into the Kory? dynasty's Huayan studies in his time.

      • KCI등재

        북미불교에서 보조 지눌에 대한 인식과 이해

        김지연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9 No.-

        The research on Jinul (知訥, 1158-1210) is a big part of the field of the Korean Buddhist study in North America. The books written by Jinul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Then the thought of Jinul was studied by many scholars: Sung-bae Park, Hee-sung Keel, Kun-ki Kang, Jae-ryong Shim, Buswell E. Robert Jr., Peter N. Gregory, Robert M. Gimello, Ronald J. Daziwnka, Thomas F. Cleary, Jin Y. Park, Chan-ju Mun and so on. Through their writings on Jinul in North America, this study examines how researchers of this area understand Jinul. First, I considered scholarly evaluation of Jinul. Second, I introduce the representative understanding by the scholars who study Jinul in North America, especially focusing on the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with Inserted Personal Notes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Third, I treat the influence of the studies on Jinul of the North America. It makes the understanding of the Jinul's thought to be broaden and deepen. 불일보조국사(佛日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은 북미 불교학의 한국불교 연구 분야에서 원효(元曉, 617-686)와 함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이다. 『권수정혜결사문(勸修定慧結社文)』을 비롯한 지눌의 저술이 영역되어 출판되었고, 그의 사상에 대해 박성배, 길희성, 강건기, 심재룡, 로버트 버스웰, 피터 그레고리, 로버트 지멜로, 로날드 다진카, 토마스 클리어리, 박진영, 성원 등이 연구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북미지역에서 이루어진 지눌에 대한 저술과 논문을 통해 북미연구자들이 지눌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고찰하였다. 우선 지눌에 대한 북미학자들의 평가를 살펴보았다. 첫째로 지눌은 중국에서 수학하지 않은 한국의 독자적 불교 전통을 형성한 인물이다. 둘째로 그는 선불교를 포함한 한국 불교 전통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셋째로 지눌의 돈오점수(頓悟漸修)의 수증론은 한국불교의 핵심 중 하나가 된다. 넷째로 그의 사상적 특징은 정혜쌍수(定慧雙修)로 표현되는 선과 교의 통합에 있다. 다음으로 지눌의 저술에 대한 북미연구자들의 해석을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이하 『절요』로 약칭)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왜냐하면 북미불교학에서 지눌에 대해 많은 연구성과를 낸 박성배와 로버트 버스웰의 견해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박성배는 『절요』가 단순히 종밀의 방대한 책을 간추린 것이므로, 어디까지나 ‘절요’일 뿐이라고 말한다. 반면에 로버트 버스웰은 『절요』를 모든 동아시아 불교문헌 전통에서 가장 완벽하고 통찰력 있는 것 중 하나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지눌이 후대에 미친 영향을, 북미를 제외한 다른 지역의 불교학 영역과 다른 학문분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와 같이 북미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지눌의 사상이 성리학 등의 동양철학과 신학을 포함한 서양철학과 만나게 되면서, ‘한반도’와 ‘고려’라는 지형적이고 시대적인 경계를 벗어나 지눌의 사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보조 지눌 사상의 통시적 현재성 - 정토사상을 중심으로 -

