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樂府詩體 戰爭詩의 창작 양상과 연구의 과제

        박정민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2

        Although the beginning of war literature was to reflect war experience and sentiment, it gradually changed into literature to imagine war. And on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is Korean war poetry in the Akbu-poem(Yue Fu, 樂府詩) style. To form the basis for the research on "literary figuration of imagination and notion about war", this study discusses the meaning and type of war poetry in the Akbu-poem style in Chapter 2, situation of creation of Korean war poetry in the Akbu-poem style in Chapter 3, and research tasks in Chapter 4. In Chapter 2, war poetry in the Akbu-poem style is defined as "Chinese poetry written in the Akbu-poem style". The study confirmed that, in case of China, there are 31 formats of the Akbu-poem-styled war poems by analyzing Gwak Mucheon(郭茂倩)'s the Book of Akbu Poems(樂府詩集) which has been called the best book coompiling the all-time great Akbu-poems. In Chapter 3, the study confirmed that, in case of Korea, the Akbu-poem-styled war poems have 16 different formats in total, including Saehaagok(塞下曲), Chulsae(出塞), Saesanggok(塞上曲), Gwansanwol(關山月), Jeongbuwon(征婦怨), Jonggunhaeng(從軍行), Nongdu(隴頭), Goyeolhaeng(苦熱行), Eummajangseong- gulhaeng(飲馬長城窟行), Jeonseongnam(戰城南), Chuljagyebukmunhaeng(出自薊北門行), Baekmapyeon(白馬篇), Ipsae(入塞), Chulgwan(出關), Homuinhaeng(胡無人行), and Ipgwan(入關). In addition to this, it presented the list of 325 poems collected for this study, and relevant studies as well. It also examined the themes of the Akbu-poem-styled Korean war poems, particularly from four different perspectives, including "the life and scenes on the frontier", "the parting and yearning due to war", "the distress from conquest and agony of soldiers and commanders(將卒)", and "the wish for going to war(出征) and accomplishing a feat(建功)". In Chapter 4, the study discusses future research tasks; first, intensive researches will be required, particularly on writers who wrote a lot of war poems in the Akbu-poem style; second, comparative researches will be needed between the Chinese Akbu-poem models and Korean work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s as it is the study that supplements the tendency of the existing studies focusing on war experience-oriented Chinese poetry, and also that explores the features of war literature in terms of "ideality(觀念性)" and "archaism(擬古性)". 애초에 전쟁문학은 전쟁의 체험과 정서를 반영하는 데서 출발하였지만 점차 전쟁 상상 문학으로 선회하였으니, 그 대표적인 예가 우리나라의 악부시체 전쟁시이다. 본고에서는 ‘전쟁의 상상과 관념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2장에서 악부시체 전쟁시의 의미와 유형을, 3장에서 우리나라 악부시체 전쟁시의 창작 현황을, 4장에서 향후 연구 과제를 논하였다. 2장에서는 악부시체 전쟁시를 ‘악부시의 양식으로 작성된 전쟁 한시’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중국 역대의 악부시를 가장 잘 모아놓은 책이라 일컬어지는 郭茂倩의 樂府詩集 을 분석하여, 중국의 경우 총 31종의 악부시체 전쟁시 양식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塞下曲’․‘出塞’․‘塞上曲’․‘關山月’․‘征婦怨’․‘從軍行’․‘隴頭’․‘苦熱行’․‘飲馬長城窟行․‘戰城南’․‘出自薊北門行’․‘白馬篇’․‘入塞’․‘出關’․‘胡無人行’․‘入關’ 등 총 16종의 악부시체 전쟁시 양식이 창작되었음을 확인하고, 수집한 작품 총 325편의 목록 및 관련 연구를 제시하였다. 또 ‘변방의 생활과 정경’, ‘전쟁으로 인한 이별과 그리움’, ‘정벌의 괴로움과 將卒의 고통’, ‘出征과 建功의 기원’이라는 4가지 측면에서 우리나라 악부시체 전쟁시의 주제를 살폈다. 4장에서는 향후의 연구 과제를 논하였다. 그것은 첫째 악부시체 전쟁시를 다작한 작가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중국 악부시의 전범과 우리나라 작품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본고의 논의는 전쟁 체험 한시에 주목했던 기존 연구의 편향성을 보완하는 연구라는 점, 觀念性과 擬古性이라는 전쟁문학의 특성을 탐색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닐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결여(privation) 개념과 악의 실재성

