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눌의 깨달음과 수행

        김부용(Boo-yong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0 불교와 사회 Vol.2 No.-

        지눌 선사의 일생은 출가와 깨달음 그리고 정혜결사로 요약할 수 있으며, 기록으로 나타난 삶 전부가 정혜결사와 관련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선사는 수선사 결사에서 삼문을 열어서 수행을 지도하고, 『금강경』과 자신의 깨달음에 계기가 되었던 경론에 의거해서 법을 펼쳤다. 아울러 자신의 저술로써 수행 지도의 내용을 보완해 나갔다. 선사의 저술에 나타난 수행관련 내용은 돈오점수론 및 돈오점수에 의거한 정혜수행과 경절문 간화선으로 압축된다. 선사는 ‘돈오점수는 모든 성인들이 법칙으로 삼아 닦았던 수행의 원칙이며, 정혜수행은 모든 수행문의 귀결처’라고 하였다. 또 경절문은 정혜수행 이외에 선문에서 말을 여의고 깨달음에 들어가는 별도의 수행문이라고 하였다. 돈오점수는 자기의 마음이 본래청정하고 본래 번뇌가 없어서 부처님과 털끝만큼도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자기의 마음을 닦는 수행이다. 자기의 무명으로 분별하는 마음이 바로 제불의 보광명지임을 信解하고 이 믿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이 깨달음과 닦음은 선문과 교문이 차별이 있을 수 없다. 마음이 부처이고 자성이 불성임을 깨닫고 닦기 때문에 이 깨달음에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를 성인의 태를 기르는 수행[聖胎長養]이라고 하며, 이 수행을 오래 오래하면 성인을 이룬다[久久成聖]고 하였다. 선사가 가르치는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도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修이다. 다만 근기에 따라 다를 뿐이다. 정혜수행은 공적영지하며 적적성성한 자기 마음의 체와 용을 닦는 수행이다. 근기가 뛰어나지 못하다면 먼저 정을 닦아서 산란한 마음을 다스리고 뒤에 혜를 닦아서 혼침을 다스려서 선후로 혼침과 산란을 고르게 조화시켜 성적등지, 정혜등지에 이를 수 있고, 근기가 뛰어난 사람이라면 한 생각에 정혜가 함께 밝아서 성성적적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근기의 차이를 지눌 선사는 수상문과 자성문으로 설명하였다. 달인의 정혜 닦는 수행은 정혜가 원명하며 功用에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경절문 수행은 화두를 참구하는 수행이다. 『절요』와 이후의 저술에서는 원돈문에서 남을 수 있는 알음알이의 장애와 정혜수행의 자성문에서도 닦는 남을 수 있는 공용의 장애를 없애는 수행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하지만 선사가 지적한 것은 자신의 체험에 비추어 이러한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앨 수 있다는 것이다. 돈오를 의지해서 닦는 悟後의 수행문에 우열이 있을 수 없다. 다만 수행하는 사람의 근기는 각자 다르기 때문에 근기의 차이를 먼저 말한 것이다. 지눌 선사는 경절문 수행에도 참구문과 참의문이 있다고 하였다. 참구문은 일념으로 의심을 타파하여 몸소 일심의 도리를 증득하고 반야를 발휘하여 불법을 널리 유통시키는 사람들이 닦는 수행이다. 참의문은 당시 간화수행자가 의심을 타파했다는 경우는 대부분 참의에 해당하며, 이는 원돈문으로 正見을 드러낸 것과 비슷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은 見聞解行의 功이 있어서 이양만 추구하는 문자법사와는 달라서, 참의문으로 바른 지견을 나타내는 사람도 드물기 때문에 당시에는 귀하게 여긴다고 하였다. 참구문을 닦는 것이 마땅하지만 참의문이라도 바른 수행의 문에는 든 것이다. 정혜수행을 자성문은 물론 수상문도 바른 수행의 길이라고 수용했던 것과 같은 설명이다. 경절문을 닦는 수행자 각자의 근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각각의 수행문은 모두 먼저 깨닫고 돈오한 이 깨달음을 의지해서 닦는 수행이다. 다만 수행을 하는 사람이 각각의 근기에 따라서 각각의 수행문으로 입문하여 닦아나갈 따름이다. 지눌 선사의 체험에서처럼 원돈문과 자성문에서 남는 장애가 있다면 경절문으로 없애는 加行이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이는 수행문의 차이가 아니라 수행자의 근기에 따른 것이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도 마찬가지다. 경절문은 돈오돈수의 수행이며 나머지는 돈오점수의 수행이라고 이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돈오를 의지하여 닦는 悟後修의 내용을 근기에 따라 구분한 이름일 뿐이다. 정혜수행과 경절문 수행을 돈·점으로 나눈 것이 아니라 각각의 수행문에 돈수하고 점수하는 근기가 다를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정혜수행은 근기에 따라 자성문과 수상문으로 구분하고, 경절문도 근기에 따라 참구문과 참의문으로 구분하여 설명한 것이다. 문제가 있다면 수행문이 아니라 수행하는 사람에 달렸다. 지눌 선사가 열었던 삼문도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초전법륜 이후 오늘날까지 모든 수행자들은 각각의 수행문으로 각각 수행의 길을 걸어갔다. 다만 각각의 근기가 달라서 빠르게도, 느리게도, 전혀 수행의 공이 없는 듯 보이기도 했을 뿐이다. 깨달음의 길에는 우열이 있을 수 없다. 지눌 선사에 따르면, 이들이 돈오했다면, 이들 모두는 聖胎를 長養하는 수행으로 성인을 이루는 수행의 길을 갔을 따름이다. 선사는 이 길을 牧牛行이라 하였다. Seon Master Jinul (知訥, 1158~1210)'s life can be summarized in three key words: his leaving home, his awakenings, and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Furthermore, it wouldn't be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his whole recorded life is related with the Samādhi and Prajñā Community, or Seon Cultivation Community. He guided people's practice with his own three major approaches and he talked the dharma on the basis of Buddhist texts including the Diamond Sutra by which he could awake before. Besides, he supplemented his teaching with his own writings. His teaching of practice seen in his writings is, also, summarized into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of Hwadu seon. He said,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 principle of practice which every saint takes a rule and cultivates, a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conclusion of all practice approach,” and added that the shortcut method was another approach to awakening without language in seon besides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First of his three major approaches, the sudden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i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originally pure and non-deluded and that everyone is not different from Buddha at all, practicing one's mind relying on this awakening. It is also, after having the faith and understanding that one's delusively discriminating mind is just like the bright radiating wisdom of all buddhas, practicing mind depending on this faith. These awakening and cultivation are not different between seon and doctrines from each other. Because one cultivates after awakening that one's mind is just Buddha and that one's own nature is the Buddha nature, cultivating after awakening is called by the practicing of cultivating saint's womb (聖胎長養), and, therefore, everyone can make oneself saint through these practice for long and long time (久久成聖). Jinul's other two practice,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and the shortcut method, are also cultivating after sudden awakening. These are classified just by people's capacities. The seco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is practicing the essence and function of mind that has both the voidness and numinous awareness (空寂靈知) and the calmness and alertness (寂寂惺 惺). Practitioner with low capacity must calm down his/her restless mind through practicing samādhi first, and then control his/her depressed mind through prajñā. This practice makes his/her restless and depressed mind harmonious, and enable the practitioner to reach attaining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or the concurrent samādhi and prajñā. Meanwhile, practitioner with high capacity can develop samādhi and prajñā concurrently at the first moment, and then reach the concurrent alertness and calmness without pause. Jinul explained these different capacities with terms of the Following Appearance Gate (隨相門) and the Own Nature Gate (自性 門), and said that practice of samādhi and prajñā by whom had reached such a position cultivated was those of samādhi and prajñā were bright and perfect, and those of no falling to function. The last third, the shortcut method is practicing of cultivating Hwadu. In his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法集別行錄 節要) and other works, he explains that the shortcut method is the practice of removing both obstacles of knowledge remained in the Perfect and Sudden Gate (圓頓門), and obstacles of function in the Own Nature Gate (自性門) of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His point, from his own experience, is that these obstacles arisen during the practice can be removed by the shortcut method. Although practice after sudden awakening is equal to everyone, people's various capacities makes

