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기를 통해 본 조선시대 妓女의 立役과 運用

        이성임 (Lee, Seongy-im)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본 논문은 16세기에서 19세기 초반까지의 일기자료를 통해 妓女의 立役과 기녀제의 運用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기녀는 조선시대에 춤추고 노래하고 성을 제공하던 여성들이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조선의 國役體系속에서 역을 담당하던 자들이다. 기녀는 妓籍(官案)에 등록되어 國役에 편성된 공적인 존재로 최하층 여성인 동시에, 최고의 예능인이라는 양면성을 지닌 존재였다. 기녀를 구분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는 그들의 소속처에 따라 장악원에 속한 京妓와 營鎭을 비롯한 地方郡縣에 소속된 官妓로 구분하여야 한다. 기녀의 규모는 국가의 여악정책과 성리학의 심화정도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데, 京妓는 100~300명에 이르렀으며 官妓는 20~60명 정도였다. 기녀제도는 연산군대에 가장 안정적으로 정착되었으나, 인조반정을 계기로 여악이 정면으로 비판받게 되면서 京妓가 혁파되자(1623) 지방관아의 관기만 남게 되었다. 기녀의 충원방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官婢중에서 姿色과 才藝를 기준으로 선발하게 되어 있었다. 관기는 넓은 의미의 관비로 관노, 관비, 기녀가 지방관아의 官案에 함께 등재되어 있다. 이들은 公的인 존재로 일정한 역을 담당하는데 이는 妓役이라 하는데, 기역은 16세에서 50세까지 담당하였다. 京妓는 寺奴婢와 마찬가지로 立番制에 의해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3인이나 4인이 하나의 條를 이루어 일정한 기간씩 돌아가면서 입번하였다. 즉 3인1조인 경우 한 사람이 6개월을 立番하면 나머지 12개월은 非番으로서 쉬게 되는데 결국 京妓의 奉足이란 非番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비번 기간에는 개인적인 사설 영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였을 것이다. 「목재일기」에 존재하는 妓家가 기녀가 운영하는 사설영업장 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녀는 16세부터 역을 담당하지만, 실제로는 그 이전에 뽑아 敎房을 통해 교육을 받은 다음 현장에 배치되었다. 기녀 중의 우두머리를 行首妓라 하는데, 행수기는 기녀의 대표성을 지녀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창구역할을 담당하였다. 기녀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이름을 지니고 있는데, 본래의 이름을 鄕名이라 하고 나중에 붙여진 이름을 妓名이라 하였다. 기명은 일종의 예명인 것이다. 유희춘이 자신과 관계한 기녀를 향명과 기명을 섞어서 부른다는 사실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향명은 그야말로 투박한 관비병이며, 기명은 화려하고 성적인 측면을 드러내는 특성을 가진다. 기녀는 혼인을 하고 자식을 낳기도 한다. 그러나 혼인 이후에도 이들의 役은 지속되어서 혼인은 해소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았다. 기녀가 상대하는 계층이 양반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매우 천시되어 같은 사람으로 취급되지 않았다. 기녀가 되어 처음으로 성관계를 맺는 상대를 ‘上笄’ 라고 하는데, 이는 일종의 성년식과 같은 것으로, 이들에게는 특별히 기억할만한 일이었다. 관기와 관비는 담당하는 기능과 역할을 공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관기와 관비 사이에도 일정한 위계가 존재하였으며, 기녀가 잘못을 저지르면 관비로 降定될뿐만 아니라 유배를 당하기도 하였다. 이들의 죄목은 자신의 본업을 충실히 거행하지 않은 데에 있었다. 3) 관기의 대표적인 업무 중의 하나가 女樂으로 연회에서 춤추고 노래하여 흥을 돋우는 것이다. 『명종실록』이 완성되어 실록봉안사가 전주에 내려왔을 당시에도 기녀가 참석한 성대한 연회가 며칠에 걸쳐서 지속되었다. 지방관이 이러한 행사에 참석한 기녀에게 선물을 지급하여 수고를 위로하는 것이 하나의 관행이었다. 이러한 큰 행사 이외에도 지방관이 주관하는 크고 작은 연회에도 참석하여 흥을 돋우었고 연회가 끝난 뒤에는 잠자리에 배정되어 시침을 들었다. 양반 관료는 지방관으로 부임하였을 때 기녀를 만나게 된다. 지방관으로 부임할 때 함경도와 평안도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가족을 데려가도록 규정되었으나 조선후기로 갈수록 지방관의 임기가 짧아져 가족을 데려간다는 것이 번거롭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가족 대신 첩을 대동하고 부임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수령과 관기와 관계는 『대명률』의 ‘官吏宿娼律’로 규제되었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지방관에게 관기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柳希春도 전라도관찰사로 여러 군현을 순행하는 동안 그 지역의 관기를 薦枕妓로 제공받았고, 대정현감으로 부임한 金仁澤도 부임하자마자 房妓를 제공받았다. 특히 김인택은 일정기간을 이들 방기와 생활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방기는 가족을 거느리지 않고 부임한 지방관의 ‘현지첩’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방기와 지방관과의 관계는 상당 기간 지속되었으며, 이들 방기가 지방관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관아의 행정업무에 영향력을 행사 This study has seen the mean duty and operating status Gwangi, Gisaeng of local offices, seen from diary data. Gisaeng was the women who was dancing, singing, and offering sex in Joseon era. As a public existence belonging to national duty, they were the lowest class and the best entertainer at the same time. How to classify Gisaeng is various but it is divided