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아시아 복지 모델의 특징과 방향

        노병일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5 社會科學論文集 Vol.23 No.2

        현재까지의 경우, 복지국가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서구의 사례에 토대를 두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동아시아 복지국가가 독특하다는 점에 대해 일부 합의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아 직까지도 동아시아 복지 모델에 대한 논의는 많은 편이 아니고 명쾌하게 정리되어 있는 편도 아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복지 모델에 대해 그간 논의된 바 를 아주 일반적이고 초보적인 수준에서 살펴본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복지 영역에서 벌어지는 세계적 흐름인 복지 다원주의를 살펴보고, 동아시아 복지제도와 서구 복지제도의 장점에 근거하여 동아시아 복지제도가 나아 갈 방향을 윈론적 수준에서 일부 제시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사 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김정현(Kim Jeonghyun)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3

        ‘동아시아사’ 과목이 2012년부터 고등학교에서 교육되고 있다. ‘동아시아사’ 교과목이 개설된 배경은 동아시아의 역사갈등이다. 한국 정부는 일본과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응하여, 정치권과 시민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고 역사교육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동아시아사’를 개설하기로 결정하였다. ‘동아시아사’는 이웃 나라들의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주변국에 대한 배타적 대결의식을 지양하게 함으로써, 한중일 삼국의 역사갈등 해결의 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역사교육이 갖고 있던 ‘국사’와 ‘세계사’의 단절이라는 문제의 해결도 도모하는 과목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2012년부터 기존의 일국사(一國史)에 입각한 역사서술을 극복하고 지역사적 관점에서 서술된 〈동아시아사〉 교과서가 학교현장에서 사용되면서 역사교육계 전반에 큰 변화가 야기되고 있다. 본고는 지난 10년간의 동아시아사 교육관련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근현대사 교육에서 주요 연구주제와 쟁점에 대한 학술동향을 정리하고, 향후 동아시아사 교육의 과제와 전망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decided upon “East Asian History” as a high school elective course in December, 2006, and the course was officially offered in 2012 in all high schools.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an “East Asian History” course in South Korea is the historical conflict in East Asi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a response to the distortions of history by Japan and China, decided to introduce a course on East Asian History in an effort to embrace the needs of the political sphere and civil society, as well as enhancing historical education. The “East Asian History” course activates students’ interest in the history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repudiates the consciousness of an exclusive confrontation against surrounding countries. Through these effects, the course promotes two valuable implications. First, the course seeks a direction toward resolution of the trilateral historical conflict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Second, the course settles the constant problem of historical education, the severance of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A significant change in the overall history of education occurred as the “East Asian History” textbook was introduced from 2012 throughout the schools. The new textbook surmounts the existing historical presentation based on the history of one country (一國史), and describes the past from the local historical perspectiv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organize academic trends regarding the main research topics and debates, and discuss the problems and prospects of future East Asian History education, focusing on East Asian History education-related research results over the past decade.

