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동래현의 치소(治所)와 치소성

        김광철(Kim, Gwangcheol) 한국중세고고학회 2018 한국중세고고학 Vol.- No.3

        이 연구는 동래현의 사례를 통해 고려시대 치소의 입지와 치소성, 그리고 치소 이동 문제를 검토하였다. 신라 경덕왕때 군현개편에서 ‘거칠산군(居漆山郡)’을 ‘동래군(東萊郡)’으로 개칭한 것은 이전부터 사용해온 지명이나 그 위치를 고려해서 정한 것이 아니었다. 경덕왕은 동래가 갖는 상징성, 해로의 출발지라는 지정학적 위치를 고려하여 당나라 군현 명호인 동래군을 차용한 것이다. 신라통일기에 동평현과 기장현 두 곳을 영현으로 거느리고 있던 동래군은 고려에 들어와서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고 울주의 속현으로 전락하였다. 후삼국 시기 동래 지역사회가 후백제 영향권 안에 놓여 있었기 때문에, 고려 주도로 통합된 후 군현 개편 과정에서 지역의 위상을 평가한 결과였다. 동래 지역사회는 인종 연간에 현령과 현위가 파견되는 주읍으로서 위상을 회복하지만, 속읍은 확보하지 못하였다. 고려시대 동래현의 치소(治所)는 배산(盃山) 아래 현 수영구 망미동 일대였다. 이 치소에는 동래현의 토착세력인 호장층의 읍사(邑司)가 자리잡았고, 읍성과 객사, 그리고 누정 등의 시설물이 들어서 있었다. ‘동래군성’, ‘동래성’으로 불리던 읍성은 신라통일기에 축조된 이래 몇 차례 개축을 거치면서 고려 말까지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다. 인빈헌은 객사로 기능했으며, 해운대, 적취정, 과정, 겸효대 등의 누정이 자리 잡아 고려시대 동래 지역사회의 문화적 역량을 발휘하고 있었다. 해운포 지역에 자리 잡았던 동래현의 치소와 읍성은 조선 건국 후, 현 동래읍성 지역으로 이동되었다. 그 이동 시기에 대해 고려 말 우왕 13년(1387) 경으로 이해하여 왔으나, 그 보다 조선 건국 후 10여 년이 경과한 태종 초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동래현의 치소 이동은 조선초 왜구의 침탈에 따른 지역사회의 변동과 연관이 있는 듯하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ocation of Chiso and Chiso Fortress and the migration of Chiso in the Koryo Dynasty through the case of Dongrae-hyeon.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t the time of King Kyungdeok of Silla, it was not considered the place name or location of Dongrae that had used before. Considering the symbolism of ‘Dongnae(東萊)’ and the geopolitical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sea, King Gyeongdeok borrowed the name of Dongnae-gun(東萊郡) of Tang Dynasty. After the foundation of the Koryo Dynasty, Dongrae could not be the town where the provincial government was dispatched. Since the Dongrae community in the late three countries was located within the influence zone, it was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status of the region in the reorganization process after the reunification. The Dongrae community recovered its position as a main city in the middle of the Goryeo period. The Chiso of Dongrae in the Koryo Dynasty is now located in Mangmi-dong, Suyu-gu, Busan under Baesan Mountain(盃山). In the Chiso, the Eupsa(邑司) of Dongrae was located, and there were facilities such as Eupseong(邑城), Office, Guest house(客舍), and Nujung(樓亭). Eunseong(邑城) which was called "Dongraegunseong(東萊郡城)" and "Dongraeseong(東萊城)", was built in the Silla Unification Period and has been renovated several times and became the administrative center until the end of Koryo. Chiso and Eupseong which was located in the Haeunpo(海雲浦) area were moved to the present Dongrae Eupseong area after the establishment of Joseon. It is understood that the time of Chiso"s movement in Dongrae is around 1387, but it is estimated to be Chosun Taejong. It seems that the movement of Chiso is related to the change of community due to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 KCI등재