        이경재 한국기독교철학회 2014 기독교철학 Vol.18 No.-

        악의 존재는 신의 선함과 전능함이라는 기독교의 진리주장에 커다란 도전이었다. 악의 존재를 부인하지 않는 한, 또는 악의 원인은 악이어야 한다는 인과율의 요구를 무시하지 않는 한, 악의 존재는 곧 모든 것의 궁극적 원인인 신안에 악이 포함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악은 선의 결여라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주장은 이러한 난관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악의 문제를 죄의 문제와 거의 동일시하는 아우구스티누스 자신은 결여 개념을 바탕으로 악에 원인이 없다고 주장하는 했다. 하지만 결여 개념은 결과적으로 악의 실재성을 부인하게 된다는 이유에서 많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 논문은 결여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악과 관련된 문제상황이 어떤 존재론적 사태인지를 확인하려 한다. 다시 말해 ‘악이 존재한다’는 판단은 실재의 어떤 사태를 지시하는 것인지, 따라서 악의 원인을 묻는다는 것은 정확하게 어떤 존재론적 사태의 발생에 대한 원인을 묻는 것인지를 확인해 본다. 이를 위해 결여의 있음과 결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의 있음을 구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악의 사태가 어떠한 존재론적 사태인지를 확인한다. 그럼으로써 악의 존재, 악의 인식, 악의 실재성과 힘, 악의 원인 등 악에 관한 주요 문제들에 대해 보다 유효하게 논의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The existence of evil seems to be logically incompatible with Christian God Who is regarded as all-mighty and perfectly good. For, as is said traditionally, insofar as every agent produces its like, the evil existing in this world could be reduced ultimately to God the Creator so that the God could not be wholly and perfectly good any more, which seems to be a direct challenge to the traditional Christian article of faith. The Augustinian concept of evil as a privation of good (privatio boni) could be counted as a way for resolving this issue. St. Augustine himself, for whom the problem of evil was that of sin, has argued to the effect that there is no cause of evil. The privation theory, however, has been criticized for its implication in the denial of the substantiality of the evil.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concept ‘privation’, this article tries to inspect the ontological situation involved with the problem of evil, which is expected to clarify what kind of happening or occurrence the questioning the cause of evil is related about exactly.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distinguish between the existence of priviation and that of privative being, that is, a being which the privation is said to be included in. By this distinction, the ontological status of evil could be seen more clearly and explicitly, and this would be expected to be a good base on which the problems concerning evil could be dealt more efficiently with.

      • KCI등재

        惡에 대한 이해와 교육의 필요성 - 순자와 한나 아렌트의 사유를 중심으로

        전선숙,김영훈,신창호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8

        본고는 악(惡)과 교육의 필요성을 순자와 한나 아렌트의 시각을 통해 논의한 것이다. 순자의 경우, 순자를 중심으로 ‘악’에 대한 주장을 검토하였고, 아렌트의 경우, 나치 전범인 아이히만의 재판 과정에 참여하면서 저술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순자는 ‘악’을 인간의 본성으로 보았는데, 모든 인간은 본래 이기적이고 질투하며 욕망을 추구한다고 이해했다. 이에 순자는 욕망을 적절히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본성을 악에서 선으로 변화시키는 ‘화성기위(化性起僞)’를 주장하였다. 이 ‘화성기위’의 과정에서 선으로 인도하는 스승이 절대적으로 요청됨과 동시에 교육내용의 차원에서는 인간의 욕망을 적절히 추구할 수 있도록 분별을 알려주는 ‘예(禮)’와 인간의 감정을 조화롭게 다스리는 ‘악(樂)’의 역할을 중시하고 예악교육을 핵심에 두었다. 아렌트의 경우, ‘악’을 평범하게 인식했다. 아이히만은 아무 생각 없이 상부의 명령에 복종하는 것을 최고의 미덕으로 여겨 수많은 유태인들을 죽이는 악을 자행하지만, 그것은 악을 행한 것이 아니라 오직 명령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전체주의 체제에서 인간은 아무 생각 없이 악을 행할 수 있고, 선을 행할 수 없는 조건을 만듦으로써 자신도 모르는 상태에서 악을 행하는, ‘근본악’과 악의 ‘평범성’을 경험한다. 이에 ‘말’과 ‘행위’라는 인간의 다원성을 보장하는 정치적 행동이 필요하다. 이때 말과 행위의 전제 조건은 탄생성(natality)이며 교육의 본질을 구성한다. 순자와 아렌트는 인간의 악을 극복하려는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는 점에서 동질성과 이질성을 보인다. 선은 사회화 또는 공동체의 기능을 회복하는 데 있다고 보고, 교육의 실천과 행위를 중요하게 여기는 교육의 목적이나 지향성 차원에서는 동질적이다. 하지만 순자가 덕을 쌓아 선을 이루는 지속적 실천을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아렌트는 전체주의 사회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서 행위를 제시한다는 측면에서는 교육의 방법적 특성상 이질적이다. This research aime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evil through perspective of Sunja and Hannah Arendt. In case of Sunja, it was reviewed by his opinion about Sunja as the central figure. As for Arendt, it was researched with "Eichmann in Jerusalem" as the central figure which she wrote participating in the trial process of Eichmann who was a war criminal of Nazi. Sunja thought evil as the nature of people and understood that they all are originally selfish, envious, and seeking desire. Therefore, Sunja thought it is important to properly seek human desire. He claimed Haw Seong Gi Wi(化性起僞, changing evil human nature into goodness through manner) which changes human nature from evil to goodness. A teacher who leads evil into goodness is surely needed in the process of Haw Seong Gi Wi. At the same time, in the dimension of educational content it put stress on the role of Ye(禮, manner) which lets them realize discernment so that they properly seek human desire and Ak(樂, harmony) which harmoniously controls human emotion, and key point on education regarding Ye and Ak. As for Arendt, however, she recognized evil as normal one. Even though he thought that conforming the order of superior authority was the best value and then took evil of killing many Jews in thoughtlessness, Eichmann maintained that he did not take evil but only conformed the order. This way, people could take evil in thoughtlessness in totalitarianism, and it makes circumstance that they could not take goodness. Therefore they could take evil in thoughtlessness and experience the radical evil and the banality of evil. Accordingly, political praxis which guarantees people's plurality as the words and praxis is needed. It is named natality because the truth that they are born in this world is a starting point, and makes the essence of education. In this process, teachers have to be a representative of this generation for children as new social members, and be able to keep children's newness. Sunja and Arendt have the same equality and difference in that they referred to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overcome human evil. It is the same quality that goodness could recover the function of community and the practice of education i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goal of education and the dimension of directivity. It is different in methodical characteristic of education that Arendt, however, suggests praxis as the way that they express themselves in totalitarianism while Sunja thought that continuous practice piling up virtue for goodness is important.