into Gyeonggi belonging to Jangakwon and Gwangi belonging to local offices, according to position. There were 100∼300 Gyeonggis and 20∼26 Gwangis. Gisaeng system was settled best under the reign of King Yeonsangun, but only Gwangi of local office was remained after Gyeonggi system was demolished after Injobanjeong (1623). Gisaeng was selected from Gwangi based on charm and artistic talent. They were registered in the comprehensiv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in local offices. Their duties were prostitute, from 16 to 50 years old. 2) Gyeonggi served their duties in order of fixed sequence, like slaves of local offices. In other words, a team of 3 or 4 people took a turn for a certain time. It is presumed that private operation was available off duty. Gisaeng was selected before 16 years old, got education, and was located in the field. Master of Gisaeng was Haengsugi, representing them. Gisaeng has Gimyeong, a stage name, as well as Hyangmyeong, the original name. Hyangmyeong is literally coarse name of Gwanbi, while Gimyeong sees splendid and sexual appeal. Gisaeng could marry and give birth to their kids, which was very unstable since they needed to keep serving duty. They were disregarded although they dealt with noblemen. The first sex after being Gisaeng was called 'Sanggye,' which was considerable in their community. Gwangi and Gwanbi, the official slaves, shared duty and role. However, there was an order between them, and Gisaeng was forced to degraded to Gwanbi and was sent into exile if she had committed any crime. 3) Representative duty of Gwangi was dancing and singing to add the amusement at feasts, as a female musician. A large-scale feast was going on when an authentic recorder came to Jeonju as Myeongjong Authentic Record was completed. It was a habitual practice to encourage Gisaeng by presents. Besides such events, they took part in big and small feasts to add the entertainment, and served beds after events. 4) Noble officials generally met Gisaeng when they were appointed to a local offic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governor and Gwangi was regulated by ‘Gwanrisukchangryul’ of Daemyeongryul . However, actually it was general to offer Gwangi to local governor. Yu Hichun was also offered by Gwangi serving bedtime affairs while he toured several regions as Jeollado provincial governor, while Kim Intaek was also treated with room Gisaeng named Banggi, as soon as he was took office for Daegeong-hyeon governor. Banggi was a ‘local concubine’ of governor, with no accompanying family members. 5) Yu Hichun was in special relationship with Gwangju Gisaeng ‘Yeon’ and Jeonju Gisaeng ‘Okgyeonga,’ while he was serving as Jeollado governor. Okgyeonnga was his favorite lover of 31-year old woman, who was beautiful and good at singing. She served Yu Hichun's bed affairs, shared drinks, and enjoyed to the full whenever he arrived Jeonju. However, their relation was just ‘Flower Seeing’ by all means, disconnected as change of governor. It was not rare to take them concubine after finishing the tenure of office. It was somewhat illegal, but possible when the Gwangi was registered as an assistant of Gyeonggi. As usual, husband's whoring was the main factor to cause troubles between married couple in the 16th century also. Yu Hichun finally caught disease by casual sexes with Gwangi, regardless of his wife's request to keep away feminine charms. However, that situation couldn't be resolved even by jealousy or envy. It was tough to go against the times with individual willing. However,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image of wome

