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代 이전에 형성된 天體曆 紀年 원리 고찰의 필요성에 대한 小論

        서정화 동양고전학회 2018 東洋古典硏究 Vol.0 No.72

        10천간 12지지를 합성한 60개의 序數符號로 각각의 연월일시를 표현하였던 干支 冊曆에서의 그 기호는, 동양의 전통 醫學 분야에서 발병과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표식으로 쓰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術數 분야에서의 吉凶禍福 예단 지표로도 사용되었다. 이 干支曆 부호를 기준으로 삼은 많은 술수 이론들이 漢代 이전까지 상당부분 갖추어졌던 것에 반해, ‘그것이 그렇게 된’ 근원적 원리에 대한 이후의 책력학적 논의는 찾아보기 어렵다. 歲星(목성)이 황도대의 12개 ‘자리[次]’ 중에서 어느 곳에 있는 것인지로 그 한 해의 年名이 정해지는 천체력 기년 방식에는, 크게 歲星紀年法⋅太歲紀年法⋅干支紀年法 등이 있다. 태세기년법과 명칭만 다를 뿐 실제로는 동일한 기년법이라 할 수 있는 간지기년법에서는 다시 세 가지 이상의 방식이 존재하며, 그 중 하나가 漢代 이래로 현재까지 중국과 우리나라 등지에서 끊김 없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2018년 올해의 간지 연명이 戊戌이 된 것은 순전히 ‘우연’에 의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 필자는, 연월일시의 간지 부호를 가지고 고유 이론들을 구성하는 각종 전통 술수 분야에서 이에 대한 자각의 필요성을 力說하였다. 만 12년에 조금 못 미치는 목성의 1周天 주기 때문에, 천여 년에 한 번씩 약 85년 동안만 ‘황도대에서의 歲星 位次’와 ‘12地支 符號의 年名’이 서로 부합되는 상황이 펼쳐지는데, 최근의 수십 년이 그 시기가 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서 28宿를 바라보는 적절한 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논하였다. 간지 책력이 각종 술수는 물론 전통 의술의 이론적 기반과도 결부된 것이니 만큼, 古代 天體曆의 근원적 이론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동양 전통 학문과 문화의 계승⋅발전 차원에서도 결코 소홀히 넘길 수 없는 일이다. The signs of Gānzhī(干支: the sexagesimal calendar system) almanac, which marked each year, month, day and time with 60 ordinal number marks made by combining 10 Tiāngāns(天干: the decimal notation to mark date) and 12 Dìzhīs(地支 : the duodecimal notation to mark date), were used not only as the sig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a disease and treatment in the area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but also as the indicator of prejudging fortunes in different areas of future prediction techniques.(for instance, astrology,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four pillars of destiny and etc.) While theories of many future predictive technologies with this Gānzhī(干支) almanac signs as the standard had been established in many ways by Han dynasty, it is difficult to find almanac discussion later on the fundamental theory of ‘how it works like that’. As for the method to mark the era of Tiāntǐlì(天體曆: a calendar made with the sidereal period of Jupiter and the Sun), which determines the name of a year depending on where Suìxīng(歲星: Jupiter) is among the ‘12 positions of zodiac’, there are three main ways of Suìxīng-Jìniánfǎ(歲星紀年法: the way to mark an era by the location of Jupiter on the celestial sphere), Tàisuì-Jìniánfǎ(太歲紀年法: the way to mark an era by the location facing the location of Jupiter on the celestial sphere) and Gānzhī-Jìniánfǎ(干支紀年法: the way to mark an era with Ganzhi marks). Regarding Gānzhī-Jìniánfǎ(干支紀年法), which is actually the same way to mark an era as Tàisuì-Jìniánfǎ(太歲紀年法) with the only difference in the name, there are more than three ways, and one of them has continued to be used in China, Korea and so on since Han dynasty. The name of year of Gānzhī(干支) this year, 2018, has become Wù-Xū(戊戌) just by ‘accident’. Therefore, in this discussion, the need to realize this situation was emphasized in different areas of traditional techniques of future prediction in which distinct theories have been established with the Gānzhī(干支) mark of year, month, day and time. Because of the 1 sidereal period of Jupiter, which is a little bit shorter than 12 years, once about one thousand years, ‘the location of Jupiter on the zodiac’ and ‘the name of a year of 12 Dìzhīs(地支) marks' accord with each other just for about 85 years, and it has been verified that recent dozens of years are the very period. In addition, appropriate methods of observing the the twenty-eight lunar mansions were elucidated. As Gānzhī(干支) almanac is related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raditional medical practice as well as various techniques of future prediction, in-depth study on the fundamental theory of ancient Tiāntǐlì(天體曆) cannot be neglected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oriental study and culture, too.