      • KCI등재

        이유원 <海東樂府>의 『增補文獻備考』「樂考」의 고려가요 가화 수용과 그 시화

        김기영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79 No.-

        <해동악부>를 보면, 「악고」의 고려가요 배열 순서를 쫓아 이하 에 이르기까지, 「악고」의 고려가요 가화를 바탕으로 창작한 17편의 악부시 작품을 배열하였다. 그리고 맨 끝에 「악고」에서 고려노래로 파악하고도 고구려 속악의 위치에 두었던 작품인 <延陽歌>를, 역시 가화를 바탕으로 해 악부시를 창작해 덧붙였다. 다만 <동동>은, 『고려사』「악지」의 <장생포> 가화를 받아들인 「악고」의 <동동> 가화를 수용하여 악부시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해동악부>의 가화를 보면, 『증보문헌비고』「악고」의 작품에 대한 가화와 1) 동일하게 수록한 경우도 있지만, 2) 생략, 3) 단어 대체, 4) 단어 및 구절 대체, 5) 생략과 도치, 6) 생략과 도치 및 단어 추가, 7) 생략과 단어 대체, 8) 생략과 구절 대체의 방식으로 「악고」의 번잡한 내용은 생략하고 불충분한 내용은 보완하여 수용 내용의 문맥을 보다 명료히 하였다. 1)·3)·4)·5)·6)에는 1작품, 8)에는 2작품, 2)에는 4작품, 7)에는 7작품이 해당한다. <해동악부>의 시 형식은 이제현의 <소악부>에서 연원한 7언절구 형식을 일관되게 취하고 있다. 시화양상은 가화를 가감없이 사실 그대로 시화한 11편의 작품들과 가화의 내용에 작자의 창의적 생각을 더해 창작한 7편의 작품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악지」·「악고」를 거쳐 후대에 전승된 고려가요의 가화가 19세기에도 여전히 생명력을 발휘하여, 이유원 같은 당돼 지식인에게까지도 문학적 형상화의 창작적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A survey of the musical lyrics related to Goryeo songs that appear in Yi Yu-won's Haedongakbu shows that the collection presents seventeen musical lyrics created based on the tales of music related to Goryeo songs which were included in Akgo by adopting the arrangement of Goryeo songs in the review. And as for Yeonyangga, a work listed at the end which was previously categorized as Goguryeo popular music despite its verification as a Goryeo song in Akgo, the tale of music in Akgo was received and lyrics were created based on it. Yet, Dongdong was rendered as lyrics by receiving the tale of music related to Dongdong in Akgo, which received the tale of music related to Jangsaengpo in Akji. A survey of the tales of music in Haedongakbu shows that while 1) they are identical as those appearing in Akgo of Jeungbomunheonbigo, t6he context for the included contents is further clarified by omitting complex details and complementing insufficient parts of Akgo in such methods as 2) omission, 3) word substitution, 4) word and phrase substitution, 5) omission and inversion, 6) omission, inversion, and addition of words, 7) omission and word substitution, and 8) omission and phrase substitution. One work falls under the category of 1), 2), 3), 4), 5), and 6), and two works fall under the category of 8), while four works oolong to 2) and seven works oolong to 7). The poetic form shown in Haedongakbu consistently adopts the quatrain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that originated from Yi Je-hyeon's Soakbu. In terms of the aspect of poeticization, they may be divided into eleven pieces that poeticized the literal version of the tales of music and seven pieces that combined the tales of music with the writer's creative thoughts.

