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의 ≪문심조용(文心雕龍)≫ 유전양상(流傳樣相) -신라,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박현규 ( Hyun Kyu Park ) 영남중국어문학회 2009 중국어문학 Vol.0 No.53

        劉협的≪文心雕龍≫是中國中代古文學的代表性理論評論書. 本論文分析了從新羅時代開始到朝鮮末期, ≪文心雕龍≫流傳到韓半島的情況. 根據現存的資料, ≪文心雕龍≫早在9世紀中葉就已經在韓半島流傳了. 新羅景文王, 朗慧无染, 崔致遠等曾提到了≪文心雕龍≫. 崔致遠在<朗慧和尙碑>的景文王在和朗慧和尙的對話中引用了≪文心雕龍≫的句子, 幷在<法藏和尙傳>中也提到了≪文心雕龍≫. 看似≪文心雕龍≫也曾在高麗時期和朝鮮前期流傳過, 但可惜的是無法彫조到與這有關的現存記錄. 到了朝鮮後期, 可以조到흔多有關≪文心雕龍≫被流傳的事例. 17世紀, 李수光, 張維, 任叔英也曾提到了≪文心雕龍≫. 到了18世紀前后, 提到≪文心雕龍≫的文獻大量出現. 朝鮮正祖, 李德懋, 兪漢雋, 姜彛天, 丁若鏞강等人也曾提到過≪文心雕龍≫或是留下了評論. 特別是主導文體反正的正祖批評了六朝時代的文章, 認爲≪文心雕龍≫正確選擇了許多理論, 循理而給予了好評. 與正祖站在相反立場上的在野學者姜彛天也在看了≪文心雕龍≫後, 留下了讀后感. 19世紀的金正喜, 李圭景, 李裕元等都曾引用過≪文心雕龍≫或對此進行了論評. 此外, 還有李瀷把≪新論≫誤以爲是劉협的著作.

      • KCI등재

        《문심조룡(文心雕龍)·송찬(頌讚)》편의 분석을 통한 유협(劉?)의 찬(讚)과 찬(贊)에 대한 인식 고찰

        서용준 한국중국어문학회 2011 中國文學 Vol.67 No.-

        一般認爲讚和贊是同一的文字. ?些是古今字, 而且同一的簡體字是贊. 所以簡體字寫的《文心雕龍》不是有什?特別的問題. 滿示贊字. 可是用正字出版的《文心雕龍》?, 我們看到大多正字《文心雕龍》都寫著讚和贊. 尤其是<頌讚>篇裏劉?說明了爲文體資格的讚以後再用爲韻文的贊敍述和描寫全體內容的結論-衰頹頌讚和喪失正宗. 表面前讚是韻文, 贊也是韻文, 可是好像那兩者之間有某種矛盾. 硏究中國文學史的說法對于闡釋讚之文體大致有兩種的. 一是原來贊爲了說明和補助的目的産生的. 最初爲口頭形態的贊然後漸漸發達爲歷史和書冊的論評. 變化爲散文的論評之間, 贊之文體裏挾雜了以讚美爲主目的讚是名同的. 結果到頭來散文的論評, 變爲韻文的論評, 韻文的讚美, 這三種的贊體完成的. ?一是原來爲讚美或禮式服務的讚人大聲說讚美爲主的口頭語. 那口語被放定爲書面語讚美禮物和尊貴人和圖畵. 然後繼續發展 爲稱美的多彩風格之讚, 而且變化到稱美目的的韻語. 同時也是從做稱美或說明和補助 禮式的口頭贊變化到散文論評, 而後接受了以韻爲文的時代影響, 産生了韻文之贊. 有個硏究者取兩者之間折衷方法. 這兩種硏究看法想解釋《文心雕龍》裏的讚和贊, 可是都解不釋的. 那是因爲《文心雕龍》沒有設想現實的文學實體之由. 正字《文心雕龍》裏被用寫的讚和贊是有劉?獨有的儒家宗經文學觀造成的幻想. 劉?以爲讚專攻稱美和讚美的韻文體之讚. 劉?的詩歌觀完全倚?《詩經》, 《詩經》是所有韻文的濫觴. 所以讚是從《詩經》出來的, 還有系屬頌體的細條. 反而贊是被劉?認爲以論評和結束爲主目的散文之語. 因而贊不是從《詩經》出發. 贊根本不?《詩經》有關係. 《文心雕龍》里吟誦的所先念贊曰的韻文是從原是散文的論贊通過文學史的散文趨向韻文之勢變化爲的韻文之論贊或韻贊. 因而`贊曰`之贊不是由《詩經》之韻文發展到的. 《文心雕龍》之讚和贊實際上是同音同型異議語之關係. 所以我們不能把《文心雕龍·頌讚》裏的讚和贊互相改字.

