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도세자 廟宇 건립과 「景慕宮舊廟圖」연구

        김세영(Kim Se-yo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장서각 Vol.0 No.28

        이 글은 사도세자 묘우 건립과 관련된 건축도면인 「景慕宮舊廟圖」에 대한 성격과 가치를 밝힌 것이다. 1762년 임오화변으로 훙서한 사도세자에 대하여 영조는 왕세자의 지위를 회복시키고 왕실의 禮法에 따라 사도세자의 墓所와 廟宇를 조성했다. 1764년 都城 북부 순화방에 간소하게 지으라는 영조의 명령에 따라 思悼廟가 완공되었다. 그러나 영조는 지나치게 사치스럽다며 철거하고 새로운 장소로 移建할 것을 지시했다. 그래서 1/3 가량 축소된 규모로 동부 숭교방에 다시 묘우가 건립되었고, 이에 영조는 ‘垂恩’이라는 廟號를 내려주었다. 「경모궁구묘도」는 사도세자 묘우 건립 과정 중에 제작된 건축도면으로, 사도묘의 평면배치도이자 수은묘의 이건 계획도이다. 건축 계획과 시공 단계에서 그려진 조선시대의 건축도면은 현존하지 않고, 다만 완성된 배치도 위주의 도면만 의궤에 수록되었을 뿐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경모궁구묘도」는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건축도면이다. 더욱이 왕이 친필로 지시 사항을 직접 표기한 희귀한 유물이어서 문화재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경모궁구묘도」는 철거된 사도묘의 전체 규모와 배치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경모궁구묘도」에 의해 축소 이건된 수은묘는 정조가 즉위하자 대폭 확장되는 방향으로 개건되었다. 정조는 즉위와 동시에 사도세자의 시호를 추상했고 垂恩廟의 묘호를 景慕宮으로 垂恩墓를 永祐園으로 격상시켰다. 1776년 5월 시작된 개건 공사는 9월 말에 이르러 완공되었고 정조는 친히 ‘景慕宮’이라는 사액현판을 내렸다. 개건된 경모궁의 규모는 사도묘나 수은묘와는 비교도 안될 만큼 확장되었고, 수은묘에 비해 무려 3배가 넘는 규모를 자랑했다. 경모궁 개건 관련 도면으로는 1776년 『景慕宮改建都監儀軌』에 실린 「景慕宮改建圖」, 1784년 『景慕宮儀軌』에 수록된 「本宮全圖說」, 1785년 『宮園儀』에 수록된 「景慕宮圖說」 등이 있다. 「경모궁구묘도」의 등장으로 조선후기 건립된 사도세자 묘우는 「경모궁구묘도」 → 「수은묘도」 → 「경모궁개건도」 → 「본궁전도설」 → 「경모궁도설」 순으로 건물의 배치와 규모 등 전체적인 조망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경모궁구묘도」는 왕실관련 영건사업에 대한 전통 건축도면 연구의 획기적인 유물로 평가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value and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Layout of Crown Prince Sado’s Shrine Redrawn by King Yeongjo (英祖) by Hand in 1764 (Gyeongmogung-gumyodo, 景慕宮舊廟圖) which is known to have been the earliest draft of the shrine built to honor Crown Prince Sado. The heir apparent to the throne of the Joseon Dynasty after King Yeongjo, Crown Prince Sado (思悼世子) had to face a tragic untimely death in the Disaster of 1762. After his death, King Yeongjo ordered restoration of the prince’s honor and status and established his tomb and shrine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the dynasty. The shrine, Sadomyo (Shrine of Regret, 思悼廟), began to be built according to the king’s instruction that it should be simple enough and completed in 1764 at a northern area of the dynasty’s capital but. King Yeongjo found, however, that the shrine was too sumptuous, and ordered the shrine to be demolished and a new shrine to be built at a new place. The second shrine was erected to be one third of the first in size and located at the eastern part of the capital. The king named the second shrine Sueunmyo (垂恩廟), that is, “Shrine of Grace Bestowal”. This drawing titled Gyeongmogung-gumyodo is the known to have been the earliest plan mad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hrine. Joseon left no drawings made during the stage of planning an architectural work, although drawings of the layout of completed buildings were sometimes included in the royal protocols (Uigwe) which tended to be published after completion of important state or royal projects. That explains how the drawing is also the earliest remaining work of its kind. The drawing is regarded as very rare in that it contains the king’s handwritten directions, adding extra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 to it. The drawing is, in fact, the only material remaining to show the entire dimension and layout of the shrine.