      • KCI등재

        논문 : 중국 서사악부(敍事樂府)의 서정악부화(抒情樂府化)와 서사시사(敍事詩史)의 단절

        강필임 중국어문학회 2014 中國語文學誌 Vol.49 No.-

        不僅是中國,還是使用漢字的古代東方文化圈裏,樂府詩歌在內的嶼事詩歌發展不充分,對其原因已有許多硏究分析,不過還未明確。本文認爲, 因爲漢字難學、更難學習的記錄形式古文及其造成的藝人難使用文字的環境, 就造成了缺乏樂府民歌文字記錄的結果。 尤其是嶼事樂府, 其演出都由民間藝人用白話來進行,而且在傳統觀念上嶼事詩歌不如抒情詩歌受重視,因此敍事樂府痕難進入文人的記錄文學範圍內。這可以說是中國在內的古代汗字文化圈裏敍事文學未發達之原因之一. 漢樂府相和歌辭是由民間藝人演行的口述文學、一種具有現場性的演行藝術. 因爲樂府民歌記錄不充分, 魏晉文人主要是通過民間藝人的演出而受容樂府,進行模擬創作。文人在進行創作時,分別創作,一是爲藝人演出而創作,一是爲了表露自己的情感而創作。前者因爲相當部分相和歌辭已被定爲宮庭宴樂, 其歌辭也由此而固定化, 未必要文人重新創作。結果,樂府作爲是一種演行藝術,被文人受容,文人用樂府表露己的鑒賞,這樣樂府逐漸走路抒情樂府化、文人文學化、記錄文學化,嶼事樂府只能停滯在藝人之手而漸漸消失。

      • KCI등재후보

        악의 존재론적 의미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론

        김율(Kim, Yul)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신학과 철학 Vol.- No.20

        토마스 아퀴나스는 창조의 목적을 다루고 있는 『대이교도대전』 3권 앞부분에서 악의 존재론적 의미에 대한 체계적 설명을 시도한다. 모든 피조물이 각자의 방식으로 선이라는 목적을 지향한다는 신학적 명제가 보편성을 얻기 위해서는, 악의 존재론적 지위가 반드시 설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에 대한 설명이 수행되고 있는 『대이교도대전』 3권 4장-9장의 번역과 더불어 그에 대한 문헌 분석을 목표로 한다. 토마스의 주장은 악이 의도를 벗어나 발생하며 어떠한 본질이나 본성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자연적 의도이든, 인간적 의도이든 악 그 자체를 지향하는 것이 불가능한 까닭은, 결여로서의 악이 적극적 실재로서의 본성에 우유적(偶有的)으로 수반되는 현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토마스는 악을 결여로 규정하는 전통적 이론을 충실히 계승하되, ‘어떤 것의 악’, ‘단적인 악’과 같은 개념적 구별을 고안해내고 그에 근거하여 다양한 반론을 해결함으로써 악론을 스콜라철학의 체계 안에서 정교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행위의 악이 지닌 특수성을 정확히 분석함으로써 존재론적 악과 도덕적 악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지평을 개척한다. In the early chapters of the Book Three of Summa contra gentiles, which deal with the goal of creation, Thomas Aquinas attempts a systematic explanation of the ontological meaning of evil. He does so becaus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ontological status of evil if a theological thesis that all created beings, in their own ways, intend the good as goal can be universally valid. While offering a translation of the chapters 4-9 of the Book Three of Summa contra gentiles, where Aquinas deals with the problem of evil, this paper aims at an analysis of the text to arrive at a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he does philosophically. Thomas’ argument is that evil occurs ‘praeter intentionem’ and does not exist as an essence or nature. The reason why it is impossible to intend evil itself, whether it be intended by nature or the human agent, is that evil as a privation is nothing other than a mere accident of the positive reality of nature. While inheriting faithfully a traditional theory defining evil as privation, Aquinas refines the theory of evil within his system of Scholastic philosophy by offering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raised in objections based upon his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evil of something’ and ‘evil simply.’ Furthermore, he opens up a new horizon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ntological evil and moral evil by analyzing precisely the distinctiveness of evil in human action.