        울릉도의 고분을 통해서 본 신라중대의 지방통치

        한준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논총 Vol.41 No.-

        울릉도는 적어도 청동기 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독자적인 해양문화를 형성했다.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의미있는 성과가 나왔는데, 6세기 중반부터 10세기를 하한선으로 하는 토기편년이 제시되었다. 대체로 신라 중·하대와 궤를 같이 한다. 우산국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나타난다. 고구려 등 한반도 북부의 국가들과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중국측 기록에는 3세기 무렵부터 등장한다. 사료를 보면 우산국은 전래된 대륙문화를 토대로 하여 일정한 수준의 문화를 향유하며 정치체를 형성하였고 남으로는 왜 등과 교류를 하였다. 이 무렵 신라는 5세기 후반의 국력신장을 바탕으로 지증왕대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정복하였다. 정복 이후 직접적인 지방통치를 시도하였고, 행정실무를 수행하는 촌주를 설치하였다. 직접지배에 따른 지역민의 반발과 반신라적 정서를 차단한 것이다. 외형적으로 기존 사회정서를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 신라의 통치력을 침투시킨 것이다. 문헌에 보이는 석불, 석탑, 쇠종은 이 곳에 불교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데 지역민의 삶과 신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8∼9세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제 불상의 존재는 그러한 가능성을 높여준다. 신앙은 지역민과 병사들에게 결속과 안정을 제공했다. 신라는 사찰을 세우고 불교를 포교하며 그들을 신라인으로 동화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찰이 존재했던 곳이 우산국의 치소(治所)였을 것인데, 현재의울릉도 서북부 현포지역으로 추정된다. 기와 조각 등의 유물이 출토된 사실은 이를 뒷받침한다. 고대사회에서 기와는 관청에서만 소비된다는 점에서 근거는 충분하다. 서북쪽의 현포, 북동쪽의 천부, 남서쪽의 남양은 모촌(母村)으로 추정되며,주변으로 자촌(子村)이 분화되어 갔다. 그런데 삼국통일 이후 전개된 한반도 정세와 일본의 동향은 변화를 촉발했다. 신라가 당군을 몰아내면서 나당연합이 나당전쟁으로 변질되어, 배후세력인 일본은신라에게 위협이 되었다. 성덕왕대 당과 발해가 전쟁을 하면서 당과 신라가 우호관계로 전환되자, 발해는 일본과 친선관계를 조성하여 견제하였으므로 이들의 밀착을 방관할 수만은 없었다. 특히 경덕왕대 일본은 신라정벌계획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동해에 위치한 우산국은 군사적 해양거점으로 운용되었다. 발해의 일본사행로는 ‘함경도-동해연안-울릉도-독도-오키섬-산인’으로 연결되는 항로가 기본 루트였다. 이는 대양항해의 위험성을 줄여주는 동시에, 울릉도와독도 등 명확한 조타목표가 존재하여 항해의 효율성도 높았다. 주요항로가 울릉도를 조타목표로 했으므로 신라는 능동적으로 대응했다. 선박통행을 감시하거나 군사력을 이용하여 상호 교섭을 차단하였다. 동시에 고립된 해양공간으로 외부의 침략에 취약한 이 곳을 지키기 위한 대비책도 시행하였는데 신라본토의 통치질서와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우산국은 지리상 고립되어 있었지만 신라의 영역으로서 중·하대 지방통치체제 내에 존속하며 동시대에 존재하고 있었다. In Ulreungdo(울릉도), people have been residing since at least the BronzeAge, and they created an independent marine culture. Meanwhile, meaningfuloutcomes were produced from archeological research, and earthenwarechronicles that ranged from the mid-sixth century to the tenth century wereproposed. Overall, there is a similar type of appearance to that from themiddle and later Silla periods. The perception of Usanguk(于山國) appears from a relatively early period. Usanguk(于山國) is believed to have made exchanges with countries in the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Goguryeo(高句麗), and this countryappears in Chinese literature from around the third century. In looking intohistoric literature, Usanguk(于山國) formed its political system while enjoying acertain level of culture based on Chinese culture that had been passed down. Then, it was involved in exchanges to the south with Japan. Around this period, Silla conquered Usanguk(于山國) by sending Isabu(異斯夫) during the