      • KCI등재

        고려후기 불교교육과정 연구 : 지눌의 생애를 중심으로

        이미종(Mi-Jong Lee)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눌의 생애를 고찰함으로써 고려후기 불교교육이 달성하고자 한 목적은 무엇인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떤 내용을 어떤 방법으로 가르쳤는지를 밝히는 데에 있다. 고려후기 불교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선종과 교종의 갈등으로 인한 불교교육의 혼란이며, 지눌은 이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걸출한 선승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그의 생애는 그의 선사상 이론체계―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 경절문(徑截門)―형성 과정에 따라 세 시기로 구분되며, 이 세 시기에는 선종과 교종의 갈등을 해결하는 새로운 불교교육과정이 이중삼중으로 포함되어 있다. 원돈신해문에서는, 선종은 물론이요 교종에서도, 우리의 일상의 삶은 진여자성이 일으킨 작용임을 믿고 이해함을 강조함으로써 불교교육이 추구해야할 목적을 분명하게 설명한다. 성적등지문에서는 선종이든 교종이든 불교수행을 할 경우에는 성(惺)과 적(寂)이 동시에 유지되도록 해야 올바른 수행임을 강조한다. 성과 적이 동시에 유지될 경우에는 좌선, 염불, 독송 등 어떠한 수행방법을 선택하더라도 불교가 추구하고자 하는 궁극적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마지막 경절문에서는 올바른 수행이 되기 위해서 언어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언어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서 현상을 있는 그대로 보고자 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때 진여자성이 일으킨 작용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some questions: What did buddhist monks think to be the aim of the buddhist education in the latter part of Goryeo Dynasty? What did they taught? and how did they taught it? Those questions are to be answered by analysing Jinul s life history. The reason is that Jinul the National Master Bojo resolved an buddhist society conflict between the Zen sect and non-Zen Buddhism at that tim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Jinul’ life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depending on process of formation his Zen thought consisted of 3Gates: the Gate of complete-sudden Faith and Understanding(원돈신해문), the Gate of Parallel Keeping of Quiescence and Wakefulness(성적등지문), and the Gate of Direct Cutting(경절문). In the Gate of complete-sudden Faith and Understanding, Jinul explained that we have to believe and understand human mind or life as expression of Suchness. Therefore this Gate is interpreted into proposing the aim of buddhist education to be human mind fulfillment. In the Gate of Parallel Keeping of Quiescence and Wakefulness, he explained that all kind of buddhist practice such as reading sutra, zen, Chun Do Jae can be correct buddhist practice method and reach the aim of buddhist education as long as those maintain wakefulness(惺) and quiescence(寂) at the same time. In the Gate of Direct Cutting, he explained how to use language in buddhist practice to reach the aim of buddhist education.