      • KCI등재

        리스본의 대지진과 악(惡) 개념의 근대적 전환 ― 악의 문제에 대한 철학적 방법론에 관하여

        김화성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9 No.-

        이 글은 1755년에 발생한 리스본의 대지진으로 인해 전통적인 악 개념이 어떻게 근대적 전환을 겪게 되었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근대에 들어와 신앙과 이성 사이에 내재된 긴장 관계가 리스본의 대지진으로 표출되면서 양자가 분리되는 과정의 배후에는 악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를 통해 오늘날 철학 무대에서 거의 사라진 듯이 보이는 악의 문제가 차지하는 철학적 의의와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에 대한 진지한 철학적 담론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왜냐하면 리스본의 대지진이 근대 철학의 전개에 던진 파장에서 드러나듯이 악은 우리가 이제까지 신뢰해 왔던 세계와 인간에 대한 합리적 이해의 경계선을 벗어나는 것이므로, 악의 경험은 언제나 우리에게 긴박한 문제로서 다가오고 따라서 세계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촉구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악으로 촉발된 문제의 깊이와 파장을 보다 올바르게 진단하고 직시하기 위해서는 그리고 세계와 인간에 대한 우리의 이해의 지평을 확대하고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악에 대한 연구와 담론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제기된다. 역사나 생활 세계에서 보듯이 악은 언제나 사건으로서 경험되지만, 그것은 그 어떠한 사건에서도 온전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오히려 우리의 삶이 다면적이고 다층적이듯이, 악도 고정된 논리적 틀로 환원시켜 규정될 수 없다. 인간은 그것을 시대에 따라 다양한 사건들 속에서 경험한다. 그것은 실체적인 그 무엇도 아니며 예측 가능한 것도 아니다. 다시 말해 비록 전통적인 악 개념이 리스본의 대지진으로 근대적 전환을 이루었다 할지라도 그리고 근대적 악 개념은 홀로코스트라는 전대미문의 사건으로 또 다시 현대적 전환을 겪었다 할지라도, 그 어떠한 개념적 틀도 악 그 자체를 온전하게 담아낸다고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악의 문제는 시간적ㆍ공간적 맥락을 벗어나서는 적절하게 다루어 질 수 없다는 점에서 현상적이고 구체적 성격을 가진다. 이로부터 다양한 사건들 속에서 드러나는 악의 현상들에 대한 접근을 통해 그 문제를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악의 연구와 담론은 개개의 사건에 대한 현상적 접근을 통해 다각적으로 이루어질 때, 그것의 다면성과 다층성을 보다 적절하게 바라볼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세계와 인간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의 지평을 위한 풍부한 자양분을 제공해 줄 것이다. In diesem Aufsatz wird betrachtet, wie sich dasr traditionale Verständnis des Bösen durch das Erdbeben von Lissabon im Jahr 1755 einer neuzeitlichen Umänderung unterzog. Insbesondere wird sichtbar gemacht, daß das Problem des Bösen stand im Hintergrund dessen, daß durch das Erdbeben von Lissabon das innere Spannungsverhältnis zwischen Glauben und Vernunft immer deutlicher zum Vorschein kam und sich beide schließlich voneinander trennte. Dadurch wird die philosophische Bedeutsamkeit des Problems des Bösen hervorgehoben, welches in unserer Zeit auf der Bühne der Philosophie nunmehr verschwunden zu sein scheint, und zugleich wird das Erfordernis eines philosophischen Diskurses darüber betont. Denn wie sich die Nachwirkung des Erdbebens von Lissabon auf die Entwicklung der neuzeitlichen Philosophie zeigt, überschreitet die Erfahrung des Bösen, wenn sie so unerfaßlich ist, die bisdahin wirksame rationale Grenze unseres Verständnisses über die Welt und Menschen und drängt dann uns darauf, unser Verständnis darüber ganz neu zu überdenken. Mit anderen Worten: Um die Tiefe und Breite des Problems, das durch das Böse verursacht ist, richtig zu diagnostizieren und auch unseren Verständ- nishorizont hinsichtlich der Welt und Menschen zu erweitern und zu vertiefen, ist die Forschung und der Diskurs über das Böse unumgänglich. Wie man in der Geschichte und der Lebenswelt sieht, kann das Böse immer durch Ereignisse erlebt werden, aber als solches zeigt es sich niemals in einem eizigen Ereignis. Wie unser Leben vielseitig und vielsichtig ist, das Böse läßt sich auch nicht auf einen einzigen begrifflichen Rahmen reduzieren. Je nach Zeitraum erfahren wir es in sehr unterschiedlichen Ereignissen. Es ist etwas weder Substantiales noch Berechenbares. Anders ausgedrückt, wenn auch der traditionale Begriff des Bösen durch das Erdbeben von Lissabon eine neuzeitlichen Umänderungng erfuhr, und wenn auch sich dieser umgeänderte neuzeitliche Begriff durch den einzigartigen Holocaust wiederum einer gründllichen Kririk unterzog, doch können vielseitige und vielsichtige Erscheinungen des Bösen niemals in bezug auf einen einzigen begrifflichen Rahmen dingfest aufgefasst werden. Das Problem des Bösen läßt sich also nicht richtig behandeln, wenn diesem sein zeitraumlicher Kontext entzogen wird. In diesem Sinne hat das Problem des Bösen einen phänomenalen und konkreten Charakter. Aus diesem Grund wird es bei einer philosophischen Auseinandersetzung mit dem Problem des Bösen erfordert, das durch die Analysen verschiedenartiger Phänomen des Bösen anzunähern. Erst wenn das Böse auf dieser Weise untersucht wird, dann läßt sich seine Vielseitigkeit und Vielsichtigkeit sichtbar und begreiflich machen; und dies wird schließlich unserem besseren Verständnishorizont hinsichtlich der Welt und Menschen reichliche Nahrung geben.

