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존중 교육과 교직원의 자질

        김규수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존중 교육실현을 위해 아동기의 본질적 이해를 바탕으로 아동존중의 의 미를 개념화하고 아동종중 교육에 적합한 교직원의 자질을 제시하는 데 두고 두 가지 연구문제 를 선정하였다. 첫째, 아동존중의 개념적 의미와 아동존중 교육 실천의 당위성은 무엇인가? 둘째, 아동존중 교육실현을 위한 교직원의 자질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대해 이 연구에서 밝힌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존중 교육은 아동의 개별적 관심을 이해하고 이들과 적 절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며 아동의 본성과 내면의 힘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아동존중 교육 은 아동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영유아기 아이들을 존중해야 하 는 이유는 그들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 타고난 본성을 잘 발달시키고 내면의 잠재성 을 고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동존중 교육은 아동의 행복을 위해서도 실현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가지고 있다. 둘째,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은 교직원의 자질과 직결되며 이러한 자질은 아동의 발달적 필요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느냐에 달려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child respect and to set it up as the quality of teacher and administrator. Child educare teacher and administrator have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n child and try to put child respect in their educational service.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conceptual meaning child respect of ? Second, why is the practice of child respect education needed? Third, what are the qualifications of the child respect teacher and administrator? The tentativ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proper understanding on child is the foundation of child respect and the basic condition of child education. Second, child respect teacher and administrator understands children’s individual interests and interacts with them in order to maximize children’s natural and inner power. Third, the quality of child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quality of its teacher and administrator. Moreover, how teacher and administrator respond to the developmental needs of children decides the quality of child respect education.

      • KCI등재

        존중의 도덕적 가치에 대하여

        박해용(Park, Hae-Yo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5

        공동체의 가치가 손실되어 가는 현대사회는 사람에 대한 존중을 요구한다. 본 논문은 사람에 대한 존중을 도덕적 근원 가치로 정립하기 위하여 존중에 대한 근원적 성찰을 한다. 존중을 도덕적 근원 가치로 주장하는 이유는 존중이 사람의 감정적 정서와 이성적 규범성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존중이 모든 덕의 도덕적 가치의 토대가 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존중은 감정으로서 정서적 측면에서 작동하며, 동시에 사람과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구상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존중은 다른 덕들의 충실성을 담보하며, 다른 도덕규범에 비하여 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도덕의 활성화에 더욱 큰 공헌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덕적 근원 가치로서의 존중 개념이 새롭게 논의되어야 한다. 존중을 도덕의 근원 가치로 주장하는 기획은 두 가지 영역에서 논의된다; 존중의 정서적 공감성과 이성적 규범성, 상호 인정과 존중의 관계. 본 논문은,①흄과 칸트가 수행한 존중의 특성을 종합 연구하여 존중이 갖는 정서적 공감성과 이성적 규범성을 입증하며, ② 존중 개념은 악셀 호네트의 상호 인정의 도덕형식을 더욱 유의미하게 만들기 때문에 상호 인정 보다 더 근원적 도덕 가치임을 논증한다. 그러므로 존중은 다른 사람의 생각과 행위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근원적 도덕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존중은 일방통행적 존중이 아니라 상호 인정적 존중이어야 할 것을 강조하며, 존중은 타자에 대한 존중과 자신에 대한 존중이 반드시 결합되어야 함을 확인한다. 또한 존중은 존중의 대상에게 유익함을 줄뿐만 아니라 존중하는 사람의 품성을 고양시킨다는 것을 역설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존중은 가장 근원적 도덕 가치를 갖는다는 주장이 입증된다. Modern society which suffers a loss of community value, is demanding a respect for human. This thesis deeply introspect on respect, to establish respect for human as original value of morality. The reason asserting respect as original value of morality is that respect includes emotional sentiments and rational norms at the same time, also respect is considered to form the basis of moral value of all virtues. Respect performs as an emotion on sentimental aspect and let human relation organized rationally. Therefore respect guarantees the fidelity of other virtues and can contribute a valuable share to ethical vitalization compared to other moral standards. Thus there is need to rediscuss the concept of respect as original value of morality. The study on the planning for respect as original moral value can be discussed in two areas; emotional sentiments and rational norms of respect, relationship between mutual recognition and respect. This thesis, ① demonstrates the emotional sentiments and rational norms of respect by complex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espect done by Hume and Kant, ② proves concept of respect is more original moral value that makes Axel Honneth"s ethic form of mutual recognition more meaningful. Hence, respect has principle ethical meaning that exercise absolute influence on other"s thoughts and acts. This thesis, emphasizes that respect is mutual recognitive respect rather than one sided respect, and confirms that respect has to combine respect for others and respect for oneself. Furthermore, assenting with emphasis that respect gives benefit to the object of respect and enhances the personality of the person who respects. By this discussion, it is proved that respect has the most original moral value.