      • KCI등재

        한국 동아시아담론의 현재와 미래

        박민철(Park, Min Cheol)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3 No.-

        ‘동아시아’라는 문제제기와 결부된 여러 시각과 논의는 과거처럼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분단극복과 통일의 위한 사상적 자원으로서 ‘동아시아’라는 질문은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는 구체적인 현실로서 더욱 강하게 우리들에게 다가오고 있다. 바로 그렇기에 동아시아담론 그리고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새로운 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논문은 바로 그러한 목적을 위해 쓰여진 것이었다. 본 논문은 한국 동아시아담론의 담론적 이행에 따른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발생과 관련해서, 동아시아담론과 동아시아공동체론의 관계를 살펴봤다. 그 결과 동아시아담론이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본격화로 이행해왔다는 점을 주장했다. 나아가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진전을 가로막는 논쟁점들을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공동체론의 미래적 전망을 위한 이념적 지향과 선결조건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동아시아공동체론의 이념적 지향을 ‘역사적 연대’로 설정했으며, 그 선결조건으로서 한반도 분단극복과 평화체제로의 이행을 시론적으로 제시했다. There have not been active discussions or different perspectives related to the topic of ‘East Asia’ compared with the past. It is especially difficult to find questions dealing with ‘East Asia’ as an ideological resource for reunification or overcom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spite of this, East Asia as a concrete reality has been approaching us with higher intensity. Because of this, a fresh discourse on East Asia and an East Asian Community has seen renewed calls. Indeed, tha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t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courses on East Asia and an East Asian Community with regard to the subsequent appearance of an East Asian Community which came into existence following the East Asian discourse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arguments that, as a result, discourses on East Asia have moved forward into the realization of an East Asian Community. Furthermore, this paper, by examining points in dispute that impede further advancement of an East Asian Community, verifies prerequisite conditions and ideological directions for the sake of the future prospects of an East Asian Community. Therefore ‘historical solidarity’ is ultimately established as an ideological direction for an East Asian Community, and as for prerequisite conditions, this paper proposes the overcoming of division and the building of a Peace Regime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views.

      • KCI등재

        동아시아공동체 논의와 한국의 전략: 신아시아 외교의 재조정을 중심으로

        유현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1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2 No.2

        The proposals of East Asian Community and Asia Pacific Community by Japan and Australia respectively have revitalized the discussion of community building in East Asia/Asia Pacific. Korea, however, has been relatively inactive in the recent discussion of community building in the region. New Asia Initiative, one of flagship foreign policy of Lee, Myung-bak governmnent does not cover the strategies for regional institutions and community building.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recent discussion of community building in the region and to suggest Korea's strategy for community building in East Asia. The first step toward the building of a East Asian Community should be forming a "value community" in which countries in the region collectively pursue shared value. In terms of the membership, it is more realistic to include the U.S. which has joined the East Asian Summit recently. Since ASEAN is an integral part of any possible community in the region, Korea needs to follow up and to align with ASEAN's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New Asia Initiative needs adjustment as to properly address regional architecture and community building agenda. Also diplomatic practices which privilege norm, knowledge and value should be an important element of the New Asia Initiative. Finally, since any genuine community is not without the sense of community shared by ordinary people in the region, the involvement of civil society should be strengthened in Korea's strategy for community building in East Asia. 하토야마 전 총리의 동아시아공동체(East Asian community)구상과 호주 러드 전 수상의 아시아태평양공동체(Asia Pacific community) 제안은 동아시아에서의 공동체 건설 논의를 재 점화시켰다. 이러한 동아시아에서 지역전략의 춘추전국시대에 한국은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아시아 지역전략은 이명박 정부의 신아시아 외교 구상으로 대표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신아시아 외교”에는 동아시아 지역주의나 동아시아공동체에 대한 구체적 논의나 비전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글은 최근 동아시아에서의 공동체 건설 논의를 분석하고 한국이 동아시아공동체 논의의 홍수 속에서 어떤 입장과 전략을 가질 것인가? 그리고 동아시아공동체 건설이라는 맥락에서 기존의 신아시아 외교를 어떻게 재조정 할 것인가에 대한 제안을 담고 있다. 실현가능성의 측면에서 볼 때 동아시아공동체는 공유하는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가치공동체로 출발해야하며 참여 국가는 최근 동아시아정상회의에 가입하기로 한 미국을 포함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EAS 참여국가 중심 대 ASEAN+3 참여국가 중심의 동아시아공동체라는 두 대안에 대해서 한국은 ASEAN의 전략을 주시하면서 중재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동아시아공동체 논의에 대응해서 한국은 신아시아 외교를 동아시아공동체 건설에 대한 비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재조정해야 한다. 첫째, 둘째, 신아시아 외교의 내용에 있어서는 인간안보 중심의 신아시아외교로 전환해야 한다. 국익중심의 자원외교 보다는 녹색성장의 기술과 경험을 전수하며 빈곤층에 대한 기술교육과 같은 인간안보 외교 과제들을 개발하고 동아시아 차원의 협력사업과 제도적 지원메커니즘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신아시아 외교의 재조정은 신아시아 외교를 규범, 지식, 가치외교의 강화를 통해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중견국 외교로의 전환이라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신아시아 외교의 수단에 대한 인식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신아시아 외교는 국가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지역의 사람들 간의 연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협력과 지역의 정체성을 만드는데 시민사회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보강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구성원 관점에서 본 평생학습 동아리의 운영 원리: C시 학습동아리 구성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한별(Hanbyul Kim),김영옥(Youngok Ki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2