      • 「官」字銘 銘文瓦의 使用處 檢討

        車順喆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2002 慶州文化硏究 Vol.5 No.-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를 사용했으며, 이를 증명하듯 전국 각지의 여러 유적에서는 많은 기와가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기와들 가운데에는 기와등에 「官」자가 찍혀있거나, 쓰여진 문자기와가 알려져 있다. 이 문자기와는 국가나 관청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되어져 왔으며, 그 사용처를 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기와에 「官」자가 표시된 평기와가 출토된 유적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당시 기와사용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이 된 유적은 산성, 건물지, 사찰 등이며 연대적으로는 통일신라∼고려시대 초기에 해당된다. 총 28개 유적에서 출토된 「官」자가 적혀있는 문자기와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官廳 建物에 사용될 기와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官」字를 표시하였다. 2. 官營倉庫에 사용된 것을 표시하였다. 3. 官을 나타냄과 동시에 火災 등을 피하기 위한 벽사의 의미로 상징성을 지닌 「井」字를 함께 사용하였다. 4. 「大官」銘 문자기와는 倉庫를 나타내는 「량」字가 찍힌 문자기와와 함께 사용된 점으로 볼 때, 당시 창고를 관리하는 官職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5. 「大官寺」 또는 「官寺」와 같이 사찰의 이름을 표기한 것도 있다. 6. 해당 지역의 지방 이름과 「官」字가 결합된 문자기와를 살펴볼 때, 당시에는 「官 ·城 ·郡」이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고려시대 초기까지 이 문자기와가 나타는 점은 당시 지방호족들이 자신들의 正體性을 반영한 것이다. 7. 「官 ·官草 ·宦」등과 같은 명문와가 출토되는 대형 건물지는 당시 地方豪族의 居館으로 추정된다. In Korea, tiles were used from as early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verified by the fact that a large amount of tides have been unearthed from sites located all over the country. Tiles which were stamped or incised with the character 'Gwan(官)' are well known. Gwan(官) seems to indicate an administrative or a public office, suggesting that the tiles may have been used on such kinds of buildings.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use of these tiles by examining the sites where they were excavated. The 28 sites encompass fortress sites, ancient building sites and temple sites, all of which date from the Unified Silla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character 'gwan(官)' indicated a public office and was used on storage buildings connected to a public office. It was used with the character 'jeong(井)' meaning 'well' for the purpose of warding off evil spirits such as fire. Tiles with the character 'daegwan(大官)' were used with the character 'gyeong(?)' to indicate a storage building. In the same way, tiles with the character 'gwan(官)' may have been used at offices managing a storage. There are tiles bearing the name of a temple, such as 'daegwansa(大官寺)' or 'gwansa(官寺)'. Tiles with the character 'gwan(官)' used with the name of a place indicate that a place was called as various names gwan(官), seong(城) and gun(郡). Characters on tiles suggest that powerful local clans reflected their identity in the tiles. The large ancient building site where tiles with the character 'gwan(官)', 'gwancho(官草)' and 'hwan(宦) were excavated seems to have been the house of a powerful local clan.