      • KCI등재

        上古末 新羅의 外位 편성과 干支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15 新羅史學報 Vol.0 No.34

        진한 지역에서 干支는 소국이나 읍락 등 단위정치체의 대표를 가리키는 위호였다. 사로국에 복속한 이후 간지는 자치적 위호의 성격을 띠었다. 간지의 자치적 위계는 보위자와 하위 간층, 그리고 非간층 실무자로 구성되었다. 전략적 요충지에 거점성주가 파견되면서 간층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기 시작했다. 4세기 후반경부터 신라는 간지와 그 보위자의 자치적 위호를 선택적으로 승인하기 시작했다. 이에 간지는 자치적 위호에 기반을 두고 신라의 통치에 협조하는 직임의 성격도 띠게 되었다. 5세기 말부터 신라는 축성활동을 활발하게 벌이면서 간지와 그 보위자, 그리고 비간층 실무자의 체계적인 협조를 필요로 했다. 이에 읍락, 伐 등의 간층 가운데 간지를 승인해 道使의 지배에 협조하도록 했다. 간지의 보위자에게는 壹金知를 승인했다. 간지-일금지는 기존 간층의 자치적 위호를 바탕으로 촌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한 신라의 공적 위호였다. 또한 지역 간층을 경위와 구분해 신라의 통치체계로 편성한 위계라는 점에서 간지-일금지는 외위의 시원적 형태를 이루었다. 505년~520년 사이에는 행정촌의 干支 아래 인물에게 下干支를 수여하기 시작하면서 干群 外位가 분화했다. 봉평비에서 간지가 등장하지 않는 것은 변경 일대의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간지가 타격을 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외위의 상층이 간지와 하간지로 편성된 것은 율령반포 단계까지도 간층의 자치적 기반이 일정 부분 인정되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간군 외위의 분화를 통해 외위는 官位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는 중고기에 간군 외위가 상향 분화하는 기반이 되었다. Originally Ganji(干支) was the title pointing to the representative of unit political body in Jinhan(辰韓). Ganji has turned into autonomous title after surrendering to Saroguk(斯盧國). The autonomous hierarchy of Ganji consisted of assistants, sub Gan(干)-class, and Non Gan-class practitioners. Since the lord of the fortress was dispatched to the strategic point, the control of Gan-class got more strengthened. Since the late 4th century, Silla has approved Ganji and the autonomous title of his assistants selectively. Accordingly, Ganji also put on official duty to cooperate with the rule of Silla. Since the end of the 5th century, Silla required a systematic coordination of Ganji, his assistants, and Non Gan-class practitioners for the aggressive construction of fortress. Silla granted Ganji to one among Gan-class of Eupnak(邑落) and Beol(伐), asked him to cooperate with the rule of Dosa(道使) and granted Ilgeumji(壹金知) to one among Ganjis assistants. Ganji-Ilgeumji was an official title for the effective governance of Chon(村) by separating Gan-class to Gyeongwi(京位). Ganji-Ilgeumji was a primal form of Woewui(外位) in that it intended to organize a hierarchy for the rule of Silla. Haganji(下干支) was awarded at Administrative-Chon between A.D. 504 and A.D. 520. Accordingly, Gan-series Woewui has separated from Ganji. We can"t find Ganji on Bongpyeong(鳳坪)-Epitaph, and it’s supposed that he got damaged in the process of handling the incident at that time. Autonomy of Gan-class was partially accepted by Silla even after promulgating Yulrung from the fact that the top layer of Woewui consisted of Ganji and Haganji. But Oewi takes on the character of Gwanwi(官位) by differentiation of Gan-series Woewui."