      • KCI등재

        지눌에게 경절문이 성적등지문보다 우위인가?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의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이길산 보조사상연구원 2022 보조사상 Vol.62 No.-

        This article opposes to the common belief that the Shortcut approach is regarded by Chinul as superior to the Waking and Quelling Samāhitā approach. Chinul’s biographical inscription by an officer Kun-su Kim presents the so-called ‘three approaches’ composed of the Waking and Quelling Samāhitā approach, the Complete and Sudden Adhimukti approach, and the Shortcut approach, which have been seen by the most important researchers as the best illustration of his whole thought, with a few exceptions of course. After examining those opinions that reject the three approaches in total or some parts of them, I was able to confirm that their arguments have some intrinsic and extrinsic flaws. And then I introduced other views which especially concentrate on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with Personal Notes, the optimal target for our discussion and still insist on the common belief in question. I specified the crucial passages seemingly in support of their positions and came up with my own alternative reading of them. I went even further by conjecturing and refuting other possible reasons in favor of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본 논문에서는 지눌에게 있어 경절문이 성적등지문보다 우위라는 일각의 통념에 반대한다. 지눌 입적 후 김군수가 조계산수선사불일보조국사비명 에서 제시한 성적등지문·원돈신해문·경절문의 3문의 구도가 보조사상의 전체 구도를 가장 잘 드러낸다는 점 자체에 대해서는 연구자 사이에 대체로 합의가 모아져 왔으나 이 구도 자체를 의심하는 소수의견들 또한 있었다. 이에 특히 3문 전체나 일부를 아예 거부하는 입장들을 살펴본 결과, 그들의 논의에 내재적·외재적 결함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이어 3문의 구도가 가장 잘 나타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자체를 본격적인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연구들 중에서 여전히 성적등지문보다 경절문이 우월하다고 보는 경우를 소개한 다음, 그들이 염두에 두었을 법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의 관련 구절을 재검토하여 그들의 독해가 공유하는 문제점을 보였다. 이어 경절문의 우위 주장과 관련해 추가로 제출될 수 있는 논리를 구성해보고 다시 그에 대한 재반론을 실시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불교 신행의 전통과 현대적 계승

        이종수 ( Lee Jong-su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1

        본고에서는 오늘날 한국불교 신행전통이 조선후기의 통합불교적 성격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혔다. 수행적인 측면에서는 경절문(徑截門)·원돈문(圓頓門)·염불문(念佛門)의 삼문수학(三門修學)이 그 원형이고, 신앙적인 측면에서는 불보살 예경과 민간신앙의 습합에서 찾았다. 삼문수학은 조선후기이래 가장 기본적인 불교수행의 내용으로서 경절문의 간화선 수행과 원돈문의 경전공부, 그리고 염불문의 염불 수행이다. 불보살 예경은 불교 전래로부터 이어온 것인데, 조선후기 민간신앙과 결합되면서 기복신앙적인 모습이 강화되었다. 이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사찰 경내에 칠성각이나 산신각의 건립이 보편화되는데서 확인 할 수 있다. 그런데 물질문명의 발전과 사회의 변화, 그리고 남방 불교의 전래 등으로 인해 수행의 방법에 있어서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이로써 어떻게 간화선과 염불 수행을 계승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가? 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그리고 전근대시대까지 한자를 읽을 수 있는 승려의 전유물이었던 경전공부가 이제는 거의 모든 불교 신도가 언제든지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이 되면서 전문가로서의 승려 교육 방법도 바뀌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신앙에 있어서도 불교 본래적 모습의 회복과 더불어 기복신앙과의 모순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라는 과제가 주어져 있다. 한국불교의 전통을 계승해야 하는 것은 오늘날 불교인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불교의 신행 전통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이해의 바탕 위에 현재와 미래의 사회적 변화에 적합한 계승의 방향 설정이 중요하다. 수행의 다변화, 교육의 현대화, 신앙의 재정립이 요구된다. This manuscript was defined that the tradition of religious beliefs in Korean Buddhism on these days began with unified charac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ee gate discipline of Gyeongjeolmun(徑截門), Wondonmun(圓頓門) and Yeombulmun(念佛門) is the original form in regard to something performative. Moreover, it can be found in Buddha Bodhisattva worship and convergence of the folk beliefs as spiritual aspect. Three gate discipline has been the most fundamental content of Buddhist performance which is Ganhwaseon(看話禪) of Gyeongjeolmun, Buddhist scriptures of Wondonmun and Buddhist prayer of Yeombulmun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a Bodhisattva worship had inherited a tradition from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nd it strengthened as the form of faith for blessing by combining with the folk beliefs in the Late Jeseon Dynasty. Tha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struction of Chilsunggak(七星閣) or Sansingak(山神閣) had been generalized in a temple compound by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we are being required alteration in performative way owing to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social change, introduction of Nambang Buddhism and so on. We are hereby faced with the task how we can succeed and develop Ganhwaseon and Buddhist prayer performance. In addition, Buddhist education that was exclusive property of Buddhist monks who could read chinese character until pre-modern period became the situation that should be changed with education method of Buddhist monks as expert. This is the reason why almost Buddhists can study and conduct research whenever they want at present. We also have a task how we can overcome not only restoration of original form in Buddhism but also contradiction with the faith for blessing as religious beliefs. Inheriting the traditional heritage of Korean Buddhism is a assignment that Buddhists have to solve nowadays. At first, we need to understand the tradition of religious beliefs in Korean Buddhism well in order to solve that. Moreover, it is important to set up the successional direction which is appropriate for social change of the here and the hereafter based on the comprehension. It is required the diversification of performance, modernization of education and reestablishment of religious beliefs.