      • KCI등재

        백제 ‘은화관식’의 형상과 정치적 성격 검증

        오은석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銀花冠飾’은 흔히 백제에서 率系 관료의 관모에 착장하는 장신구이자 일종의 정치적 표지인 銀花로 일컬어지 고 있다. 그런데 ‘은화관식’으로 지칭되는 대상물이 백제 당시의 銀花인지는 확언할 수는 없다. 이는 유물인 ‘은 화관식’을 기록의 銀花라고 구체적으로 명시한 증거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은화관식’이 기록의 銀 花에, 형상과 정치적 성격이 부합하는지 검증해보았다. 이 검증에는 3가지 의문점으로 이루어졌다. 첫째는 기록의 金花로 지칭하는 무령왕의 금제관식과 기록의 銀花 로 지칭하는 ‘은화관식’은 그 출현시기와 형식학적인 면에서 차이가 크다는 점이다. 둘째, 기록을 통해 보았을 때 비교적 많은 관료가 銀花를 착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은화관식’은 1938년 첫 발견 이후 70여년 넘게 불 과 13점만 발견된 현상이다. 셋째는 ‘은화관식’이 관등을 드러내는 표지이며 정치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면 미륵사지 석탑 심초석 사리공에서 발견된 ‘은화관식’과 같이, 공양품으로 처분이 가능했을까하는 점이다. 이 3가지 의문을 중심으로 ‘은화관식’의 형상과 내재된 성격을 재검토해본 결과, ‘은화관식’은 꽃의 형상이 아 닌 나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외형상 ‘은화관식’은 기록의 銀花로 볼 수 없었다. 그리고 ‘은화관식’은 정치적 성격이 내재되어 있기 보다는 무덤 부장품의 성격이 짙고 私的으로 제작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7세기 에 들어서는 私的인 기원의 상징물로도 부장되었다. 검증 결과 ‘은화관식’은 형상으로나 내재된 성격으로나 기록의 銀花로 볼 수 없었다. 銀花는 아직까지 발견되 지 않았으며 ‘은화관식’은 그 소재와 형태적 특징에 부합하는 명칭인 銀製 樹形 冠飾으로 부르고자 제안한다.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was an accessory that decorated the official hat of a bureaucrat in a Sol-group position in Baekje. It is also known as the Silver Flower, which is seen in political signs. However, these terms may not be interchangeable as no definite evidence could prove the relation between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and the Silver Flower. Therefore, this study will attempt to verify whether the shape and role in politics of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coincide with those of the Silver Flower by examining available historical records. Three doubtful points have been not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ilver Flower and 'the Silver Flower- Shaped Hat Ornament'. The first is related to the differences between King Muryeong's Gold Diadem Ornament and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These two items bea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iod of appearance and form. Second, according to the records, most bureaucrats wore the Silver Flower in the past, but only 13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pieces have been found since the first of its kind was discovered in 1938. Third, if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indicated an official rank and had a political character, it could be treated as one of the goods offered to Buddha, such as the one discovered in the sarira hole for enshrinement in the foundation stone at the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After considering the three issues stated above,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has an appearance that is more similar to a tree than a flower, which indicates that its shape is contradictory to that of the Silver Flower described in historical records. Second,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was treated as a type of grave goods rather than an object with political purposes.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was made personally, and it was also treated as a type of grave goods to wish someone luck in the 7th century. in sum,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hardly refers to the Silver Flower because they are different in various ways. They were created ofr different purposes, and even their shapes are dissimilar. The study concludes that a Silver Flower specimen has never been found. Further, in consideration of its material and shape,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may be renamed as Silver Tree-Shaped Hat Ornament.

      • KCI등재

        6세기 신라 干群 경위의 구성과 성립과정

        홍승우(Hong, Sueng Woo)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6세기대 신라 금석문에 나오는 간군 경위 관등을 분석하여, 당시 관등의 구성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라 경위의 성립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율령 반포를 전후해 건립된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의 비문과 창녕비 등 진흥왕대 비문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주변국의 사례를 포함한 여러 문헌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에서 왕과 함께 국정을 이끌어나갔던 6부의 핵심지배층들에게서 두 종류의 관등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喙․沙喙部인들만이 가지고 있었던 경위 관등으로, 阿干支와 그 하위 某干支관등들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여타 4부의 수장 및 유력자들이 소지한 것으로, 干支와 壹伐등으로 구성되었다. 율령 반포 당시의 간군 경위 관등은 太阿干支이하의 5개 등급이 중심이었으며, 이는 신라 마립간 아래의 喙․沙喙部유력자들을 서열화 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그에 비해 상위 4개 간군 경위는 太阿干支이하 간군 관등과 동일한 성격의 것이 아니라, 6부를 구성하던 여러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에서 유래한 위호인 干支들 사이의 위계가 반영된 전통적 위호였다. 형식적으로는 이들 위호가 喙․沙喙部에 적용되었던 경위 관등 보다 상위의 지위였지만, 이들이 당시 하나의 관등제로 동일하게 기능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에 비해 진흥왕대인 6세기 중반의 금석문들에서는, 상위 간군 경위가 阿干支등과 같은 성격의 관등으로서 기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과 달리 干支와 壹伐로 구성된 부별 독자 위계제는 사라지고, 6부인 전체가 경위 관등을 소지하는 변화와 함께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6부 干支들과 壹伐등의 유력자층을 경위 관등에 모두 포괄하기 위해, 최상위 간군관등을 증설하면서 경위가 완성된 것이다. 다만 최상위 4개 간군 경위 관등은, 이전에 존재하던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인 간지들을 서열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옛 위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은 아니며, 경위의 고위 관등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로써 신라 경위 17관등이 완비되었다. This paper analyzed Inscriptions of Silla stele in the 6th Century, such as Pohang Jungseongri Stele, Pohang Naengsuri Stele, Uljin Bongpyeongri Stele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to reveal the constitution and the nature of the top 9 Official rank of the Silla Dynasty’s Governmental Ranking system called Gyeong-wi. And based on it, reconstruc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Gyeong-wi.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re were two kinds of Governmental Ranking system for the ruling classes of Silla 6bu around 520’s, when King BeobHeung declared the law codes called Yul-Ryeong. One was a system that is limited to WheBu and SawheBu. It was composed of only 5 lower top rank, named DaeArGanji, ArGanji, IlgilGanji, SaGanji, GeobeolGanji, out of 9 top rank. The other one was for the ruling classes of 4bu except Whe and Sawhe among the Silla 6bu. It was composed of Ganji and Ilbeol which means Chief of bu and top position under the chief. At that time, the Gyeong-wi was not completed, and it was not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in the Silla 6bu.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t the reign of King Jinheung, new 4 high-top Official rank had been added on top of existing ranks. Finally, Gyeong-wi had been completed with 9 upper grades and 8 lower grades. And also it had been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of Silla Dynasty.