      • KCI등재

        《문심조룡(文心雕龍)》의 통변문학관(通變文學觀)

        장수열 한국중문학회 2011 中國文學硏究 Vol.45 No.-

        劉協運用《易經》關於``通``與``變``的辨證認識揭示文學發展中的繼承與革新的關係, 這在文論史上具有重要的意義。在中國文學理論批評史上, 劉協第一次系統地論述了文學的繼承和創新問題。劉協對於文學的繼承和創新提出了比較全面而有系統的見解。劉協所言的``通變``, 以宗法古典爲基礎、爲途俓, 而以開拓新風爲目的、爲歸宿。劉協在<辨騷>篇裏依據經書來衡論《楚辭》, 正確地闡明《楚辭》幷沒有違背經典的基本原則, 而是在新的形勢下正確地運用通變原則所創作出來的優秀作品, 타可以作爲後代通變的典範。劉協在《文心雕龍》中提出的通變文學觀論述了文學的繼承和創新問題。《文心雕龍》中專有<通變>一篇, <通變>篇主旨旣不是單一的復古, 也不是片面的革新, 而是指在``通``的基礎上的``變``, ``通``和``變``是一個統一體, 有相互制約的一面,也有相互促進的一面, 不能割裂開來看。但是劉協有關``通``與``變``的論述幷不僅僅限於這一篇, 文體論、創作論、批評論等篇也都論述到了``通``與``變``的關係問題。通變文學觀是貫穿《文心雕龍》全書的基本思想之一。劉協闡述通變文學觀, 目的是以經典典雅古僕的風格來矯正文弊, 規整當時文風, 最終開拓出一條有厚重土壤根基的創作道路。

      • KCI등재

        《文心雕龍》의 정치적 저장동기에 대하여 : 東昏侯 정권에 대한 암시적 비판을 중심으로 The suggestive criticism of the Donghunhou administration

        洪潤基 中國語文硏究會 2003 中國語文論叢 Vol.24 No.-

        本槁的目的在於究明≪文心雕龍≫對東昏侯政權的暗示批判。 本稿採用了如下的論述方式: 首先從南朝歷史記錄當中把有些東昏侯政權的昏政及虐政的類型抽出, 然後考察與타相應的≪文心雕龍≫批評內容. 以究明歷史事實與文學批評之間的實質關係。 本稿的意義在於把齊未的政治情況和≪文心雕龍≫的批評內容連繫在一起, 最初考察了≪文心雕龍≫在政治上的著作動機。 劉협≪文心雕龍≫認爲, 政治情況的好壤都被反映在於文學作品內, 相反文學作品也可以推動政治狀態, 因此文學人可以採用批評或讚揚的方式來改正政治現實, 而且文學人還有責任爲自己所屬的社會和國家盡量發揮自己的才能。 劉협≪文心雕龍≫通過文學批評的方式, 對東昏侯政權進行暗示性批判: 從小登上皇帝的寶座, 喜愛打獵, 隨便出宮, 窮盡奢侈, 擴大宮室, 不顧國政, 加强監視, 迷于女色, 蕩盡國庫, 惑于迷信, 壓追佛敎, 樂于殺人等的暴君東昏侯政權。 這些批判령一方面也表示着對打倒東昏侯政權的以蕭衍及沈約爲中心的叛亂勢力的支持。 總之, 對東昏侯政權的批判是≪文心雕龍≫著述的主要政治動機之一。