      • KCI등재

        蓮潭有一의 선사상 - 연담의『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를 중심으로 -

        이진영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조선시대 불교는 숭유억불 정책으로 거의 침체되었지만, 17세기에 履歷課程이 정비된 후, 그 내용을 교육하고 이해하기 위한 講學과 私記 편찬이 성행하였다. 조선후기의 수많은 사기를 편찬한 승려 가운데 연담유일은 講經과 私記 편찬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는 『都序』, 『節要』, 『禪要』, 『書狀』의 四集私記와 華嚴에 대한 다수의 私記를 남겼다. 그의 사기는 후에 많은 講院에서 禪과 敎의 이해에 대한 표준으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연담의 수많은 사기 가운데 『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를 중심으로 그의 禪思想을 고찰하였다. 연담의 『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에서 나타나는 선사상은 지눌과 서산의 禪敎兼修를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산의 捨敎入禪의 禪敎觀이 연담에게도 그대로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눌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지눌과는 다른 논지를 엿볼 수 있었다. 修悟一時라는 것은 성립되지 않고, 수행이 먼저인지 깨달음이 먼저인지 선후 두 가지만 있다고 하였고, 현실적 깨달음인 事智現前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연담은 徑截門에 대해, 參句는 徑截門의 活句를 參詳하는 것이라 하여, 活句를 참구하여 바로 깨치면 깨달음으로 가는 가장 빠른 지름길인 徑截門으로 통하게 됨을 강조하였다. 연담의 이러한 선사상은 침체되어 있던 조선후기 불교 교세를 회복하고, 나아가 禪敎兼修의 한국 禪風을 진작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Buddhism in the Chosun dynasty was recessed by policy of Soongwyuukbul(respect on confucianism, and oppression on buddhism), but after the arrangement of a course of study(履歷課程), the content of buddhism was taught and was widely published in the Kanghak(講學: study on Buddhism Learning) and Sagi(私記: Buddhism Literature Commentary Book) edition for the understanding. Among many monks who published the historical writings in the late of the Chosun dynasty, Yeondam Yuil could be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 for editing of Kanghak(講學) and Sagi(私記). His historical writings was standardized about the seon studies and doctrinal studies in the teaching institute(講院). This study was considered his Seon thought focused on 『Bupjipbyulhangrok-jeulyo-gwamok-byungip-sagi(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among Yeondam’s many historical writings. The Seon thought displayed in Yeondam’s 『Bupjipbyulhangrok-jeulyo-gwamok-byungip-sagi(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seemed to be succeeded Seonkyogyumsu(禪敎兼修: cultivate oneself in religious seon studies and doctrinal studies) of Ginul and Seosan. Especially, the missionary view of Seosan’s Sakyoipseon(捨敎入禪: dissert the doctrinal studies, and return to seon) was clearly displayed in the works of Yeondam. However, even the works of Yeondam was succeeded Ginul’s thought, there was the different point of argument. He said that here were two things whether cultivation is at first or enlightenment was at first, and emphasized on the practical enlightenment. These Yeondam’s Seon thought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seon studies and doctrinal studies, and restored the depressed Buddhism in the Chosun dynasty, and composed of a great stream of Buddhism circle.