      • KCI등재

        근세 왜관 館守의 역할과 도다 도노모(戶田賴毛)

        허지은(Her Ji-Eun)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8 No.-

        조·일관계상에서 관수가 왜관에 처음 파견된 시기를 일본에서는 1637년에 파견된 平成連(우찌노 곤베(內野權兵衛))부터, 조선에서는 1639년에 파견된 平智連(嶋雄權之介(시마오 곤노스케))부터로 보고 있다. 조선에서는 국서개작사건 이후 일본이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그들의 동향에 주목하고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고, 이듬해인 1636년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조선에서는 일본과의 분란을 가능하면 만들지 않기 위해 왜관의 일본인 단속을 강화할 목적으로 관수의 파견을 허락하고 관수 및 그의 솔속들에 대한 접대규정을 마련했던 것으로 보인다. 쓰시마번에서 조선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朝鮮方에서 작성하여 관수에게 주었던 館守調書 의 내용을 보면 관수가 왜관에서 수행했던 역할과 기능은 왜관 내 일본인들에 대한 통제, 조일 양국 통교에 관한 의견 제안, 조선 및 북경에 관한 정보수집 및 보고, 東向寺에 조일간에 왕래하는 문서사본 기록의 지시 등 조일간의 왕복문서의 기록과 관리, 왜관 안에서 근무하는 일본일들에 대한 제재 및 관리 등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일간에 관수제도가 확립되고, 1873년 메이지 정부에서 왜관을 침탈할때까지 100명이 넘는 관수가 조선에 파견되어 왜관의 총괄책임자로서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 가운데 네 차례나 조선에 파견되었던 도다 도노모는 역지통신 교섭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으며 고관수 시기에는 통신사강정재판으로 역지통신의 시행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The Japan House(Waegwan, 倭館), was the Japanese settlement in Joseon(朝鮮)and the site for diplomacy and trad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re were officials who came from Joseon and Japan to the Japan House for managing the Japan House and for the surveillance of Japanese residents. The kanshu(館守) managed the Japan House. This official had the responsibility of grasping the actual conditions of diplomacy and trade with Joseon. Therefore, he was to be familiar with the full affairs of the Japan House. Thus, he recorded the daily events there. It was a duty of the manager to collect information on Joseon and China and report back to his higher authority, the Tsushima domain. The manager Toda Tonomo(戶田賴母) recognized his ability to deal with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He went to his newly appointed assignment as the manager at the Japan House in Busanin 1779. Subsequently, this competent official held his post four terms in succession. Moreover, he participated in the negotiations regarding the “location modifying diplomacy in Tsushima” in 1811(易地通信).

