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산과 통합의 관점에서 본 일본의 2017년 개정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

        양병일(Yang Byung-il, 梁炳逸) 한국일본교육학회 201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분산과 통합의 관점을 바탕으로 일본의 2017년 개정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의 성격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분석의 결과로써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신학습지도요령의 내용 제시 구조를 보면 설명 대상의 내용들이 분산적으로 제시됨으로써 신학습지도요령의 내용은 추상성에서 구체성을 띠는 방향으로 구조화 되고 있다. 두 번째로 ‘살아가는 힘(生きる力)’은 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통합해 신학습지도요령에 제시된 각 교과의 자질․능력으로 분산시켜 주는 분산과 통합의 성격을 아울러 가지는 매개적 개념이다. 세 번째로 학습지도요령에 제시되어 온 자질의 개념이 신학습지도요령에서 자질․능력으로 분산됨으로써 탈(脫)여유교육과 수업 개선의 맥락에서 가치․태도 영역을 강조하는 신학습지도요령의 방향성을 알 수 있다. 네 번째로 이전의 학습지도요령에 비해 분산적 성격을 가진 신학습지도요령 총론의 자질․능력은 신학습지도요령 사회과에 이르러 사회과의 교과 특성을 바탕으로 구체화됨에 따라 분산적 성격이 심화되었다. 다섯 번째로 신학습지도요령 총론과 사회과를 통해 분산적 성격이 심화된 자질․능력을 교수․학습의 맥락에서 통합하기 위해 문제해결학습, 사회과 3영역의 통합적 주제, ‘사회적으로 보는 법과 생각하는 법(社会的な見方․考え方)’이 활용되었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2017 revised Japanese elementary national curriculum(2017 curriculum) based on perspectives of integration and dispersion. In results, the sixth things have been revealed like below. Firstly, descriptive structure of 2017 curriculum was built on the deeping of concreteness through dispersion of curriculum contents. Secondly, a concept of a zest for life has the meaning of integration and dispersion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connect objectives of school education and specific abilities in diverse subjects. Thirdly, a concept of qualification has dispersed to abilities and values in order to show new tendency of 2017 curriculum. Fourthly, a concept of qualification has dispersed further more in the leve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Fifthly, ‘problem based learning’, ‘integrated issues of geography, history and civics’, and ‘how to see and think in social studies education’ play an important role to integrate dispersed qualification in 2017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일본 초·중·고 개정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과 독도 관련 기술의 문제점

        홍성근,서종진 동북아역사재단 2018 영토해양연구 Vol.16 No.-

        Japan’s Government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Guideline(學習指導要領) and its Commentary(學習指導要領解說) on March 30th and July 17th of 2018,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Guidelines and their Commentarie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2017. Until now, the Curriculum Guideline which has a legally binding nature has suggested the standard of curriculum and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s by the Commentary. However, this revised version clearly repeats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describes the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on in details; thus, it increases the amount of tex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re lies an intent to ‘control’ the overall education through the revision of curriculum guidelines and commentaries. This revision decides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textbooks as well as the teaching in the class. In 2006, during the first term of Prime Minister Shinzo Abe, the Basic Law of Education, perceived as the Constitution of Education, was revised in more than 60 years. In this revision, promotion of patriotism was set as one of the educational goals. Under the name of ‘reformation’, the opinions of conservative right wing parties wer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context, and it resulted in the revis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guidelines and commentaries.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these revised guidelines reinforce the territorial issues related education in line with the ‘patriotic’ education emphasized by the current Abe government. It is also a problem that Dokdo, the territory of Korea, is specified in the Guideline as ‘the territory of Japan’.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would be considerable changes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due to the new guideline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 policy and intention. The revised guidelines will be sequentially appli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from 2020. Under the Abe regime, reinforcement of territorial education will be gradually institutionalized, and the Dokdo-related narrative in textbooks will increase in quantity and deteriorate in quality. The Dokdo related education in Japan will steadily and systematically become more concrete as it goes to higher grade schools based on Dokdo related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the territorial issues related education of Japan, it is also a problem to teach the position of the home country alone without teach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countries. Moreover, it becomes more problematic when the content of territorial issues related education is distorted. As Korea’s domestic countermeasure against these issues, it is essential to ensure the Dokdo related education in practical terms. 일본 문부과학성은 2017년 초・중학교 학습지도요령(學習指導要領)과 해설(解說) 개정에 이어, 2018년 3월 30일과 7월 17일에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과 해설을 각각 개정, 발표하였다. 이전까지 학습지도요령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고 대강(大綱)적인 교육과정 기준을 제시하고, 학습지도요령 해설은학습지도요령의 내용을 교과목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런데 이번 개정 내용은 교육 목표를 반복하여 명시하고 세세한 학습 내용과 방 법등을 기술하고 있어서 기술 내용이 대폭 증가하였다. 개정 학습지도요령 과해설을 통하여 교육 전반에 대해서 ‘통제’하며, 교과서 편집과 집필은 물 론수업 내용과 방향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6년 아베 총리의 1기 집권 때에 교육의 헌법이라는 교육기본법을 60여년 만에 개정하여 애국심 함양을 교육 목표로 설정한 이후 ‘개혁’이라는 미명 하에 보수우익세력의 주장을 교육 현장에 반영한 결과가 ・초중・고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의 개정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번 개정 학습지도요령과해설에서는 현 아베 정부에서 강조해 온 ‘애국심’ 교육과 함께 영토교육을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의 영토인 독도를‘일본의 고유영토’라는 내용으로 학습지도요령에 명기하였다는 점은 문제이다. 향후 정부 방침과 의지를 반영하여 개정된 새로운 학습지도요령과 해설에 의해서 초・중・고 교과서 기술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초・중・고 개정 학습지도요령은 2020년부터 순차적으로 초·중·고 학교교육에 적용될 것이다. 아베 정권하에서 영토교육 강화가 단계적으로 제도화되고 교과서 기술에서는 독도 관련 기술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질적으로 악화될 것이다. 일본의 독도 교육은 초등학교에서의 독도 교육을 기초로일관되고 체계적으로, 그리고 상급 학교로 갈수록 점차 그 내용이 구체화되어 갈 것이다. 그런데 일본의 영토교육에서는 상대국의 입장을 가르치지 않고 자국의 입장만을 가르치는 것도 문제인데 영토교육의 내용이 왜곡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더 문제이다. 이에 대한 국내적 대응 방안으로 독도 교육의 내실화 등이 요구된다.