        신규탁 한국선학회 2015 한국선학 Vol.41 No.-

        필자는 이 논문에서 “지눌(知訥)은 정토사상(淨土思想)을 수용했다”라고 주장함과 동시에 이런 필자의 주장에 근거를 제시했다. 현재 한국의 불교학계에는 지눌의 정토사상 수용 여부에 대하여 상반된 입장이 발표되었다. 심재룡 교수(1990)는 지눌은 정토사상을 수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반면, 길희성 교수(2001)는 지눌이 수용했다고 주장했다. 길희성 교수는 『염불요문(念佛要門)』을 지눌의 저서로 인정하고, 그 책에 실린 문헌자료를 근거로 자신의 입장을 논증하였으나, 필자는 『권수정혜결사문(勸修定慧結社文)』을 문헌적 근거로 삼아, 지눌이 정토사상을 수용했다고 주장했다. 결과적으로는 길희성 교수와 필자는 같은 주장을 하고 있지만, 그 주장에 사용하는 문헌적 자료는 달리했다. 필자가 그렇게 한 이유는 『염불요문』은 지눌의 작품이 아닐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필자가 『염불요문』이 지눌의 작품이 아니라는 주장에 동조하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염불요문』에 정토사상을 수용하는 부분이 포함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이 책이 보조의 작품이 아니라는 주장은 ‘충분한 근거대기’의 오류를 범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지눌의 철학체계 속에는 정토사상이 수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눌은 도덕적 행위와 수행을 결여하고 정토에 왕생하려는 당시의 풍조는 비판하지만, 유심정토(唯心淨土)의 설만은 수용하고 있다. 필자는 선사이면서도 정토를 수용하는 지눌의 철학적 태도를 ‘통시적 현재성(Diachronic Contemporaneity)’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In this paper I provide grounds for my argument that Chinul accepted the Pure Land thought. In the academic circles of Buddhist studies in Korea a series of conflicting ideas regarding Chinul’s acceptance of the Pure Land thought have been published. While Professor Shim, Jae-ryong(1990) asserted that Chinul did not accept the Pure Land thought, Professor Keel, Hee-sung(2001) argued otherwise. Keel approved Yeombulyomun(念佛要門, The Essential Method of Reciting the Buddha's Name) as authored by Chinul, and used bibliographical sources from it in order to support his argument. However, I find the basis for proving Chinul’s acceptance of the Pure Land thought in Gwonsujeonghyegyeolsamun(勸修定慧結社文, Exhortations to Practice for Samadhi and Prajna Society) instead. Although I agree with Keel on Chinul’s acceptance of the Pure Land thought, my grounds for this argument is based on different bibliographical sources than his.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because that there has been some suspicions that Yeombulyomun was not written by Chinul.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I agree with the speculation that Yeombulyomun is not a work of Chinul. I think the supposition that this book was not composed by Chinul solely based on the fact that some of its content implies the acceptance of the Pure Land thought, is a ‘fallacy of vacuity.’ In fact,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Chinul embraces the Pure Land thought. Although Chinul criticized the tendency of relying on the Pure Land without performing Buddhist practice or moral deeds, he accepted the idea of the ‘Mind-Only Pure Land(唯心淨土).’ In light of the concept of ‘Diachronic Contemporaneity(通時的現在性),’ I endorse the idea in Chinul’s philosophy that accepts the Pure Land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Zen Buddhist monk.

