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제국기 순종의 西巡幸 연구 - 『西巡幸日記』를 중심으로 -

        이왕무 동북아역사재단 201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1

        This thesis is to study of the Emperor’s parade his Majesty of Sunjong(純宗) in Daehan Empire(大韓帝國). As we know the Emperor’s parade is very politic’s, symbolize, and visuality, mobilize. And that Emperor’s Movement, we called Sunhaeng(巡幸), this movement belonged Korea and China’s the part of Royal ruler system. It just happen like Ritual action, therefore it makes people believed, the Royal class was been long period in father land. And therefore, there is no one doubt about Emperor’s power and exist. It happened every each Kings period in Joseon Dynasty. And it’s same happened in Daehan Empire. People simply depend on there own eyes. Those rituals had massive significance in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 in which the Emperor, the subjects, and the commoners participated together. It was happen all the time in Kingdom of confucian, we called Joseon Dynasty and Daehan Empire. Royal Ceremony is very fixed to continue forever. The one of the best ceremony was the parade of Emperor’s. The Emperor’s parade, it’s highest ritual action in Kingdom of confucian society. Because the Emperor’s parade was an assembly system with Royal ceremonies. And it was ritual thing, not just Emperor’s played. As we know, ritual is most powerful thing in human society, and most Emperor’s power depends on that, also the Emperor’s political power proceeding and make more powerful hands. Emperor Sunjong(純宗)ruled for 4 years(1907~1910). He was the 2th Emperor of the Daehan Empire(大韓帝國). In 1907 the first Emperor of the Daehan Empire his Majesty of Gojong(高宗) abdicated by Japanese. Then the Daehan Empire colonialized by Japanese. At that time uprising and against the people who live in Daehan Empire. Therefore Japanese Government changed there ruling hands. Japanese government using a ritual action,Specially Emperor’s Movement, we called Sunhaeng(巡幸). Japanese government believed people of the Daehan Empire, when they find the Emperor Sunjong(純宗) fallowed Japanese ruling system, they should be changed there mind. And they realized the Oriental world protect from western power’s by Japanese government. And those Japanese government police reveal in Sunhaeng(巡幸) and concentrate to the Emperor Sunjong(純宗). 본고는 1909년 순종이 한반도 서북 지방을 순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제의 한일 倂呑 과정이 군대와 경찰을 동원한 무력적 방법 이외에 대한제국의 국가의례인 순행을 통해 유화적인 회유책이 시행되었음을 밝히는 것에 주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순행의 의례적 절차와 진행, 결과에 따라 변화되던 정치적 상황보다 순행의 의미와 상징성에 비중을 두었다. 일본 제국주의는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탈하고 통감정치를 자행하면서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나던 반일과 무력항쟁을 일소시키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그들은 무력적인 방법과 함께 한국민이 자발적으로 식민지 통치체제에 흡수되면서 일제의 통치체제에 순응하도록 만드는 방법으로 조선왕조의 국가의례인 국왕의 행행을 사용하였다. 그것이 순종의 순행이었다. 순종은 서순행 이전에 부산과 마산 등지를 행차한 남순행을 진행하였고, 이어서 서순행을 시작하였다. 순행을 실질적으로 주최한 통감부의 입장에서 서순행은 남순행과 같이 성공적이었다. 일본인들은 통치 전면에 순종을 내세워 한국인들의 적개심을 반감시키면서, 오히려 순종의 이름을 빌려 자신들의 통치를 합리화시키려는 다소 이중적인 정책을 서순행에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순행도 남순행과 같이 순종이라는 대한제국 황제의 威儀를 이용하여 한국민의 통감부 정책에 대한 회유 내지는 적어도 항일의 입장에서 돌아서게 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순종의 서순행은 그 시작부터 통감부가 의도한대로 한국민들의 자발적 복종은 물론 순종을 비롯한 황실의 협력까지 이끌어내는 교묘한 정책의 하나였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당대(唐代) 황제(皇帝) 순행(巡幸)의 성격 -순행(巡幸) 빈도,기간,장소,활동의 통계적 분석을 중심으로

        최진열 ( Jin Yeoul Cho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大東文化硏究 Vol.72 No.-

