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리 영재학생들의 기본물리상수에 대한 인식

        김완선,김은진,김성원 한국물리학회 2013 새물리 Vol.63 No.4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are very important for the study of and the research in physics. However, their importances have not been considered in physics education for a long time. In this paper,to investigate gifted-students' perceptions of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quantitatively, we improved the inventory and applied it to 263 gifted students in physics, who participated in the summer camp of the Korea Physics Olympiad (KPhO) 2011. The new inventory was developed for 10 constants, with six information dimensions for each constant. The six dimensions are as follows: significant digit,order of magnitude, unit, dimension, experiment or related history,and physical meaning. Among the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the speed of light and Avogadro's number were the most highly perceived constants while Rydburg's constant was the lowest. I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among the dimensions, significant digit was highly correlated with order of magnitude, and dimension was correlated with unit except for the elementary charge ($e$) and Aavogadro's constant ($N_A$). Experiment or related history was not correlated with any of the other dimensions. We conclude that gifted students merely consider a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 to be a tool or a constant to solve physics problems. 물리학에서 기본 물리 상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교육현장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그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연구에서는 물리 영재 학생들의 기본 물리 상수에 대한 인식 수준에대하여 보다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여 인식 수준의 특성을 이해하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2011년 한국 물리 올림피아드 여름학교 일반물리온라인 수업을 이수한 물리 영재학생들로서, 서울지역의 263명의학생들이 참여하였다. 기본 물리 상수는 선행연구에서 채택된 `진공 중광속'을 비롯한 10개의 물리 상수이며, 이들 각각에 대해 6개의 구성요소(수치, 크기, 단위, 차원, 탄생배경 및 측정실험, 그리고 물리적 의미)를정의하여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SPSS 분석을 통하여 학생들은 기본물리 상수 중에서 `진공 중 광속'과 `아보가드로의 수'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고, `리드베리 상수'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물리 상수의 수치와크기와는 대체적으로 강한 상관을 보였으며, 단위와 차원 간의 상관은기본 전하량 ($e$)과 아보가드로의 수 ($N_A$)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보통 정도의 상관을 보였다. `탄생배경 및 측정실험'과 물리 상수의나머지 구성요소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의 기본물리 상수에 대한 인식에 배경지식의 유무가 크게 상관이 있지 않는다는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는 대다수의 학생들은 기본 물리 상수를 단지문제풀이나 계산과정에서 필요한 도구로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간주된다.

      • KCI등재

        중국과 한국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물리 영역 비교 연구

        최설매,한승기 한국물리학회 2020 새물리 Vol.70 No.8

        The present study takes 2011 middle school physics curriculum standards in China and the physics field of the 2015 science curriculum standards in South Korea as the research objects, and compares the objectives of science (physics)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middle school physics curriculum contents in the two countr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science (physics) education goals, both countries aim to improve scientific literacy, aiming to cultivate students’ inquiry ability and innovative consciousness on practical issues in nature and life; The curriculum standards in China stress learning basic physics, basic skills, and research method, while the curriculum standards in South Korea stress understanding the core concepts of science. 2. In terms of the content of middle school physics courses, in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 breadth and the depth of the content standards, we found that the middle school physics courses in China are more extensive than those of South Korea, but not as deep than those of South Korea. This result reflects the fact that science education in South Korea does not focus on the quantity of knowledge, but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core competence by learning an appropriate number of science core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references for the revision of middle school physics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future, as sell as useful enlightenment for the further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physics education. 본 연구는 중국의 2011년 중학교 물리 교육과정 표준과 한국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영역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양국의 과학 (물리) 교육의 목표와 과학교육의 물리 영역 내용 구성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물리)교육의 목표에서 양국 모두자연 현상 및 일상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것을 과학 (물리) 교육의 목표로 하는 공통점이 있으나 중국은 물리 기초지식, 기본 기능과 연구 방법을배우는 것을 강조하고, 한국은 과학 핵심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강조하는 차이가 있다. 둘째, 중학교 물리영역 내용 구성의 범위(breadth)와 수준(depth)을 정량적 비교하였을 때, 중국 중학교 물리교육과정의학습 내용의 범위가 한국보다 더 넓은 반면, 수준은 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의 과학교육이지식의 양보다는 적절한 과학 핵심 지식을 배우는 과정을 통해 과학 핵심 역량의 함양을 육성하는 것을강조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학교 물리교육의 개선점과 시사점을 모색하여 향후중학교 물리 교육과정 개정과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중학교 물리 교육과정의 실행에유용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KCI등재