      • KCI등재

        知訥과 朱熹의 倫理思想에 대한 比較分析 -心性論을 中心으로-

        김종용 한국불교연구원 2021 불교연구 Vol.54 No.-

        한국 윤리사상의 근간에는 儒·佛의 사상이 복합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한국 철학의 중심에는 단연 지눌(知訥, 1158-1210)과 주희(朱熹, 1130-1200)의 사상이 至大的이다. 그들의 사상은 한국 철학의 전반에 영향을 주었으며, 윤리학 또한 그중 하나이다. 이들의 윤리학적 논리는 ‘인간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물음의 해답은 心性論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심성론의 해석 위에서 윤리학의 이론과 방법론이 구축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의 윤리학적 근거를 추적하기 위해 두 인물의 윤리학을 심성론을 중심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두 이론 모두 인간은 선험적으로 윤리적 기준을 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눌은 眞心이 곧 空心임을 깨달아 이에 혼연히 드러나는 空寂靈知로 말미암는 윤리적 판단을, 주희는 마음[心]의 主宰로 말미암는 性=理가 윤리적 판단의 기준이 된다고 보았다. 둘째, 두 인물 모두 순수한 인간 그 자체로는 윤리적 행위가 불가하다고 보았다. 지눌은 진정한 윤리적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解悟를 전제로 하였고, 주희는 정당한 공부의 과정 없이 곧장 도덕적 自覺 또는 도덕적 知覺에 이르려는 것은 불가하다 말하고 이에 居敬涵養의 공부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셋째, 지눌의 윤리적 행위의 논리는 자신과 타인 그리고 만물과의 경계를 허무는 것에서 온다. 이에 지눌의 윤리적 행위는 타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본질로 들어간다면 곧 자신을 돕는 것이며[自利利他], 만물을 모두 소중히 여기는 것 또한 같은 논리이다. 하지만 주희는 이러한 物我爲一의 개념에 의한 윤리적 행동을 비판한다. 주희는 만물과 내가 하나인 경지에 이르게 되면 仁을 구하고자 하는 이는 공부를 어디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게 되며, 仁은 自心의 이치인데 남과 나의 구분이 없게 되면 누가 주체가 되어 누구를 사랑하는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하였다. 넷째, 지눌의 윤리적 판단은 공적영지에 의한 판단으로 이러한 판단은 무위적인 것으로 이성적 판단이 아닌 직관적 판단에 해당한다. 반면 주희의 윤리적 판단은 心에 의한 자율적 행위로, 심의 주재에 의한 이성주의적 판단에 해당한다.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in a complex harmony at the basis of Korean ethical thoughts. At the center of this Korean philosophy, the ideas of Ji-Nul(知訥, 1158-1210) and Zhu-Xi(朱熹, 1130-1200) occupy a large part. Their thoughts influenced the whole of Korean philosophy, and ethics was one of them. Their ethics start from 'how to interpret humans?'.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can be found in Xin-Xing-Lun[心性論].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ethics a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is interpretation of Xin-Xing-Lun[心性論]. This thesis compared and analyzed the ethics of the two characters, focusing on Xin-Xing-Lun[心性論] to trace the ethical basis of Korea. The result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both theories say that humans have inherent ethical standards. Ji-Nul[知訥] refers to an ethical judgment based on Kong-Ji-Ling-Zhi[空寂靈知] that is revealed by realizing the original emptiness of Zhen-Xin[眞心]. However, Zhu-xi[朱熹] regarded the Li[理] of Xing[性] presiding with Xin[心] as the standard for ethical judgment. Second, both figures considered that pure humans themselves were not capable of ethical behavior. Ji-Nul[知訥] presupposes Jie-Wu[解悟] in order to conduct a genuine ethical act. And Zhu-xi[朱熹] said that it is impossible to achieve moral awareness directly without a proper course of study, and he saw that the study of Ju-Jing-Hamg-Yang[居敬涵養] should be premised. Third, the logic of the ethical behavior of Ji-nul[知訥] comes from breaking the boundaries between oneself, others, and all things. Therefore, Ji-Nul[知訥] ethical behavior is for himself, not for others. It is also the same logic to value all things. However, Zhu-Xi[朱熹] criticizes the ethical behavior of the concept of Wu-Wo-Wei-Yi[物我爲一]. Zhu-xi[朱熹] said that when all things and I reach the level of being one, those who want to save Ren[仁] do not know where to start their studies. ‘Ren[仁] is the reason of one’s own heart, but if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me and others, it is said that it is impossible to know who is the subject and loves whom. Fourth, Jinul's ethical judgment is a judgment based on Kong-Ji-Ling-Zhi[空寂靈知], which is a judgment of Wu-Wei[無爲]. Therefore, it is an intuitive judgment, not a rational judgment. On the other hand, the ethical judgment of ‘chuu’ is an autonomous ethical act by the mind, which corresponds to a rational judgment.

      • KCI등재

        돈점 논쟁의 쟁점과 과제

        박태원(Park, Tae-w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고 돈오돈수를 천명한 성철의 돈점론 이후 전개된 돈점 논쟁에서, 그 핵심 논점은 결국 상호 연관된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된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하는 것이 그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圖頓信解)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가?’가 다른 하나이다. 해오를 지해라고 간주하여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은, 그 논거를 ‘지눌의 돈오는 해오이고 그 해오는 화엄의 원돈신해 관법을 그 내용으로 삼고 있다’는 데에서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을 사람들도, ‘지눌의 돈오는 화엄 원돈신해를 그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그의 돈오/해오는 화엄의 성기론적 이해를 담기 위한 것 혹은 그 결과’라는 관점을 널리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지눌의 돈오/해오를 화엄의 원돈신해와 등치시킨다는 점에서는, 성철은 물론 대다수 지눌 연구자들의 견해가 일치한다. 결국 ‘해오(解悟)/지해(知解)/해애(解碍)’를 동일시하는 성철의 견해에 대한 판단과 평가는, ‘화엄적 해오가 지해인가 아닌가?’에 어떻게 답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는 견해들은 ‘화엄적 원돈신해가 단순한 지해와는 다르다.’고 할 것이고, 성철의 관점에서는 ‘아무리 차이를 부여해 보았자 본질적으로 지해 범주를 못 벗어난다.’고 공박할 것이다. 돈오점수에 대한 성철의 비판으로 전개된 돈점 논쟁에는 그 핵심 논점을 둘러싸고 혼란이 존재한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아직 해소되지 못한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써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이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서는 돈점 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꾼 새로운 독법이 요청된다.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을 둘러싼 모호함과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은 기존의 논의 구조를 지탱하는 핵심 명제들을 재검토하는 데에서 출발해야 한다. 특히 ‘지눌의 돈오는 화엄의 원돈신해적 해오’라는 명제를 재검토해야 한다. 만약 이 전제에 갇히지 않을 수 있다면 논의의 틀 자체를 바꿀 수 있고, 그 결과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된다. The point of dispute on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be condensed in two questions; One is “Is it reasonable to regard th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s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the other is “Is it sufficient to se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a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view of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f the difference between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Wha-um’s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must first be reconsidered.