reign of King Jijeung(智證王) as part of the extension of Silla’snational power around the fifth century. Silla attempted direct control overlocal regions after the conquest, and established administrative villages inwhich the village head stayed and carried out administrative affairs. This wasa means to block resistance from local residents and their anti-Silla emotionsfollowing direct rule. In this way, Silla was able to penetrate that area withtheir ruling power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social order externally. The stone Buddha, stone pagodas, and steel bells mentioned in literatureshow that Buddhism existed in this area; this affected greatly the lives andfaith of local residents. The existence of a bronze Buddha statue that isestimated to have been manufactured between the eight to ninth centuriesraised such a possibility. Faith offered unity and stability to local residents andsoldier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and propagation of166 … 한국학논총 (41)Buddhism, Silla tried to assimilate the residents as people of Silla. Also, the location of such Buddhist temples must have been the rulingcenter of Usanguk(于山國), and this is believed to have been the northwesternHyeonpo(현포) area of current Ulreungdo(울릉도). This is proven by theexcavation of remains such as the pieces of traditional roof tiles because rooftiles were only used for government offices in this ancient society. Hyeonpo(현포) in the northwest, Cheonbu(천부) in the northeast, and Namyang(남양) inthe southwest are estimated to be the main villages with minor villages spreadaround them. Meanwhile,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rend ofJapan, which had emerged since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prompted changes. As Silla expelled soldiers of Tang(唐), the alliance betweenSilla and Tang deteriorated into a war between Silla and Tang; while Japan,which was the de facto power, became a threat to Silla. As the relationshipbetween Tang and Silla became friendly along with the beginning of a warbetween Tang and Balhae(渤海)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聖德王),Balhae forme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Japan in order to keep them incheck. As a result, Silla could not overlook suc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Balhae and Japan any more. In particular, Japan pursued a plan of conquesttowards Silla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경덕왕). Accordingly,Usanguk, which was located in the East Sea, was used as a strategic, marinemilitary point. Concerning a diplomatic visit to Japan by Balhae, the basic sea route wasthat from Hamgyeongdo(함경도)–the coastal area of the East Sea(동해)–Ulreungdo–Oki Island(오키섬)–Sanin(산인). This reduced the risk of sailingon the open sea while also increasing sailing efficiency owing to the existenceof clear navigational goals such as Ulreungdo and Dokdo. Since the main searoute used Ulreungdo for navigation, Silla resp...