        평생학습에 대한 사회적 인식수준이 높아지면서 지역사회 차원에서 평생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학습동아리는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능동적 활동을 통해서 새로운 학습과 지역사회봉사를 추구하는 학습단위로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아리 구성원들의 관점에서 어떠한 요소가 효과적인 동아리 운영 원리로 인식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참여하고 있는 학습동아리의 운영과정에 대하여 구성원들은 어떻게, 그리고 왜 그렇게 인식하는지에 대해서 확인하고, 그로부터 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주요 원리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C시의 평생학습 동아리 구성원들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은 원활한 학습동아리 운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섯가지 사항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학습동아리 활동하는 구성원들의 관점에서 볼 때, 동아리 구성원들의 소속감과 연대감 증진, 리더의 전문성과 구성원 개인의 역량 개발, 동아리 활동에 대한 충분한 예산 지원, 동아리 상호간의 교류와 피드백의 기회 마련, 동아리 활동을 통한 지역사회의 변화 등이 효과적인 학습동아리 운영원리로서 중요하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 동아리 운영에 대한 지원노력을 경주함에 있어서 참여자들의 요구와 기대에 부합하는 지원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learning community has become an important component as a key leverage for local lifelong learning practice. Although there have been a good deal of research on learning community. few studies on the practice of learning communities have been conducted from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ticipants' perceptions on their learning communities. Qualitative research design for the experiences of C city learning communities' members is adopted. As a result, five themes have been revealed: developing a sense of belonging as community members, cultivating community member's competence, providing with appropriate financial support for learning communities, allowing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ies, and changing perceptions of social milieu on learning communities. Such findings of the study could help in developing practical strategies for learning community support.

      • KCI등재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의 제도화 : ASEAN의 인식과 전략