      • KCI등재

        보조지눌의 간화선관(看話禪觀)에 내재된 문제점 연구

        최용운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6 No.-

        오늘날 간화선은 한국불교계의 대표적 수행법으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간화선을 태동시킨 중국을 포함해 세계 어느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현상이다. 간화선에 대해 논할 때 창안자인 대혜종고와 국내에 간화선을 처음 소개한 보조지눌을 빼놓을 수는 없을 것이다. 대혜는 당시 중국 불교계에 만연했던 묵조선과 문자선의 폐해를 간파하며 그 병폐로부터 벗어나 증득에 이르는 올바른 수행의 길을 제시하고자 간화선을 창안하였다. 이 간화선 수행을 통해 대혜가 강조하고자 했던 중요한 정신 가운데 하나가 바로 ‘선의 대중화’였다. 이 대혜의 사상이 대혜어록 을 통해 국내로 전해졌으며, 지눌이 이것을 접하게 됨으로써 최초로 간화선이 국내에 소개되었다. 대혜어록 을 접할 당시 지눌은 ‘지적 알음알이의 병통[知解病痛]’을 겪고 있었는데, 대혜의 가르침을 통해 그 병통을 물리칠 수 있었다. 이후 지눌은 본인이 정립한 세 가지 수행문[三門] 가운데 하나로 간화선을 포함시켰으며, 무심합도문(無心合道門)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부여하며 간화선의 가치를 더욱 선양하였다. 하지만 지눌이 정립한 간화선 이론에 따르면 간화선은 최상승근기에만 적합한 수행이다. 이는 대혜가 간화선을 통해 강조하고자 했던 근본정신 가운데 하나인 ‘선의 대중화’라는 중요한 관점에서부터 너무 동떨어진 입장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 불교계는 간화선의 대중화를 외친다. 하지만 지눌의 이론에 따르면 간화선은 결코 대중화될 수 없는 수행법이다. 간화선 보조지눌의 간화선관(看話禪觀)에 내재된 문제점이 최상승근기에게나 가능한 수행법이라는 이론을 정립한데는 지눌 나름의 개인적인 이유가 있었다. 그러나 비록 그 이유가 그가 대혜어록 을 접할 당시의 상황으로 인해 형성된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으로 인해 후대에 간화선 수행을 하고자 하는 이들 앞에 높디높은 장벽이 세워져서는 안 된다. 간화선의 대중화라는 화두를 타파하기 위해 지눌의 관점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Today Ganhwa Seon[Ch. Kanhua Chan 看話禪], as a representing practice method, has a matchless position in Korean Buddhism. This is a unique phenomenon that cannot be found in any other country, including China where Ganhwa Seon was founded. In discussing about Ganhwa Seon we cannot count out Tahui Tsungkao[大慧宗杲, 1089~1163], the founder of Ganhwa Seon and Pojo Chinul [普照知訥, 1158~1210], a Seon master who was the first to introduce Ganhwa Seon to Korea. Penetrating the harmful effects of Mochao Chan[黙照禪] and Wentzu Chan[文字禪] that has prevailed in Chinese Buddhism, Tahui invented Ganhwa Seon in order to show the right way of practice for obtaining enlightenment. One of the important ideas that Tahui wanted to emphasize through the Ganhwa Seon practice was 'popularization of Seon'. The idea of Tahui, popularization of Seon, was transferred into Korea through Tahui yulu , by which Chinul introduced Ganhwa Seon into Korea. Chinul was undergoing ‘a sickness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知解病痛]’ at the time he encountered Tahui yulu _; through Tahui's teaching he was able to defeat the sickness. Afterwards Chinul included Ganhwa Seon as one of his three approaches of Seon practice and enhanced the value of Ganhwa Seon by giving it a new name, the ‘approach of no-mind that conforms with the path’[Musim hapto mun 無心合道門]. However according to the theory of Ganhwa Seon that was made by Chinul, Ganhwa Seon is suitable only for highly superior faculties. This position is far away from Tahui’s idea of popularization of Seon, one of the basic ideas that Tahui wanted to stress. Today Korean Buddhism emphasizes the popularization of Ganhwa Se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Chinul, however, Ganhwa Seon cannot be popularized at all. There is a personal reason explaining why Chinul made his theory that Ganhwa Seon is only possible for highly superior faculties. However, even if that reason was formed due to the context of the encountering with Tahui yulu , a high obstacle should not be built in front of practitioners who want to cultivate with Ganhwa Seon. In order to destroy the hwadu of the popularization of Ganhwa Seon, the perspective of Chinul need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조선중기 지눌 사상의 전승 양상