      • KCI등재

        추상존호의(追上尊號儀)의 의식절차와 음악 - 1784년(정조 8) 『존호도감의궤(尊號都監儀軌)』(奎13297)를 중심으로 -

        김종수 한국국악학회 2011 한국음악연구 Vol.49 No.-

        Eulogic titles were offered to kings or queens to celebrate their virtues before or after they died. Exceptionally, such titles were also offered to those who were not kings or queens but whose son was a king. When holding auspicious royal events or praising and honoring the king’s or the queen’s achievements, an eulogic title was offered to them. In August 1784 (King Jeongjo’s 8th year of reign), when an auspicious event was held to install the prince as the crown princess, eulogic titles were offered to King Yeongjo(英祖), Queen Jeongseong(貞聖王后), Prince Jangheon(莊獻世子), Queen Jeongsun(貞純王后),and Queen Hyegyeonggung(惠慶宮), to give thanks to them. The eulogic title rite involved offering records of his or her virtuous achievements and a seal engraved with such a title to the person concerned. The rite procedure and music are outlined as follows in 1784when eulogic titles were offered to King Yeongjo, Queen Jeongseong, and Prince Jangheon. When the records and the seal are completed, they, led by small-scale guards(細仗) and royal band(鼓吹), are carried to the palace from the Eulogic Title Office, and on the rite day, are carried to the ancestral shrine of the royal family and the Gyeongmo Palace, again being led by small-scale guards and royal band. The royal band is a marching band, so it consists of instruments which could be performed while being moved. The official politely holds the records(冊) and the seal(寶, 印) outside the shrine gate,and places them under the west staircase (西階). Then, the king and officials all bow, the official informs the offering the records and the seal in front of the ancestral tablet seat (神座), and the king and the officials all bow again. The king delivers the records and the seal to the chief of staff from the staircase, then the chief of staff takes them and places them inside the shrine. The official reads the records and the seal, puts them on the divine seat, then the king and the officials all bow,wrapping up the rite. When an eulogic title was offered at the shrine of the royal family(宗廟), music was not performed, but at Prince Jangheon’s shrine, Gyeongmo Palace(景慕宮), music was performed. The reason why at the shrine of the royal family, music was not performed was because at the shrine with numerous ancestral tablets, and moreover, with earlier-generations’ ancestral tablets placed than the relevant ancestral tablet, performing music might be restrained. 존호(尊號)는 생전(生前) 또는 사후(死後)에 왕이나 왕후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올리는 칭호이다. 예외적으로 당사자가 왕이나 왕후는 아니지만 그 소생(所生)이 왕인 경우에도 존호가 올려졌다. 왕실에경사가 있거나 왕이나 왕후의 업적을 선양하여 영화롭게 하고자 할 때 존호를 올렸는데, 생전에 존호를올리는 것은 ‘가상(加上)’이라 하고 사후에 올리는 것은 ‘추상(追上)’이라 한다. 경사를 선대의 공덕이라여기어 고마움의 표시로 선왕의 업적을 선양하고 아름다운 칭호를 올리는 존호의례는 보본반시(報本反始)의 의미가 있다. 1782년(정조 6) 9월에 왕자(文孝世子)가 태어나 1784년(정조 8) 8월에 왕세자를 책봉하는 경사가 있자, 영조(英祖)와 정성왕후(貞聖王后) 및 장헌세자(莊獻世子)에게 존호를 추상(追上)하고, 왕대비(정순왕후)와 혜경궁에게 존호를 가상(加上)함으로써, 고마움과 기쁨을 표하였다. 또한 그 기쁨을 백성들과 같이 나누고자 사면령을 내리고, 묵은 환곡(還穀)과 공인(貢人)들의 남은 곡식 및 시민(市民)들의 요역(徭役)을 탕감해 주었으며, 경과(慶科)를 시행하여 인재를 발탁하였다. 1784년에 존호를 추상한 의례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덕과 존호를 새긴 책(冊) 보(寶) 및 책(冊) 인(印)을 존호도감에서 궁궐로 내입할 때 세장(細仗) 과 전부고취(前部鼓吹)가 앞에서 인도하였는데, 세장은 소규모 의장(儀仗)이란 뜻으로서 홍개(紅蓋) 2백택기(白澤旗) 2 삼각기(三角旗) 2 각단기(角端旗) 2 주작기(朱雀旗) 2 벽봉기(碧鳳旗) 2 은등자(銀鐙子) 2 금등자(金鐙子) 2 은립과(銀立瓜) 2 금횡과(金橫瓜) 2 은횡과(銀橫瓜) 2 금월부(金鉞斧) 2 작선(雀扇) 2 봉선(鳳扇) 2 청개(靑蓋) 2, 도합 30자루의 의물(儀物)로 구성되었다. 전부고취는 행진하면서 연주하는 악대로서, 세장에 딸린 전부고취는 집박전악 1인과 악공 10명으로 구성되었다. 반차도가 소략하게 그려져 있어서 정확한 악기 구성을 알 수 없지만, 『노부식(鹵簿式)』과 『춘관통고(春官通考)』 등에 근거하여, 박 해금 당비파 장고 당피리 대금 당적 퉁소 방향 교방고처럼 이동하면서 연주가 가능한 악기로 구성되었으리라 추정하였다. 존호를 추상(追上)하는 날 궁궐에서 책 보와 책 인을 각각 종묘와 경모궁(景慕宮)으로 봉출할 때도세장과 전부고취가 앞에서 인도하였다. 조선후기에 행악으로 여민락령(與民樂令)을 연주하였다는 『증보문헌비고』의 기록에 근거하여, 책보[책인]을 내입하고 봉출할 때 고취로 연주한 음악은 여민락령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종묘와 경모궁에서 책보[책인]을 친히 올리는 의식은 사당의 신실(神室)을 열어 신주(神主)를 봉출하고, 임금이 계상욕위(階上褥位)에서 무릎 꿇고 있는 가운데 대치사관(代致詞官)이 신좌 앞에서 ‘책보[책인]을 올린다’는 내용의 치사를 아뢴 다음에, 임금이 도제조로부터 받은 책보[책인]을 승지를 통해 신좌에 바치고, 독책보관[독책인관]이 책보[책인]을 읽고 신좌 앞의 배안상(排案床)에 올려놓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런데 이 때 종묘에서는 음악을 연주하지 않았으나, 경모궁에서는 당상(堂上) 전영(前楹)과 뜰에 각각 진설한 등가(登歌)와 헌가(軒架)에서 음악을 연주하였다. 즉, 봉책인관(捧冊印官)이 경모궁 신문(神門) 밖의 악차(幄次)에서 책인(冊印)을 받들고 정문을 통해 들어가 서계(西階) 아래 배안상에 놓는 동안, 헌가에서 의현지악(猗顯之樂)을 연주하고, 서계 아래 ...