        변창구(Byeon Chang-gu) 한국정치정보학회 2010 정치정보연구 Vol.13 No.2

        현재 동아시아공동체에 관한 담론과 그 제도화 논의의 중심에는 ASEAN이 있다. ASEAN은 이미 1990년 말레이시아의 마하티르 전 총리가 EAEG(East Asian Economic Group)를 제안한 이래, 1997년 동아시아 경제위기를 계기로 APT(ASEAN Plus Three)정상회의를 시작하고 나아가 EAS(East Asia Summit)를 출범시키는 등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을 위한 초기 제도화과정을 주도하면서 상당히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ASEAN이 동아시아 지역통합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떠한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는가 하는 것은 향후 동아시아 공동체의 제도화 진전과 그 향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동아시아공동체에 대한 ASEAN의 기본적 인식은 역내(동남아시아) 및 역외(동아시아) 차원에서 이중적인 지역통합정책, 즉 ‘대내적 심화’와 ‘대외적 확산’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다. 다만 그 비중은 역내적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AC(ASEAN Community)의 건설에 있으며, AC를 바탕으로 동아시아공동체의 제도화를 진전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동아시아공동체는 참여국의 주권과 자율성이 존중되는 가운데 강대국의 패권적 지배가 없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데, 이는 ASEAN의 성공적인 동남아지역통합의 경험을 반영하는 것인 동시에, 동북아 3국에 비해 상대적 약자의 입장에 있는 동남아 국가들의 강한 국익보호의식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기본적 인식하에 ASEAN은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의 제도화과정에서 몇 가지 전략을 구사하여 왔는데 그것은 첫째, ASEAN이 일차적 추진력과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 둘째, 강대국간의 균형을 도모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리를 극대화시키는 것 셋째, ASEAN 방식(ASEAN way)에 의해서 동아시아공동체를 추진하는 것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특히 지역통합전략으로서의 ASEAN 방식은 동남아시아의 어려운 통합여건에도 불구하고 구성주의적 접근법으로 공동체에 필요한 ‘우리 의식’과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함으로써 성공적인 통합을 추진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유사한 통합환경에 있는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에 적지 않은 함의를 던져주고 있다. ASEAN's perceptions and its strategies to build an East Asian Community is very important, because ASEAN has always played a leading role in regional cooperation in East Asia. The Prime Minister Mahathir Muhamad of Malaysia in 1990 proposed EAEG(East Asian Economic Group), since then ASEAN has hosted a number of key forums of regional cooperation, including APT(ASEAN Plus Three), EAS(East Asia Summit), and ARF(ASEAN Regional Forum) etc. In the perspective of ASEAN, AC(ASEAN Community) is more important than East Asian Community, and so the latter must not be disturbed the former in community building processes. And ASEAN's strategies toward the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are as followers. In the first, ASEAN intends to keep continuously a driving force in East Asian integrating process in order to protect its own interest. Secondly ASEAN strives after balance of power among regional big powers such as China, Japan United States, and at the same time seek for its material interests from them. Thirdly ASEAN intends to develop 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course on East Asian Community building by using ASEAN way, which is a unique integration approach among ASEAN member countries. In conclusion ASEAN's success story in Southeast Asian integration is a model of a regional integration in East Asia. And ASEAN as the driving force of East Asian community building is still important, but ASEAN's ability to keep it will depend on how effectively it continues to manage its differences as well as its diversity.

      • KCI등재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기술 내용과 개선 방안 - 2012년판 <동아시아사> 전근대 부분을 중심으로 -

        박근칠 동북아역사재단 201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0

        <East Asian History> has been recently selected as an optional history subject of the high school syllabu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 Therefore, two types of textbooks for <East Asian History> have been used in high school education from 2012. But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 was revised again in 2011, and the new writing standards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were announced in 2012. This paper analyzes the organization and the description methodology of pre-modern history in two textbooks for <East Asian History>. The review of the descriptive methodology of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progressed in three aspects: first, regarding East Asia’s regional boundaries and its natural environments; second,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s regional varieties and its characteristic aspects in its regional world; and third, regarding the descriptive methodology of China-centered views in <East Asian History>. Also, this paper will make clear the purport and points about the organization and the alter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2011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In academic circles of historical studies, there is no common consensus regardingthe descriptive methodology in <East Asian History>textbooks. For writing better contents for an East Asian history textbook, continued concern and efforts to develop the circumstances of producing textbooks are required. <동아시아사>는 「2007년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고등학교 역사과 선택 과목 가운데 하나로 채택되었다. 이에 「2007년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2종류의 <동아시아사> 교과서가 2012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행 <동아시아사> 교과서가 검정 중이던 2011년에 다시 교육 과정의 개정이 이루어졌고 이를 근거로 2012년에 새로이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기준」이 발표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2종류의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기술 내용 가운데 전근대 부분(제1~4단원, 선사시대~19세기)을 분석, 비교하여 그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동아시아의 지역 범위와 자연 환경에 대한 기술 내용, 둘째 지역적 다양성과 지역세계의 특성에 대한 기술 내용, 그리고 셋째 중국 중심주의적 입장의 서술 내용 등에 나타난 문제점 지적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2011년 개정 교육과정」의 작성 취지와 그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2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을 통하여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에 적합한 기준을 마련하려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동아시아사> 전체의 구성과 관련하여 특히 전근대 부분을 선사시대에서 기원전후까지, 기원전후에서 10세기까지, 10세기에서 16세기까지, 16세기에서 19세기까지 등 4시기(4단원)로 구분한 것이 동아시아 지역사만이 아니라 한국사나 세계사를 학습하는데 적합, 유용한 지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더욱이 동아시아의 전근대사에서 중국 중심주의적인 내용 구성이나 기술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나, 한국의 고등학교 교과목으로 교육되는 <동아시아사>에서 한반도와 만주의 전근대시기 역사가 대륙의 주변부 또는 주변사로 인식되지 않도록 기술하기 위한 방안 등이 본격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주지하듯이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이나 그에 대한 ‘집필 기준’은 실제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기술에 있어서 ‘금과옥조’와 같이 여겨지는 것이고, 특히 교과서 검정의 반드시 엄수해야 할 기준이 되기 때문에, 그 개정 작업은 마땅히 충분한 작업 기간과 공정한 작업 절차가 담보되어야 한다. 실제로 국내 학계에서 <동아시아사>에 기술된 각 시대의 관련 내용에 대하여 여러 이론이 존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검토와 논의를 통해 정합적인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미숙한 단계에 있음을 감안한다면, 보다 나은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한 제반 조건들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 KCI등재