      • KCI등재

        한국의 ‘전통적’ 邑治 경관의 창출에 관한 試論

        崔鍾奭(Choi Jong-Suk) 歷史敎育硏究會 2009 역사교육 Vol.112 No.-

        The local administrative centers(邑治)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ere centers of local ruling and administration, yet they were not mere ruling centers, they served as central locations that functioned as economic centers and important traffic junctures inside local areas. But the ‘scenery’ of such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had never been examine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and most of the studies have only analyzed the forms of those sceneries and perceived them as forms that could fall into a same category that had been labelled as ‘traditional form’. The so-called ‘traditional’ scenery of the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can be characterized with its inherent geomantic configuration of their own inner spaces, and as we can see from the term ‘traditional’, many people tend to perceive them as products created outside the frame of time or history. This ‘traditional’ scenery of the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is understood as a result that was established out of efforts of trying to adjust to the climatic environment (of Korea) which has many mountains and also a Northwest seasonal wind, and as a result that also came from a situation where people could get logs to burn and wild edible greens from the mountains and engage in agricultural production by using water from the rivers. We could say that the formation of this ‘traditional’ scenery of the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has only been explained with variables that were not necessarily products of a particular time period. And the examples which did not fit with the ‘traditional’ scenery of the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have been casually explained as a result of mere geological reasons. But we should be aware that the so-called ‘traditional’ scenery of the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were only formed around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and that such particular ‘traditional’ scenery of the Joseon dynasty had been perceived as a typical norm and also a norm beyond time. Unlike the local administrative offices of the Joseon period, which were usually positioned in auspicious places located in front of ‘main mountains’(in terms of geomancy), the administrative centers(治所, including the office buildings) of either the ancient or Goryeo dynasty were usually located ‘on’ the mountains(which generally served as ‘anterior mountains’ for the Joseon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And in those periods, political and military reasons mainly determined the locations of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We can see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scenery of the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namely the location itself, was so different between the ancient & Goryeo periods and the Joseon period, so it would be difficult to say that the former period’s ‘scenery’ was based upon geomantic elements just like the Joseon dynasty’s ‘scenery’. In the meantime, Goryeo dynasty’s capital itself happened to have geomantic elements, unlike the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of the same period. The Gaegyeong capital was a relatively new one, and when it was named capital of the dynasty it was given a rebirth and a nature that was unattached to any previous norms inherited from the Shilla dynasty’s loc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nd in the process it was equipped with geomantic elements as well, which were never present in earlier periods' capitals. Unlike the ancient & Goryeo dynasty periods, in Joseon dynasty many of the local administrative centers in Gun & Hyeon units were showing geomantic elements and considerations, and it was basically because when the local administrative units(which had assumed the form of mountain fortresses) moved to the nearby plain area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many regions established their own new local administrative center structures that were modeled after the main capital. In the wake of this kind of transformation that occurred inside the local ruling order which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김해의 邑基와 龍神 祭禮

        정은정(Jeong, Eun-Jeong)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19 No.-

        김해는 신라시대에 왕경 가까운데 소재하는 동남해권역의 주요거점이었다. 고려 개국 후 수도가 서북방에 치우친 개경으로 이전하면서 김해의 지위는 동쪽의 변방으로 전락하기에 이른다. 이는 김해를 상위에서 통솔하는 계수관 동경의 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것과 짝한다. 고려를 건국한 태조 23년 이후 김해는 몇차례 치폐를 거듭한다. 김해부는 임해현, 임해군으로 잠시 바뀌었다가 성종 14년 금주안동도호부가 설치되었다. 금녕도호부, 금주목을 거치면서 충선왕 2년 김해부로 복칭하였다. 고려 김해는 동경 유수관 경주를 구성하는 주읍에 해당한다. 금주의 치소(김해고읍성)는 후대처럼 엄격하게 鎭山을 안배하여 자리잡거나, 주례적 질서를 전제하여 조성하지는 않았다. 김해의 邑基 관향은 자연지세를 감안하고 새 수도 개경과 인근하는 주읍과의 통행을 전제하여 설정된다. 금주치소와 유수관 경주와의 연결을 도모하여 현종 9년 전후해서는 김해부의 속읍을 배속하였다. 금주의 주속읍체제와 치소 안팎 시설은 대개 성종·현종 즈음 국가망의 구축과 궤를 같이하여 짜여졌다. 금주치소의 구조와 官司는 외관 파견과 客舍·州學·문묘·관아재원이 마련되는 중기이후에 정비가 마무리된다. 해항도시 김해는 수신·교역신으로 용·용신과 친연이 깊은 지역이다. 김해 곳곳은 용 관련 자연지명이 유독 많다. 국가차원에서 작위적으로 서열화한 것인지는 단언하기 어렵지만, 김해읍기가 구축되면서 용신제장도 자연스레 위계가 갖추어진 것 같다. 김해 진산인 분성산의 성황신, 분성산의 좌맥인 고조산 성황, 읍치 5리 반경의 자복사찰인 감로사는 관제의 용신제장으로 역할한다. 국가잡사의 제장인 가야진사를 마주하는 김해용산도 용소풀이 장소이다. 김해의 연안 부속도서인 가덕도는 官祭의 용왕제장이다. 신라때부터 地神이 머물렀다고 전하는 신지도, 기우를 관측하고 기원했다는 취도(명지도) 또한 기층사회의 신앙터이다. 주시하는 분산성 해은사에서 출토된 배모양 목기는 용신제례시 헌납물을 수송하는 제례의 기물이다. 김해가 속한 동남해안의 용은 至高神 ·天神이 아닌 본래의 지방용으로서 고려에 와서 재지·토착적 신앙대상으로 환원되었다. 바다·기우·교역을 주재하는 水神 ‘龍’은 김해의 지역수호신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시대 청주목의 치소와 산성 ―원도심 발굴성과와 문헌자료의 보완 검토―