      • KCI등재

        유협의 『문심조룡』에 함유된 주요 易學 思想 분석

        조희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0 No.-

        유협의 『문심조룡』은 중국 최고의 경전적 문학이론서로 후대에 끼친 영향이 심대하다. 그는 문학 뿐 아니라 易學에도 정통했다. 유협이 살아온 삶의 궤적은 특이하다. 그는 당시 위진현학의 도가시대임에도 불가에 의탁했다. 비록 절에 기거했지만 공자를 머리에 두고, 儒學을 가슴에 품고 살았으며 마지막은 승려로 생을 마감했다. 이처럼 유협은 유불도를 넘나드는 회통적 자세로 일생을 살아왔고 그 과정은 역동적이었다. 그런 회통성과 역동성을 자산으로 『문심조룡』이란 위대한 문학서를 후세에 남겼다. 『문심조룡』의 기본론은 1편 원도, 2편 징성, 3편 종경, 4편 정위, 5편 변소이며 이를 ‘문학의 근간[文之樞紐]’라 했다. 이때 성인은 유가의 성인—공자—이고 경전은 공자가 집대성한 유학 5경 혹은 6경을 가리키는 것이다. 역학 사상은 『문심조룡』의 기본론에 깊이 함유되어 있는데, 공자역[易傳] 사상과 漢易 사상, 하도낙서 사상이 그것이다. 그중에서 공자역 사상이 두드러진다. 유협은 또한 공자 사상의 범주에 있으면서 공자역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하도낙서를 중시했다. 공자역과 하도낙서 둘 사이에 한역 사상이 있고 특히 『역위』를 중요하다고 봤다. 이 세 가지 역학 사상은 서로 연결된 易理 체계이자 유관한 지적 기반으로, 이 책의 순수 문학성을 고양시키고 철학성을 심도 있게 이끌어내어 경전적 문학서의 반열에 올려놓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유협은 왜 『주역』과 공자를 이 책의 중요한 사상적 배경으로 삼는가. 그는 『주역 에는 천지 終始에 대한 해답이 있고 인간이 해야 할 일과 삼가야 할 일에 대한 성찰이 있으며, 이를 통해 天人合德을 추구하는 그것이 창작의 본바탕인 ‘문심’이라고 보았다. 공자는 占書인 『주역 을 철학서로 재탄생시켜 이를 완성한 인물이기에 유협은 공자 사상을 『문심조룡』의 문학적⋅철학적 사상의 큰 축으로 삼았다. 요약하면, 유협은 문학에다 유가 경전의 으뜸인 역학 특히 공자역[공자 사상 포함]과 공자가 집대성한 오경 등을 잘 녹여서 이 책을 지은 것이다. 현재 문학계에서 이 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역학계에서의 연구는 전무하다. 본 글이 『문심조룡 연구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희망하고 역학계의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YuHyeop’s WénXīnDiāoLóng (劉勰의 文心雕龍) is the best scriptural literary theory book in China and ha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later generations. He was well versed not only in literature but also in I-Ching. The trajectory of Yuhyeop’s life is unique. He relied on Buddhism even though he was in the era of the Taoism of Weijin and Hyunhak at the time. Although he lived in a temple, he lived with Confucius at his head and Confucianism at his heart, and ended his life as a monk. In this way, Yuhyeop lived his whole life with an attitude of reconciliation, crossing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he process was dynamic. With such resilience and dynamism as an asset, he left a great literary book called WénXīnDiāoLóng to posterity. The basic theory of WénXīnDiāoLóng is Wondo (原道) in the first part, Jingseong (徵聖) in the second part, Jonggyeong (宗經) in the third part, Jeongwi (正緯) in the fourth part, and Byeonso (辨騷) in the fifth part, which is called “the basis of literature [文之樞紐]” At this time, the saint is the saint of Confucianism — Confucius — and the scriptures refer to the 5 or 6 classics of Confucianism compiled by Confucius. The basic theory of WénXīnDiāoLóng contains I-Ching thoughts deeply. The main I-Ching ideas are Confucius thought of I-Ching (공자역易傳 사상), the Han Dynasty’s I-Ching thought (漢易 思想), and the Hetu Luoshu’s thought (하도낙서 사상). Among them, Confucius thought stands out. YuHyeop also valued the Hetu Luoshu,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Confucius’s role while being in the category of Confucius’ thought. There is a the Han Dynasty I-Ching thought between the Confucius’ I-Ching and the Hetu Luoshu, and he thought Yeokwi (易緯) was especially important. These three thought of I-Ching of dynamics are a connected system of theory of I-Ching and a related intellectual foundation, and played a major role in elevating the pure literary quality of this book and bringing out its philosophical quality in depth, placing this book in the ranks of scriptures. Why does Yuhyeop take I-Ching and Confucius as important ideological backgrounds for this book? It is because Yuhyeop knew that I-Ching had answers to the end and start of heaven and earth and introspection on what humans should do and what they should avoid, through which they pursued the unity of heaven and man. Since Confucius was a person who reborn I-Ching, a book of divination, into a philosophical book and completed it, Yuhyeop made Confucius’ thought the main axis of the literary and philosophical thought of WénXīnDiāoLóng. In summary, Yuhyeop wrote this book by incorporating well into literature the epitome of Confucian scriptures, especially the Confucius translation [including Confucius’s thought] and the Five Classics compiled by Confucius. Currently, research on this book is being conducted in the literary world, but there is no research I-Ching field. It is hoped that this article will be helpful to the literary world, and follow-up research on the world of I-Ching is expected by using this article as a cornerstone.