        일본의 동아시아공동체론과 중국 : 구상과 현실

        이철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비평 Vol.- No.6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은 21세기 일본 외교의 변형을 표상한다. 이 글은 일본의 동아시 아공동체 구상의 정책적 내용을 ‘동아시아의 귀환’과 ‘중국의 부상’이라는 조건 속에 서 검토하고 동아시아의 진화와 지역질서의 변환에 갖는 함의를 찾는다. 특히 지역주 의 프로젝트가 내포한 탈국제정치적 성격이 동아시아 전통국제질서와 밀접히 연결되 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일본의 동아시아공동체 정책을 동아시아 시공간의 구조와 장기지속의 패턴 속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특수성을 성찰하고 좁게는 일본 지역주의 정책의 이중성을 규명한다. Japan’s quest for East Asian Community represents a metamorphosis of Japanese deplomacy in 21st century. This paper reviews political contents of Japanese regional community idea in the context of ‘the return of East Asia’ and ‘the rise of China’, and seeks to find it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East Asia and the transformation of regional order.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ost-international political features of the East Asian regionalism are deeply rooted in the traditional regional order, this article sends Japan’s regional community policy back to the structure and longlasting patterns of East Asian time-space. In doing so, it reflects the particularity of East Asian regionalism and investigates the double face of Japanese regional policy.