        이 글은 唐代 황제들의 巡幸의 성격을 통계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정리한 연구이다. 즉 巡幸頻度, 巡幸期間, 巡幸장소, 巡幸 활동으로 나누어 皇帝별 혹은 다른 왕조와 巡幸의 빈도 및 기간을 비교함으로써 唐代 巡幸의 특징을 통계적·객관적으로 밝히려고 하였다. 唐代 巡幸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唐 前期와 後期의 巡幸頻度와 巡幸期間이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親征과 蒙塵, 하루거리의 단거리 일정을 제외한 唐 前期 ``巡幸(협)``, 즉 협의의 巡幸 기간은 최소 14,310일, 최고 14,489일이며, 연평균 104일과 105일이다. 즉 1년의 약 29.4% 혹은 30%를 都城 밖에서 보냈다. 반면 唐 後期 ``巡幸(협)`` 기간은 32일로 추정되며, 이는 연평균 0.2일에 불과하다. 둘째, 순행 지역의 범위 역시 唐 前期에는 洛陽?泰山 등 山東 지역에 미쳤으나, 唐 後期에는 長安 주변으로 축소되었다. 셋째, 漢族王朝 혹은 통일왕조로서는 避暑와 避寒을 위한 巡幸이 많았다. 특히 唐 前期에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또 자연재해와 기근, 흉년 때문에 皇帝가 신하와 백성들을 이끌고 洛陽으로 就食하며 장기 체류한 예가 많았다. 皇帝의 잦은 就食 또한 역대 통일왕조에서 보기 드문 현상이었다. 넷째, 唐 前期 황제들의 활동 가운데 사냥과 피서의 비중이 높았다. 전자의 경우 唐 後期의 황제들도 마찬가지였다. 기후사의 측면에서 보면 唐代가 온난기였으므로 避暑는 불가피한 면이 있지만, 사냥 기록이 많은 것은 다른 漢族王朝 혹은 통일왕조에서 쉽게 볼 수 없는 현상이다. 또 활동내용을 살펴보면 지방 시찰보다 ``遊幸``의 성격이 강했다. 다섯째, 다른 통일왕조와 비교하여 皇帝의 蒙塵이 많았다. 安史의 난과 黃巢의 난 뿐만 아니라 吐蕃의 침입, 節度使 사이의 내분 때 都城을 버리고 멀리는 蜀(成都), 가까이는 陝州와 梁州 등지로 피난하였다. 唐 皇室은 롱西 李氏, 즉 漢族이라고 하지만 武川鎭 군벌의 하나로서 유목민인 鮮卑人 혈통이 섞인 胡化된 漢族으로 본다. 唐代 巡幸이 漢族王朝의 巡幸과 다른 성격을 지니는 것이 발견되지만, 이를 유목적 성격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長安에 수도를 정했던 前漢과 비교하면 唐이 군사적·경제적으로 취약했다는 느낌을 준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imperial tour, the sojourn period of imperial tour, place of imperial tour and imperial activities in Tang Dynasty. In my conclusion, it shows a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half period of Tang Dynasty. For example, the Tang Emperors spended 13,682 or 13,852 days, I.e. annual average of 98.4 and 99.7 days, outside the capital city of Changan in first half period. This means that he Tang Emperors sojourned many places of outside capital 27.8% or 28.2% of the year. But the second period of Tang Dynasty, the Tang Emperors sojourned only 18 days in all, which was annual average of 0.12 days.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imperial tour is the differrnce of imperial tour places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period of Tang Dynasty. The Tang Emperors sojourned or made a tour of places ranging from Chang`an, the capital of Tang Dynasty and its areas around capital city to Louyang, Taiyuan, Taisan, and so on, which was very far from capital city of Chang`an, called the East of Huashan Area(Shandong). The Tang Emperors made the imperial tours for avoiding the heat of summer or cold weather of winter and just fun such as hunting, which was different from other Chinese dynasties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the imperial tours was pleasure. Other characteristic of imperial tour is the Tang Emperors`s fleeing from the royal palace orcapital, in all 8 times, ranging from areas around capital city of Chang`an to Chengdu and Lingwu. In shor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ng Dynasty were different from other Chinese dynasties in many ways, especially from the Former Han whose capital city was Chang`an same as Tang Dynasty.