      • KCI등재

        從《文心雕龍》看劉勰對‘小說’的認識 - 以六朝志怪小說的部分敘事特點為中心 -

        WANG FEIYAN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7 No.-

        This paper studied Liuxie's concept of ‘Xiaoshuo’ in <Wen Xin Diao Long>. Liuxie lived during the Qi・Liang Dynasty. In his time, ‘Xiaoshuo’ was not an established literary style, but consisted of short stories from ancient works, like mythology, fables, legends, etc. Liuxie’s book doesn’t directly comment on such tales, but only deals with certain elements. Researchers conclude Liuxie did not consider ‘Xiaoshuo’ to be an actual literary style. Some view his position positively, and others negatively. In some ways, the features of ‘Xiaoshuo’ in <Wen Xin Diao Long> are similar to the supernatural romance fiction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Both feature stories of spirits and ghosts, which, people believed, contained valuable knowledge. I considered Liuxie's concept of ‘Xiaoshuo’ applies to the supernatural romance tales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s well. Therefore, this paper derived three elements of Liuxie's concept of ‘Xiaoshuo’. One is his feeling about imaginative writing: he approved of imaginative writing to express sincere views and sentiments. Second is his view of old myths and legends: his approval of their rationality and literal truth. Last is his consciousness of dreams: his belief in clairvoyant dreams and interpretations and revelations from them. 이 글은《문심조룡》을 통해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자들은《문심조룡》에서 유협이 왜 ‘소설'에 대한 구체적인 논평을 가하지 않았는지, 그리고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는지에 대하여 이미 어느 정도로 논의한 바 있다. 그들의 의견에 따르면 유협이 소설을 논평하지 않은 이유는 당시에는 소설이 아직 독립인 장르로 성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한편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본 학자도 있고, 부정적으로 본 학자도 있었다. 필자는 유협이《문심조룡》에서 말한 ‘소설’이 신화전설과 기이한 이야기들이 많다는 점, 견문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욕조지괴소설과 비슷한 성격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때문에《문심조룡》에서 나타난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육조지괴소설에도 적용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하였다. 이 글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문심조룡》에 나타난 유협의 소설적인 표현방식과 특징에 대한 인식을 고찰했다. 구체적인 논의에 있어 신화전설에 대한 인식, 기이한 글에 대한 인식,그리고 꿈의 표현방식과 꿈의 계시적인 의미에 대한 인식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협이 신화전설에 대해 은(殷)나라의《귀장(歸藏)》의 내용을 가지고 신화전설들이 존재한다는 타당성을 설명한다는 점, 기이한 이야기들이 비록 황당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그런 기이함을 좋아한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점, 그리고〈서지(序志)〉편에서 꿈이라는 표현방식을 자연스럽게 사용하였고, 꿈의 계시적인 의미를 깊이 믿었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협은 구체적인 장르에 따라 적용되는 기준이 각기 다르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신비로운 것이나 보기 황당무계한 내용을 무작정하게 모두 부정하지는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봤을 때 유협은 소설적인 표현방식과 소설적인 화소들을 모두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문심조룡》의 曺植 《辨道論》에 대한 비평과 反神仙術 사상