      • KCI등재

        6세기 초중엽 新羅의 干群 外位 재편과 村民 동원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6

        본고는 촌민에 대한 동원방식을 기준으로 삼아 6세기 초중엽에 신라 干群外位의 역할이 변화하는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상고기에 干支는 지역세력을 대표해 6부와의 관계를 주도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6부의 영향력은 이사금기부터 행사되기 시작했다. 마립간기에는 이들에 대해 일괄적 요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소지마립간 9년(487)을 전후해 신라는 간지의 자치적 위계를 外位로 승인해 지역에서 촌민을 동원하는 매개로 삼았다. 중성리비와 냉수리비의 干支-일금지는 기존 간지의 자치적 위계가 외위의 시원적 형태로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520년 율령반포를 전후하여 최고 외위는 下干支로 변화했다. 城의 운영을 위한 동원에서 행정촌인 거벌모라의 하간지는 지역세력을 대표해 비간 외위를 거느리고 일반촌의 村使人을 통솔했다. 세부적인 임무는 비간 외위에게 분담되었다. 촌사인의 대부분은 무위호자였고, 촌의 일상적인 운영은 촌주가 담당했을 것이다. 도사는 촌주의 협조를 통해 무외위자에게 촌사인의 직임을 부여함으로써 촌민 동원의 효율성을 추구했다. 율령반포에서는 외위자의 이러한 의무를 법적으로 규정했을 것이다. 중대한 사안에 대해서는 別敎令으로 처리방향을 제시했다. 하간지는 도사에 대한 보위자의 성격을 띠었으나, 휘하의 비간 외위와 무외위자를 통솔함으로써 지역세력 대표로서의 자치적 기반을 일정 부분 유지했다. 524년~551년 사이에 干支上干支撰干支가 첨설되었고, 561년 이전에 貴干[4등] 高干[3등] 述干[2등]이 추가되었다. 이 과정에서 간군 외위는 성촌의 운영과 관련된 전문적인 임무를 부여받았다. 이러한 임무가 비간 외위의 임무와 중복됨으로써 기존 干位의 배타적 위상은 약화되었다. 간군 외위는 성촌을 벗어난 요충지로의 촌민 동원, 변경 성에 대한 주둔군 충원, 軍主의 작전을 위한 긴급한 동원 등에서 책임을 졌다. 干支는 지역세력의 대표가 아니라 간군 외위의 하위자로 자리매김되었다. 간군 외위의 자치적 기반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이들은 간층을 계승한 유력자로서 지방관의 보위자라는 위치를 굳히게 되었다. 간군 외위의 상향분화는 전략적 요충지의 지역세력을 우대하는 동시에 동원체제를 강화하는 정책의 결과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일반촌에서도 비간 외위를 확대하여 촌민 동원의 효율성을 도모했다. 이상의 변화는 진흥왕대인 6세기 중엽에 신라가 영역을 급격히 확장하고 유지하는 바탕이 되었다. Ganji(干支) had led the relations with 6-Bu(部) on behalf of the local power in Sanggo(上古) period. But 6-Bu"s influence on Ganji were gradually strengthened from Yisageum(尼師今) to Maripgan(麻立干) period. Silla approved Ganji"s autonomous hierarchy of Woewui as a means to mobilize Chon(村) people around A.D.487. Ganji-Ilgeumji(壹金知) shows that Ganji"s autonomous hierarchy was changed to the primal form of Woewui on Jungseongri Naengsuri-Epitaph. A top Woewui was changed from Ganji to Haganji(下干支) after promulgating Yulrung(律令). Haganji of Geobeolmora(居伐牟羅) led Chonsain(村使人) of General Chon(村) commanding his Non Gan-series Woewui for the operation of the castle. Dosa(道使) pursued efficiency when mobilizing the Chon people by appointing Chonsain with the cooperation of Chonju(村主). The legal obligation to performed by Woewui would have been settled in the promulgating Yulrung. Haganji took on the character of an assistant for Dosa. But he partially maintained an autonomy by commanding his Non Gan-series Woewui and Non Woewui. The new woewui was appointed ranging from Ganji to Sulgan(述干) between 551 and 524. Gan(干)-series Woewui was given the professional task for the operation of the castle and Chon. The exclusive status of Ganwui(干位) could not be sustained because his task overlapped with Non Gan-series Woewui"s. Ganji was positioned as the lower hierarchy of Gan-series Woewui not a representative of the local power. Autonomous force of Gan-series Woewui was virtually dissolved. They took on the character of an assistant for a local governor as a potentate who inherited Gan(干)-class. Upward differentiation of Gan-series Woewui was the result of a policy to both strengthen the mobilizing system and give preferential treatment to local power. Such changes provided the basis for rapidly expanding territory and maintaining it to Silla in mid-6th century.