        예비물리교사의 물리학습에 대한 신념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의 관계 탐색

        김홍정,임성민 한국물리학회 2012 새물리 Vol.62 No.2

        Science literac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objective in modern science education and was reflected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11. For the enhancement of scientific literac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has been emphasized, and various efforts have been to that end. On the other hand, belief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has been discussed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to affect the cognitive process such as conceptual understanding. Although many studie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exist, little has been done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the nature of science and other variables in learning science.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pre-service physics teachers'beliefs about learning physics and their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by using the Belief About Learning Physics Survey (Im, 2001)and a survey tool for the NOS by Nott \& Wellington (1993). Then,the author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about learning physics and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a correlational analysi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learning dimension of belief about learning physics and the process-content dimension of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were highly correlated, which means that pre-service physics teachers who have a physicist's perspectives on learning might consider contents as more important than process in physics inquiry. From this study, we can infer implications in physics teacher education for teaching of the nature of science. 과학적 소양은 국내외적으로 현대과학교육에 중요한 목적으로 부각되고있으며, 이는 2011년 개정된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에도 반영되고 있다.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키기 위해서 학교 현장의 과학교육에서는 과학의본성 이해가 강조되어왔으며, 과학의 본성 교육에 대한 다양한 노력들이이루어져 왔다. 한편, 과학교육연구에서 신념은 물리 개념의 이해와 같은인지적 과정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구인으로서 점차 부각되고 있다. 과학의 본성 이해를 측정하는 도구와 이를 활용한 연구는 많지만, 과학의본성과 다른 심리적 구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드물며, 과학의본성과 물리학습에 대한 신념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이 연구에서는 Nott \& Wellington(1993)의 과학의 본성 조사 도구와임성민(2001)의 물리학습에 대한 신념 조사(Belief About Learning Physics Survey)를 활용하여 예비물리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과물리학습에 대한 신념을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상관분석을 하였다. 상관분석을 통해 예비물리교사가 가진 물리학습에대한 신념 중 학습 차원만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중 과정-내용중심차원과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이것은 물리학자적인 학습관을 지닌예비물리교사는 과학 탐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과정보다 내용을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의 본성이해를 다루는 예비물리교사교육에서 물리학습에 대한 신념을 어떻게고려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물리적 교란 저감을 위한 안정하도의 설계와 서식적합도 분석

        이웅희(Woong Hee Lee),문형근(Hyong Geun Moon),최흥식(Heung Sik Choi) 응용생태공학회 2017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4 No.3