      • KCI등재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

        고영섭(Ko Young Seop)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of Geumgangsan that is the influential ground for determining the Buddhism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evaluated as a mountain Buddhism, as native Buddhism. The reason that the temples of Geumgangsan could maintain certain formalities under the Buddhism suppressing policy of Joseon government is that government selected Geonbongsa, Singyesa, Yujeomsa, Pyohunsa, etc. as the places for royal prayers. Furthermore, the reason that Geumgangsan and its temples are discriminated from the temples of other area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s that they were the places containing special meaning for religion and training so that it was tradition for Buddhism lead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Emperor of Korea to stay at Mahayeon for a season. Recently,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ctively supported the recovery of Singyesa and completed Buddha-work because it desired the succession of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of this area, which has shared large por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m religion of Geumgangsan has established its characteristic as the system of Sammunsuhak(三門修學) was maintained. Pyohunsa was the temple, which was constructed on the foundation of Dharma Vessel religion based on Hwaeom Thought and its sudden enlightenment approach. Yujeomsa was famous for chamseondoryeong(參禪道場) based on direct shortcut approach. Singyesa was reborn as chamseondoryeong based on direct shortcut approach on the foundation of Faith in Amitābha. Traditionally, Manilyeombulhoi(萬日念佛會) based on Faith in Amitābha was popular in Geonbongsa. It can be said that the tradition of lecture and meditation has been founded since the 19th century. Like that, the Buddhism religion of Geumgangsan was the place where Beophwa Cheontai, Hwaeom Bohyeon, Jeongto Yeombul, Seonbeop Chamseon, Esoteric Buddhism and Odaesan religion are concentrated. Top 4 temples of Geumgangsan have maintained unique training traditions. For Pyohunsa, Pyohun, Sinrim, and Neungin have succeeded practical Hwaeom Thought of Uisang since the Era of Unified Silla and it made traditional clue of Seonkyoilwon(禪敎一元) or Seonkyogyeomsu(禪敎兼修), which formed the main flow of Korean Buddhism. For Yujeomsa, it seems that the tradition of Samyeong Yujeong, who was the founder of this temple, maintained the tradition of his teacher, Cheongheo Hyujeong, ‘Enters to seonbeop(禪法) through kyobup(敎法)'. For Singyesa, When considering the annotation of Tanmoon, who was the Hwaeom person of the early Goryeo age, adopted Beopanseon(法眼禪) and practiced thought of Buddhism of Myocheong, it seems that the temple has emphasized the training system of Kyoseonilchi(敎禪一致), focusing on doctrine and studying seonbeop(禪法) additionally. For Geonbongsa, Yujeomsa, When considering that the temple has succeeded the tradition of founder Baljing Hwasang, jungchangjo(重創祖) Doseon and Naong Hyegeun, it is estimated that the temple maintained the training tradition where Faith in Amitābha and seonbeop(禪法) are combined. Therefore, the temples of Geumgangsan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the furnaces of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The temples of Geumgangsan were the places where Buddhism religions were concentrated and assemblies of religions so that national religions could be specialized in a certain area. The area contains the peak name, rock name, valley name and waterfall name with Taoist background as well as Gwaneum(觀音) Munsu(文殊) believe(信仰) and the faith of Amitābha Maitreya that formed popular foundation of Buddhism religion. Like that, the temples of Geumgangsan were the holy places of Buddhism and assemblies of all religions. 이 논문은 산중불교로 평가받는 조선시대불교를 자생불교로 파악 할 수 있는 유력한 근거이기도 한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조선 정부의 억불 정책 아래서도 금강산 사찰들이 일정한 사격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 스스로가 금강산 지역의 건봉사, 신계사, 유점사, 표훈사 등을 왕실 기도처로 삼아왔기 때문이다. 더욱이 한국불교사에서 금강산과 금강산 사찰들이 여타의 지역 사찰들과 변별되는 까닭은 조선후기 및 대한시대 이래 불교 수좌들이 마하연(摩訶衍) 선방으로 가서 한 철 나는 것을 전통으로 삼아왔을 정도로 신앙과 수행에 대해 남다른 의미를 담고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최근 대한불교조계종이 신계사 등의 복원을 적극 지원하여 불사를 마무리 한 것도 한국불교사에서 이 지역이 차지해 왔던 불교 신앙과 수행 전통의 계승에 대한 남다른 염원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이래 금강산 사찰의 불교신앙은 삼문수학(三門修學) 체계가 정비되면서 특성을 확립해 갔다. 표훈사는 화엄사상에 기초한 법기(法起)신앙과 화엄의 원돈문(圓頓門)을 기반으로 다져진 사찰이었다. 유점사는 경절문(徑截門)에 입각한 참선도량으로 이름을 떨쳤다. 신계사는 미타신앙의 기반 위에서 경절문에 입각한 참선도량으로 거듭 났다. 건봉사는 전통적으로 미타신앙에 입각한 만일염불회(萬日念佛會)가 성행했으며 19세기 이후 강학전통을 세워왔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금강산의 불교신앙은 법화 천태계와 화엄 보현계 및 정토 염불계와 선법 참선계통에 밀교 및 오대산 신앙이 결합된 모든 불교신앙의 집중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금강산의 4대 사찰은 저마다 개성적인 수행 전통을 간직해 왔다. 표훈사는 통일신라 이래 표훈과 신림(神琳) 및 능인(能仁) 등이 의상(義湘)의 실천적 화엄사상을 계승하였고 이것은 이후 한국불교의 주요한 흐름을 형성한 선교일원(禪敎一元) 혹은 선교겸수(禪敎兼修)의 전통의 실마리를 놓았다. 유점사는 이 절의 중창조인 사명 유정(四溟惟政)의 가풍이 스승인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가풍인 ‘선교겸학’(禪敎兼學)의 수행체계를 유지했을 것으로 보인다. 신계사는 고려 초기 화엄가이자 법안선(法眼禪)을 수용한 탄문(坦文)이나 불교사상을 실천하였던 묘청(妙淸)이 주석한 것으로 보아 교학을 주로 하고 선법을 종으로 하는 교선일치(敎禪一致)의 수행체계를 강조해 왔을 것으로 보인다. 건봉사는 창건주인 발징(發澄)화상에서부터 중창조인 도선(道詵)과 나옹 혜근(懶翁惠勤) 등의 가풍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타신앙과 선법이 결합된 수행 전통을 간직해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조선후기 금강산 사찰은 불교 신앙과 수행 전통의 용광로라고 할 수 있다. 금강산 사찰은 전국에 산재하는 모든 신앙을 금강산이라는 특정한 지역에 특화시킨 불교 신앙의 집중처이자 종교신앙의 모음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불교 신앙의 대중적 기반을 지닌 관음문수신앙과 미타 미륵신앙 뿐만 아니라 도교적인 배경에서 이루어진 봉우리 이름과 바위이름 및 골짜기 이름과 폭포 이름도 있다. 이처럼 금강산 사찰은 불교의 성지이면서 모든 종교의 신앙을 아우르는 집합체이기도 했다. 대한불교 이래 금강산이라는 공간이 갖는 특성 역시 척박한 조선조 불교의 지형에서 수행 전통이 드물게 살아있는 독자적 지점이었기 때문이었다. 앞으로 금강산 불교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금강산 불교의 개념, 불교사상, 불교역사, 불교문화, 불교수행 등의 분야까지 검토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 인다.