      • KCI등재

        21세기 새로운 동양학의 정립 가능성 : ‘동양(東洋)’, ‘동방(東方)’, ‘동아(東亞)’ 개념분석을 통해

        서희정(Seo, Hee-jung) 영남퇴계학연구원 2020 퇴계학논집 Vol.- No.27

        본 논문은 동양학의 직접 연구대상이 되는 동양, 동방, 동아 개념의 유래와 사상적 함의를 분석함으로써 이에 내재된 문제점을 드러내는 동시에 동아시아가 공유하고 있는 문화 사상적 가치를 밝힘으로써 21세기 새로운 동양학 정립 가능성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동양은 전근대시기 중국의 천하관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개념으로 당시 동아시아에서 통용되었던 조공체계나 화이질서, 천조체제론 등은 이와 동일한 맥락으로 설명 가능하다. 반면 동방 개념은 동아시아 자신이 아닌 타자에 의해 형성된 개념으로, 근대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서구의 식민지화 정책과 맞물려 형성되었다. 이 시기 형성된 동방학의 내용을 통해 보았을 때, 서구가 말하는 동방 개념은 크게 역사주의와 영토 확장주의의 두 가지 영역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다. 한편 동아 개념은 식민주의 시대 일본이 열강의 위치에 오르게 되면서 일본을 중심으로 재정립된 동양 개념과 함께 형성된 개념으로, 실제로는 일본 영토 확장주의의 대상을 지칭한다. 이처럼 동양, 동방, 동아 개념은 전근대적 조공체계나 근대 식민주의의 지배와 피지배 관계가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 21세기 동아시아 사회에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21세기의 동양학은 이전까지 동양, 동방, 동아에 관한 논의와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되어야만 한다. 세계 제2차 대전의 종결로 포스트 식민주의 시대가 열리면서 아시아 각국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지만, 유럽중심주의, 패권주의로부터의 독립을 우선시하면서 문화적 국가주의라는 보수적인 형태의 움직임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셀프 오리엔탈리즘’이나 과거 중화주의로의 회기 현상은 이러한 문화적 자국주의의 일환으로 윤리적 책임의 은폐와 왜곡, 타문화를 향한 배타성, 폭력성 등의 폐단으로 이어지기 쉽다는 점에서 매우 위험하다. 동양학이 동아시아 모두의 공동 번영과 평화를 추구하는 ‘범아시아주의(Pan-Asianism)’나 ‘새로운 동양학(Re-Orientalism)’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유학이 지닌 윤리적 가치나 실제 효용성 등의 잠재적 역량을 발현시키는 동시에, 유학의 발전을 가로막는 기원론적 관점의 연구방식에서 벗어나야만 한다.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the potentialities for the re-conceptualization of East Asian studies in the 21st century. To reach this purpose, this paper reveals the origin of the concepts of Dongyang (東洋), Dongbang (東方), and Dong-a (東亞). Dongyang is a concept based on the world view of pre-modern China, a sinocentric tribute diplomacy system of international relations enforced by Imperial China in East Asia, and the system of the Celestial Imperial Court (天朝), which can be explained in the same context. On the other hand, the Dongfang concept was brought in by representatives of Western colonial policy as a foreign perspective on East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astern Asian studies that formed during this period, the concept of Dongfang is largely errant in two fields: historicism and territorial expansionism. Lastly, Dong-a was formed together with the Dongyang concept, which was re-established by Japan when Imperial Japan turned into a colonial ruler during the colonial era, thus it actually refers to Japanese territorial expansionism. Since the concepts of pre-modern tribute system or the relationship between domination and subjugation of modern colonialism no longer applies to East Asi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he concepts discussed above, i.e. Dongyang, Dongfang and Dong-a, cannot be in line with the current situation in East Asia. East Asia studies in the 21st century must be approach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the previous discussions on Dongyang, Dongfang and Dong-a. With the end of World War Ⅱ, the post-colonial era had begun, thereupon Asian countries also became aware of this problem. However, they prioritized their independence from European centralism or hegemonism and ended up with a conservative form of cultural nationalism. As one part of cultural nationalism, self-orientalism or the regression toward Sino-centralism can be very risky, as it is likely to lead to concealment and distortion of ethical responsibility, exclusiveness toward other cultures, or violence. For re-conceptualization of East Asian studies in the 21st century, which seeks common prosperity and peace in East Asia, the potential capabilities of Confucianism, such as ethical values and actual effectiveness on society, need to be demonstrated. At the same time, it must methodologically deviate from a genetic approach of the study.