      • KCI등재

        맹자 예론에서 존중심의 윤리학적 의미

        정용환(Chung, Yong-Hwan)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2 No.4

        맹자의 예론은 사양지심이나 공경지심과 같은 존중심을 통해 예를 정당화한다는 점에서 정서주의 도덕론을 지지한다. 첫째, 맹자는 인간의 선천적 능력과 후천적 작위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상관적 범주라고 본다. 맹자는 본성과 문화의 상관성을 지지하면서 예가 본성에 기원하며 문화를 통해 배양된다고 본다. 둘째, 예는 객관적 정당화 조건보다 주관적 정당화 조건을 우선적으로 필요로 한다. 맹자의 예는 객관적 요소와 주관적 요소로 구성된다. 객관적 요소란 대상의 속성으로부터 추론되는 규범적 요소를 가리킨다. 가령 연장자가 갖는 객관적 속성으로부터 그를 연장자로서 대해야 한다는 규범을 추론하는 경우가 그러하다. 한편 주관적 요소란 규범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예를 수행하는 자에게 필요한 주관적 동기를 가리킨다. 가령 연장자에 대한 예에는 연장자를 연장자로서 존중하고자 하는 감정이 행위자의 마음에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고자는 예의 정당화를 위해 객관적 요소만 필요하다고 여기지만, 맹자는 사양지심이나 공경지심과 같은 존중심이 예의 본질적인 특성이라고 본다. 셋째, 맹자의 존중심은 대상에 대한 평가적 인식을 포함하는 감정이다. 대상이 높은 가치를 지녔다고 여길 때에 존중, 존경, 공경, 공손 등의 감정이 드러나며, 대상이 낮은 가치를 지녔다고 여길 때에 비하, 무시, 혐오, 경멸 등의 감정이 드러난다. 존중심에는 누군가가 생리적, 사회적, 윤리적 측면에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평가적 인식이 수반되어 있다. 특히 맹자의 사단설은 좋음(가치)을 존중할 줄 아는 도덕적 인식 능력의 보편성을 지지한다. 맹자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사양지심이나 공경지심과 같은 존중심을 가지며, 거기에는 사람이 지닌 가치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내재한다고 본다. 넷째, 복수의 존중심들 간에 충돌이 일어날 경우에는 사려를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비중이 큰 가치를 우선적 존중 대상으로 삼는다. 맹자는 다양한 가치들 중에서 덕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서 존중한다. 맹자는 일반적 상황에서 덕이 다른 가치들보다 우선적임을 강조하기 위해 덕을 대체라고 부르며, 생리적 가치를 소체라고 부른다. 맹자의 예론은 사덕을 우선적 존중 대상으로서 삼는다는 점에서 덕 윤리학을 지향한다. In this essay, I analyze the ethical implications of Mengzi’s theory of propriety that the virtue of propriety should be founded on natural emotion of respect. First, Mengzi advocates moral sentimentalism in fact that he considers inborn emotion of respect as origin of propriety. He thinks that morally good culture should include the process to develop inborn moral emotions. For this reason, his idea of propriety cannot be understood as acquisition of conventional norm but as human tendency of natural emotion of respect. Second, Mengzi’s propriety does not only demand objective property but also subjective motive based on natural emotion of respect. Gong jing zhi xin 恭敬之心and ci rang zhi xin 辭讓之心, which are inborn moral emotions, are considered as subjective motives of propriety. Third, natural respect contains evaluative cognition towards person. We show positive emotions of respect, politeness and admiration if we think someone has higher values in ability and personality. On the contrary to this, we show negative emotions of disregard, disgust and contempt if we think someone has lower values in those. The evaluative cognition has three categories of biological values, social values, and ethical values. Fourth, in the case that plural respects are contradictory, priority of practice are given to more important values by comprehensive consideration. Basically virtues should be respected when they are contradictory with other values, except the case of quan dao 權道 that biological values are more urgent and important than virtues.