        손성필(Sohn Seong phil)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4 No.-

        지눌 사상의 계승 및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인적 계승 관계를 통한 연구 방법, 둘째, 저술 내용분석을 통한 연구 방법, 셋째, 서적 전승 양상을 통한 연구 방법이다. 이 세 가지 연구 방법 중 어떤 방법을 택하느냐에 따라 조선시대 지눌 사상의 계승과 영향에 대한 평가는 달라진다. 첫째, 인적 계승 관계를 통해 연구할 경우, 조선후기 불교계가 임제태고법통설을 수용하여 조선전기 불교사를 그 법통에 따라 재구성하였으므로, 고려말 임제 법통 수용 이전의 전통인 지눌 사상은 계승되기 어려웠다고 파악될 수밖에 없다. 반면, 둘째와 셋째의 저술 내용이나 서적 전승의 분석을 통한 방법을 통해 볼 때 지눌 사상의 영향력은 상당하였다고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우선 조선초기의 기화, 조선중기의 휴정의 저술에 나타나는, 간화선을 중시하면서도 돈오점수와 선교겸수를 지향하는 사상 경향은 지눌의 사상적 영향력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려워 보인다. 그런데 16세기는 불교서적 간행이 급증하면서 비로소 불서의 간행량 분석을 통해 불교계 사상 경향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게 된 시기이다. 간행 서적을 통해 불교 사상의 전승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 시기인데, 이 시기에 지눌이 저술하거나 중시한 서적이 다량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간행 불서 및 관련 기록의 분석을 통해 볼 때, 고려중기 이래 주요 사상 전통으로 전승돼 오던 지눌의 사상은 16세기 초 지엄에 의해 수용돼 강학체계 형성의 토대가 되었으며, 이 강학체계는 16세기 후반 휴정과 선수 등의 영향력 아래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17세기에 이 강학체계는 휴정과 선수의 문도들에 의해 이력과정으로 확립되어 보편적으로 수용돼 갔고, 조선후기 불교계의 특징적인 사상 체계로서 전승되었다. 이러한 조선중기 지눌 사상의 전승 양상은 고려 중기의 불교 사상가인 지눌의 사상이 조선초·중기에 면면히 전승되어 조선후기 불교를 태동시키는 토대가 되었고, 조선후기 불교는 다시 근현대 한국 불교의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불교사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눌 사상의 전승 양상은 15·16세기 불교정책에 따른 사상 전통의 단절, 임제 법통을 통한 명맥의 유지, 임진왜란 이후의 불교계 부흥 등과 같은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조선시대 불교계가 기존의 사상 전통을 능동적으로 계승하면서 이를 토대로 새로운 사상 전통을 창출하고 있었음을 실증하는 사례로서도 그 의미가 크다. 그러므로 법통 중심의 불교사 인식에서 벗어나 사상 전승의 구체적 양상에 대한 연구가 심화됨으로써 조선시대 및 한국 불교사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Existing research has identified three methods to understand succession and influence of Jinul’s thought. The first method examines human succession relations, the second written content, and the third aspects of publications transmission. The assessment of the succession and influence of Jinul’s thought is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of these three methods is used. It has been argued that the impact of Jinul’s thought was not great in the Joseon period, because most existing research uses the first method. During the middle of Joseon period the number of Buddhist publications increased rapidly. This enables to study how Buddhist thought changed on the basis of the amount of Buddhist scriptures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a large amount of publications was issued, which was written or considered as important by Jinu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uccession of different thoughts related to Jinul’s.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of the Joseon period, the policy for Buddhism was changed and the Buddhist community was re-organised. It can be argued that this re-organization to the character of the late Joseon period actively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thought of the Koryeo period. This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that regards Buddhist thought of Koryeo as discontinu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spect of Buddhist publications and records in the mid-Joseon period, it can be argued that the thought of Jinul, which was the major thought since the mid-Koryeo period, was adapted by Ji-eom in the early 16th century, which was then spreaded by Hyu-jeong and Seon-su in the late 16th century. After the 17th century it was established as the course of I-ryeok by followers of Hyu-jeong and Seon-su and spreaded further. As a result, the thought of Jinul succeeded as a specific Buddhist ideology in the late Jeseon period. This shows that Jinul’s thought from the mid Koryeo continuously spread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and became the basis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process is very important for the meaning of modern Buddhism, because the Buddhism from the late Joseon period contributed to establish modern Buddhism.