      • KCI등재

        『節要私記』와 『看話決疑論』에서의 간화선 법문과 그 문제점

        박건주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6

        Jingak-Hyesim(眞覺慧諶) fabricated and inserted Ganwha-Sŏn(看話禪) passages in Jeolyo-sagi(節要私記)’s four places. In that aricle Bojo-Jinul(普照知訥) advocated the importance of ‘Equal Practice of both Dhyana-Wisdom’, and indicated the ‘no raise mind Sŏn-practice’(無心禪) as ultimate way of Sŏn, and set a high value on a ‘Hataek-sinhwe(荷澤神會) Sŏn-way’ among the South-Sŏn School(南宗) branches. But four places which were fabricated and inserted are contrary to that article’s intent. In a monumental Bojo-Inscription the ‘Shorter road to attainment way(徑截門)’,namely Ganwha-Sŏn was pointed out specifically as the last and the finest Sŏn-way among the three ways guided by Bojo. This description strongly influenced on Korea Buddhism history to be fallen into the motto of ‘Ganwha-Sŏn First’. But that was also fabricated by Jingak-Hyesim. In order to disguise that forgery as a fact he fabricated that Bojo’s the last realization was accomplished in reading Daehye-Analects(大慧語錄). Ganhwa-gyoul-yeu-lon(看話決疑論), discovered by Hyesim as Bojo’s posthumous manuscripts, was newly and by forgery written by Hyesim. He transcribed several passages of the ‘Dongyo(頓敎)’․‘Early Sŏn-School Sŏn-way(初期禪宗禪法)’․‘Hwaeom Wondon Sŏn-way(華嚴圓頓門)’ from Wondon-SeongBullon(圓頓成佛論) that discovered together with Ganhwa-gyoul-yeu-lon, and on the following paragraph described Ganwha-Sŏn(看話禪) as ‘Shorter road to attainment way’, and emphasized that only Ganwha-Sŏn can clear obstacles of awarance-impression(知解) sickness. But in Wondon-SeongBullon Bojo emphasized that such awarance-impression(知解) sickness can be cleared by master’s enlighten such as sweep away-words(灑落言句). Moreover there are no necessity and wants to practice Ganwha-Sŏn in practicing ‘no raise mind Sŏn-practice’(無心禪) that indicated as ultimate Sŏn-way by Bojo. Ganwha-Sŏn is inconsistent with ‘no use mind(不用心)’ and ‘no raise mind practice(無心禪)’ of ‘Early Sŏn-School Sŏn-way’. Nevertheless Hyesim advocated to give up the idea of practicing such ‘Early Sŏn-School Sŏn-way’, and must have doubts about Whadu(話頭) only. Such a measure was the same old trick with Daehye-jonggo(大慧宗杲). As a result of such trick Ganwha-Sŏn could be perceived ultimate Sŏn-way. These fabricating cases were acted from old times in China. Specially South-Sŏn School have acted such forgery plentifully. Moreover Ganwha-Sŏn Family was more severe. Such matters mean that Ganwha-Sŏn Family had not legitimacy and what should be. Besides it must be considered that the military minister government in Korea dynasty needed to gain supremacy over the Doctrine-School(敎宗). The military minister government supported actively and largely Hyesim, the leader of Suseonsa(修禪社). In short through such measures they could hold Buddhism Society. They attained a looked-for effect, and consequently the motto of ‘Ganwha-Sŏn First’ have been shaped and continued for 8 hundreds years. Finally it is obvious that Korea Buddhism Society have been taken in by that trick up to the present. 진각혜심이 보조지눌의 저서『절요사기』의 4곳을 위조하여 끼워 넣은 간화선 법문은 본서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이며, 궁극의 선법으로 제시된 無心禪의 선지에 의하면 간화선은 오히려 그 행을 방해하는 것이고, 화두를 들 필요도 없게 되며, 그렇게 되지도 않는다.『普照碑銘』에 보조가 평생 폈다는 3종문 가운데 최상의 위치로 제시된 경절문과 그것을 사실로 포장하기 위해『대혜어록』을 읽다가 최후의 깨달음을 얻은 것인 양 기술한 것도 그 건립을 주도한 진각혜심에 의해 조작된 것이다. 혜심에 의해 보조의 유작으로 제시된『간화결의론』은 함께 발견된『원돈성불론』의 주요 부분을 발췌하여 인용하고 그 다음에 그 선법들 또한 知解의 병이 남게 되기 때문에 결국 화두를 들고 간화선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수법은 대혜종고가 했던 것을 그대로 따른 것으로 이로 인해 간화선은 종래의 여타 선법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실제의 修證上에서는 그렇지 않다. 깨달음에서 처음 知解가 남아 있지만 완숙되어감에 따라 자연히 知解가 녹아 사라지게 되어 있다.『능가경』에서 설한 바와 같이 如如의 행이 보살초지에서 佛位까지 이어진다. 여기에 화두를 疑情으로 드는 행은 如如行의 뜻에 어긋난다. 위조의 행위는 중국 古來로 있어왔고, 특히 남종, 그 중에서도 看話禪家에게 그러한 행위가 많았다. 그 이유는 간화선의 당위성과 정통성이 없었고, 떳떳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당시 교종의 거센 반발을 받고 있던 고려 무신정권이 불교계를 장악하기 위해 새로 들어 온 간화선을 현창하고 지원해줌으로써 불교계를 주도하게 된 것으로 본다. 진각혜심과 수선사에 대한 무신정 2권의 다방면에 걸친 지속적인 지원도 그러한 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 KCI등재