      • KCI우수등재

        集安 출토 高句麗 捲雲文 瓦當의 편년 재론

        김일규 한국고고학회 2020 한국고고학보 Vol.0 No.115

        The cloud-pattern roof-end tiles of Goguryeo excavated in Jian were compared to those of China and Lelang Earthen Fortress, and attempts were made to trace their origins. Using a new method of deciphering the scripts found on the roof-end tiles, their chronology was established. Based on this, the chronology of the gigantic stone mound tombs which have yielded such roof-end tiles was also established. The “Tai-Ning Year Four (太寧四年)” roof-end tile, an early type of the Goguryeo cloud-pattern roof-end tile, excavated from Renmin Yuchi of Guonei Castle appear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roof-end tiles of Western Jin of China and Lelang Earthen Fortress; in particular, a direct link can be made to the cloud-pattern roof-end tile of Lelang Earthen Fortress. The consummate type of the cloud-pattern roof-end tile is decorated with uninterrupted arch motifs and script. By examining the GanJi (干支) script of the roof-end tiles excavated from the Second Elementary School and another site in Guonei Castle, this type can be dated to the latter part of the 4th century with the exception of the roof-end tile from Yushan Tomb No. 3319, which is approximately 60 years later than previously believed. This chronology was verified through comparisons between the horse helmets of Hou- Zhao, Qian-Qin, Qian-Yan with the example from Yushan Tomb No. 992. If the cloud-pattern roof-end tile decorated with uninterrupted arch motifs and script was used when the stone mound tomb was constructed, gigantic stone mound tombs such as Xida Tomb and Yushan Tomb No. 992 should be dated to the latter part of the 4th century. The latest type of cloud-pattern roof-end tile, from Qianqiu Tomb, can be dated to the early 5th century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chronology of the roof-end tile and the “Yeongrak (永樂)” script tile. Many questions surround the chronology of gigantic stone mound tombs, such as the relative chronology and thes identity of the deceased buried in Qianqiu Tomb, Taiwang Tomb, and Jiangjun Tomb, and the relation between cloud-pattern roof-end tiles and uninterrupted arch-pattern roof-end tiles, the issue of repairing ancestral tombs, and the prejudice that a gigantic stone mound tomb must be the tomb of a king.

      • KCI등재

        신라 京位 干群 官等의 語源과 성립과정

        윤선태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5 新羅文化 Vol.45 No.-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and derivation of the Silla's Ganji(干支) ranking system during the Isaguem―Maripgan Period. It was during the Isaguem Period that King of Silla divided the ruling class in Ganji ranks. He made major ruling class Il-Ganji(壹干支) and Seobulhan(舒弗邯, 角干) as the highest ranks, and minor ruling class Geup-Ganji(及干支) as higher rank than Ganji. After this, Sa-Ganji (沙干支) as higher rank than Geup-Ganji was made during the Maripgan Period. By the way A-Ganji (阿干支) was made for a legitimate son of lineage, for example the crown prince of Silla and minor country. But Sap-Ganji(迊干支) and Pajin-Ganji (波珍干支) were different in character from the other Ganji ranks. They were made from religious official positions. It was in 520, the 7th year of the King Beopheung, that Silla established 17 government officials ranking system.

      • KCI등재

        포항중성리신라비와 外位

        노태돈(盧泰敦)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9

        포항 중성리 비는 가장 오래된 신라비이다. 비문의 보존상태는 비교적 좋으나, 비문에서 동사와 접속사가 적고 고유명사가 많으며 비교할 수 있는 더 오래된 다른 비가 없는 관계로, 일부의 비문 해석을 둘러싸고 의견이 분분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비문에 대한 해석을 해보았다. 그다음 중성리비에서 보이는 序列을 나타내는 몇 몇 官位와 干支 稱號를 검토하여, 신라 관등제의 성립 과정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중성리신라비에서 보이는 干支와 壹伐은 경위와 외위 체계에 편입되기 전 단계의 位階라 하겠다. 간지는 어느 정도 자치력을 지닌 단위집단의 수장의 칭호였다. 이는 같은 시기 伽倻 諸國의 각종 ‘旱岐’와 유사한 성격을 지녔다. 간지는 휘하에 자신의 관인을 두었고, 壹伐 등이 그들이다. 이런 간지 휘하의 관인들이 신라 경위의 모체가 되었다. 끝으로 중성리비의 作成 年代를 추정해보았는데, 501년으로 비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민속신앙을 읽는 부호,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에 대한 근원적 고찰