      • KCI우수등재

        지눌 사상의 여래장적 해석

        한경옥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3 No.-

        Chinul is known to have turned around ideologically from sudden awakening/ gradual cultivation (頓悟漸修) to koan meditation (看話禪) in his later years.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Chinul did not change his ideas. Rather, he insisted on the unity of enlightenment between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as well as Seon and Hwaom, based on Tathāgata-garbha thought. This was possible because Chinul inherited spiritual knowledge by nature (性自神解) and completely empty spiritual knowledge (空寂靈知) from Wonhyo (元曉) and Chongmil (宗密). These two terms have been emphasized as an intellectual characteristic in East Asia’s history of Tathāgata-garbha thought. They refer to the enlightenment of the Tathāgata-garbha, and share the awakening at the stage of gyeondo (見道) in Yogācāra. Chinul used “understanding-awakening (解悟)” in much the same sense as completely empty spiritual knowledge. He explicated three elements of understanding-awakening, which are self-contemplation (反照), belief in Buddha nature, and understanding of scriptures. Chinul’s understanding-awakening is similar to the ideas of Dahui Zonggao (大慧宗杲), because he also emphasized self-contemplation and did not disparage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scriptures (知解). Chinul focused on understanding-awakening as the key to penetrating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Chinul thought that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are the combination of munyeomsu (無念修, thinking without thinking) and pansasu (辦事修, being compassionate and helping others). Munyumsu is a process of observing thoughts. If we can observe thoughts, we will realize that there is Buddha-nature beyond thoughts. Pansasu is a practice of helping others with compassion. Chinul emphasized not only enlightenment but also ethical behavior. Therefore, we can see that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basis of Tathāgata-garbha thought. Chinul developed a practice theory for ordinary people, and achieved a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지눌은 초기에 돈오점수를 강조하였고, 후기에는 돈오점수보다 더 높은 깨달음을 지닌 간화선으로 전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본고는 지눌이 돈오점수에서 간화선으로 전회한 것이 아니라, 여래장사상을 바탕으로 돈오점수의 돈오와 간화선의 돈오의 일치를 추구하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먼저 여래장의 의미를 보성론 과 불성론 에서 고찰하고, 공의 지혜를 지닌 여래장의 의미를 바탕으로 지눌의 사상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공의 지혜가 없으면 여래장을 일견하고 무분별지를 증득할 수 없기 때문에, 여래장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동아시아의 선과 화엄사상은 초기불교부터 이어진 공사상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여래장사상은 동아시아에서 원효의 성자신해(性自神解)와 종밀의 공적영지(空寂靈知), 지눌의 해오(解悟)와 같은 지적(知的) 성격을 강조한 전통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지눌의 해오는 성자신해와 공적영지를 바탕으로 불성에 대한 믿음, 반조, 경론에 대한 깊은 이해를 포괄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눌이 법집사기 에서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수증론을 모두 이야기한 것은, 두 수증론의 돈오가 모두 동일한 여래장의 깨달음이기 때문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지눌이 간화선의 깨달음을 돈오점수의 깨달음보다 더 높게 보았다고 해석해 왔고, 실제 지눌 이후의 한국불교는 간화선 우위의 선교겸수 전통으로 이어져 왔다. 만일 선 안에서 간화선의 돈오가 돈오점수의 돈오보다 높다고 한다면, 간화선의 돈오를 우위에 두고 선과 화엄의 돈오가 일치될 수는 없기 때문에 지눌의 선교일치론은 깨어지고 만다. 본고는 지눌의 사상을 여래장사상으로부터 해석할 때, 이러한 선과 교 사이의 불필요한 지위논쟁을 일으키지 않으며 지눌이 본래 가졌던 사상적 의도를 보다 선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지눌은 공성(空性)을 품은 여래장사상을 바탕으로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을 통합적으로 사유하고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수증론을 발전시킴으로써 한국불교의 한 특성을 이루었다.