      • KCI등재

        동아시아사 수업과 평화 인식

        윤세병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7

        East Asian History was first established as a high school subject in the2007 curriculum, and its inclusion has brought about manycontroversies. Chinese history, Japanese history, and Vietnamesehistory, as well as Korean history, are included in East Asian History. This subject’s contents and structure are extraordinary in contrast tothose of Korean History or World History. There was much debateconcerning East Asian history among scholars. Subsequently, EastAsian History textbooks were composed. Students have studied EastAsian History since 2012. This article analyzed the difficult aspects of teaching and studyingEast Asian History, and introduced the efforts of history teachers. Manyteachers and students consider East Asian history as a difficult subject. That is because of (1) the burden of new knowledge for teachers, (2) thedifficulty in connecting the knowledge of Korean history and Worldhistory logically, (3) preventing the knowledge of World history studiedbeforehand from being the basis for understanding East Asian history,(4) the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topical history of the textbook, (5)the descriptions which make it difficult for readers to grasp thetextbook’s contents, and (6) the lack of knowledge among students ofChinese history, Japanese history, and Vietnamese history. Teachers have made many efforts for the efficient teaching of EastAsian History in the face of difficult conditions. They are trying to use resources that stimulate student interest as they introduce the classesor explain the chronology and connections linking each nation’s history. In addition, they are developing many sorts of narratives by searchingfor references, by re-organizing the story, and by approaching localand personal history and dealing with special regions. The aim of East Asian History is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culture of East Asia and to respect others. Regarding the enhancementof the peace understanding of students, this article confirmed suchachievements and tasks for solving this issue in the East Asian Historyclass. Teachers emphasized the unit of modern history with regard toraising peace recognition. Students stated that they could understandthe history and culture of neighboring nations more deeply. But theydid not agree with the idea of respecting neighbors, that is, China,Japan, and Vietnam. That is because of the conflict of history andterritory among East Asian nations and a fixed idea formed by thesocial environment, especially by the mass media. On the other hand,negative recognition of neighboring nations is ironically intensified inspite of studying the imperial invasions and colonial domination ofmodern history. More study and practice are required for peacerecognition by students. 2007개정 교육과정으로 탄생한 동아시아사는 도입 단계에서부터 많은 진통을겪었다. 한국사, 중국사, 일본사, 베트남사를 포괄한 동아시아사는 기존의 한국사나 세계사와 비교할 때 상당히 돌출적인 것이었다. 논란 속에서 태어난 동아시아사는 2012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본격적인 수업이 이루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우선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동아시아사 학습의 애로점과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동아시아사의 안착을 위한 현장 교사들의 노력들을 소개해보았다. 동아시아사가 학교 현장에서는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은데,그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지식에 대한 교사들의 부담감, (2) 기존에알고 있던 한국사 지식과 세계사 지식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지 못하는 어려움, (3) 교사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세계사 지식이 동아시아사의 이해를 가로 막는 문제, (4) 교과서가 통사가 아닌 주제사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생기는 적응의 곤란함, (5) 내용의 맥락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못하는 교과서 서술, (6) 주변국의 통사 지식이 빈약한 상태에서 동아시아사의 내용을 이해하기힘들어하는 학생들.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사를 학교 현장에 정착시키려는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입 단원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는소재로 접근하기도 하고, 각국의 역사를 종과 횡으로 엮어 설명하기도 한다. 또한 참고 자료에서 찾은 소재의 활용이나 스토리의 재구성, 지역사나 인물을통한 접근, 국가 단위가 아닌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접근 등으로 다양한 내러티브를 개발하고 있다. 동아시아사는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 타자를 이해하고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한다”는 것이 교육 목표로 설정되어 있다. 평화 인식의제고라는 교육목표와 관련하여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교사와 학생의 목소리를 들어보고, 성과적인 측면과 함께 앞으로 풀어가야 할 숙제를 살펴보았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평화 인식과 관련하여 근현대사 단원에 대한 교육을 강조하였다. 학생들은 동아시아사 수업을 통하여 전반적으로 주변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는 반응이었다. 그러나 타자를 이해하고 존중한다는 부분에 대해서 학생들은 선뜻 동의할 수 없다는 반응이었다. 그 원인으로는 현재 진행 중인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역사와 영토 갈등 문제, 기존에미디어 등으로부터 형성된 주변국에 대한 관념 등이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동아시아 근현대사 학습을 통해 침략과 지배 문제를 접하고 나서 오히려 학생들의 부정적 인식이 심화되는 아이러니한 상황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평화인식을 위해 보다 많은 연구와 실천이 필요해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