        본 연구는 원주천을 대상으로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상변동 양상을 분석하여 물리적 교란과 서식적합도 (Habitat suitability, HS)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현재의 원주천 대상구간에 대한 안정하도 평가 결과 총 20개 구간 중 17개 구간이 안정하였으며, 3개 구간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Physical disturbance improvement evaluation, PDIE) 결과 구간평균 112.17점으로 현재 양호한 교란개선 상태를 나타냈다. 어류의 물리서식처 분석은 원주천의 최우점종인 참갈겨니의 서식적합지수를 이용하였다. 물리서식처 분석 결과 HS는 0.16, 가중가용면적 (Weighted usable area, WUA)은 347.68 ㎡으로 나타났다. 불안정하도의 안정하도 설계를 위해서 시설물의 개선·도입·철거와 하도를 준설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하상변동 양상에 따른 PDIE와 서식적합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시설물의 개선·도입·철거 시 19개 구간에서 안정하도 설계가 가능하였으며, PDIE는 117.53점, HS는 0.14, WUA는 313.37 ㎡로 나타났다. 하도의 준설 시 20개 전구간에서 안정하도 설계가 가능하였다. PDIE는 116.50점으로 나타났으며, HS는 0.16, WUA는 332.14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주천의 물리적 건전성과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하도설계방안을 도출하였으며, 그에 따른 물리적 교란과 물리서식처의 변화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물리적 교란과 물리서식처의 상관 분석을 위해 구간별 유속과 수심 및 여울과 소의 출현 빈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울과 소의 분석은 물리서식처의 평가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 of bed change according to the stable channel design on the Wonju Riv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habitat suitability (H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ng stable channel of object section in the Wonju River, 17 sections among total 20 sections were stable and 3 sections were unstable. Physical disturbance improvement evaluation (PDIE) was the range average showed good disturbance condition with a range average of 112.17 points. Habitat suitability index of Zacco Koreanus, the most dominant species of the Wonju River, was used for analysis of physical habitat for fish. According to the physical habitat analysis result, HS was 0.16 and weighted usable area (WUA) was 347.68 ㎡. The methods of improving/introducing/removing structures and dredging stream channel were used for stable channel design of unstable channel, and analyzed PDIE according to the aspect of bed change and changes in habitat suitability. Stable channel design was possible in 19 sections in times of structures improvement/introduction/removal, and PDIE was 117.53 points, HS was 0.14 points, and WUA was 313.37 ㎡. Stable channel design was possible in all 20 sections when dredging the stream channel. PDIE was 116.50 points, HS was 0.16, and WUA was 332.14 ㎡. Therefore, this study obtained channel design measures that can improve physical soundness and stability of the Wonju River, and it was analyzed that it will have no impact on changes of physical disturbance and physical habitat.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velocity and depth of each section and appearance frequency of riffle and pool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disturbance and physical habita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analysis of riffle and pool showed similar result as the evaluation result of physical habitat.

      • KCI등재

        일반 직업 영역에서 물리 전공의 유용성에 대한 물리 전공자의 인식 조사

        진수영,유준희 한국물리학회 2014 새물리 Vol.64 No.1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physics majors' perceptions of the usefulness of majoring in physics for the workplace to obtain suggestions on course and career education, as well as the physics curriculum. Thirty graduates were surveyed by using 8 multiple-choice questions. Physics majors perceived that they were good at problem solving, numeracy and technology, but weak at human relations, organizati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Good understanding and adaptation of new skills were regarded as strengths of physics majors. Physics majors pictured themselves as inflexible, critical and creative. The employment prospects of physics majors and the correspondence of the physics curriculum to social demands are not positive. The result that physics majors are recognized as essential human resources in various areas should be emphasized in course and career education. The instructional methods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s, cutting-edge research trends, and information on the industrial sector should be a fundamental attribute of the physics curriculum and would improve physics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학을 전공했던 경험이 일반 직업영역의 직무 능력에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조사하여 학생들의 진로 교육과 물리교육과정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물리학을 전공한 졸업생 30명에 대하여 선택 후 설명 방식 문항으로 총 8개의 질문을 통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물리전공자는 기초직업능력 중 문제해결능력, 수리능력, 기술능력이 우수한 반면 대인관계능력, 조직이해능력,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였고, 새로운 분야를 이해하고 기술을 습득하는 상황에서 물리를 전공한 것이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물리 전공자는 비판적이고 창조적이지만 융통성이 부족하거나 고지식한 모습을 가진 것으로 인식되었다. 물리 전공자의 취업 전망과 전공과정이 사회경제적 요구에 부응하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우세하였다. 물리 전공자들이 문제해결력과 논리적 능력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꼭 필요한 인력으로 인정받는다는 점은 진로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의사소통 및 협력 기술의 향상을 위한 교과 활동의 도입, 첨단 연구 동향과 산업 현장과의 연계는 물리 교과과정의 개선점으로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

        반성적 실천 활동을 통한 예비 물리교사들의 물리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 변화