        임형수 호서사학회 2024 역사와 담론 Vol.- No.109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the history of a region, revealing how the center of government, Chiso (ruling place), existed is a basic problem to solve. In the case of Cheongju,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re is no disagreement that the town castle area, which was demolished by the Japanese in the 1910s, is considered to be Chiso; however, debates persist over the location of Chiso; e.g in the Seowon- Sogyeong during the Silla Dynasty period, several fortress areas in addition to the town castle were identified as Chiso. 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of Cheongju-mok Chiso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was relatively neglected and only briefly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other periods, but in recent years, it has gradually received attention as a number of related ruins and artifacts have been excavated along with the redevelopment of the original city center. In this context, this paper summed up the location, scale, movement, and relationship of the Cheongju-mok Chiso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by the summary of the excavation results accumulated so far in the original city center of Cheongju and complementary review of them with the literature.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aims to sum up th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scale, mobility, and relationship with nearby fortresses of Chiso in the Goyreo Dynasty period. While there are no clear traces of Chiso in the town castle area, it is suggested that specific stipulated roof tiles may be associated with Chiso. Additionally, evidence from nearby areas around the town castle, consecutive constructions of Silla and Goryeo relics, and the scale of military buildings near the fortress walls suggest that the scope of Goryeo Chiso might have been larger than the Joseon town castle.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the fortresses near the downtown area were not Chiso but were possibly utilized by local residents as alternative defensive fortress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is concluded that Chiso in Cheongju-mok in the Goryeo was located roughly within the town castle area, and it is unlikely that Chiso was moved like the counties in the coastal region. Despite an increase in the quantity of Goryeo relics and artifacts unearthed in the Cheongju’s original city center, there is still a lack of qualitative answers to several hypotheses. With more unexplored regions remaining, hopefully, future excavation surveys will yield noteworthy results. 한 지역의 역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통치의 중심지인 치소가 어떻게 존재했는지를 밝히는 일은 기본적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이다. 청주지역의 경우 조선시대는 1910년대 일제에 의해 헐린 읍성 구역을 치소로 보는 데 이견이 없으나 신라 서원소경은 읍성 구역 외에 주변의 여러 산성이 치소로 비정되는 등 논의가 분분하였다. 반면에 고려시대 청주목 치소의 위치는 비교적 등한시되어 다른 시대와 맞물려 간략히 서술되는 수준에 그쳤는데, 근래 들어 원도심의 재개발에 따라 관련 유적과 유물이 다수 발굴되면서 서서히 관심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지금까지 누적된 청주 원도심 일대의 발굴성과를 정리하고 문헌자료와 보완 검토함으로써 고려시대 청주목 치소에 대해 위치와 규모, 이동 여부, 도심 인근 산성과의 관계 등을 정리하였다. 먼저 읍성 내부 구역은 치소의 존재 여부를 가릴 수 있을 정도로 뚜렷한 흔적이 아직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특정 명문 기와가 치소와 관련이 있음을 타진하였다. 이어서 읍성 외부 구역에서 신라와 고려의 유적이 연이어 조영된 사례, 성벽 부근에서 확인된 관영 건물지의 규모 등을 통해 막연하나마 고려시대 치소의 범위가 조선시대 읍성보다 컸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도심 인근 산성은 치소가 아니라 유사시 관민이 입보 산성으로 일부 활용했다고 보았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고려시대 청주목 치소는 대략 읍성 구역에 위치하였으며 혹여 연해 지역의 군현처럼 치소가 이동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간 청주 원도심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유적과 유물은 이전에 비해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질적으로는 여러 가설에 대해 여전히 해답을 주지 못하는 상태이다. 미발굴 지역이 더 많이 남아 있는 만큼 향후 발굴조사를 통해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