      • KCI등재

        唐前期 皇帝 巡幸의 隨行官員과 都城 留守

        최진렬(Choi Jin-Yeoul)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0

        본 논문에서는 唐前期 皇帝들이 연평균 100여일 동안 都城인 長安 이외의 지역을 巡幸하거나 체류하는 상황에서 巡幸을 扈從하는 관원들과 都城을 留守하는 관리들에 대한 대책을 다루었다. 唐前期 皇帝들이 都城을 떠나 洛陽:九成宮:華淸宮 등지로 행차할 때 都城에 太子를 監國으로 임명하거나 重臣들을 남겨 政事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太子가 監國하는 경우 대개 宰相級의 重臣에게 太子를 보좌하도록 하여 國政에 밝지 못한 太子를 도움과 동시에 太子를 견제하였다. 重臣에게 都城에 남게 하는 경우 대개 ‘留守’라는 임시 직책을 부여하였고 右金吾衛大將軍이 副留守가 되었다. 『舊唐書』와 『新唐書』에서는 대개 3品 이상의 高官을 留守로 임명하였다고 기록하였지만, 墓誌銘에 따르면 諸衛의 郞將과 果毅都尉 등 중하급 무관들도 留守의 직함으로 都城에 잔류하거나 九成宮과 長春宮같은 離宮(行宮)을 지켰다. 留守로 都城에 잔류한 重臣들은 太子를 보필하거나 政事를 처리하였다. 이들은 政事 이외에도 都城의 토목공사를 감독하기도 하고 구휼 활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皇帝들은 巡幸 도중 都城의 政變에 대비하여 南衙와 北衙에 左右屯營을 설치하고 屯營使를 두어 군대를 지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符節(銅虎符와 木契)로 都城의 군대와 조정 신하들을 통제하였다. 규정상 皇帝의 巡幸을 반드시 隨從하는 관원은 符寶郞, 殿中監, 御史大夫, 殿中侍御史, 大理正 등이었다. 이밖에도 三省과 六部, 諸衛 등 각 관청의 장차관이 高宗의 九成宮 행차를 따라갔다. 이는 巡幸 중인 皇帝의 政事 처리를 위해 宰相을 비롯한 고위 관리들과 三省六部 및 九寺의 실무관료들도 巡幸을 扈從하였음을 보여준다. 巡幸과 관련된 일을 처리하기 위해 知頓使:封禪(大)使:勾?使 등 使職이 임시로 설치되었다. 皇帝의 巡幸을 隨從하는 임무는 무척 고된 일이었다. 文武官員들이 巡幸 도중 병들어 사망한 일이 正史와 墓誌銘 기록에서 확인된다. 唐前期 皇帝들은 隨行官員들의 고난과 어려움을 달래고 巡幸에 隨從하는 것이 은덕임을 각인시키고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隨行官員들을 승진시키거나 작위를 하사하였다. 특히 開元 13년(725)의 泰山 封禪을 隨從한 隨行官員들의 墓誌銘을 검토하면 이들이 대거 승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세조 후반기 순행과 불교

        이정주 ( Lee¸ Jungjoo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2 사총 Vol.105 No.-