      • KCI등재

        正祖代 景慕宮의 왕실공예품 연구

        장경희(Jang, kyung-hee)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9 조형디자인연구 Vol.12 No.2

        The Joseon Dynasty aimed to practice the Confucian principles as national policies and rule the state according to the Confucian ideals. The first and foremost basic Confucian principle was a national religious service[吉禮], which was performed by the incumbent king for his predecessor and which was to widely demonstrate that the royal authority had been inherited securely and rightfully. In the Confucian dynasty, only kings and queens could be enshrined in the royal shrine[宗廟] and be given national religious sacrifices there[王陵]. It is why the kings who was born of a concubine made every effort to posthumously enhance the position of his biological parents to that of legitimate kings or queens so that they might be enshrined in the royal shrine. In case that was impossible, the kings vehemently attempted to construct a separate shrine[別廟] or tomb[園] almost equal to the royal shrine and splendidly offer religious sacrifices to their parents laid in rest there. The Gyeongmogung[景慕宮] was a shrine constructed by King Jeongjo in commemoration of his father who was victimized in the vortex of political power games, and the 'Yeongwoowon[永祐園]' is a tomb for Crown Prince Sado[思悼世子] his father. Jeongjo prepared the Gyeongmogung which are the procedures for worshipping at the two said places and he also written a book called the ‘Collection of the Ceremonies at the Gyeongmogung[景慕宮儀軌]’ which are the records related to the places. The book comprises pictures and detailed descriptions about the layout of the buildings and the rigging and figures kept in the buildings, and the dishes used for sacrificial rites. This the current thesis has compared the modes of the craft-works used at the Gyeongmogung with those used at the royal ancestral shrine and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into the relations between the craft-works at the Admiration Palace with the existent relics displayed in Museom of National Palace. The findings include that the craft-works used at the Gyeongmogung are the visual symbols to show the legitimacy of the enthronement of King Jeongjo and the endeavors made by Jeongjo to have his father get his revenge and that the craft-works are the essence of the cultures of the royal family in the latter term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called the period of the renaissa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s.

      • KCI등재

        의궤 소재 악기도(樂器圖) 연구

        이정희 ( Jung Hee Lee ) 한국음악사학회 2012 한국음악사학보 Vol.49 No.-

        의궤는 궁중에서 행했던 다양한 행사를 기록한 보고서이다. 조선시대 궁중 행사에는 의례히 음악이 수반되곤 했기 때문에 의궤에는 음악에 관한 정보가 많이 수록되어 있고, 그 중에는 악기도가 포함되어 있다. 바로 이 악기 도에 주목하여 의궤 소재 악기 그림의 분포 상황, 기록방식, 악기 종류 등을 정리해 보았다. 악기 도는 당시 궁중음악 연주에 동원되었던 악기를 그리는 것이 기본이었다. 그러나 각 의궤가 제작된 목적에 따라 도상화 된 종류에 약간의 출입과 시차가 있었다. 『종묘의 궤』와 『사직서의 궤』는 이전 시기에 종묘제례악과 사직제례악을 연주했던 악기의 그림도 폭넓게 소개되었다. 반면 새로 만들어진 경모궁제례를 기록한 『경모궁의궤』의 경우 당시 경모궁제례을 연주했던 악기만 그림으로 남겼다. 또한 상 장례(喪 葬禮)를 기록한 『국장도감의 궤』의 경우 부장용 명기 악기로 제작된 아악기 11종을 가감 없이 그림으로 그렸다. 궁중연향 관련 의 궤에는 연 향 악 연주에 동원된 악기그림이 있었다. 궁중에 새롭게 유입된 양 금, 선유락정재 반주 악대로 등장한 내취 악기 등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악학궤범』의 악기 도에 견주해 보면 그 정보력과 정밀함이 부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악학궤범』 복간이 조선후기에도 지속적으로 이행되었기 때문에 의 궤의 악기 도에서 표현되지 않은 보다 상세한 정보는 아마도 음악 전문 서적인『악학궤범』을 참고했으리라 생각된다. 즉 의 궤 속의 악 기도는 실제 악대에 쓰이는 악기 종류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시차가 나기도 했다. 의 궤 제작의 일차적인 목적이 행사 전반을 기록하는 것이었고, 그 중에서 악기 도는 일부분을 형성하는 정도였기 때문에 약간 소홀해 진 것으로 해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 궤의 악기 도는 현재의 사진과 유사하게 기능하므로, 궁중의 악기와 궁중음악문화를 연구하는 기초자료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가치가 있다. Uigue 義軌 (official record of court events) is a report in which various ceremonies in the Court of Korea were recorded. Since the court ceremonies in Choson 朝鮮 era were often accompanied by music, there are numbers of records about music in uigue, and instrument figures were included in uigue as well. This study looks into the distribution status of instrument figures in uigue, recording method and kind of instrument focusing on instrument book.As; for instrument figures, it is normal to draw instruments played in court music. However, each Uigue had an access to several kinds of instruments depending on purpose of making Uigue. Chongmyo uigue 『宗廟義軌』 and Sajikso uigue 『社稷署義軌』 include wide range of the figures of instruments used for playing Chongmyo 宗廟 (Royal Ancestral Shrine) ritual music and Sajik 社稷 (Land and Grain Rite) ritual music in that era.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Kyongmogung uigue 『景慕宮義軌』in which Kyongmogung 景慕宮 ritual formalities was recorded, it only has the figures of the instruments played Kyongmogung ritual formalities ar that time. Also, in the Kukchang togam uigue『國葬都監義軌』 in which funeral was recorded, eleven kinds of court music instruments specially designed for burial ceremony were drawn without adding or deducting. The court party related uigueincludes figures of instruments played for court music. Yanggum 洋琴 (Western dulcimer) and naechwi 內吹(royal military band) instrument to accompany Sonyurak chongjae newly introduced to court are boasting graceful and beautiful figures in there. The paintings in instrument figure and the actual instruments forming band did not match often and somertimes showed time differences. The primary object of uigue was to record overall ceremony. Since the instrument figures were merely part of uigue, possible it could be treated with less care. In the big frame of uigue, instrument figures are just several pieces of puzzle. Nevertheless, uigue is one of the cultural heritages displaying vivid record of the old time, several hundred years ago, based on fact and accuracy. Therefore, the musical instrument figures in uigue have sufficient value as a data for study of court music. Also, there should be a continuous effort to reach and view the figures of instruments from the viewpoint of the painters who made uigwe at that time.