        진허 팔관의 『삼문직지』 편찬 체제와 의도

        정헌열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9

        본 논문은 『삼문직지』의 편찬 체제와 의도, 그리고 의례·의식의 서술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삼문직지』는 첫째, 염불문·원돈문·경절문의 삼문을 동등한 위치에서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각 문의 내용은 이론과 실제를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둘째, 이론에 해당하는 내용은 여러 불서에서 발췌하여 편집하였다. 셋째, 실제 수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그림과 언해(諺解)를 활용하였다. 넷째, 의례·의식을 설명하기 위한 세주(細註)와 협주(夾註), 그리고 선원의 규칙 등 일부 내용은 편찬자가 직접 서술한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인용전적은 우리나라 스님과 관련이 있는 글을 의도적으로 앞에 배치하였다. 여섯째, 『삼문직지』는 승가 교육과 관련하여 삼문수업과 의례·의식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편찬되었다고 추정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system and intention of the compilation of Sammunjikj (『三門直指』) and the features in the narration of rites and rituals in the book. First, the three gates of yeombulmun(念佛門), wonmunmun (圓頓門), and gyeongjeolmun (徑截門) were composed independently at equal positions, and in terms of details on each gate, theory and practice were explained separately. Second, theories were extracted and compiled from various Buddhist documents. Third, illustrations and annotation in Korean were used to explain the actual methods of practice. Fourth, some explanation of rites and rituals such as detailed annotation, annotation in parentheses, and rules of Seon temples seem to include the writings of the author. Fifth, as for the citations, those related to Korean Buddhist monks were deliberately placed in the former part of this book. Sixth, it is presumed that this book was compiled to give a basic understanding of three-gate education and rites and rituals in relation to Buddhist education.

      • KCI등재

        『法集別行錄節要竝入私記』의 경절문 一考 -無心合道門과 看話의 의미 중심으로

        윤미란 보조사상연구원 2023 보조사상 Vol.65 No.-

        This article was written based on the critical mind about the terms ‘The door of entering the way with no-mind’ (無心合道門) and ‘Observing the keyword’ (看話), which are terms related to ‘the path of direct cutting’ (徑截門) among the three gates buddhist practice mentioned in the inscription of Chinul (知訥). First, I raised a counterargument to some of the arguments that saw the ‘The door of entering the way with no-mind’ as another practice approach that Chinul opened. It was revealed that such a argument was based on a contextual misreading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original text, and that ‘The door of entering the way with no-mind’ was written to clarify the superiority of Seon Buddhism in the process of citing Qingliang Chengguan's (淸凉澄觀) writings to explain Zongmi(780-841)'s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in detail and to help scholars understand Seon Buddhism properly. In addition, through thorough reading of the original text of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with Personal Notes, the meaning of the term ‘Observing the Keyword’ written by Chinul was identified. In other words, based on the various episodes quoted in the path of direct cutting section of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with Personal Notes, especially the episodes of the Platform Sūtra of the Sixth Patriarch (六祖壇經) cited before citing Zen Analects of Ta-hui (大慧語錄), the structure of the Kanhwa practice approach that Chinul must have had was drawn, and the relationship with Ta-hui (大慧)’s Kanhwa Sŏn was also reviewed. Although Chinul’s Kanhwa practice approach actively borrowed the part of Ta-hui (大慧)’s Kanhwa Sŏn that talks about ‘the ten illnesse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Hwadu word of) Mu’ (無字話頭十種病), it was revealed that the equation of ‘The path of direct cutting = Ta-hui Sŏn’ should be reexamine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when ‘the path of direct cutting’ is named ‘Kanhwakyo˘ngjo˘l mun’ (看話徑截門) and used, the nature of the Kanhwa Sŏn should allocate a large share to the Kanhwa practice approach established by Chinul.

      • KCI등재후보

        보조 지눌 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 ― ‘중층적 인식구조’의 확립과 ‘통합적 이해체계’의 확보와 관련하여―

