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淸代 黔東南 地域 苗族 村寨의 社會 組織 및 秩序 ― 款과 寨老를 중심으로 ―

        정지호 명청사학회 2022 명청사연구 Vol.- No.57

        This paper analyzes the social organization and social order of Miao village(苗族 村寨) in Qiandongnan(黔東南) after Gaitu Guiliu(改土歸流), focusing on Kuan(款) and Zhai Lao(寨老) . Previously, the reality of Kuan(款) and Zhai lao(寨老) was revealed through anthropological and philological studies. Here's a summary of what we've seen so far: Traditionally, Miao society has an organization called Kwan(款) based on regional relations. This Kuan(款) became known when the Qing Dynasty used it to Zhaofu (招撫) Miao's society during the Gaitu Guiliu process. It can be said to be a kind of pledge community. This Kwan organization was originally a unique organization of the Dong people(侗族), but it seems to have influenced the Miao society as it spread to the southwestern part of China using regional relations. The Kwan varied in size from one or two villages to 100 villages, and each region was defended with its own Kwan(款) army, but in an emergency, they worked together to defend against thieves. The cost of running Kuan(款) appears to have been covered by the profits earned by cultivating each village's land, with the rich providing land and the poor providing labor. Kwan(款) prepared for the invasion of thieves from the outside through blood alliance consciousness, and internally cooperated with each other to promote peace in the village. To this end, the Kwan took responsibility for internal security by strictly cracking down on the influx of outsiders and sternly cracking down on theft, gambling, and fire. However, Kwan(款) had a sanctioning function, such as imposing fines on those who violated internal regulations, but if they did not comply, it seems to have been reported to the competent authorities to control the crime. Meanwhile, Zhai lao(寨老), an influential figure, appears in each village society that makes up ‘Kwan’. Zhai la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social order, such as resolving village disputes. This Zhai lao(寨老) was built on its own in Miao village, but it appears that after Gaitu Guiliu it was registered with the local Goverment Offices and plac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local government. The Qing government rewarded and encouraged Zhai lao when he performed his duties well and worked for the well-being of the village, but also punished Zhai lao for neglecting his duties. Although this Zhai lao was registered with the government and received a protective order, it can be seen that the Ortai(鄂爾泰) directive provided that baojia(保甲) should not intervene and cause trouble, indicating that it was placed in a state of semi-independence. In that sense, Miao village came under the legal control of the Qing Dynasty after Gaitu Guiliu(改土歸流), but in that it maintained the traditional autonomy order, it can be said that it was placed under dual rule of Han(漢)/non Han(非漢).