      • KCI등재

        정조의 왕실 공간 정비와 ‘孝悌’

        이민아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7

        정조는 즉위 직후 영조의 빈전 앞에서 스스로 사도세자의 아들임을 천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효장세자로부터 내려오는 종통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종통과 관련된 예를 엄격히 하면서도 人情을 펼치겠다는 뜻이었다. 인정이란 사친에 대한 지극한 정성, 곧 사도세자와 혜경궁에 대한 효성을 뜻한다. 이후 정조는 경모궁과 창경궁의 연결성을 높이고 경모궁의 규모를 확장함으로써 사도세자의 위상을 강화하였다. 이와 함께 경모궁을 마주한 창경궁 언덕에 자경전을 건립하여 혜경궁 홍씨에 대한 자신의 효성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효장세자와 관련된 의례와 정순왕후에 대한 예우를 소홀히 한 것은 아니었다. 정조는 자경전을 수리하는 동시에 정순왕후를 위한 전통적인 동조 공간인 경복전을 수리하라고 명하고, 직접 살피면서 관심을 표명하였다. 정순왕후는 사도세자의 죽음이 宗國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음을 피력했던 영조의 뜻을 이어받아 宗統의 안정을 돕는 것이 자신에게 주어진 가장 중요한 책무라고 여겼다. 이와 함께 종통을 위협하는 존재에 대해서는 강경하게 대처하였다. 종법질서를 수호하고자 하는 정순왕후와 효제의 도리를 다하고자 하는 정조 사이의 입장 차이는 은언군에 대한 대처에서 극명하게 나타났다. 정조는 아버지를 높이는 과정에서 동기인 형제에게 우애를 다하여 효제를 실천하고자 했다. 반면 정순왕후는 문효세자와 회임한 의빈 성씨의 연이은 죽음으로 종통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역모의 혐의가 있던 종친 은언군에 대해 경계하는 태도를 보였다. 현륭원 천장 직후 수빈 박씨가 아들을 낳으면서 정조는 사도세자의 음덕으로 종통을 안정시켰다는 명분을 얻어 사도세자 현창사업에 박차를 가했다. 정조는 사도세자와 혜경궁의 회갑을 기념하는 연향을 베푼다는 명목으로 화성행궁을 확장시켰는데, 이때 기존 전각에 자신의 효성을 드러내는 새로운 이름을 붙이거나 새 전각을 영건하여 자신의 효성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화성은 개혁을 위한 신도시로 개발되었다. 새롭게 영건된 행궁의 전각은 정조의 효제를 상징했다. 정조의 행장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이때의 효제는 “요순의 도”와 다름없었다. 요순은 정조가 자처한 성인군주 상이었으며, 정조는 화성행궁의 전각을 통해 이를 가시적으로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이로써 정조는 스스로 효제의 모범을 보이고 백성을 교화시키고자 했다. 19세기 효명세자, 헌종, 그리고 고종은 정조가 세운 화성행궁과 유사한 용도나 형태를 지닌 건물을 궁궐 내에 영건하였다. 효명세자 대리청정기에 세워진 연경당과 헌종 친정기에 세워진 낙선재, 그리고 고종 친정 직전에 세워진 건청궁이 그것이다. 이들 전각은 화성행궁과 같이 부모님에 대한 연향 공간, 효성을 드러내는 전각 구성, 그리고 단청칠을 하지 않은 형태 등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그러나 정조를 모범으로 하여 궁궐 내에 전각을 세운 19세기 국왕들(혹은 세자)은 궁궐을 넘어서는 새로운 제도를 보여주지 못했다. King Jeongjo(正祖) is the son of Crown Prince Sado(思悼世子). Since Crown Prince Sado died as a sinner, he was adopted by his uncle, Crown Prince Hyojang(孝章世子), and took over the throne. However, although Jeongjo was the son of Crown Prince Hyojang according to the clan rules; he had a deep filial love for his biological father, Crown Prince Sado, and his mother, Hyegyeong gung(惠慶宮). Therefore, he moved his residence to Changgyeong Palace(昌慶宮) next to Gyeongmogung Palace(景慕宮), where his father’s shrine was located, and built a gate between Changgyeong Palace and Gyeongmo Palace. He also built Jagyeongjeon(慈慶殿), his mother’s residence, in a place facing Gyeongmogung Palace. However, he did not neglect the ceremonies related to Crown Prince Hyojang and Queen Jeongsun(貞純王后), the grandmother of the royal family. Gyeongbokjeon(景福殿), the residence of Queen Jeongsun, was also repaired when Jagyeongjeon was repaired. Queen Jeongsun considered the stability of clan rules system important. She tried to suppress the treason that threatened the clan rules system. Because of treason allegation of Jeongjo’s real brother, Euneon-gun(恩彦君), Queen Jeongsun was at odds with King Jeongjo. King Jeongjo wanted to warmly embrace her Euneon-gun with friendship, but Queen Jeongsun wanted to severely punish Euneon-gun. King Jeongjo wanted to show the image of a sage king by being filial to her father and at the same time showing the utmost friendship among his brothers. King Jeongjo believed that Hyoje(孝悌) was the ways of a saint. And King Jeongjo wanted to become a saint by practicing Hyoje(孝悌). As soon as the tomb of Crown Prince Sado was moved to a better location, the concubine Subin Park(綏嬪 朴氏) gave birth to a son. King Jeongjo developed Hwaseong(華城), where his father’s tomb is located, and several buildings expressing filial piety was erected in Hwaseong Haenggung Palace(華城行宮), because he had a child thanks to his father’s grace. In the 19th century, Crown Prince Hyomyeong(孝明世子), King Heonjong(憲宗), and King Gojong(高宗) succeeded King Jeongjo and built buildings with similar uses and shapes to Hwaseong Haenggung Palace within the palace. However, they did not develop like King Jeongjo.