        김만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民族文化硏究 Vol.54 No.-

        십간·십이지는 상고대 이래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수많은 문화 요소들과 결부되어 유의미하게 사용되고 있다. 여러 문헌·유물자료를 통해볼 때 한반도에서는 늦어도 5세기 전반부터 십간·십이지를 활용해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비록 한국의 고유 문화요소는 아니지만 십간과 십이지는 날짜·방위·색상 등과 연계되어 궁합·택일·운수 등 한국 민속신앙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십간의 10은 열 손가락을 가진 인간이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수법은 바로 10진법이라는 사실에서, 십이지의 12는 1년에 12삭망월이 있다는 사실에서 가장 크게 기인한다. 간지의 쓰임은 갑골문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간지(干支)"라는 명칭은 『논형』「힐술편」에 처음으로 보인다. "간지"로 불리기 전에는 "일진(日辰)"과 "모자(母子)"로도 불렸다. 간지의 기원에 관해서는 황제가 그 스승이자 사관인 대요에게 명하여 제정했다는 설과 천황씨가 창안했다는 설, 황제가 하늘로부터 직접 내려 받았다는 설 등이 전해지고 있으나 역사적 사실로 보기는 어렵고 신화 상의 유래로 봐야 한다. 『설문해자』를 비롯한 고문헌에 나타난 십간·십이지의 의미는 대부분 자연의 생장수장(生長收藏) 과정, 음양의 교차 순환, 사람의 신체 일부 등에 결부지어 설명되고 있는 반면, 갑골문에 나타난 십간·십이지의 의미는 대부분 물고기·새·벼, 그리고 수렵·어로·농경 도구 등을 직접 형상한 것이다. 고문헌상의 간지는 갑골문상의 간지와 달리 후대에 이르러 음양오행설로 채색되었다. 이렇게 음양오행의 상생상극 관념과 결합하면서 십간·십이지는 더 이상 단순한 부호가 아니라 상수화·신비화된 관념과 복잡한 술수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Sipgan and Sibiji have been used with significance, being connected to the numerous cultural elements of East Asia culture since the ancient times. Various literature and artifact materials indicate that they have been in use in the Korean Peninsula since as late as the former half the fifth century. Even though they are not unique parts of the Korean culture, they have been widely used in Korean folk faith including marital harmony predicted by a fortuneteller, choosing an auspicious day, and one's fortune. Sipgan originated from the decimal system, which is the easiest counting system to man with ten fingers. Sibiji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a year contains 12 months. The use of Ganji is traced back to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but the title of Ganji was first recorded in the Hilsul of Nonhyeong. It was also called "Iljin" or "Moja" before its name Gangji settled down. There are a couple of myths regarding the origin of Ganji; there is a myth saying that the emperor ordered Daeyo, his master and chronicler, to invent it; another saying that Cheonhwangshi invented it; and the other saying that the Yellow emperor inherited it from the Heaven himself. All of them are hardly historical facts, being strictly myths. While the most meanings of Sipgan and Sibiji in old literature including Seolmunhaeja ar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life and death process, circulating cycle of yin and yang, and man's body parts, those in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directly embody fish, birds, rice, hunting and gathering, fishing, and farming tools. Unlike that of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Ganji of old literature was colored with Yin-Yang and Ohaeng(Five Elements) Theory in later generations. Combined with the mutual survival and rivalry concept of Yin-Yang and Ohaeng, Sipgan and Sibiji got to have constant and mysterious concepts and complex conjury meanings beyond their simple roles as signs.