        洪潤其 중국어문연구회 2001 中國語文論叢 Vol.20 No.-

        對曹植《辨道論》,《文心雕龍ㆍ論說》篇比評爲:「曹植《辨道》, 體同書抄;言不持正, 論如其已.」對六朝時期得到最高評價的曹植的文章, 劉협不止於批評爲「體同書抄」, 甚至加之「言不持正, 論如其已.」的酷毒的批評. 注重 '折衷'的劉협的《文心雕龍》裏沒有如此殘酷的批判. 但是這마極烈的批評却更鮮明地顯示出《文心雕用》的批評標準. 本稿認爲其批評標準就是 '反神仙術'思想. 本稿的意義在於最初闡明《文心雕龍》的 '反神仙術'思想. 其實《辨道論》的主旨也是 '反神仙術'的. 但사的 '反神仙術'的思想根源是素朴的唯物主義. 사主張「生之必死」「至神不過天地」的觀點, 而且사的最後目的就是肉體的快樂. 反之, 劉협的령外論文《滅惑論》的 '反神仙術'的思想根源是佛敎的唯心主義. 사主張「神識無窮, 再撫六合之7外」, 사的最終目的就是從肉體的解放, 卽涅槃.《文心雕龍》酷毒地批評《辨道論》的背景裏有齊末梁初的道ㆍ佛兩個宗敎之間的政致鬪爭和以「神滅」,「神不滅」爲主題的思想論爭. 可能劉협認爲:《辨道論》雖然在表面上主張 '反神仙術', 然而在裏面中蘊藏着隨時背信反神仙術路線的可能性. 因爲사是從「神滅」的素朴唯物主義的觀點來批評 '反神仙術'的. 曹植終於在《釋疑論》裏否定他早在《辨道論》裏所說的 '反神仙術'看法. 劉협可能擔우 "比起遠山的老虎, 更令人害파在柵內穿羊皮的狼." 的這一點, 就展開了對 '似而非反神仙術'的鬪爭. 劉협的這種 '反神仙術'的批評標準也在《文心雕龍》整篇中一以貫之. 在 '反神仙術'思想方面,《滅惑論》和《文心雕龍》道有一致的看法. 這是意味着:《文心雕龍》的批評的原理是大致來自於儒家思想, 然而在其裏面還蘊藏着佛敎思想.