      • KCI등재

        사도세자 추모 공간의 위상 변화와 永祐園 천장

        최성환 조선시대사학회 2012 朝鮮時代史學報 Vol.60 No.-

        This paper set out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Chŏngjo commemorated the memory of his dead father [Prince Sado] through analysing his scheme for the reconstruction of Prince Sado's tomb and shrine. It was critical for Yŏngjo and Chŏngjo to decide how to honor the memory of their birth mother and birth father respectively since it was associated with their legitimacy as a ruler. Yŏngjo established a new system called Koongwonje [宮園制] in which his birth mother was honored. To do that, a new ritual of royal family was put forward by Yŏngjo. It was on the basis of Yŏngjo's Koongwonje [宮園制] that Chŏngjo pursued the idea of the posthumous recognition of Prince Sado, moving his late father's tomb. Chŏngjo drew a big picture of his plan to restore Prince Sado's honor with painstaking care, initially basing his decision on precedents set by Yŏngjo. Noticeably, Yŏngjo acknowledged the fact that Youngbin [暎嬪], Prince Sado's mother, had prioritized Jongkook [宗國] over her private affection toward her son. This enabled Yŏngjo to build up Sooeun tomb[垂恩墓] and Sooeun shrine[垂恩廟], showing his approval for recovering the late Prince's damaged reputation. The architectural arrangement of Prince Sado's tomb and shrine was neither too extravagant nor too parsimonious, abiding by the ideas about Euli [義理] and Yeje [禮制]. Chŏngjo regarded Yŏngjo's arrangement for the construction of Prince Sado's tomb and shrine as his lack of affection toward his son. As soon as Chŏngjo ascended to the throne, he attempted to redeem his father [Prince Sado] by reconstructing the space for the commemoration of the late prince as well as by giving his late father the title of Prince Changheon[莊獻]. For instance, Sooeun tom[垂恩墓] and Sooeun shrine[垂恩廟] were renamed Youngwoo tomb[永祐園] and Kyeongmo shrine[景慕宮] respectively, which was followed both by elevating the status of the officials who were in charge of maintaining the tomb and shrine and by adding more buildings to existing facilities.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Chŏngjo's attempt to pay respect to his late father went further, aiming at the posthumous recognition of Prince Sado. This can be exemplified by moving Youngwoo tomb[永祐園] and building up Hyeonryeung tomb[顯隆園]. Importantly, the changing phases of the rearrangement of Prince Sado's tomb and shrine can be seen as part of Chŏngjo's plan to enable his successor to implement the posthumous recognition of Prince Sado as a king. 영조와 정조에게 生母 및 生父를 어떤 예법으로 추모할 것인지는 대단히 중대한 문제였다. 자신들의 정통성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들은 모두 치세의 전시기에 걸쳐 꾸준히 생모 및 생부의 평범했던 위상을 한 차원 높이려고 하였다. 영조는 宮園制라는 새로운 예제를 확립하여 생모의 추숭 문제를 왕실 차원의 예법으로 정리하였다. 정조는 영조가 확립한 궁원제에 의거하여 생부를 추숭하였고 遷葬까지 단행하였다. 정조의 구상은 원대하였지만, 이를 실현해 가는 과정은 매우 조심스러웠고 그런만큼 주도면밀한 모습을 보였다. 영조는 사도세자의 생모인 영빈의 義烈을 드러내고 그에 조응하여 세자의 위호가 회복된 것임을 보여주기 위하여, 垂恩墓를 조성하고 垂恩廟를 건립하였다. 사도세자의 묘소와 사당은 지나치게 융숭하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흉지에 볼품없이 조성된 것도 아니었다. 말 그대로 의리와 예제에 입각해 엄정하게 조성된 것이다. 그러나 사도세자에 대한 영조의 엄정한 예법 적용이 세손에게는 박절함으로 느껴졌을 것이다. 세손이 즉위하게 되자 환경은 변화하였다. 정조는 즉위 직후 사도세자를 장헌세자로 추숭하고 수은묘를 영우원으로 수은묘를 경모궁으로 격상하였으며, 그에 걸맞게 사당을 확장한다든가 관리 기구의 위격을 높인다든가 주변 시설을 보강하였다. 정조는 영조에 의해 확립된 宮園制를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영우원-경모궁의 위상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정조는 경모궁-영우원의 위상 강화에 만족하지 않았다. 정조가 궁극적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훗날 있게 될 先世子의 追王, 그리고 이에 대비하여 영우원을 왕릉급으로 조성해 두는 것이었다. 정조 13년에 단행된 영우원 천장과 현륭원 조성은 이러한 구상과 준비가 드러난 것이며, 궁극의 방향은 자신이 상왕이 된 후 선세자의 추왕까지 대비한 것이었다. 이렇듯 정조는 원대한 구상에 따라 각 단계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부친을 위한 추모공간에 변화를 주며 관리하고 있었다.