        고영섭 ( Ko¸ Young-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9 No.-

        이 논문은 보조 지눌(普照知訥, 1158~1210) 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을 ‘중층적 인식구조’와 ‘통합적 이해체계’의 확립과 관련하여 살펴본 글이다. 그의 만년작으로 평가받는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는 그의 성적등지문, 원돈신해문, 간화경절문의 삼문을 집대성한 문헌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눌은 고려 중기 불교 교단의 과제였던 선교의 일치라는 화두를 들고 철학적 체계를 확립하고 사상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는 불교 교단의 갈등을 극복하고자 정혜결사의 주도를 통해 대안을 모색하고, 사상의 통합을 통해 성취의 산물을 도출하였다. 먼저 그는 정혜결사(定慧結社) 당시 선교일치(禪敎一致) 혹은 선교일원(禪敎一元)의 화두를 타파한 뒤 다시 선 수행 중심의 선교 통합의 화두를 들었다. 지눌은 화엄종의 집성자인 법장(法藏, 643~712) 이래 돈교에 배대한 선법과 원교에 배대한 화엄의 5교판을 비판하고 선에도 원교적 특징이 있다고 보았다. 또 그는 간화선은 의리선적 경향과 참의(參議)의 성격을 지닌 화엄의 관행(觀行)을 뛰어넘는다는 점을 입증해 내었다. 그 결과 신라 통일기 이후 고려 초중기의 교단을 주도했던 화엄종을 왕실에서 밀어내고 고려 사상계를 선종이 주도하는 결과를 이끌어 내었다. 그리하여 고려 사상계는 종래의 ‘주교종선’(主敎從禪) 즉 교학을 주로 하고 선을 종으로 하는 지형을 ‘주선종교’(主禪從敎) 즉 선법을 주로 하고 교법을 종으로 하는 지형으로 전환되어 갔다. 고려시대의 철학 내지 불교철학은 교종이 주도하던 이전 시대와 선종이 주도하던 이후 시대의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전환은 당시의 정치적인 배경이 커다란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고려 의종 24년(1170) 이래 원종 11년(1270)까지 선종은 이의방-정중부-경대승-이의민(제1기) 이후 최충헌-최우(이)-최항-최의(제2기) 그리고 김준-임연-임유무(제3기)의 무신 집권 시대에 약진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지눌은 선교일원 혹은 선교일치를 거쳐 성적등지문, 원돈신해문, 간화경절문의 삼문을 집대성하여 선법 우위의 사상적 기반을 확립하였다. 그리하여 지눌이 구조화시키고 체계화시켜낸 국학과 경학으로서 철학 내지 불교철학, 나아가 한국철학 내지 한국불교철학은 기존 사상의 물리적 종합(비빔/이론)에 머물지 않고 화학적 삼투(달임/실천)로 나아가 체화시켜낼 수 있었다. 지눌이 교를 배우는 사람들로 하여금 ‘격외의 한 문’[格外一門]으로서 간화경절문이 있음을 알게 하여 바른 믿음을 낼 수 있게 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였다. 여기서 ‘격외’는 ‘교격 외’(敎格外)를 의미하며 ‘일문’은 ‘교격 외 선문’(敎格外禪門)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지눌이 입론한 간화경절문은 ‘교격 외 일문’이기는 했지만 그는 종래의 교격이었던 『육조단경』의 성적등지문과 『신화엄론』의 원돈신해문을 버리지 않았다. 이것은 결사 당시의 선교일원 또는 선교일치의 화두를 껴안으면서 다시 선 수행 중심의 선교 통합의 화두를 놓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러한 지눌의 중층적 사유 기반의 구조화와 체계화는 철학자이자 사상가로서 그의 기반을 확고하게 자리매김 시켜주었다. 이것은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의 일심 해석의 폭이 넓은 지형과 속이 깊은 방법의 수립 이래 한국사상가들의 ‘중층적 인식구조’의 확립과 ‘통합적 이해 체계’ 확보라는 문제의식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uniqueness of Bojo Jinool’s thought (普照知訥, 1158~1210) by focusing on his systems of multilayered thought and integrative understanding. Bupjipbyulhaengrokjulyobyungipsagi, one of his late works, is evaluated as a compilation of his thoughts on the three gates to Seon, namely, “the gate of equal concentration on both cessation and observation,” “the gate of faith and understanding on perfect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gate of shortcut approach on observing the key phrase.” Jinool was a monk who lived during the mid-Goyro dynasty and tried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system and ideological foundation based on his era’s task of harmonizing both meditation and doctrinal schools. To overcome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schools, he founded and led a community of monks to practice both meditation and wisdom, and harmonized the ideas of the two different schools. In doing so, he emphasized the harmonization of the two Buddhist schools on an equal basis. Subsequently, he moved on and took up a position that put a little more focus on Seon meditation. Jinool’s views on Seon were different from Bupjang’s (法藏, 643~712) view, where Bupjang believed that the Seon meditation school corresponds to “sudden teaching” (頓敎), and the Huayan doctrinal school corresponds to “perfect teaching” (圓敎), which is considered to be superior to the former. However, Jinool believed that the Seon meditation school also had aspects that correspond to “perfect teaching.” Furthermore, he also proved that the Ganhwa Seon meditation even surpassed the methodology of the Huayan doctrinal school, the practice of which focuses more on theoretical Seon and repentance. The results of his analysis were significant. The Huayan school that had influenced the royal palace since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676) was forced out of the palace, and the Seon meditation school gained more influence. Thus, in the mid-Goryo dynasty, the trend of thought changed from “harmonization of both Seon and doctrine school with the supremacy of doctrinal school” to “harmonization of both Seon and doctrinal school with the supremacy of Seon school.” Specifically, during the first three stages of the Goryo dynasty when the military regime had the political power, the Seon School became more influential. The first stage of the military regime began in 1170 (the 24th year of King Uijong) and lasted until 1270 (the 11th year of King Wonjong) under the military influence of Joongboo Jung, Daesung Gyung, and Uimin Lee. The second stage was under the military influence of Choonghun, Choi, Woo Choi, and Ui Choi, and the third stage was under the military influence of Joon Kim, Yun Im, and Yoomoo Lim. As a result, the Buddhist philosophy of the Goryo dynasty experienced a paradigm shift from doctrinal school-led Buddhism to Seon school-led Buddhism. This shift was mainly the work of Jinool, who had first harmonized both the doctrinal and Seon schools, then put the three gates to Seon together, and eventually, established Seon school-led Buddhism. Korean Buddhist philosophy was established by the work of Jinool, who not only mechanically put the thoughts of different schools together, but also ideologically combined them. This ideological bond is presented well in his thoughts on the “Unconventional One Gate” that he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one of the three gates to Seon, that is, “the gate of shortcut approach on observing the key phrase.” Here, the word “unconventional” meant something unique from the perspective of doctrinal school, and the words “one gate” refer to the fact that it is still a gate to Seon. In other words, what he meant by “Unconventional One Gate” was that this gate to Seon might be unconventional from the standpoint of the doctrinal school, but it still was a very important gate to Seon. Although the “Unconventional One Gate,” which is one of the three gates to Seon, was unconventional from the perspective of doctrinal school, the remaining two gates, which were “the gate of equal concentration on both cessation and observation” and “the gate of faith and understanding on perfect and sudden enlightenment,” were not unconventional. His thoughts were considered unique and multilayered because he did not lose the spirit of equal harmonization when dealing with the two different schools, though he eventually ended up putting more importance on Seon practice. As a philosopher of the era, the multilayered thought system was unique to him. It seems that this system of multilayered thought and integrative understanding were the heritage of Wonhyo(617-686), a great thinker in Korea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