      • 사질토에서 지중관수 방법에 따른 습윤특성에 관한 연구

        김진현 ( Jin-hyun Kim ),김태욱 ( Tae-wook Kim ),김설하 ( Seol-ha Kim ),이황규 ( Hwang Gyu Lee ),엄덕호 ( Duk-ho Eum ),이상훈 ( Sang-Hu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물 부족현상이 심각하므로 농업용수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노지에서 밭작물을 재배할 경우 대부분 지표관수 방법을 사용하지만 지표관수는 증발로 인한 용수 손실이 30-40% 정도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물 부족과 노동력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지중관수 방법이 농가에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중관수는 지표면 관수와 달리 수분의 공급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지중관수는 토양 표면의 300-400 mm 하단에 관을 매설해야 하므로 용수의 공급에 대한 수분확산 확인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지중관수량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작물의 생육시기에 따른 뿌리의 생장과 토양 내부의 수분확산 영역 및 함수비 등이 구명되어야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지중관수용 2.0 L/h 드리퍼를 개발하여 해외 제품(1.6 L/h용)과 비교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양은 사질토를 대상으로 하였고 지중관수 장치를 200 mm 깊이에 매설하고 용수를 공급하였다. 이때 공급량은 3000 mL로 하고 단위시간당 2 L(N-type)와 1.6 L(T-type)를 사용하여 공급하였다. 공급 간격은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300 mm로 정했다. 그리고 토양의 200 mm 깊이를 수평으로 절개하고 수평 확산 거리를 측정하였다. 종전에 지중관수 장치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지중에 가는 세관을 꽂아 일정량의 관수량을 공급하고 수분이 수평 또는 수직으로 확산되는 형태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유량 균등성이 확보된 지중관수용 Dripper가 개발되어 실제 지중관수장치의 매설과 동일하게 실험이 가능하였다. 실제 지중관수 장치에 수분을 공급할 경우에는 습윤특성이 달라지므로 이를 통한 설계를 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사양토 조건에서 지중점적 관수・관비 처리가 감자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문석주,윤을수,오승가,노일래,조영손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7 No.2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subsurface drip irrigation as one of the practices to efficiently solve problems associated with agriculturalwater shortage due to global warming and declining soil fertility.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subsurface irrigation effects on domesticfood crop, especially when combined with subsurface fertigation is still limited. We measur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components of potatoes (Solanum tuberosum L.) under subsurface drip irrigation and fertigation (SSF), compared with conventional surfaceirrigation and fertigation (CF). For SSF drip pipes (Ø 14.10 ㎜, 1.6 L h-1) were placed with the depth of 40 ㎝. The pipeline intervals were 80 ㎝ at the experiment farm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e recommended fertilizer rate for potatoes (N-P-K : 100-88-130㎏ ha-1) was split-applied with N-P-K : 50-48-90 kg ha-1 before sowing, the remaining amount (N-P-K: 50-40-40 kg ha-1) was supplya tuber formation stage and enlargement stage with subsurface drip fertigation. Plant length was found to be the longest by SSF. but,while stem diameter was the thickest under CF. Total yield and marketable tuber yield were 38.6 FW Mg ha-1 and 27.4 FW Mg ha-1,respectively, under CF, which were greater by 14.0% and 20.8% compared to those under SSF. Water distribution measured acrossa soil profile down to 80 ㎝ ranged from 10% to 35% following subsurface drip irrigation, that the dominant gravitational movementof water from the subsurface irrigation depth campared to moving from dripping point to soil surface by capillary diffusion of water.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water movement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in subsurface irrigation system is needed to increase waterirrigation efficiency and crop productivity in sandy loam soil. 지중점적 관수・관비 시스템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물 부족과 낮은 토양비옥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로 주목받고있다. 그러나, 국내 식량작물에 대한 지중점적 관수 효과, 특히 지중점적 관비와의 결합에 대한 이해와 관련 시스템 개발은 여전히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표면 관수 및 시비(CF)와 비교하여 지중점적 관수 및 관비 처리(SSF)에 따른 감자(Solanum tuberosum L.)의성장 및 수량 특성을 측정하였다. 지중점적 처리를 위해, 경상국립대학교 실험 포장(583 m2)에서 점적관(Ø 14.1 ㎜, 1.6 L h-1)을 80㎝ 간격으로 깊이 40 ㎝에 매설하였다. 감자의 표준 시비량(N-P-K: 100-88-130 ㎏ ha-1) 중 일정량 기비(N-P-K: 50-48-90 ㎏ ha-1)후, 잔여 시비량인 N-P-K: 50-40-40 kg ha-1을 괴경형성기와 괴경비대기에 절반씩 나누어 관비하였다. 감자 생육 특성 중 초장은 지중점적처리구에서 가장 길게 나타났으나, 경직경은 대조구에서 가장 두껍게 나타났다. 총 수량과 상서용 수량은 각각 대조구에서 38.6 Mgha-1, 27.4 Mg ha-1로 지중점적처리구와 비교하여 총 수량은 14.0%, 상서용 수량은 20.8% 높게 나타났다. 지중점적 관수 후 깊이 80㎝까지의 토양 단면조사에 따른 수분 분포는 10~35%의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모세관 확산 현상에 의해 중력으로 인한 수분의 하강이우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양토 조건에서 지중점적관수・관비 처리에 따른 감자의 생육과 물의 이동은 투입비용과 에너지 효율성을고려한 작물 생산성을 높기기 위해 지중점적 관수시스템, 매설 깊이나 관수방법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사질토양의 콩 재배 생육 초기 지중관수량 설계