      • KCI등재

        朝鮮後期 宮園儀의 刊印과 粧

        조계영 한국서지학회 2006 서지학연구 Vol.35 No.-

        Gungwonui(宮園儀) is one of the books published to institutionalize the Gungwon system as the official graves and shrines for the royal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The Gungwon system covers both Gung, the shrine of the royal family and Won, the tombs for them. Gungwonuiin(宮園儀引)(Jang K2-2433), which is now held by the Jangseogak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documents all the process from the discussion about the publishing and book binding of Gungwonui to presenting it to the king and the royal shrine. This paper examined the publication and book covering of Gungwonui through Gungwonuiin and Gungwonui in Jangseogak and Gyujanggak. Gungwonui compiled in 1776, was first published in 1780, and again in 1785. Gungwonui was published on 63 wood blocks which contain the title, king’s preface, illustrations and their captions, and the list of supervisors, but 91 leaves of Gungwonui were printed with movable types, containing the table of contents, detailed notes, appendix and postscripts. Various covering materials of Gungwonui wer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that is, for the offerings to Gyeongmogung, Bongmodang, and king and for the royal granting to the subjects. Gungwonui enshrined in the noble book cabinet of Gyeongmogung was printed on Cheopchaekji (貼冊紙) and covered with Namdaedan(藍大緞), and therefore exhibited the noble elegance as the royal publication. Gungwonui documents the historical fact that King Jeongjo offered a posthumous title of ‘Jangheon(莊獻)’ to the Crown prince Sado and promoted his grave and shrine to the level of Gung and Won, that is, Gyeongmogung and Yeongwoowon, with the Gungwon system. In this paper, examined were the significance of the publication and book-covering of Gungwonui, the book publish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Gungwon system into a regular royal ceremony. 「宮園儀」는 조선왕실에서 왕족들을 위한 별도의 廟墓制인 宮과 園에 대한 의례인 宮園制를 왕실의례로 제도화하려는 목적으로 간인된 책 중 하나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현전하는 「宮園儀引」(장K2-2433)에는 1785년 校書館에서 重刊한 「宮園儀」의 刊印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粧䌙을 마치고 進上과 奉安하기까지의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본고는 「궁원의인」의 기록과 장서각과 규장각에 현전하는 「궁원의」를 통해 「궁원의」의 刊印과 粧䌙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궁원의」는 1776년에 編成하여 1780년에 新刊하였으며 1785년에 重刊하였다. 「궁원의」는 編題․御製․圖說․座目에 해당하는 63장을 목판으로 印出하였으며, 目錄․儀註․附錄․跋에 해당하는 91장을 활자로 인출하였다. 「궁원의」는 景慕宮 奉安件․奉謨堂 奉安件․進上件․頒賜件에 따라 장황 재료가 차별되었다. 경모궁의 冊印欌에 봉안한 「궁원의」는 貼冊紙로 인출한 후 藍大緞으로 장황하여 왕실서책의 位格을 갖추었다. 「궁원의」는 정조가 사도세자에게 ‘莊獻’이라는 존호를 추상한 후 궁원제를 적용하여 景慕宮과 永祐園으로 승격시킨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는 책이다. 본 논문은 궁원제를 왕실의례로 정례화하는 과정에서 간인된 서책으로서 「궁원의」의 간인과 장황을 조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종묘친제규제도설≫ 제7폭 <오향친제반차도>의 주악도상 해석