      • KCI등재

        지눌(知訥)의 이통현(李通玄) 사상 수용과 선교일치(禪敎一致)

        이유진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4

        Jinul(知訥, 1158~1210) was a figure who sought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Seon(禪, in Chinese, Chan) and Gyo(敎, in Chinese, Jiao) with his own Seon Gyo Congruence Theory(禪敎一致)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when the conflict had been intensified. The Fact that Jinul forms his philosophical framework centered on Li Tong-xuan(李通玄, 635?~730?)’s thought is often referred as a unique aspect. It is due to the fact that Li Tong-xuan’s thought is a non-mainstream unlike mainstream such as Fazang(法藏, 643~712). However, if you look at the background of Jinul’s acceptace of Li Tong-xuan’s thought, you can see that there was a natural series fo processes. Li Tong-xuan emphasized the equality between the sentient being(衆生) and the Buddha through the concept of Genben-puguang-mingzhi(根本普光明智, the Fundamentally Clear knowledge of Universal Illumination).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his thought showed an affinity with Seon, and was accepted by various Buddhist monks around the time of the emergence of the Seon Gyo Congruence Theory. Yongming Yanshou(永明延壽, 904~975), which Jinul significantly quoted from his early writings, also quoted the Xin-huayan-jinglun(新華嚴經論, The Commentary on New Huayan Sutra) a lot in Zongjing-lu(宗鏡錄, Records of the Source-Mirror). Jinul seems to have been sensitive to trends in Chinese Buddism from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to Song Dynasty through Zongmi(宗密, 780~841) and Yongming Yanshou. That currents were the Seon Gyo Congruence Theory and the Fusion of Different sects(諸宗融合). Jinul became interested in Huayan(華嚴, in Sanskrit, Avataṃsaka) and also encountered Li Tong-xuan’s thought through the writings of Yongming Yanshou. After reading the Xin-huayan-jinglun, Jinul realized that Seon and Gyo were consistent and insisted on the Seon Gyo Congruence Theory. It was firmly established by writing Wondon-seongbul-lon(圓頓成佛論, The Complete and Sudden Attainment of Buddhahood). Misundertanding of Seon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Huayan-jing are what makes Seon and Gyo at odds. Therefore, the fact that Seon and Gyo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proved by the concurrence of the Li Tong-xuan’s Huayan-jing(華嚴經, the Avataṃsaka-Sūtra) interpretation and Chan school. Jinul actively interpreted and accepted Xin-huayan-jinglun and completed his Seon Gyo Congruence Theory. According to Jinul’s interpretation, Li Tong-xuan’s thought is ‘Dunwu(頓悟,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Xingqi(性起, nature origination)’. This is linked to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mind itself is Buddha(卽心卽佛)’ in Chan school. In short, Jinul’s Seon Gyo Congruence Theory was completed by sublimating the phrase that Jinul found in Li Tong-xuan’s Huayan thought into the language of Chan school. 지눌(知訥)은 선과 교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던 고려말에 선교일치(禪敎一致)를 선양하며 선교의 대립을 해소하려 한 인물로, 그 사상의 교학적 근거는 당대(唐代) 법장(法藏)과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인물인 이통현(李通玄)의 화엄 사상이다. 지눌이 이통현의 사상을 중심으로 사상체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은 종종 지눌의 독특한 일면으로 언급되곤 하는데, 이는 이통현의 사상이 법장 등 주류 화엄과는 다른 독자적인 화엄 사상이라는 점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지눌이 이통현 화엄 사상을 수용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여기에는 자연스러운 일련의 과정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통현은 근본보광명지(根本普光明智)라는 개념을 통해 중생과 부처의 동일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러한 특성상 선과의 친연성을 보이며 선교일치 사상이 등장할 무렵에 여러 조사에게 수용되었다. 지눌이 초기 저술부터 중요하게 인용하고 있는 영명 연수(永明 延壽) 또한 종경록(宗鏡錄) 에서 신화엄경론(新華嚴經論) 을 다수 인용하고 있다. 지눌은 종밀과 연수 등을 통해 선교일치와 제종융합(諸宗融合)이라는 오대(五代)~송대(宋代) 불교계의 사상적 동향을 예민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리고 연수의 저술을 통해 화엄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통현의 존재 또한 알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신화엄경론 열람 후 지눌은 선과 교가 일치함을 온전히 깨닫고 선교일치를 주장하였다. 이는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을 통해 공고히 정립되었다. 선과 교가 대립하는 건 선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화엄경 의 종취에 대한 다른 해석 때문이다. 그러므로 선교가 다르지 않음은 이통현의 화엄경 해석과 선종에서 말하는 바가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증명할 수 있다. 지눌은 신화엄경론 을 적극 해석하고 수용하며 선교일치를 완성하였다. 지눌에 따르면, 이통현의 화엄 사상은 ‘돈오(頓悟)’와 ‘성기문(性起門)’이다. 이는 선종의 ‘돈오’와 ‘마음이 곧 부처’[즉심즉불(卽心卽佛)]와 연결된다. 요컨대, 지눌이 선양한 선교일치는 지눌이 이통현의 화엄사상 속에서 찾아낸 구절을 선종의 언어로 승화해냄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 KCI등재