      • KCI등재

        가정폭력 노출 아동용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김영옥 ( Young Ock Kim ),김성회 ( Seong Hoi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3

        가정폭력은 가정의 위기뿐만 아니라 가족 해체와 더불어 학교폭력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가정폭력 노출 아동용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은 기존의 아동용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다양하고 구체적인 집단훈련요소들을 포함하여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 H초등학교 6학년 370명 가운데 가정폭력척도에서 66점 이상 득점한 아동 중 해당 학생 본인과 학부모, 담임의 동의를 얻은 11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노출 아동용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및 추후검사 득점을 수집하여 일원반복 분산 분석을 하였고, 측정 시기 간에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 Tukey HSD를 적용하여 사후 개별 비교를 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은 아동의 전체 자아존중감과 하위요인 중 일반 자아존중감 가정 자아존중감, 사회 존중감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self-esteem program of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The hypothesis in this study was "The self-esteem program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This study was for 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 elementary school in Daegu, Korea. The self-esteem program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for 10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60 minutes.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esteem program was measured by the ``Self-Esteem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was made by Choi Bo-Ga & Jeon Gwi-Yeon in 1993. Data was collected from the results of a pre-test, post-test and following up test. All data was treated with SPSS for Windows 12.0,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The result of the self-esteem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otal self-esteem, as well as its sub-areas such as general self-esteem, family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Despite its success in those areas, the program showed no significant renal effects on school self-esteem in the sub-reg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elf-esteem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In addition,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ies presented.

      • KCI등재

        참여존중 양육이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화,김지연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ing of respecting participation on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4 mothers with 3-5-year-ol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other's participation-respected parenting was high. The mother's education had a effect on the participation-respected parenting and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respected parenting and the parent efficacy according to the family's income. Second, parenting that respect mothers'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others' sense of parental efficacy. Third, parenting that respect mothers'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Respect for the parent's child right to participate should be conducted at home from an early age, and parenting that guarantees the child's right to participate has a meaningful impact not only on the child's development but also on the mother's sense of efficacy as the primary caregiver. In order to enhance parenting of respecting participat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parents and provide resources to families. 본 연구는 참여존중 양육이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94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참여존중 양육의 수준은 높았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참여존중 양육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가정의 소득에 따라 어머니의 참여존중 양육과 부모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참여존중 양육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위요인 중에서는 참여 인식 및 의견표현, 의견 존중, 정보제공, 사회참여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의견 존중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참여존중 양육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하위요인 중 어머니의 정보제공이 자아존중감 발달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참여권 존중 양육은 아동이 어린 시기부터 가정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자녀의 참여가 존중되는 양육은 자녀의 발달뿐 아니라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에도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 가정 내 참여존중 양육을 위한 부모의 교육 기회를 높이고 자녀양육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의 제공이 필요하다.

      • KCI등재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김영숙,백지순,신은경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북 G시에 위치한 G어린이집(실험집단 10명)과 T어린이집(비교집단 9명)에 재직중인 보육교사 19명이었다. 실험집단의 교사들은 12주간에 걸쳐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의 경우에는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표준보육과정에 따른 수업을 진행하였다.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 전, 후에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사전검사에대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동질성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권리존중프로그램은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으며, 하위영역인 자아수용성,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향상에도 효과적임이 검증되었다. 둘째,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영역인 하루일과 존중과아동 최선의 이익 향상에도 효과적임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도모하고, 더 나은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위해 교육기관 및 구성원의 요구와 특성에 적합한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을제공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on childcare implementation by developing a program for respecting infant righ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G Daycare Center (10 experimental groups) and T Daycare Center (9 comparative groups) located in G city, Gyeongsangbuk-do. Th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respect for infant rights program for 12 weeks, and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group, classes according to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were conducted without a separate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fant rights respect program, tes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and homogeneity was verified by perform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for the pre-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 rights respec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eachers, and it was verified that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ub-areas of self-accepta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utonomy, control over the environment, purpose of life, and personal growth. Second, the respect for infant right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infant rights respect child care implementation, and it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as well as respecting the sub-areas of one d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fant rights respect programs suitable for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members to promot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better implement respect for infant rights childcare.

      • KCI등재

        유아 생명존중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불교생명존중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류미향 ( Mi Hyang Ryu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1