        임성민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1

        이 연구는 반성적 실천 활동을 적용하기 전후에 예비 물리교사들이 가진 물리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을 앞둔 예비 물리교사들을 대상으로 반성적 실천 활동을 적용하고, 이들의 물리 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물리 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념의 하위 구인별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반성적 실천 활동은 예비 물리교사들에게 물리 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보다는 물리 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념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변화가 남성 예비교사보다 여성 예비교사에게 보다 잘 나타났다. 또 반성적 실천 활동을 적용한 이후에 인지적 신념 중 관련성 구인이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 구인과 상관관계를 갖는 방향으로 변했다. 이 연구는 반성적 실천 활동을 통한 물리 교사교육에 있어서 예비 물리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신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물리 교사교육의 실천적인 개선 방안으로서 반성적 실천 활동이 포함되어야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 in pre-service physics teachers' beliefs on teaching and learning physics before and after reflective practice activities. For this, the authors applied reflective practice activities to pre-service physics teachers who were scheduled for a practicum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hen investigated the changes in each construct of cognitive belief on learning physics and self-efficacy belief on teaching physics. As a result, reflective practice activities had more affect on self-efficacy belief than on cognitive belief, and this was more apparent with female than male teachers. Also, the relevance construct of cognitive belief came to have correlations with all constructs of self-efficacy after reflective practice activities. This study shows the role of pre-service physics teachers' beliefs in the phys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through reflective practice activities and suggest the application of reflective practice as a practical approach to improve the education of physics teachers.

      • KCI등재

        대학 물리학 수업이 공과대학 학생들의 물리 이미지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송영욱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6

        The images and perceptions of the subjects that learners have influence various aspects of learning the subject. Physics is one of the important subjects that engineering students are required to learn. However, in some cases, physics learning is difficult,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students and whether or not they had beem able to study physics in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hysics image and perception of engineering students through college physics clas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7 first-year students of the engineering college.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hysics image and perception before and after a college physics clas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tudents and the study of physics in high school. Physics image was analyzed by using a semantic analysis method, and the perception of physics was analyzed by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 show that college physics classes neither affect physics image changes of engineering students nor alleviate the perception that physics is ‘difficult and complex’. 학습자의 교과에 대한 이미지 및 인식은 그 교과를 학습하는 데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친다. 물리는공과대학 학생들이 필수로 배우는 중요한 교과목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학생들의 성별이나 고등학교과정에서의 물리 이수여부에 따라 물리 이미지 및 인식의 차이가 나타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물리학수업이 공과대학 학생들의 물리 이미지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공과대학 1학년 학생 357명으로 하였다. 분석 내용은 학생들의성별과 고등학교과정에서의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대학 물리학 수업 전과 수업 후의 물리 이미지 및 인식의변화를 분석하였다. 물리 이미지는 의미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물리에 대한 인식은 의미네트워크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 물리학 수업은 공과대학 학생들의 물리 이미지 변화에 별다른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물리에 대해 ‘어렵고, 복잡하다‘라는 인식을 완화하였다.