        세조는 조선시대 군주 가운데 드물게 잦은 지방 순행을 한 임금이었다. 조선 초기의 태조와 조선후기의 현종, 영조, 정조 등도 지방 순행을 다녔지만, 세조처럼 여러 지역을 두루 방문하지는 않았다. 세조는 여건이 허락할 때마다 경기도, 황해도, 평안도, 충청도, 강원도를 찾았으며, 세조 초년과 말년에는 경상도와 전라도를 순행할 예정이었지만 준비상태의 미흡, 이시애의 난과 건강 악화가 겹치면서 이들 지역에 대한 방문을 포기한 바도 있었다. 세조의 지방 순행은 군사 훈련을 통한 정권 안정, 민정 시찰을 통한 민심 수습, 온천욕을 통한 건강 관리 등 다목적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그는 순행을 통해 요순시대의 정치를 재현하고자 했다. 세조대에는 하늘에 대한 직접 제사인 환구제도 거행되었다. 순행과 환구제는 세조가 중국황제의 의례를 모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세조는 순행, 환구제를 통해 유사 황제체제를 구축했고, 국왕의 위엄과 권위를 과시했던 것이다. 세조대의 순행은 집권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그 양상의 뚜렷한 변화가 보인다. 집권 전반기의 순행이 군사 훈련과 민정 시찰 등 실질적 목적 달성을 위해 진행되었던 것에 반해, 후반기에는 건강 관리와 성지 순례 같은 개인적 동기 때문에 순행이 이루어졌다. 세조는 집권 후반기 순행을 통해 불교계 및 일반 백성과 광범위한 직접적 접촉을 갖고자 했다. 이는 성리학에 바탕하여 사대부 문신 위주의 정치를 표방했던 전후의 조선시대 국왕들과는 매우 구별되는 특이한 통치 행위였다. 세조는 국왕의 대민 접촉이 거의 없던 조선시대 문신세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피지배층과 군사력에 바탕한 통치를 구상했고, 이를 실현할 방편으로 순행을 활용했던 것이다. 세조의 순행 양상은 동왕 12년(1466) 강원도 방문을 계기로 급속히 변화했다. 이전의 순행이 軍事와 民事的 현안을 다루기 위한 것이었던데 반해, 강원도 순행은 온천욕과 성지 순례 같은 세조의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안정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었다. 그리고 세조는 방문했던 금강산에서 담무갈보살을, 오대산에서는 문수보살을 친견했다. 앞서 동왕 8년세조는 상원사에서 관음보살을 친견했다고 주장한 적이 있었다. 강원도 순행으로 인해, 세조는 당시 민중에게 인기가 있던 문수, 관음보살과 금강산의 많은 보살을 거느린 담무갈보살을 모두 만난 임금이 된 것이다. 세조의 보살 친견 이야기는 이를 축하하는 篆文, 頌文 등의 기록물과 설화, 전설 등의 비기록적 구전이란 형태의 양면으로 후세에 남겨졌다. 세조는 지방 순행, 보살의 출현과 친견, 이에 대한 신하들의 축하 행위, 보살 친견 사실의 민간 유포와 신화화, 그리고 인접국에 대한 외교적인 통보를 통한 공식화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그의 신성성을 조작하고 퍼트렸다. 순행을 통한 불교 접촉은 세조의 통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고도의 선전술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King Sejo(世祖) was one of the few monarchs in the Chosun Dynasty who frequently made royal tours of local areas. Taejo in the early Joeson Dynasty and Hyeonjong, Yeongjo and Jeongjo in the late Chosun Dynasty also made royal tours of local areas, but they did not visit as many different areas as Sejo did. As long as his conditions allowed, King Sejo visited local areas in Gyeonggi-do, Pyeongan-do, Chungcheong-do and Gangwon-do. During his early days and latter days, he was also planning to make royal tours of Gyeongsang-do and Jeolla-do, but due to the insufficient preparation or his poor health and Lee Si-oe’s Rebellion overlapped with each other, he had to give up his visit to these local areas. His royal tours of local areas were made for different purposes, such as political stability through military exercise, control of public sentiment through inspection of people’s conditions and health care through spa bathing. Through such a royal tour, he tried to reenact the policy of the Yao and Shun Dynasties. During his reign, Hwanguje (圜丘祭), meaning a sacrificial rite for heaven, was performed as well. Interestingly, both the tour and rite implied that King Sejo tried to imitate the formality of Chinese emperors. In other words, through these events, he established a royal system similar to the Chinese imperial system and displayed majesty and authority as a king. By the latter days of his reign, his royal tour showed clearly different aspects. In the early days, his royal tour was mainly to accomplish such practical purposes as military exercise and inspection of people’s conditions, but in the latter days, it was mostly for personal motives, such as health care and visit to sacred places. Especially in the latter days, King Sejo seemed to make broad and direct contact with Buddhists and ordinary people through his royal tour. Such an unusual action of his reign based on Neo-Confucianism was ver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kings of the Chosun Dynasty who mostly adopted Sadaebu (scholar-gentry)-centered policy. Rather than depending on the power of gentry officials in the Chosun Dynasty almost without kings’ contact with the public, he attempted to shape his idea of reign based on far-reaching subjugated classes and military power, and as a means to put his idea into practice, King Sejo made the best use of royal tours.

      • KCI등재

        16세기 전라도 관찰사의 순행길

        金景淑(Kim Kyeong-Sook) 역사문화학회 2010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3 No.2

        이 논문에서는 유희춘의 『미암일기』를 중심으로 16세기 전라관찰사의 순행길 운영 방식과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16세기 관찰사는 임기 내내 道內를 巡行하였는데, 행차 규모는 마필 40~50필에 달하는 대규모 행차였다. 때문에 원활한 순행을 위하여 行路와 日程을 미리 정하고 경유 고을에 先文을 발송하여 통지하였다. 전라관찰사의 순행 대상은 제주도를 제외한 54고을이었는데 유희춘은 7개월 동안 도내를 총 4차례에 걸쳐 순행하면서 43개 고을을 겸유하였다. 순행길은 邑格 및 邑勢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도내 大邑을 거점 고을로 연결하는 기본루트를 바탕으로 순행 때마다 중간에 경유하는 중소읍들의 구성을 달리함으로써 순행로에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방식은 邑勢에 따른 순행 업무의 효율성과 중소 고을들의 支應 부담을 고려한 결과였다. 또한 관찰사의 순행길에는 奉命使臣 행차, 연고지 방문, 日氣, 누적되는 피로와 건강 악화 등 각종 公的 私的 변수들이 작용하였다. 특히 실록 봉안사의 행차와 연고지 방문은 부임 초기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예측된 변수였기 때문에 行程 변경보다는 행정을 결정하는 단계에 변수로 작용하였다. 반면 일기와 건강악화는 예측할 수 없는 변수로 순행 도중의 행정을 변경하고 先文을 수정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16세기 관찰사의 순행길은 조선후기 留營 체제가 확립되고 순행이 봄 · 가을 두 차례로 축소되면서 운영 방식과 성격 또한 변화해 갔다. In this article, the patrols of the Jeolla-do provincial magistrates that were launched during the 16th century are examined, based upon descriptions made upon them in Yu Hi-chun's 『Mi'am Journals(Mi'am Ilgi)』. How they were performed, and what were their characteristics, will be primarily discussed here. In the 16th century, the magistrates patrolled the province throughout the entirety of their tenure, and the patrol itself required over 40~50 horses, to accommodate all the accompanying personnel. To facilitate such patrols, the itinerary and the scheduled patrol route had to be notified in advance, to counties and villages that were to be visited. The Jeolla-do provincial magistrate patrolled total of 54 counties except the ones in the Jeju-do island, and Yu Hi-chun visited 43 in his 'four' official patrols that spanned over 7 months. All the patrols shared the main trunk route which was designed to pass through 'large counties(designated so in terms of the county's level, size and influence)' of the province, yet other details varied from patrol to patrol, like visiting specifically chosen smaller counties. Such variations were made to raise the efficiency of patrolling which had to cover a rather vast area, and also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s of the counties that were being visited. The magistrates' patrol involved many official and unofficial issues, such as greeting emissaries from the central and visiting the magistrates' own home counties, while it was also affected by variables such as climactic situations and accumulation of tiredness.