        지구온난화, 생태계 파괴 등의 환경문제뿐만 아니라 인간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과열된 경쟁체제와 생명경시 등의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생명성’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생명 위기 현상을 극복하고 세계화시대에 앞서 조화, 균형, 상생 등을 바탕으로 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확고한 철학을 가진 생명존중 교육과정의 개발이 어느 때보다도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치관 형성이 시작되는 유아기에 적용될 수 있는 체계적인 생명존중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생명존중교육의 내용이 어떠하며 유치원 교실에서 생명존중교육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생명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 불교 생명존중사상이 유아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함의점을 탐구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불교 생명존중사상을 중심으로 유아 생명존중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할 때에 주의해야 할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불교 생명존중사상은 무정지물까지 포함하는 폭넓은 생명 개념을 바탕으로 단순히 생명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넘어서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다른 생명의 아픔을 함께 느끼고 아파하는 자비의 마음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한 유아 생명존중 교육과정에서는 생명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바탕이 되어서 올바른 생명존중에 대한 가치관을 확립하고 일상 생활 속에서 생명에 대한 사랑과 자비의 마음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유아 생명존중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유치원 교육과정이나 보육과정의 주제와 상보성을 가지고 일상적으로 실천되는 것이 필요하며 유치원 교사들이 자신의 교실의 유아들의 상황과 필요에 알맞은 교육과정을 개발 · 적용할 수 있도록 전문성 개발을 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Nowadays, the word ``life`` attracts our attentions as the societal problems such as excessive competition and the trend to make light of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al crises such as global warming and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re getting more serious. It is hence required to develop the curriculum of life respect education to overcome the life crises and to build a sustainable society based on balance, harmony, and togetherness.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eaching respect of life for young childre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multifold. First, it examined the contents of life respect education included in the Korean Kindergarten Curriculum. Secon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life respect education is practiced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Third, it examined the Buddhist philosophy of life for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for developing the life respect education curriculum. Forth, it speculated the implications of the Buddhist philosophy of life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tips for developing and practicing the life respect education curriculum. In the curriculum of life respect education, young children should be able to build a strong and healthy value system about respecting life based on a broad understanding about life and to practice their mind of love and respect for life in daily life.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e topics and subjects of the curriculum should be in complimentary relations with those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supports to develop thei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life respect education.

      • KCI등재

        아동의 존중받은 경험, 자아존중감, 차별행위 간 관계에서 아동인권 친화적이지 않은 학교 관행의 역할

        김상원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학교 내 아동인권 친화적이지 않은 관행이 존재할 때 아동의 존중받은 경험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차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달라지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 아동·청소년 인 권실태조사에서 표집된 초등학생 4-6학년 2,697의 응답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이 존중받은 경험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차별행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인권 친화적이 지 않은 학교 관행은 존중받은 경험이 차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존중받은 경험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차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아동인권 친화적이지 않은 학교 관행 은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the pathway through which the experience of being respected influences discriminatory behaviors, mediated by self-esteem, is influenced by non-child rights friendly practices in schools. This study utilized responses of 2,6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4-6th grades) collected as part of the 2022 Children's and Youth Rights Survey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Findings are as outlined as follows: Firstly, experiences of being respected decreased discriminatory behaviors through self-esteem. Secondly, non-child rights friendly school practice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respected experiences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Lastly, the pathway through which the experience of being respected influences discriminatory behaviors via self-esteem exhibited variation based on the levels of non-child rights friendly school practice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these finding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의 아동권리존중이 아동의 권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정윤미,강현아,강현주 한국아동권리학회 2021 아동과 권리 Vol.2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between respecting children’s rights in a community child center and children’s rightsconsciousness. Methods: The 2nd wav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Panel (3rd stage) were used for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hildren's experienceof being respected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and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andself-esteem. A bootstrapping method was utiliz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we found that respecting children’s rights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hada direct effect on self-esteem. Second, we showed that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Third, the respect for rights in local child centers directlyeffects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partial mediating modelthat is influenced by mediating self-esteem.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hildren’s rights education is importantto raise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in community child centers, and it is important torespect children's rights in the process of actually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In addition,the self-esteem of children who use community child centers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the children’s rights consciousness, and efforts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children arenecessary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이 센터에서 경험한 권리존중정도가 자아존중감을 통해 권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3기 패널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권리존중경험과 자아존중감, 권리의식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구조방정식 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지역아동센터에서의 권리존중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직접적인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권리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권리존중은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권리의식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의 권리의식을 높이기 위해서 권리 교육도 중요하지만, 아동이 실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권리를 존중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권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존중감, 신체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성희(Sung-hee L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존중감, 신체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신체활동 교수효능감 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자기존중감, 신체 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를 사용하여 변인들간의 관련성과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 기존중감, 신체존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은 중간 수준 이상이었으며, 변인 중 자 기존중감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고 신체존중감이 가장 낮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존중감, 신체존 중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 사의 자기존중감과 신체존중감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신체활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신체존중감의 경우 유의미한 설명력을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자기존중감이 26%,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2%의 설명력을 가짐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신체활동 교수효능감과 관련하여 총 28%의 설명력을 확인하 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신체활동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해 자기존중감과 신체적 자기효 능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steem, body 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on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o gather data, fou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04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ttending colleges located in Chung cheng-do. The four questionnaires measured their self-esteem, body esteem, physical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self-esteem, body esteem, physical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were a median level. They had high self-esteem and low body esteem. Second, their self-esteem, body esteem, physical self-efficacy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self-esteem, body 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on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efforts to raise self-esteem and physical self-efficacy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physical activity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