      • KCI등재

        물리치료사의 낙상에 대한 태도와 낙상예방행위 예측요인

        박경연,한동욱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hysical therapists' attitudes to the falls and predictors of implementing falls prevention including falls environment of physical therapy department. Respondents were 134 physical therapists working in hospitals that were located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4, 2012 to July 14, 2012 an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ver. 19.0). Experience was 92.5% of the physical therapist who witnessed the fall patients in the rehabilitation room. Significant predictors of implementing falls prevention among physical therapists were ‘the environment for falls prevention’ and ‘the experience of witnessing fall patients in th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Therefore, it's important that the fall-related environment in th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hould be built up for the their implementation of falls pre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낙상 위험군인 재활 환자들을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들의 낙상에 대한 태도와 물리치료실의 낙상 환경 및 낙상예방행위를 조사하고 물리치료사들의 낙상예방행위 예측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시 소재 9개 병원 물리치료사로서 134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2개월에 걸쳐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물리치료사들의 92.5%가 물리치료실 내 환자들의 낙상을 본 적이 있거나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예방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낙상관련 물리적 환경과 물리치료사들이 치료한 환자의 물리치료실 내에서의 낙상경험 유무이었다. 이를 통해 물리치료사들의 낙상예방행위 실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물리치료실 내의 낙상예방을 위한 물리적 환경 조성이 동반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과학중점학교의 물리 관련 교과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손정우,이봉우,조헌국,최재혁,심규철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12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physics curriculum implemented in science core schools. Thu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science curriculum articulated in the annual reports of science core schools and interviewed some teachers in the school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the physics curriculum.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teaching units by subjects, general science had the largest proportion, as much as 6.7 hours in average, and physics I and II were 4.2 and 4.4 hours, respectively, which were similar to other subjects such as chemistry, life science, and earth science. Second, most of schools opened the courses of physics I and II with two hours for two semesters. Fourteen schools taught physics I as an intensive unit whereas nine schools taught physics II intensively. In the case of specialized subjects, the most frequent one was independent research, and advanced physics was taught in 7 schools whereas physics experiments were done in 34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gives some implications about how to organize the physics curriculum in science core school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중점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물리 관련 교과목(물리I, 물리II, 고급 물리, 실험 물리 등)이 어떻게 편성되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112개 과학중점학교 운영성과보고서에 제시된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편성 이유와 특징을 추가로 알아보기 위하여 일부 학교에 대해 설문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별 편성 단위를 살펴보았을 때, `과학'은 평균 6.7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물리I은 4.2시간, 물리II는 4.4시간으로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둘째, 물리I과 물리II는 2학년의 2개 학기에 각각 2단위씩 개설한 학교의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집중이수로 개설한 학교는 물리I은 14개교, 물리II는 9개교였다. 셋째, 전문교과의 경우, 가장 많이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과목은 `과제 연구'였고, 고급 물리를 개설한 학교는 7개교, 물리 실험을 개설한 학교는 34개교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을 고려하여 과학중점학교의 물리 관련 교과(물리학, 물리 실험)의 활성화를 위한 논의를 추가하였다.

      • KCI등재

        탐구기반 물리실험 수업 전후 예비물리교사의 힘 개념 이해 변화에 대한 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

        김홍정,임성민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1

        Students’ preconception has been known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in learning science, but it has been reported that students’ misconceptions can hardly be changed after conventional instruction independent of their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pre-service phys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orce before and after an inquiry-based physics experiment course including socratic dialogue and small group discussion. For this, we adapted the Force Concept Inventory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understanding for a year-long experiment courses and we analyzed the result quantitatively by using the ratio of correct answers, the normalized gain factors(G-factor), and the concentration factors(C-factor), as well as qualitatively by using systematic network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responses.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we found that pre-service phys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orce was improved, an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we identified that ‘impetus dissipation’ and ‘only activity agents exert forces’ were continuing misconceptions although there had been much positive change in conceptual understanding. This study can infer that su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can be utilized as analysis tools in further studies investigating students’ conceptions in learning physics. 학생의 선개념은 과학학습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그동안과학교육연구에서는 학생과 교사 변인에 무관하게 전통적인 수업 후에도학생의 선개념이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고 보고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소집단 토론활동과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주된 교수 방법으로 한 탐구기반의 물리실험 수업을 적용하고 이 수업을 통한 예비물리교사의 힘개념 이해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년 간의 탐구기반 물리실험 수업을적용하기 전후에 힘개념검사지(Force Concept Inventory)를 사용하여예비물리교사의 힘 개념 이해를 조사하였으며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정답률, 개념변화획득지수(G-factor), 응답집중지수(C-factor)를 기초로하는 정량적 분석과 응답분포를 기초로 하는 체계적 계통도를 통한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정량적 분석의 지표를 통해 나타난 결과 탐구기반 물리실험수업 후 예비물리교사들의 힘 개념 이해는 전반적으로향상되었음을 알았으며, 계통도를 통한 정성적 분석 결과 힘개념검사의모든 하위 개념범주에서 정개념의 분포는 증가하였고 대표적인 오개념유형의 분포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기동력이 소모된다`는 오개념과'능동적 동인만이 힘으로 작용한다'는 오개념은 탐구기반 물리실험 수업이후에도 일부 응답자에게서는 여전히 드러났다. 표준화된 검사에 대한이와 같은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은 학생의 물리개념 이해에 대한조사와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