      • KCI등재

        고대자형으로 본 “악(樂)”의 구조와 의미 고찰

        김태완 ( Kim Tai Wan ),최영경 ( Choi Young Kyu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3 공연문화연구 Vol.0 No.26

        한자는 상형문자이다. 상형은 대상 사물을 눈에 보이는 그대로 그려내는 방법이다. 그러나 회화처럼 자세히 그리지는 않으며, 사물의 주된 특징을 포착하여 그것을 반영하고 곧 이것이 문자가 되는 방법이다. 그렇다면 현재 ‘음악’을 의미하는 한자 ‘악(樂)’자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이는 동양에 있어서 음악의 기원과 연관되는 문제이며, 동시에 악기의 출현을 의미하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 ‘악(樂)’자의 기원에 대해서는 통일된 견해가 없다. 물론 문자가 있기 전에 단순한 음악이나 악기가 존재하였겠지만, 그 유물이나 흔적만을 통해서는 음악이 어떻게 기원하였으며,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고, 나아가 악기가 어떻게 제작되었는지를 알기엔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를 배경으로 이 논문은 고대의 한자, 즉 갑골문(甲骨文)과 금문(金文) 그리고 도기와 죽간에 새겨져 있는 악(樂)자 및 한대(漢代)에 한자에 대해 분석을 완료한 『설문해자(說文解字)』를 대상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여 악(樂)이 어떤 형태로 시작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악(樂)을 대상으로 하여 고대인들, 즉 갑골문시기인 상(商)대의 사람들과 찬란한 문명을 이루었던 한대(漢代)에는 어떻게 악(樂)을 이해하였는가를 『시경(詩經)』과 중국의 가장 오래된 자서(字書)인 『이아(爾雅)』와 기타 문헌에 실린 용례와 해설을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악(樂)자의 윗부분 가운데 하나인 사()는 [絲실]의 의미 이외엔 별다른 이견이 없었으나, 백(白)에 대해선 ①고(鼓), 즉 ‘북’으로 보는 견해 ②요(?), 즉 ? + ? + ? 로서 무언가를 매달아 놓는 작은 줄로 보는 견해 ③현악기를 의미하는 사(?)+사(?)와 현(弦)을 조절하는 도구로 보는 견해 ④현악기를 의미하는 사(?)+사(?)와 금슬(琴瑟)을 조절하는 엄지손가락으로 보는 견해 ⑤방울을 흔들어 소리를 내는 방울형 악기로 보는 견해 등 다양한 견해가 있었다. 악(樂)자의 아랫부분에 대해선 ①받침틀로 보는 허신의 견해 이외에 ②나무[木] 혹은 쇠붙이[金]가 더해진 구조로 보는 견해 ③나무[木] 혹은 불[火]이 더해진 구조로 보는 견해④악(樂)을 아예 악기로 보지 않고 화톳불에 사용되는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반영된 모양으로 보는 견해 등이 있었다. 그리고 기타 의견으로 ①복사(卜辭)에 보이는 악(樂)자의 다른 형태로 악(樂)에 복(支), 혹은 문(文)이 더해진 악기의 형태로 추측하는 견해, ②‘요요(y?oy?o)’라고 외치는 환호성이라는 음악가의 견해, 혹은 초목의 열매가 충실히 여문 것을 반영한 글자라는 견해도 있었다. 악(樂)의 의미에 대해서는 갑골문 복사(卜辭)를 통해 상대(商代)의 음악이 통치 수단의 하나로 작용하였으며, 나아가 이를 정치·사회·종교·문화 등 여러 방면에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갑골문 복사(卜辭) 뿐만 아니라 『이아(爾雅) 』에서도 악(樂)의 용례는 동일하게 ‘기쁨, 환희’의 의미만 있을 뿐 ‘음악’이나 ‘악기’의 의미를 담고 있지는 않았으나, 특별히 마왕퇴한묘(馬王堆漢墓)에서 출토된 『오십이병방(五十二病房) 』에서는 약(藥)이 악(樂)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어 악(樂)에 ‘치유’ 혹은 ‘치료’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 樂 by the shape of ancient character type. there is no unified opinion about the origin of chinese character 樂 which means ``music``. This is matter of the beginning of music and the appearance of instruments. But the Chinese character started by drawing of real object, so it has the original form and it also make us conjecture the idea of original concept. So we analyzed oracle bone script(甲骨文) and bronze inscriptions(金文) for the structure of 樂, and then also analyzed Classic of Poetry(『詩經』) which is the oldest anthology in China and Erya(『爾雅』) for the meaning of 樂. As a result, we found character has two kinds of meaning, that is string instrument and percussion instrument, both of them are all possible. and we also found the ancient time the people regard music as important thing for pray to the god.