      • KCI등재

        고려 국왕의 南京 巡幸과 儀禮

        김철웅 서울역사편찬원 2013 서울과 역사 Vol.- No.85

        Royal tour of Koryo Kings was to go round their people and territory. Most kings had an inspection tour to Seokyeong and Namkyeong. The capital city based on the three in Koryo was rationized by the theory of Geomancy. Koryo dynasty established the Southern Capital(Namkyeong) around the presentday Seoul city. The Southern Capital region was called Yangju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of Koryo dynasty. King Munjong wanted to build the southern Capital, but the project could not be finished. Kim Wije suggested to King Sukjong rebuilding of the southern Capital and the capital relocation. Royal tour to the Southern Capital was irregular visit, the highest form of domination. It took about 3~4 days, or 9~10 days long from Gaekyeong, main capital city, to Namkyeong. Royal tour was marked by ceremonial pomp and was courtesy protocol. And Royal tour involved a welcoming ceremony consisting of a review of military honor guards, parades, and the playing of royal musics by a military band. Royal tour to the Southern Capital included a Arrival Ceremony at Namkyeong. It was often with a formal address for the people. Royal tour to the Southern Capital was included usually accompanied by a senior government minister. The southern Capital was accorded a higher status than ordinary prefectures and counties. Among the three secondary capitals, the southern Capital was lower in status than the Western capital, and on a par with the Eastern capital. But as for ceremony the southern Capital' status was on a par with the Western capital. 고려의 남경은 개경, 서경과 함께 삼경으로 취급되는 중요한 지역이었다. 이에 남경 순행의 왕래 과정, 체류 시기 등의 여러 상황, 그리고 순행과 관련한 의례를 살펴보았다. 개경에서 남경까지, 그리고 남경에서 환궁까지 소요되는 시일은 일정하지 않아 빠르면 대략 4·5일이, 늦으면 14일이 걸렸다. 그렇지만 대체로 9~10일이 걸린 경우가 많았다. 아마 직로는 4·5일이, 우회로는 9·10일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 체류 시일은 짧게는 3~4일(인종·의종), 길게는 30일, 37일, 65일 등으로 일정하지 않았다. 순행 기간은 짧게는 17~18일 정도였고, 길게는 42일~83일 등이었다. 장기간 순행한 것은 남경 순행 후에 장원정에 순행하여 환궁하였기 때문이다. 남경 순행 시기도 일정하지 않았는데, 대체로 8월·9월 경에는 남경을 순행하고 있다. 남경까지는 이른바 ‘임진 도로’와 ‘장단 도로’ 상의 역로를 이용하였을 것인데 국왕 순행 시에는 驛·館 보다는 주로 院을 이용하고 있다. 국왕들이 서경 및 남경 지역을 순행한 것은 태조의 훈요십조와 풍수지리설에 근거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순행 전후의 통치 행위를 볼 때 국왕의 巡幸은 『서경』과 『예기』 등의 유교 경전에 밝힌 ‘省方’의 실천에 목적을 두고 있었다. 고려 국왕들이 남경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풍수지리설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근본적으로 순행은 정치적 행위로서 천자인 고려 국왕이 지역(남경)을 순수한다는 의미가 있었다. 국왕들은 남경을 행차할 때 지나온 주·현에 조세 감면의 등의 혜택을 주었고, 명산대천에 제사와 봉작을 내렸다. 남경 순행 의례는 「서남경순행의장」, 「서남경순행회가봉영의장」, 「西南京巡幸還闕奉迎鹵簿」, 「按察使別銜及外官迎行幸儀」 등이 있었다. 이들 의장에는 많은 인원이 동원되었는데, 「서남경순행의장」은 「조회의장」 보다 많고, 「서남경순행회가봉영의장」은 고종 9년에 정한 「宣赦衛仗」 보다 더 많았다. 「서남경순행회가봉영의장」의 인원은 「법가의장」, 「중동팔관회출어위장」 다음으로 많은데 이들 의례가 가장 중요했기 때문일 것이다. 순행 의례는 「서남경순행의장」→「안찰사별함급외관영행행의」→「서남경순행회가봉영의장」·「서남경순행환궐봉영로부」의 순서였다. 남경 순행에서 돌아와 의봉문에 도착하면 덕음을 반포하는데 充庭 儀式으로 거행하였다. 한편 고려시대에 삼경의 위상은 서경, 동경, 남경의 순서였다. 그러나 여러 면에서 남경이 서경과 차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품계나 순행 의례에서는 동일하였다. 남경은 고려시대에 수 차례에 걸쳐 천도가 논의되었을 만큼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지역이었다. 그리고 그 순행 의례를 보면 순행 인원은 개경에서 거행된 주요 의례와 별반 차이가 없는 대규모였고, 수행 관료도 分司와 같은 규모였다. 따라서 국왕이 ‘京’을 순행한다는 의미에서 서경이나 남경이나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즉 의례상으로 남경은 서경과 같은 위상을 갖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唐前期 皇帝 巡幸의 隨行官員과 都城 留守