        김진현 ( Jin-hyun Kim ),김태욱 ( Tae-wook Kim ),김설하 ( Seol-ha Kim ),이황규 ( Hwang Gyu Lee ),엄덕호 ( Duk-ho Eum ),이상훈 ( Sang-Hu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지중관수는 작물의 생육과 수자원의 절감 및 노동력 부족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노지에서 지중관수량을 얼마로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다. 노지에서 지중관수를 통한 수분을 공급할 경우는 강우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지중관수 공급량을 정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오히려 충분한 연구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자원을 낭비하거나 명확한 결론을 얻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지중관수량의 설계는 강우의 영향을 배재한 상태에서 충분한 연구를 통하여 기본적인 수분확산의 영역과 작물 뿌리의 성장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종전에 지중관수 장치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지중에 가는 세관을 꽂아 일정량의 관수량을 공급하고 수분이 수평 또는 수직으로 확산되는 형태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는 수분의 확산 중심점이 Matric potential에 따라 이동하므로 실제 수평으로 지중관수 장치가 매설되는 경우와는 다르게 나타난다. 최근에 유량 균등성이 확보된 지중관수용 Dripper가 개발되어 실제 지중관수장치의 매설과 동일한 실험이 가능하였다. 실제 지중관수 장치에 수분을 공급할 경우에는 습윤 특성이 달라지므로 작물의 뿌리 성장을 고려한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중관수 장치가 개발되기 이전의 공급량을 2 L/h로 하였을 때, 지중 습윤 중심이 토양 표면 쪽으로 약 30 mm 상승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량을 균등하게 공급하고 뿌리가 침투되지 않는 Dripper가 국내에서는 최초로 개발됨에 따라 지중관수 실험 방법이 노지 현장에서 적용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매설할 수 있어 수분의 확산 형태도 달라짐을 알게 되었다. 즉, 지중관수로 인한 토양 내부의 수분확산은 관수라인 자체가 수분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실제 토양 내부의 수분 확산으로 종전의 연구와는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지중관수 라인을 매설할 때, 유출구를 상방향으로 유지시키도록 노력하지만 실제 연구의 결과에서는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지중관수 장치를 사질토에 적용하여 수분이 확산되는 형태를 분석하고 콩의 생육 초기 공급량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관광산업에서의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 지출이 기업의 원가하방경직성(cost stickiness)에 미치는 영향

        신희정,권혁기 동북아관광학회 2021 동북아관광연구 Vol.17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vestment in human resources in the tourism industry on the cost behavior of companies. While improving human resources is deemed to be imperative as a factor to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tourism industry, it is an empirical question of how the investment on human resources will affect operational efficiency. Using firm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from 2001 to 2017, we analyze the effect of labor costs (salary and wages, benefits, education and training costs) on the downward rigidity of companies. By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of 16,302 final firm-year samples, we find that companies in the tourism industry have lower cost rigidity compared to manufacturing and wholesale industries. This indicates that tourism is a more flexible management strategy for demand uncertainty, and is relatively more efficient in operating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However, labor expenditure in the tourism industry has generally had a negative effect on corporate operational efficiency. Specifically, salaries and wage expense and welfare costs among labor costs were found to increase the downward rigidity of the tourism industry. Education and training costs generally reduced downward rigidity, which has not show incremental effects in the tourism industry thou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tourism industry, investments in human resources as expenditures on salaries and benefits are likely to affect operational efficiency negatively in the following years, but education and training costs can, in contrast, improve cost efficiency. This suggests that in the tourism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demand uncertainty as a passive strategy of less spending on salaries and benefits, while actively investing in human resource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가 기업의 원가행태로 나타나는 운영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관광산업의 기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인적자원의 고도화가 중요시되는 반면, 이를 위한 인적자원에 대한 지출이 기업 내부의 운영효율성에 어떠한 결과를 나타내는지는 실증적인 문제이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7년까지 Kospi 및 KOSDAQ 시장에 상장된 관광산업 기업을 대상으로 관광산업의 원가행태를 살펴보고 인건비(임금 및 급여, 복리후생비) 및 교육훈련비가 관광산업 내 기업의 원가하방경직성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광산업은 제조업 및 도매업과 비교하여 원가하방경직성이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산업이 수요불확실성에 대한 경영전략으로서 기정자원을 보다 융통성 있게 조정하여 기업의 운영효율성을 높이는 산업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관광산업에서의 인적자원 투자를 위한 지출은 그 지출의 형태별로 기업의 운영효율성에 차별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인건비 중 급여와 복리후생비는 관광산업의 원가하방경직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훈련비는 일반적으로 원가하방경직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관광산업 내에서 증분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산업의 경우 급여 및 복리후생비의 지출로서 이루어지는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는 다음기의 수요변동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교육훈련비는 반대로 운영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관광산업의 경우 급여 및 복리후생비의 지출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전략으로써 수요불확실성에 대비하는 반면, 교육훈련비 지출을 통한 적극적인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灌夫人傳>에 나타난 여성 섹슈얼리티