      • KCI등재

        신라의 분쟁 처리와 지방지배-중성리비와 냉수리비 비교분석-

        서지영(Seo, Ji-young)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3

        「중성리비」와 「냉수리비」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서술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분쟁을 처리하는 절차와 구성원의 역할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하급의 실무진이 사건을 조사하고, ‘간지’급 이상의 고위 지배층이 판결한 뒤 교를 내렸으며, 도사 등의 실무진이 판결내용을 집행하였다. 다만 下敎를 내린 의결집단과 집행을 담당한 실무 집단의 소속부와 관등의 양상은 차이가 있었다. 「중성리비」는 왕을 비롯하여 탁부, 사탁부인으로 의결이 이루어졌지만, 「냉수리비」는 탁부, 사탁부 이외 본피부와 사피부의 "간지" 계층도 참여하였다. 「냉수리비」의 "간지"들은 신라 왕의 소집 명령을 받아 국정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비록 과거 사로국 단계의 위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신라 왕에게 용인 받은 세력으로 관료집단으로 편제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냉수리비」에서 본피부와 사피부인이 의결집단에 참여한 것은, 部의 수장적 지위보다 국왕의 관료로 편제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피부와 사피부인이 보유한 간지 관등은 기존 部主의 전통적 지위를 명목상 인정해 준 것으로, 일원적 관등체계가 마련되기 전 명예적 성격이 강한 간지를 예우하는 과도기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집행을 담당한 중앙의 실무진은 두 비 모두 탁부와 사탁부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나마 이하 하급관등자와 도사가 중심이었다. 「냉수리비」는 판결을 집행한 실무진을 ‘典事人’으로 하여 하나의 직군으로 기록하였지만, 「중성리비」는 역할에 따라 분산된 채 기록되어 있었다. 판결을 알리는 방식도 「중성리비」는 典書 여모두가 판결 사실을 기록하고 심도리를 통해 널리 알린, 반면 「냉수리비」는 중앙의 ‘典事人’이 “煞牛拔誥” 한 뒤 ‘故記’하였고, 이것을 다시 촌주가 “世中了事”하고 故記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냉수리비」에서의 사건 처리는 중앙 왕경인 집단의 판결 집행, 지방 촌주의 확인이라는 이중적 절차를 행한 것이며, 중앙에서 지방으로의 ‘敎令’ 전달 체계를 알 수 있다. 두 비의 분쟁은 모두 경제적 이권을 둘러싼 다툼이다. 「중성리비」의 분쟁은 두지사간지와 일부지가 빼앗은 4개 촌을 모단벌탁으로 다시 돌리는 수취와 관련된 문제이고, 「냉수리비」는 절거리 개인의 재산과 관련된 다툼이었다. 이 두 비는 농업생산력 증대와 이에 따른 재화의 유통, 市肆와 東市의 설치 등 당시의 경제적 상황을 잘 보여준다. 또 「냉수리비」는 "별교"의 형태로 상속자를 명시하였고, 패소측에게 이의를 제기하면 중죄를 받을 것임을 서약하도록 하여 법을 강제하였다. 이것은 지역, 촌에서 일어난 분쟁에 신라중앙이 개입하여 판결을 내리고, 이를 준수하도록 강제하여 지방에 미치는 중앙의 통치력을 확인할 수 있다. 6세기 초 신라 중앙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 지방에 행정력을 발동하고, 지방지배를 실현해나가고 있었다.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aspects of disputes and their handling process were examined. The two inscriptions were different in the way they were written. The procedure for handling disputes was the same. All the voting groups were high-ranking officials above the kan-ji(干支). The working group consisted of people who held official positions such as nama-gwan-deung(奈麻-官等) or lower-ranking officials. Judgment and execution of disputes were centered on the king, the people of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The operation of the state was decided only by the king,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without going through a six-bu(6部) agreement. In the public opinion group of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people such as Gan-ji-gwan-deung(干支-官等) and others from Bonpi-bu(本彼部) and Sapi-bu(斯彼部) participated. This indicates that he belongs to the royal priesthood, not the head of the bu(部). Bonpi-bu, Sapi-bu, and Jamtak-bu of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Bongpyeong-ri Silla Stone Monument took part in state affairs by referring the kan-ji. This is an undifferentiated bureaucracy used in the governance structure of small countries in the past. They were discriminated against by the king"s religious group. Modanbeol-tak (牟旦伐喙) and bonpa-tak(本波喙) are the structures of kan-ji-ilbeol(干支-壹伐) for public opinion-group. The Ch"on(村) shows a similar form in the structure of kan-ji-ilgeumji(干支-壹金知).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revealed their superior status through the use of differentiated kanji series including ilganji(壹干支). bu of Modanbeol-tak(牟旦伐喙), bonpa-tak(本波喙) and Ch"on(村) use different government structures, and a social structure that is divided into stages appears.