      • KCI등재

        청대 검동남(黔東南) 지역의 개토귀류(改土歸流)와 묘족(苗族) 사회의 변화

        정지호(Jeong Jiho)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8

        본고는 청대 검동남 지역의 행정 개편과 묘족 사회의 변화 실태를 개토귀류 운용 실태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검동남 지역의 경우에는 토사의 권한이 매우 미약하고 게다가 토사가 존재하지 않는 이른바 생묘(生苗)가 상당수 분포하고 있었다. 실제로 개토귀류를 추진한 주요 인물 중의 하나인 악이태(鄂爾泰)가 토사의 권력이 강한 운남과 달리 토사의 권한이 미약한 귀주의 묘족을 더욱 위험시했던 것은 바로 개토귀류가 단지 토사의 폐단 문제만은 아니라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하겠다. 결국 이 생묘는 토사의 지배하에 있던 숙묘(熟苗)와 달리 개토귀류를 통해 자신들의 삶의 터전에서 쫓겨날 수밖에 없는 운명에 처하게 되면서 강렬하게 저항의 길로 나서게 되었던 것이다. 청조는 개토귀류를 통해 토사를 폐지하고 유관(流官)으로 대치하는 행정개편을 단행했지만, 검동남 지역의 경우 묘족 사회의 저항에 부딪혀 여전히 직접통치하는 데 곤란함을 느끼고 현 아래 토관(土官)·토목(土目)·통사(通事)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치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게 된다. 게다가 종래 토사가 없던 생묘 지역에는 새롭게 토사제도를 설치하는 등의 변화를 도모한다. ‘중외일체(中外一體)’의 관념에서 시작된 개토귀류는 오히려 ‘중외격리(中外隔離)’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청조는 묘족 사회의 민족적 감정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한/비한의 세계를 분리하여 묘족 지역에 한족의 이주 등을 제한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묘족 사회의 한화 정책 역시 동시에 추진하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게 된다. 한편, 한족 이주민이 서서히 증가함에 따라 묘족 사회는 크게 변화하게 된다. 검동남 지역의 경우 둔전의 확대로 농지 면적이 크게 증가했으며, 면화 등 상품작물의 재배도 증가하게 된다. 특히 청수강(淸水江) 하류지역의 경우 목재자원이 풍부하고 목재의 재질도 뛰어나 임업경영이 거대한 산업으로 자리하게 된다. 현재 청수강 유역의 임업경영의 실태를 보여주는 방대한 분량의 계약문서는 당시의 임업경영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임업경영을 통해 가령 문두채(文斗寨)의 강씨(姜氏) 일족과 같이 막대한 부를 축적하는 집단도 등장하지만, 대부분의 묘족은 한족 이주민 또는 상인 등의 수탈을 통해 전토와 산림을 상실하는 경우가 속출하게 된다. 이들은 전호가 되어 임업경영에 종사하거나 목재를 운반하는 등의 힘겨운 노동에 종사하여 생계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개토귀류 이후 묘족 사회의 변화가 일률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다. 생산수단을 상실한 묘족 사회의 불만은 결국 언제든지 폭발할 수 있는 불안정성을 내재하고 있었는데, 이는 결국 청조의 체제가 내부로부터 균열을 가져오는 하나의 원인이 되기도 했던 것이다.

      • KCI등재

        明代 土司制度 운용의 실상 ― 鎭雄府의 改土歸流와 革流歸土를 중심으로 ―

        이서현 명청사학회 2019 명청사연구 Vol.0 No.51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multi-layered characteristic of the Chieftaincy System of the Ming Dynasty by examining the inheritance of the position of indigenous officials in Zhenxiong Prefecture, the geographically neighboring area of Yunan, Guizhou, Sichuan Provinces. The disputes over inheriting of the position of indigenous officials in Zhenxiong Prefecture led to the three time discussions about gaitu guiliu(改土歸流), the replacement of chieftaincy with officials, and the first attempt failed. The issue of gaitu guiliu was discussed for the first time in the third year of Jiading reign, 1524, when the Ming Dynasty designated Long Shou as the indigenous Prefect, which provoked antagonism from Long Zheng, the illegitimate son, who killed Long Shou. After suppressing Long Zheng’s rebellion, the Ming Dynasty implemented gaitu guiliu in the fifth year of Jiading era by presenting the nonexistence of his offspring as its reason. However, Cheng Guang, who was designated as the circulating official prefect, failed to pacify ethnic minorities, and in the seventh year of Jiading era, in 1528, Sha Bao rebelled. Sha Bao insisted on restoring the native chieftaincy by appointing Long Sheng, the posthumous son of Long Shou, as chieftain. Although there was the second discussion about gaitu guiliu being made at the time, about whether to persist on gaitu guiliu or to restore indigenous officials, the Ming Dynasty eventually abolished the circulating officials and established the return of chieftaincy by designating Long Sheng as the subprefectural magistrate. The third time was in the 35th year of Wanli era when An Yaochen from Shuixi became the indigenous prefect of Zhenxiong Prefecture and tried to annex, which caused local officials to discuss about whether to implement gaitu guiliu or to banish An Yaochen and appoint the descendants of the Long family. The Ming Dynasty whose power was in decline at that time was reluctant to use force, and succeeded in discovering a descendant of the Long family and designated him as the indigenous official. Although Mangbu indigenous region restored the indigenous officials through restoring the previous chieftaincy system after gaitu guiliu, there were continuous disputes over the inheritance of the position of indigenous officials. To remove the disputes, the Ming Dynasty proceeded to mend the regulations concerning the inheriting of chieftaincy. However, ethnic minorities kept putting the Ming Dynasty in trouble by falsely fabricating a successor. In these circumstances, the Ming Dynasty wanted to keep the Chieftaincy System under the reason of cost-saving, and the ethnic minorities also wanted to maintain their region and secure their political legitimacy. Ethnic minorities, who had the complicated inheriting system, and the Ming Dynasty, who had the right to acknowledge the inheritance, had developed the tug of war for power over their interests, which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the dynamics of the operation of the Chieftaincy System during the Ming Dynasty. At least judging from the case of Zhenxiong Prefecture, the unique aspect of ethnic minorities —their complicated disputes over the inheriting of chieftaincy— paradoxically became an effective means to actively negotiate with the Chieftaincy System which the Ming Dynasty had arranged to rule the ethnic minorities. Therefore, the Qing Dynasty who inherited the Chieftaincy System of the Ming Dynasty also had difficulty in solving these problems that the Ming Dynasty had to deal with. Eventually this struggle and the conflict between Ming Dynasty and the ethnic minorities who were involved in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central state and the peripheric region became the important factor for the implementation of gaitu guiliu at one sweep by the Qing Dynasty.