      • KCI등재

        순자(荀子) 「악론(樂論)」의 특징과 영향

        李相殷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4 No.-

        이 논문은 유가 예악전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荀子의 「樂論」을 검토한 것이다. 순자가 「樂論」을 저술하게 된 동기는 표면적으로는 묵자 「非樂」편의 논리를 비판하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樂論」을 지어 「禮論」의 미비함과 치우침을 보완하고 바로잡아 완전한 ‘예악’의 체계를 완성하고자 했던 것이었다. 순자의 「악론」 형성의 사상적 근거는 그의 「天論」과 「性惡論」이다. 순자는 하늘을 자연적 天으로 이해하면서 인간의 주체적인 능동성을 강조한다. 이런 사상적 기반에서 비로소 ‘예악’이라는 개념이 의미 있게 다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순자 「악론」 형성의 또 다른 사상적 근거는 「性惡」편의 이론이다. 그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므로, 본성을 변화시켜 ‘僞’ 즉, 人爲를 일으켜야 하며, 그게 바로 ‘善’이라고 했다. 즉, 후천적 학습과 교육을 통해 인성을 악한 것에서 착한 것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학습과 교육의 도구가 바로 예와 악인 것이니, 「성악」편의 이론이 「악론」형성의 사상적 근거가 됨은 당연한 것이다. 순자의 「樂論」은 크게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특징은 대략 음악의 기원과 심미준칙의 문제 및 음악의 본질과 기능에 관한 문제로 대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음악의 기원에 대해서는 ‘음악’과 ‘즐거움’의 관계로 설명하려고 한다. 「악기」의 첫머리에서 음악의 기원과 성립과정을 잘 정리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순자의 「악론」은 아직 이런 문제에까지 심화되지 못하고 있다. 순자의 「악론」에서 요구하는 심미준칙은 공자의 ‘樂而不淫’과 궤를 같이하는 ‘樂而不流’라는 中庸의 適度를 강조하고 있다. 음악의 본질과 기능의 문제에 대해서 순자의 「악론」은 예와 악이 본질과 기능상 상반적 관계에 있으면서도 별개의 것으로서가 아니라, 예악이라는 통체화된 개념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다. 순자 「악론」에서는 이 밖에도 음악의 기능에 대해 다양한 언급을 하고 있다. 음악이 세대와 계층이 다른 사람들을 조화시켜 하나로 만드는 작용, 사람의 마음을 감화시키고, 性情을 순화시키고 인격을 도야하는 기능, 민심을 바른 데로 이끌어 왕도를 실현하는 기능, 정벌이나 전쟁의 수행을 돕는 기능 등이 그것이다. 순자 「악론」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공자정신의 또 다른 계승자로서 인문철학의 핵심인 예악을 논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순자 비판 철학의 모범이라는 것이다. 셋째는 예악의 본질과 기능 및 양자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는 순자는 「악론」을 통하여 명확히 ‘中和’라는 개념을 제기했다는 점이다. 순자의 「악론」은 비교적 치밀한 이론체계로 유가의 예악사상에 새로운 기틀을 마련했지만, 중요한 부분을 소극적으로 다루거나 무시하는 한계가 보인다. 묵자의 「비악」을 비판하면서도 정작, 묵자가 걱정했던, 예술적 향수에서 소외된 대다수 평민들에 대한 언급이 전혀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순자의 「악론」에서는 군자와 소인, 雅樂과 俗樂의 구분이 지나칠 정도로 강조하다 보니, 음악의 교화작용에 치우쳐 음악의 오락적 기능이나, 미적 향수와 같은 예술자체의 기능을 소홀히 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또한 이민족의 음악과 민간의 음악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으며, 雅樂이 아니면 모두 폐기해야 한다는 지나치게 배타적이고 보수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순자의 「악론」은 음악의 본질과 기능, 심미감수 및 심미준칙에 대해서 앞 시대의 사람들이 미처 말하지 못한 것들을 언급하고 있다. 순자의 심미감수에 관한 논술은 바로 공자의 사상과 맥이 이어지며 「樂記」에서 「溪山琴况」에 이르기까지 후대 음악미학사상에 끼친 영향은 심원하다. 本篇是檢討儒家禮樂傳統中占極重要位置的荀子「樂論」的論文。荀子著述「樂論」的動機表面雖是批評墨子「非樂」篇的論理, 實際是著作「樂論」來補充「禮論」的未備, 更進一步糾正其偏失來完成完整的禮樂體系。 形成荀子「樂論」之思想的根據就是他的「天論」和「性惡論」。荀子將天理解爲自然的天而強調了人的主觀能動性。在此思想的基盤上, ‘禮樂’的槪念才有了眞正的意義。形成荀子「樂論」的另一思想的根據是「性惡」篇的理論。他認爲因人的本性爲惡, 該變其本性, 引起僞則人爲, 那就是善。再說, 通過後天的學習和敎育, 要使人性由惡變爲善。如此的學習和敎育之手段就是禮跟樂, 所以「性惡」篇的理論爲形成「樂論」之思想的根據是理所當然的。 荀子的「樂論」大體可分爲四章, 其特徵大約是關於音樂的起源、審美準則、音樂的本質及功能的問題。荀子對於音樂的起源是想說明‘音樂’和‘快樂’之關係。在「樂記」的首章中對音樂的起源和成立過程整理得極爲完整。但在荀子的「樂論」中還未深入到此種問題。在荀子的「樂論」中所要求的審美準則是強調了與孔子‘樂而不淫’同軌的‘樂而不流’之中庸適度。 對於音樂的本質和功能的問題, 荀子的「樂論」中明確地說明禮與樂在本質和功能上雖是相反的關係, 幷不是以格外的存在, 而以統體化的槪念來作用著。此外, 荀子「樂論」中也論及到多樣的音樂功能。音樂將不同世代與階層的人調和爲一的作用、感化人心、醇化性情、陶冶人格的功能、導民心向善而實現王道的功能、有助於征伐和戰爭的功能。 荀子「樂論」的意義是如下。第一, 以孔子精神的另一繼承者, 論及人文哲學的核心之禮樂。第二, 荀子「樂論」是他的批判哲學之模範。第三, 對禮樂的本質和功能及兩者關係, 提出明確的理論。第四, 荀子通過「樂論」明確地提出‘中和’槪念。 荀子的「樂論」以比較精緻的理論體系來奠定了儒家禮樂思想之新的基礎。但對重要部分呈顯消極性的看法和忽略的態度。他雖批判墨子的「非樂」, 卻對墨子所擔憂的得不到藝術享受的大多數平民全無所言。在「樂論」中過分強調了君子與小人、雅樂與俗樂的區分, 因偏於音樂的敎化作用而呈顯出忽略像音樂之娛樂性功能及美的享受等藝術本身之功能的傾向。此外, 因具有對於異民族的音樂和民間音樂的偏見, 「樂論」又呈顯著若非雅樂則擧廢的超度的排外性跟保守性的一面。雖然如此荀子的「樂論」對於音樂的本質和功能、審美感受及審美準則, 言及到前人所未道的。荀子關於審美感受的論述是對孔子思想的繼承與發展。從「樂記」到「溪山琴況」, 可以看出這種思想的深遠影響。