      • KCI등재

        智證麻立干代 新羅 六部의 정치적 성격과 ‘干支’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13 新羅史學報 Vol.0 No.28

        본고는 중성리비를 중심으로 지증마립간대 6부의 정치적 성격을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비문에서 敎를 대표한 인물은 갈문왕인 只折盧이다. Ⅲ행의 ‘敎’에서 문장이 끊어지는데, 이 敎는 분쟁처리 절차의 근거로서 맨앞에 제시되었다. 교를 근거로 공표된 ‘奪’의 주체는 豆智沙干支宮과 日夫智宮이며,돌려받은 주체는 牟旦伐喙의 作民沙干支이다. 敎 참여자는 대표자와 보좌인만 기재되었지만, 실제로는 일반 수행자와 실무자가 참여했다. 그 중에서도 탁부?사탁부가 대표자와 실무자를 독점하고 보좌인과 일반 수행자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개인별 기재순서는 역할의 비중을 일차적 기준으로, 관등을 이차적 기준으로 삼았다.爭人에서 이러한 기준이 무시된 것은 개별 부의 자치적 영향력을 반영한다. 6부의 간지는 渠帥形 干에서 유래했다.이로부터 탁부?사탁부를 중심으로 職任形간지가 분화하여 干群京位가 탄생했고, 적어도 지증마립간대부터 모단벌탁으로 확산되었다. ?波喙?金評에서는 干支가 다른 간지와 공존했다. 단위정치체의 대표라는 간지의 위상은 부내 자치권의 일부분으로 한정되었다.지증마립간대 6부의 간지는 기존 읍락의 자치권에 기반을 둔 유력 干層이라는 의미로 마립간으로부터 공인받은 위호라 할 수 있다. 분쟁처리 참여자에 대한 部別기재와 간지의 자치권은 6부의 자치단위적 요소를 반영한다.반면 탁부?사탁부를 중심으로 한 간군 경위의 분화와 확산, 마립간과 갈문왕에 의해 주도된 통치 운영,부내?외 인물 사이에 맺어진 혈연관계는 6부가 자치단위적 단계를 넘어섰음을 보여준다. 6부는 자체 내에서는 자치단위적 요소를 일부 간직했으나, 이는 6부의 본질적 특징이기보다 일부 部에서 잔존한 유제에 가까웠다.이에 6부는 신라 국가의 통치에 참여하는 세력의 근거지에 대한 행정단위적 구분에 더 가까웠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명리학(命理學) 이론체계에 관한 시스템론적 고찰

        신정원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1 No.4

        This thesis studies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Minglixué compared with the various aspects of modern system theory, the hierarchical perspective, functional dynamic perspective, homogeneous structure, and circulation system. 『Zipíng Zhēnquán(子平眞 詮)』․『Yuānhǎi Zipíng(淵海子平)』․『Dī tiān suĭ(滴天髓)』 are referred for major arguments. The system mentioned here is an organic whole that combines various parts. In terms of epistemology, it refers to systematic, dynamic, and flexible thinking that broadly reflects the rich implications of objects. The Minglixué is known as an art of analyzing one's birth year, month, date and hour to read his or her past and present, and predict the future. Regrettably, the aspects of the mystery that read the fate of human have been emphasized more than the academic effort of the theoretical system. Through this thesis, the burden of the heavy mystery of the Minglixué can be relieved. 이 글은 명리학의 이론적 체계를 현대 시스템이론의 다양한 개념인 층차 관점, 기능 관점, 역동적 관점, 동형구조, 순환시스템 등으로 고찰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명리학의 주요 고전인 『子平眞詮』․『淵海子平』․『滴天髓』․『窮通寶 鑑』 등을 주로 참조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시스템’은 여러 부분을 결합하는 유기적 전체이며, 인식의 측면에서는 대상이 가진 풍부한 함의를 광범위하게 반영하는 역동적이고 유연한 사유를 말한다. 명리학은 사람의 생년월일시라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사람의 과거와 현재를 읽고 미래를 예측하는 술수의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유감스럽게도 그 이론적 체계에 대한 치밀한 학문적 고찰보다는 사람의 운명을 읽고 피흉추길하는 신비의 영역이 더욱 부각된 아쉬움이 있다. 명리학의 이론적 체계를 현대 과학이론의 하나인 시스템이론으로 고찰하여 그 과중한 신비의 그림자를 덜어내고자 한 것이 이 논문의 시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