        최진열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0

        본 논문에서는 唐前期 皇帝들이 연평균 100여일 동안 都城인 長安 이외의 지역을 巡幸하거나 체류하는 상황에서 巡幸을 扈從하는 관원들과 都城을 留守하는 관리들에 대한 대책을 다루었다. 唐前期 皇帝들이 都城을 떠나 洛陽․九成宮․華淸宮 등지로 행차할 때 都城에 太子를 監國으로 임명하거나 重臣들을 남겨 政事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太子가 監國하는 경우 대개 宰相級의 重臣에게 太子를 보좌하도록 하여 國政에 밝지 못한 太子를 도움과 동시에 太子를 견제하였다. 重臣에게 都城에 남게 하는 경우 대개 ‘留守’라는 임시 직책을 부여하였고 右金吾衛大將軍이 副留守가 되었다. 『舊唐書』와 『新唐書』에서는 대개 3品 이상의 高官을 留守로 임명하였다고 기록하였지만, 墓誌銘에 따르면 諸衛의 郎將과 果毅都尉 등 중하급 무관들도 留守의 직함으로 都城에 잔류하거나 九成宮과 長春宮같은 離宮(行宮)을 지켰다. 留守로 都城에 잔류한 重臣들은 太子를 보필하거나 政事를 처리하였다. 이들은 政事 이외에도 都城의 토목공사를 감독하기도 하고 구휼 활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皇帝들은 巡幸 도중 都城의 政變에 대비하여 南衙와 北衙에 左右屯營을 설치하고 屯營使를 두어 군대를 지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符節(銅虎符와 木契)로 都城의 군대와 조정 신하들을 통제하였다. 규정상 皇帝의 巡幸을 반드시 隨從하는 관원은 符寶郞, 殿中監, 御史大夫, 殿中侍御史, 大理正 등이었다. 이밖에도 三省과 六部, 諸衛 등 각 관청의 장차관이 高宗의 九成宮 행차를 따라갔다. 이는 巡幸 중인 皇帝의 政事 처리를 위해 宰相을 비롯한 고위 관리들과 三省六部 및 九寺의 실무관료들도 巡幸을 扈從하였음을 보여준다. 巡幸과 관련된 일을 처리하기 위해 知頓使․封禪(大)使․勾畫使 등 使職이 임시로 설치되었다. 皇帝의 巡幸을 隨從하는 임무는 무척 고된 일이었다. 文武官員들이 巡幸 도중 병들어 사망한 일이 正史와 墓誌銘 기록에서 확인된다. 唐前期 皇帝들은 隨行官員들의 고난과 어려움을 달래고 巡幸에 隨從하는 것이 은덕임을 각인시키고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隨行官員들을 승진시키거나 작위를 하사하였다. 특히 開元 13년(725)의 泰山 封禪을 隨從한 隨行官員들의 墓誌銘을 검토하면 이들이 대거 승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emperors in First Half of T’ang dynasty ordered the Heir-apparent, a chief retainers, or prime ministers to remain in capital Chang’an and to hand political affairs in case of imperial tour to Luoyang, Jiuchenggong, and Huaqinggong. They ordered chief retainer of prime minister class to help the Prince Regent handling the government, which also checked the Prince Regent and relieving the sufferers or the poor. The officials remaining the capital ranged from prime ministers and grand general of Right Jinwu of third-grade to commandants of an intrepid garrison(Zhechongduwei) and middle or low-ranking government officers to remain Chang’an or to defend royal secondary palaces such as Jiuchenggong and Changchungong. The emperors set up the capital guards i.e. tunying(屯營) and appointed tunyingshi(屯營使) to command the capital guards. They used the tongyufu to control the mobilization of armies and officers. According to the Inspection of six administrative divisions(Tang Liudian), regular suites retinues in the suite of Imperial Tour were fubaolang, the director of the Palace Supervisiory Office(dianzhongjian; 殿中監), censor-general(yushidafu; 御史大夫), place censor(dianzhongshiyushi; 殿中侍御史), chief judge in the Court of Judicial Review(dalizheng; 大理正). The temporary officials of zhidunshi, fengshanshi and gouhuashi were appointed to work in regard to the imperial tours. The Wanniangongmingbi showed that chief and vice-chief of government offices such as three departments(Sansheng; 三省), Six boards(六部), zhewei(諸衛) etc were accompanied to Gaozhong’s imperial tour to Jiuchenggong(Wanniangong; 九成宮/萬年宮), which proved high-ranking officials were in the retinue of imperial tours. The commissioners and officials of district offices, kings and kaghans of Chinese neighboring countries were attended. The duties in the suite of imperial tours were very difficult and laborious affair, which raised a revolt in 641 by weishi Chui Jing and Diao Wenyi and caused a lot of officials, offiers and soldiers dead from disease in the suite of imperial tours. The emperors in First Half of T’ang dynasty promoted the retinues to the high ranks titles of nobility, especially in 725.