      • KCI등재

        Liu xie(劉?)`s Concept of `Xiaoshuo(小說)` in < Wen Xin Diao Long(文心雕龍) >

        왕비연 ( Wang Feiya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7 No.-

        이 글은 《문심조룡》을 통해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자들은 《문심조룡》에서 유협이 왜 `소설`에 대한 구체적인 논평을 가하지 않았는지, 그리고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는지에 대하여 이미 어느 정도로 논의한 바 있다. 그들의 의견에 따르면 유협이 소설을 논평하지 않은 이유는 당시에는 소설이 아직 독립인 장르로 성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한편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본 학자도 있고, 부정적으로 본 학자도 있었다. 필자는 유협이 《문심조룡》에서 말한 `소설`이 신화전설과 기이한 이야기들이 많다는 점, 견문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욕조지괴소설과 비슷한 성격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문심조룡》에서 나타난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육조지괴소설에도 적용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하였다. 이 글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문심조룡》에 나타난 유협의 소설적인 표현방식과 특징에 대한 인식을 고찰했다. 구체적인 논의에 있어 신화전설에 대한 인식, 기이한 글에 대한 인식, 그리고 꿈의 표현방식과 꿈의 계시적인 의미에 대한 인식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협이 신화전설에 대해 은(殷)나라의 《귀장(歸藏)》의 내용을 가지고 신화전설들이 존재한다는 타당성을 설명한다는 점, 기이한 이야기들이 비록 황당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그런 기이함을 좋아한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점, 그리고 〈서지(序志)〉편에서 꿈이라는 표현방식을 자연스럽게 사용하였고, 꿈의 계시적인 의미를 깊이 믿었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협은 구체적인 장르에 따라 적용되는 기준이 각기 다르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신비로운 것이나 보기 황당무계한 내용을 무작정하게 모두 부정하지는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봤을 때 유협은 소설적인 표현방식과 소설적인 화소들을 모두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d Liuxie`s concept of `Xiaoshuo` in < Wen Xin Diao Long >. Liuxie lived during the Qi·Liang Dynasty. In his time, `Xiaoshuo` was not an established literary style, but consisted of short stories from ancient works, like mythology, fables, legends, etc. Liuxie`s book doesn`t directly comment on such tales, but only deals with certain elements. Researchers conclude Liuxie did not consider `Xiaoshuo` to be an actual literary style. Some view his position positively, and others negatively. In some ways, the features of `Xiaoshuo` in < Wen Xin Diao Long > are similar to the supernatural romance fiction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Both feature stories of spirits and ghosts, which, people believed, contained valuable knowledge. I considered Liuxie`s concept of `Xiaoshuo` applies to the supernatural romance tales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s well. Therefore, this paper derived three elements of Liuxie`s concept of `Xiaoshuo`. One is his feeling about imaginative writing: he approved of imaginative writing to express sincere views and sentiments. Second is his view of old myths and legends: his approval of their rationality and literal truth. Last is his consciousness of dreams: his belief in clairvoyant dreams and interpretations and revelations from them.

      • KCI등재
      • KCI등재

        ≪문심조룡(文心雕龍)≫에서 논한 문학창작의 양대 강령(綱領)

        권호종,성기옥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7 No.-

        ≪文心雕龍≫是中國古代最有系統的一部文學理論書籍, 其性質相當于今天的文學槪論. 誠然≪文心雕龍≫對不少重要的文學理論問題, 作到了系統的論述, 發表了精到的見解. 如文學與現實的關係, 內容與形式的關係, 文學批評的標準化方法等. ?是一部理論性相當强的著作. 不妨把妥當作一部文學理論專著來硏究, 但從劉?寫作此書的宗旨以及全書的結構按排和重點所在來看, 則應當說?是一部供人寫作指導或文章作法之書, 而不是文學槪論一類書籍. 査看本書自<原道>至<辨騷>五篇是全書的總論, 自<明詩>至 <書記>二十篇是各體文章創作論, 自<神思>至<程器>是打通各體文章, 討論寫作中的一些共同性文題. 在<序志>上說, ≪文心雕龍≫創作, 在根本上探索到道, 在師法上倣效聖人, 在體制上探源經書, 在文采上酌取緯書, 在變化上通辯楚辭, (其)文章的關鍵, 也可以說探索到了極点. 上篇以上綱領是(?)明顯了. 這五篇中<原道>·<徵聖>·<宗經>是一組, <正緯>·<辨騷>是?一組. 劉?旨在說明聖人之文所謂≪易≫·≪詩經≫·≪春秋≫·≪禮記≫· ≪尙書≫等五經表現了至高無上的道, 是文章的典範, 所以作文必須取法五經. 劉?認爲五經文風最爲雅正, 作文宗法五經, 就有可能達到情深而不詭·風淸而不雜·事信而不 誕·義直而不回·體約而不蕪·文麗而不淫·等六項標準, 思想藝術都(極)完美. <正緯>· <辨騷>兩篇, 出自緯書及楚辭兩類作品, 其某些奇詭內容(雖有些部分)背離了五經的軌道, 但寫作時也應當吸取其辭采之富麗. <辨騷>最後指出, 作文應當“倚雅頌, 馭楚篇, 卽以 ≪詩經≫爲根本, 吸取≪楚辭≫的奇辭異采, 酌奇而不失其眞正, 玩華而不墜其實, 卽做到奇正相參, 華實幷茂. 這可以說是對<原道>以下五篇的小結, 提出了指導寫作的總原則.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