      • KCI등재

        명대 귀주성의 설치와 토착민의 저항

        김홍길(Kim Honggil)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8

        명대 초기 운남에 남아 있던 원조의 잔존세력을 몰아내기 위한 명조의 군사 행동에서 귀주 지역은 그 교통로로서의 중요성이 확실히 인식되어 위소의 군사기지가 그 교통로를 따라 설치되었다. 그 과정에서 토착민들의 저항투쟁이 계속 이어지자 그것을 진압하면서 위소가 증설되었고, 운남을 장악한 후에도 위소는 계속 유지되었다. 군사적인 지배에 머물던 귀주 지역이 일반 행정기구를 통한 지배로 본격적으로 전환되기 시작하는 것은 영락제 시대인 1413년에 귀주성이 설치되면서 예하에 몇몇 행정기구를 갖추면서였다. 그러나 귀주성 행정기구의 실제 운용은 매우 제한적인 것이었다. 본래 귀주는 원조의 지배하에서도 실제적으로는 여러 토착민 정권들이 자치를 하고 있던 곳이었는데, 명조가 이 지역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협조적인 정권들에게는 원조의 전례를 이어받아 명조 지방 지배기구의 하위직을 구성하는 토사로서 임명하여 포섭하였다. 귀주에 성이 성립된 후에도 예하의 행정기구는 완비하지 않고 많은 지역은 그들 토사 지배기구에 맡겨놓았던 것이다. 그들 토사를 일소하고 명조의 직접 지배를 실현하는 것은 그 군사적·경제적 비용이 너무 많이 드는 일이어서 애초에 엄두를 낼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명조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토사의 일에 개입하여 그 힘을 약화시키거나 그 지배지역을 축소시키고자 하였고, 때로는 아예 토사 기구를 철폐하고 일반 행정기구로 대체하는 개토귀류를 실행하기도 하였다. 반면 토착민 입장에서 볼 때는 기존의 질서와 관행으로 나름대로 살아오던 것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거나 방해받을 위협에 처하게 되면서 가만히 있을 수는 없는 일이었다. 게다가 명조 권력이 진입하면서 세역의 부담도 늘어났다. 명조에서 토사로 임명받고 기득권을 계속 누리는 토관이라면 몰라도 토사 관할 구역이든 어느 관할도 받지 않는 생계(生界) 구역이든 토착민의 기층 지도자들은 명조에 대한 저항투쟁을 각지에서 전개하였다. 다만 명 초기에는 귀주에 아직 한족의 대량 이주가 행해지지 않아 그 저항을 하게 만드는 사회적 인자가 어느정도는 제한적이었다. 명 초기의 반란은 청대 말기에 이르기까지 계속 이어진 토착민 저항투쟁의 서막을 올린 셈이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