      • KCI등재

        신라 진흥왕의 巡幸과 巡幸路 고찰

        전덕재(Jeon, Deog-jae) 신라사학회 2023 新羅史學報 Vol.- No.57

        본 논고는 娘城의 위치 비정 및 진흥왕의 낭성 순행 목적과 그 의미, 북한산진흥왕순수비의 건립 연대와 568년 진흥왕의 巡幸路, 新州의 동북 경계의 변화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나오는 娘城은 충주지역에 위치한 지명이었으나, 고려 말기에 옛 琅琊郡과 琅琊國의 영역이 명나라 靑州府에 소속되었던 사실을 감안하여 淸州를 琅城이라 別稱하는 관행이 나타났고, 조선 후기에 琅城을 娘城의 異表記로 이해하면서 娘城 역시 청주의 별호라 부르기도 하였음이 확인된다. 진흥왕은 551년 3월에 娘城에 巡幸하여 소백산맥 이북의 赤城(단양군 단성면)과 國原(충북 충주시)을 새로 신라의 영토로 편제하였음을 대내외에 선포하는 한편, 한강유역으로의 진출을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였다. 金武力의 관등이 553년(진흥왕 14)에 阿飡이었고, 북한산비와 561년에 건립된 창녕비에 그의 관등이 迊干이었다고 전하는 사실 및 북한산비와 568년에 건립된 마운령비에 진골 출신인 未智의 관등이 모두 大奈末이라 전하는 사실 등을 감안하건대, 북한산비는 568년에 건립되었다고 봄이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마운령비와 황초령비, 북한산비 등에 의거하여, 진흥왕은 568년 8월 21일에 王京을 출발하여 동해안을 따라 황초령과 마운령을 순행하였고, 10월 2일 이후에 안변을 떠나 추가령구조곡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이용하여 北漢山(한강 이북의 서울)에 이르렀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후 진흥왕은 북한산에서 충주를 경유하여 계립령을 넘어 의성, 영천 등을 걸쳐 왕경으로 귀환하였다. 553년 이후에 신라는 철원지역까지 新州의 영역을 확장하였다가 590년을 전후한 시기에 娘臂城(경기도 포천시 군내면의 반월산성) 이북의 영토를 고구려에게 빼앗겼으며, 629년(진평왕 51) 8월에 낭비성을 차지하고, 다시 철원지역 등을 新州의 영역으로 편제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historical research on the location of Nangseong(娘城) and the purpose and meaning of King Jinheung’s Patrol of Nangseong, the year of construction of Bukhansan(北漢山) King Jinheung’s Patrol Memorial Stone, the King Jinheung’s route of Patrol in 568, the changes in the northeastern boundary of Sinju(新州). Nangseong in the Samguksagi Sillabongi was a place name located in the Chungju region, but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people began to refer to Cheongju(淸州) as Langseong(琅城),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territory of the old Nangya-gun and Nangya-guk belonged to Cheongju-bu(靑州府) in the Ming Dynasty. And it is confirmed th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Nangseong was understood as another spelling of Langseong, Nangseong was also called as another nickname for Cheongju. In March 551, King Jinheung went to Nangseong, proclaiming to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at Jeokseong (Danseong-myeon, Danyang-gun) and Gukwon(Chungju-si, Chungcheongbukdo), located north of the Sobaek Mountains, were newly incorporated into Silla’s terri tory, while established a specific strategy to promote advancement into the Han River basin. Considering the fact that Kim Muryeok’s official rank was Achan(阿飡) in 553(the 14th year of King Jinheung’s reign) and his official rank is recorded as Japgan(迊干) on Bukhansan Stele and Changnyeong Stele built in 561, and the fact that it is said that the official rank of Miji, who was of Jingol status, was Daenamal on Bukhansan Stele and Maunryung Stele built in 568,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Bukhansan Stele was built in 568. Based on the Maunryeong, Hwangchoryeong and Bukhansan Stele, we can deduce that King Jinheung departed from the capital(Gyeongju) on August 21, 568, and left Anbyeon after October 2nd and arrived at Bukhansan(Seoul located north of the Han River) by using the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the Chugaryeong Valley. Afterwards, King Jinheung reached Chungju from Bukhansan, and from there, crossed Gyeripryeong, passed through various regions such as Ui seong and Yeongcheon, and returned to the capital. After 553, Silla expanded the territory of Silla to Cheolwon, and around 590, the territory north of Nangbiseong (Banwolsanseong in Gunnae-myeon, Pocheon-si, Gyeonggi-do) was lost to Goguryeo, and occupied Nangbiseong in August of 629 (the 51st year of King Jinpyeong), and organized the Cheolwon area into Sinju’s territory again.