        송혜진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2 No.-

        ≪종묘친제규제도설(宗廟親祭規制圖說)≫ 제7폭 <오향 친제반차도(五享 親祭班次圖)>는 현전하는 궁중기록화 중에서 종묘제례악의 연행 현장을 전체적으로 조감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다. <오향친제반차도>의 상단에는 등가(登歌)와 헌가(軒架) 악대가 악기를 연주하고, 일무(佾舞)를 추는 무원들이 연행하거나, 대기 중인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또 하단에는 악장(樂章), 악기(樂器), 일무(佾舞), 공인관복(工人冠服) 등의 「도설(圖說)」이 부기(附記)되어 있어 의궤의 구성을 연상시켜준다. 본 논문에서는 종묘제례악을 보여주는 유일한 도상자료이자 도설을 갖춘 <친제반차도>가 종묘제례악의 역사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폈다. 첫째, 병풍 「도설」의 정확도 파악을 위해 의주 및 의궤류의 문헌과 비교하였다. 병풍 「도설」의 악장은 <보태평>, <정대업>의 각 악곡이 의례 절차에 맞게 배열되었으며, <보태평> 중 ‘용광․정명’장이 합쳐지고 ‘중광’장이 ‘대유’장 앞에 첨입된 정조 때의 상황이 반영되었다. 「도설」의 악기 목록은 ‘아악기․당악기․향악기’ 순서로 기술되는 일반 관행에서 벗어나 있어 주목되었다. 문헌과의 비교 결과 정조 때에 간행된 경모궁의궤와 같이 ‘팔음(八音)’의 배열 순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무에 대한 내용은 문헌과 도상내용이 일치하였다. 「도설」의 공인관복 기술내용은 대체로 그림 및 관련 문헌과도 일치하였지만, 악공 복식인 ‘홍주의’가 누락되었다. 이처럼 「도설」의 전체내용은 ‘악장’, ‘악기’, ‘일무’, ‘공인관복’ 등의 기술은 정확도가 높은 편이다. 다만 의궤류의 기록과 달리 출연 인원수, 주악 인원의 배치 위치 등을 기술하지 않아 도상에 묘사된 악대편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둘째, 도상의 주악 장면에 묘사된 연주형태에 주목하였다. 등가와 헌가악대가 이례적으로 2항(行)으로 배열되었고, 악기의 구성도 판독 불가능한 것이 많다. 종묘의궤․경모궁의궤․춘관통고와 비교해본 결과 <친제반차도>의 악현은 춘관통고의 ‘금의(今儀)’와 유사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등가악대의 주악 인원 23명은 박․향비파․아쟁․현금․가야금․생․당비파․훈․당적․피리․퉁소․편종․편경․방향․절고․축․어 각 1, 대금․장고․가(歌) 각 2명으로 구성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헌가악대의 주악인원 24명은 박․노도․방향․편경․축․어․편종․진고․생․태평소․피리․훈․지․소금․당비파․당적․소금․해금 각 1, 대금․장구․가 각 2의 구성으로 해석하였다. 한편, 의궤류에 기술된 등가․헌가악대는 모두 3항인데 비해 <오향반차도>의 악현은 2항으로 묘사되어 상이하다. 20세기 이후 종묘제례악의 등가, 헌가가 2항으로 배치된 것을 고려할 때 이 장면은 정조이후 조선말기 사이의 변화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별도의 논의가 필요한 주제로 본고에서는 악현의 항수(行數) 변화에만 주목하였다. 셋째, 본 병풍의 제작시기와 시대상 반영에 주목하였다. 이 병풍에 대해서는 “철종 때까지 신실(神室)이 나와 있어 고종 때 제작된 것이라 말할 수 있다”는 의견처럼 19세기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정조 때의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친제반차도>의 도설 및 주악장면을 검토해본 결과, 경모궁의궤․춘관통고에 기술된 정조 때의 주악 상황이 상당히 근거 있게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등가․헌가 악대의 2항 배치는 20세기 이후의 제례 악현으로 전승된 점을 고려할 때 정조 이후의 변화된 양상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었다. 즉, ≪종묘친제규제도설≫ 제7폭 <오향친제반차도>는 정조 대의 의주를 골격으로, 병풍 제작 시기인 고종 대의 종묘제례 주악 상황을 일부 반영한 것으로 해석되며, 조선후기 종묘제례악의 역사를 살피는데 근거 있는 도상으로 평가된다. The seventh panel, entitled Ohyang Chinjebanchado, which appears on the eight-fold screen, entitled Jongmyo Chinje Gyuje Doseol, is the only surviving reference that shows us the overall arrangement of the participants in the royal ancestral rites. The top half of the screen illustrates musical performance scenes of two different orchestras, Dungga and Heonga, and dancers who are performing the ritual dance, Ilmu or their waiting figures. The bottom half explains the songs, instruments, ritual dance and official uniforms involved in the royal ancestral rites. So, these descriptions recall the contents of Uigwe, detailed recordings of the royal rituals and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of Korea.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how well this seventh panel reflects the history of the music used for the royal ancestral rites. First, I have compared it with several other historical documents, including Uigwe, related to ritual procedures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descriptions on the folding screen. The description of the musical arrangement on this screen reflects that of King Jeongjo’s reign. In this period, several movements such as the Yonggwang and Jeongmyeong became one, and the Junggwang movement was inserted in front of the Daeyu movement when the musical suite entitled Botaepyeong was performed. The list of instruments is not delineated following the general practice that they are usually listed according to the musical genres for which they are used, such as instruments used in A-ak (ritual music), Dang-ak (music from Tang dynasty in China) or Hyang-ak (native Korean music). The list arrangement is the same as in the historical document entitled Kyungmogung Uigwe, published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It is listed according to the core materials of the instruments, called Palum (eight core materials). The explanation about the ritual dance on this folding screen is the same as that found in other documents. The details given on the screen about the costumes a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in other documents, but explanations about the special costumes for instrumentalists are omitted here. The accuracy of the explanations about the music, instruments, ritual dance and costumes are generally of a high degree. However, information about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r layout of the orchestra is omitted, and it is not easy to analyze the layout of the orchestra illustrated on the screen. Second, I have examined the style of performance described on the screen. Two groups of orchestral players, Dungga and Heonga, are described as being in two lines, and this is obviously an unusual format. Some layouts of orchestra are not possible to decipher on the screen because of inaccurate descriptions. I compared it with other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Jongmyo Uigwe, Kyungmogung Uigwe and Chungwan Tonggo, and as a result, I found that it is similar to the part entitled Kumui in Chungwan Tonggo.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it can be assumed that the number of instrumentalists in the Dungga orchestra is twenty three, and it includes one instrumentalist of the Pak, Hyangpipa, Ajaeng, Hyungum, Gayagum, Saeng, Dangpipa, Hun, Dangjeok, Piri, Tungso, Pyeonjong, Pyeongyeong, Banghyang, Jeolgo, Chuk and Eo, and two instrumentalists of the Daegum and Changgo, as well as two singers. In the case of the Heonga orchestra, the number of instrumentalists is twenty four, which comprises one instrumentalist of the Pak, Nodo, Banghyang, Pyeongyeong, Chuk, Eo, Pyeonjong, Jingo, Saeng, Taepyeongso, Piri, Hun, Chi, Sogum, Dangpipa, Dangkeok, Sogum and Haegum, and two instrumentalists of the Daegum and Changgo, plus two singers. Meanwhile, whereas Dungga and Heonga orchestras are in three lines in all other Uigwe documents, they form just two lines on this folding screen. It is obvious that since the twentieth century, the Dungga and Heonga orchestras came in two lines. Therefore, the descriptions on this screen can be interpreted as expressing a process of change from the reign of King Jeongjo to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is is an issue that should be given separate discussion, so I have just attended to the changing of the number of lines in this paper. Third, I have examined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folding screen and reflection of the time.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is screen was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King Kojong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but several scholars insist that the screen also reflects the situ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e late 18th century. Based on this, Icompared the descriptions on this folding screen to those of other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KyungmogungUigwe and ChungwanTonggo,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descrip tions on the screen substantially reflect the situation of musical performance during the reign of KingJeongjo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two line arrangement of the Dungga and Heonga orchestras started from the 20th century, so the descriptions on this screen also reflect changing aspects from the reign of KingJeongjo up to the 20th century. In conclusion, the seventh panel, Ohyang Chinjebanchado, appearing on the eight-fold screen, Jongmyo Chinje Gyuje Doseol, reflects the situation of the royal ancestral rites during the reign of King Kojong when this screen was produced. However, it is also reflects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the frame of the ritual procedures established during King Jeongjo’s reign.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as a basic source to observe the history of the Jongmyo royal ancestral rites.