      • KCI등재

        악의 서사화와 정당화된 악 - 영화 <조커> 연구 -

        이다운 ( Lee Da-u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악의 서사화는 개인과 사회 그리고 스토리텔링에 일련의 이익을 선사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의의를 지닌다. 희대의 악으로 캐릭터화된 조커를 다시금 호명한 토드 필립스의 <조커>(2019) 역시 악의 서사화에 동참하여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한 영화다. 특히 <조커>는 슈퍼 히어로인 배트맨에 대적해 온 조커가 왜 빌런(villain)이 되었는지를 재구성하며 전례없던 방식으로 악을 서사화한다. <조커>는 그동안 미디어가 범죄자를 악의 화신으로 규정하고 그들에게 또 다른 권력을 부여한 수많은 사례를 상기하게 하는 작품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조커>를 논리적으로 분석해 보아야 하는 이유다. 가해자를 신화화하는 미디어처럼 평범한 인간이 외부 요인으로 인해 광기의 악마로 거듭난다는 방식으로 악을 서사화하는 <조커>는 조금 더 면밀한 방식으로 탐색해야 할 의무가 있는 대상이다.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빌런은 그들이 왜 악을 추구하게 되었는가보다악을 추구하는 목적과 행위 자체에 초점을 두어 형상화된다. 즉 빌런과 내적 친밀도가 강화될 만한 상황이나 설정을 의도적으로 축약하는 것이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악을 서사화하는 방법 중 하나다. 그런데 <조커>는 일종의 불문율을 깨고 아서 플렉이 빌런 조커로 각성하게 되는 원인과 과정 자체를 서사의 중심에 놓는다. 중요한 점은 <조커>가 빌런의 기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악이 연민과 환호의 대상일 수 있다는 시선을 견지한다는 사실이다. <조커>는 아서 플렉을 빌런으로 각성케 하는 원인을 개인·가정·사회적 문제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아서 플렉을 더할 나위 없는 가련한 존재로 형상화하는 데 주력한다. 그리고 종국에는 빌런을 부정한 세상을 나름의 방식으로 심판하는 프로파간다로 그려낸다. 결론적으로 <조커>는 악을 정당화하고 우상화하기 위해 서사적 패착과 윤리적 위험성 그리고 시리즈물 캐릭터의 오염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한 영화라 할 수 있다. The narrative of evil holds unique significance because it presents a series of benefits to individuals, the society, and storytelling. The film < Joker >(2019) by Todd Phillips, which pointed to Joker, a character described as a notorious villain, joined in the narrative of evil and stimulated curiosity of the public. In particular, < Joker > reconfigured the story to why Joker, the villain that stood against Batman, a super hero, ended up as a villain and presented a narrative of evil as an unprecedented method. < Joker > is a work of art that recalls on many cases where the media defined villains as the embodiment of the evil and also authorized other powers. This is the reason why a logical analysis about < Joker > is required. Just like how the media mythifies the villains, < Joker > provides a narrative of evil that humans reforms into the crazy devil due to external factor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ubject that should be explored with a more in-depth method. In super hero films, the embodied focus is placed on the intention and actions of the villains to pursue the evil rather than why they ended up chasing down the evil. In other words, one of the ways of presenting a narrative of evil in super hero films is by intentionally encompassing the situations or settings that could reinforce the inner level of closeness with the villains. However, < Joker > broke the series of unwritten rules and fixed the focus of the narration to the reason of awakening for Arthur Fleck as Joker and also the progress. The important fact is that < Joker > maintains the perspective that the evil can be the subject of sympathy and acclamation during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origin of the villain. < Joker > suggests various personal, family related, and social problems as the cause of turning Arthur Fleck into a villain and concentrates on projecting Arthur Fleck as the most pitiful person. In the end, the film presents a form of propaganda by judging the world for denying the villains. In conclusion, < Joker > is a film that led to the side effects such as narrative failure, ethical risks, and tainted characters in the film series in order to justify and idolize the ev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