      • KCI등재

        고려시대 서해도 지역의 위상과 사원

        김창현(Kim Chang-hyun)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3

        본고는 고려시대 서해도 지역의 위상, 국왕의 순행, 불교사원을 다루었는데, 국왕의 순행과 불교사원도 서해도 지역의 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서해도 지역은 관내도로 불리고 해주가 우신책군 · 우보로 불렀을 만큼 개경 · 경기와 밀접한 공간이었다. 이 지역의 중심은 해주(안서도호부)와 황주였다. 서해도는 개경과 서경 사이에 끼여, 금교도와 절령도가 교차하며 개경-금교-평주-절령-황주-서경으로 이어졌다. 물자와 노동력이 종종 개경을 위해서 쓰이거나 권력자에게 수탈당했고, 토지가 왕족과 권력자에게 종종 점유당했고, 거주지 내지 별장지로 인기가 많았다. 고려전기에는 서경과 남경에 버금가는 국왕의 순행지였고 고려말기에는 서경과 남경을 뛰어넘는 국왕의 순행지였다. 국왕의 서해도 순행이 고려 전기는 민생 · 국토를 돌아보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 말기는 그보다 사냥, 휴양, 유희의 측면이 강했다. 서해도 지역에는 국왕 · 왕실 및 개경과 관련된 불교사원이 꽤 존재했다. 그러한 사원으로는 해주의 북숭산 신광사와 수미산 광조사, 동주(서흥)의 성수사, 백주의 견주사 · 반야사 · 등암사, 절령의 미륵원 내지 나한당 등이 대표적이었다. 특히 신광사는 오백나한 도량으로서 나한신앙의 중심지였다. 서해도 지역은 여러 방면에서 개경권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특히 이 지역에 국왕이 종종 순행하고 국왕 · 왕실과 관련된 불교사원이 상당수 조영된 점은 이 지역이 국왕 · 왕실과 긴밀한 관련을 지닌 공간이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about the position of Seohaedo area, King's patrolling, Buddhist temples during the Koryeo Dynasty. The Seohaedo area of Koryeo was closely connected with Gaekyeong and Gyeonggi. Haeju and Hwangju were the center of the area. Seohaedo was the place where the roads of Geumgyo and Jeolnyeong intersected between Gaegyeong and Seogyeong. The goods of Seohaedo were often used for Gaegyeong or were plundered by men of power and its lands were often occupied to be very popular as a residence or villa. Seohaedo was the kings' patrolling place next to Seogyeong and Namgyeong in the early years of Koryeo and beyond Seogyeong and Namgyeong at the end of Koryeo. Haeju was the kings' favorite patrolling place. While the kings' visit to Seohaedo focused on supervising problems concerning public welfare, looking around the territory, and making a pilgrimage to Buddhism fortress in the early Koryeo; instead it was done for hunting, leisure, and amusement at the end of Koryeo. In Seohaedo there were so many Buddhist temples related to the King. the royal family and Gaegyeong. Model temples were Shingwang-sa of Buksung mountain, Gwangjo-sa of Sumi mountain, seongsu-sa in Dongju and Gyeonju-sa in Begju, Shingwang-sa was the center of Nahan belie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