      • KCI등재후보

        고종대 왕세자 입학례(⼊學禮)의 시행과 의의

        우정 청계사학회 2024 청계사학 Vol.27 No.-

        본 논문은 1882년(고종 19)에 시행된 왕세자[순종] 입학례를 대상으로, 시행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입학례는 왕세자・왕세손이 성균관에 나아가 문묘를 배향하고 학생의 신분으로 박사에게 배움을 청하는 의식으로 조선 초부터 왕세자의 통과 의례로 자리 잡았다. 1882년 시행된 왕세자 입학례는 당시 국내외의 혼란을 타개하기 위한 대책으로 구상되었다. 조선 왕실은 국가 차원의 위기를 겪으면 의례를 거행하여 정국 안정을 구하였고, 고종은 왕세자의 통과 의례에 의탁한 국본의 확립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왕세자 입학례는 책봉례 이후 통과 의례의 첫 단계로서 시행된 의례였다. 조선 후기 행해진 입학례는 고유제와 진하, 반사의 절차가 추가되는 등, 조선 전기에 비해 한 단계 격상된 형태의 예식으로 변화되었다. 조선 전기 입학례는 입학이치의 준용과 존사 이념의 바탕 아래 전개되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 영・정조대 두드러진 군사론으로 국왕의 도통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문묘를 배알하는 입학례가 정치적으로 중요한 의례로 각광 받게 되었다. 1882년 왕세자 입학례에 고종은 전알례의 대상으로 경모궁을 추가하여 혈통적 보완을 통해 왕위 계승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속수의의 배례에 박사가 먼저 왕세자에게 재배하고 왕세자가 답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사제관계였던 왕세자와 박사의 관계를 군신관계로 변모하게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ractice and meaning of the crown prince's admission ceremony in 1882 (Gojong 19). The entrance ceremony was a ritual in which the crown prince or the crown grandson went to Sungkyunkwan[成均館] and paid homage to the Confucian temple and asked for learning from the doctor as a student. It was a rite of passage for the crown prince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The entrance ceremony of the crown prince in 1882 was devised as a measure to overcome the domestic and foreign turmoil at that time. The Joseon royal family performed rituals to stabilize the political situation when they faced a national crisis, and Gojong tried to establish the national foundation by entrusting the rite of passage of the crown prince. The entrance ceremony of the crown prince was the first step of the rite of passage after the Royal Investiture ceremony. The entrance ceremony performed in the late Joseon period changed into a more elevated form of ceremony than the early Joseon period, with the addition of the rites of Goyuje[告由], Jinha[進賀], and Bansa[頒赦]. The entrance ceremony of the early Joseon period was carried out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entrance ceremony and the ideology of respect. However, as the interest in the king’s succession increased due to the prominent Master king[君師] of the Yeong-Jeongjo er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entrance ceremony of paying homage to the Confucian temple became a politically important ritual. In the entrance ceremony of the crown prince in 1882, Gojong added Gyeongmogung[景慕宮] as the subject of the pre-announcement ceremony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through bloodline supplementation, and proceeded with the rite of the Soksuwi[束脩儀], in which the doctor first bowed to the crown prince and the crown prince returned the bow, transfo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own prince and the doctor, which was a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to a military-civilian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