        조도현(Dohyun Cho)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7 No.-

        性담론은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그 모습을 드러낸다. 욕망과 금기의 상반된 두 얼굴을 지닌 성이야말로인간의 본질을 여실히 보여주는 주제인 것이다. 17세기에 창작된 성여학의 <관부인전>은 16세기의 <주장군전>에 이어 여성의 성기를 의인화하여 性행위를 적나라하게 묘사한 파격적 작품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관부인전>에 나타난 여성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문학적 특징과 의미를 탐색하였다.첫째, <관부인전>의 형성 배경과 창작 동기를 살펴보았다. <관부인전>은 성여학의 소화집 􋺷속어면순􋺸에 실린 작품이다. 전란을 경험하고 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의 움직임을 보였던 17세기의 작가들은 작품을 통해 일정부분세계에대결하는 한방식을나타냈다. 따라서 사대부적시각에서기록화된 전대의작품들에비해등장인물이 확대되고 민중들의 세계관에 원천을 둔 이야기가 많이 출현했다. <관부인전>은 이러한 배경에서 창작되었다.둘째, <관부인전>에 나타난 성 담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남성성의 부당한 횡포에 대한 대응이 드러나 있다. 이는 남성성에 대한 반기를 드는 것이기도 하지만, 역설적으로 통제된 사회구조에 순응하는 의미를내포한다. 다음으로 다양한 수사기교의 활용이나타나있다. <관부인전>은 성 담론이라는 장르적 특성에부합하여 희극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끝으로 과감하고 노골적인 내용을 우의적으로 표현하였다. 성적 은유를적절히 구사하여 언어적 미감을 높임으로써 긴장과 이완의 리듬감을 부여하고 있다.셋째, <관부인전>의 문학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통시적 측면에서 <관부인전>은 16세기에 창작된<주장군전>의 형식과 구성을 따르고 있다. 다음으로 공시적 측면에서 <관부인전>은 당대 산문문학의 발전에 따라 열린 시각과 다양성을 인정했던 작가의 문학적 태도가 반영되었다. 끝으로 문학장르의 측면에서 <관부인전>은 내용상 설화 문학, 형식상 가전 문학이라는 인접 장르와의 교섭을 통해 작품의 문학적 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e sexual discourse has been variously transformed by age. It is the sexhaving two aspects of desire and taboo that fully reveals the essence ofhuman beings. The <Gwoanbuinjeon> created by Seong Yeohak in the 17thcentury, following the <Jujang-gunjeon> in the 16th century was anunprecedented work in that it openly described intercourses by personifyingthe genital of a woman. Thus, this paper investigated literary characteristicsand meanings by focusing on the female sexuality shown in the<Gowanbuinjeon>.First, it examined background and motive of the <Gwanbuinjeon>. The<Gwanbuinjeon> was published in the Sok-eo-myeonsun, a joke book ofSeong Yeohak. In the 17the century, authors who experienced the war andseemed to be changed across the society used their works to confront theworld. Therefore, stories originated from the masses and characters in themwere extended appeared more often, compared with works recorded fromthe view points of men of noble families in the previous generation. This isthe background from which <Gwanbuinjeon> was created.Second, the sexual discourse in the <Gwanbuinjeon> was examined. First,responses to unjust oppression of masculinity are exhibited. This is not onlyan objection to the masculinity, but also paradoxically includes adaptation tocontrolled social structure. Then, various kinds of rhetoric are used. The <Gwanbuinjeon> focuses on the humor by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sof the genre, a kind of the sex discourse. Finally, bold and blatant contentsare satirically expressed. The rhythmic sense of tension and relaxation isprovided by properly applying sexual metaphors and thus enhancing alinguistic sense of beauty.Third,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of the <Gwanbuinjeon> wasexplored. First, the <Gwanbuinjeon> diachronically follows the form andconstruction of the <Jujang-gunjeon> created in the 16the century. Second,it synchronically reflects literary attitudes of authors with open mind, whoacknowledged the variet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prose literature. Finally, it successfully shows its own literary value throughassociation with proximal genres such as Gajeon for form and folktale forcontent, in terms of literary gen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