        보조지눌(普照知訥)의 간화선관(看話禪觀) 고찰: 대혜종고(大慧宗杲) 간화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오용석(Yong Suk Oh)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4 No.-

        본 논문은 보조지눌의 간화선관을 대혜종고 간화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대혜종고에 의해 보편적 수행법으로 제시되고 수행되었던 간화선이 보조지눌에 의해 어떤 식으로 수용되었는지 ‘절후재소(絶後再甦)’의 개념을 통해 지눌이 제시한 간화경절문의 특징을 논하였다. 지눌은 범부중생이 지적인 이해에만 만족하지 말고 깨달음을 구현할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그는 선학자(禪學者)들도 화두에 대한 전제(全提)니 파병(破病)이니 하는 상견(常見) 혹은 단견(斷見)을 버려야 할 것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화엄교학과의 관계에서 선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만 『간화결의론』을 저술한 것이 아님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지눌의 경절문은 절대적인 경절문이 아니기에 그것을 수용하는 근기 혹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화두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화두를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 참의(參意) 혹은 참구(參句)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간화결의론』에 나타나는 지눌의 선사상은 교문 혹은 선문에 집착하는 병통을 깨뜨리고 대혜종고가 보여준 것과 같은 조사선의 활발발한 정신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지눌의 간화선을 대혜종고 간화선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면 동정일여(動靜一如)의 측면에서 회통한다.대혜가 조사선의 입장에서 간화경절의 길을 제시하고 삼교합일(三敎合一)과 진속불이의 입장에서 다양한 근기를 포섭하는데 역점을 둔 반면에, 지눌은 간화경절을 통해 지해가 갖고 있는 병통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교학자(敎學者)나 선학자(禪學者)들이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을 고민하였다. 지눌은 중도적 관점에서 당시 광선(狂禪)과 치선(痴禪)을 경계(警戒)하고 실천론적 관점을 제시하기 위해 간화경절문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Ganhwa Seon of Bojo Jinul based on the Dahui Zonggao’s Ganhwa Seon.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Bojo Jinul’s Ganhwa Seon how be accepted through the concept of ‘Born again after death’ that suggested in Dahui Zonggao’s enlightenment. Jinul emphasized that people should not only be satisfied with intellectual understanding but also embody enlightenment. In particular, he emphasized Zen trainees should also abandon a false view that the self and world are eternal and the view point of annihillation that of Hwadu. It is infered that GanHwa Gyeoruiron is not writtened only occupy a superiority by comparison with the Huayan thought. It is also shown that Jinul s shorter road to attainment is not an absolute passage, and i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or situation accepting it. This is because the Hwadu itself is not a problem, but it can be depending on how to approach the Hwadu itself. The Jinul’s Zen thought shows that break down the attachment of Zen Buddhism and scholastic Buddhism. It can be seen that Jinul presented a shorter road to attainment in order to show the middle way as a practical viewpoint to take warning the crazy Zen and foolish Z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