      • 1950년대 일본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 개정의 동향과 그 특색 고찰

        서재천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4 敎育論叢 Vol.51 No.2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에 행해진 두 차례의 일본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 개정(1955년, 1958년)이 어떠한 사회적 배경 속 에서 어떠한 논의를 거쳐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두 학습지도요령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살폈다. 일본은 1950년대 초 미군의 점령에 서 벗어나 독립을 되찾고, 경제 회복을 이루었다. 독립 후, 일본 정부는 점령 시기에 행해진 교육조치를 재검토하게 되었는데, 이 때 사회과는 그 주요 대상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민간 교육단체들은 ‘사회과문제협의회’를 구성하여 이에 저항하 였다. 문부성은 문제해결학습을 중심으로 했던 초기 사회과가 아동들의 기초학력을 떨어뜨리고, 일본의 역사와 지식 등 계통적 지 식을 소홀히 한다고 판단하고, 이를 시정하는 방향에서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을 개정하였다. 두 차례의 개정 중, 1955년 고시 학습지도요령까지는 통합교과로서의 사회과의 성격을 유지하였으나, 1958년 고시 학습지도요령에서는 일본 국사와 지리 를 중심으로 한 계통적 지식을 강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국토에 대한 애정’, ‘국민적 자각’ 등의 태도 목표를 강조하였다.

      • KCI등재

        일본 「세계사」교과서의 전근대 한국관련 서술 분석

        김은숙(Kim Eun-Sook)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0 No.-

        본고에서는 2007년에 검정을 통과한 일본의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5종(東京書籍,實敎出版의 ?세계사A?교과서와 淸水書院,山川出版社, 帝國書院의 ?세계사B?교과서)을 대상으로 전근대 한국 관련 서술을 검토하였다. 여기에서 확인한 일본 역사 교과서의 韓國史像은 1960년대와 별로 변한 것이 없다.즉 한국사의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고, 한국사 자체에 대한 언급이 소홀하고 부정확하였다. 그러면 일본교과서가 새로 등장할 때마다 한국사의 왜곡 문제로 한국측에서 문제점을 제시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왜 이러한 일이 계속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본고에서는 그 이유를 교과서의 내용을 구속하고 규정하는 ?學習指導要領?에서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2007년 검정본 일본 세계사 교과서의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 『學習指導要領解說』 (地理歷史編)을 검토하고 그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본 결과, 세계사 교과서에 묘사된 韓國史像이 ?학습지도요령?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즉 현행 ?학습지도요령?에 의하면 전근대 한국사는 동아시아세계사 속에서 전개되는데, 전근대 동아시아세계에서 중심은 중국이고 한국은 일본과 함께 주변에 불과한 것으로 규정되고 있다.이러한 동아시아세계에 관한 이러한 중국중심적 시작은 西嶋定生의 책봉?조공체제론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이 견해는 아직도 이를 극복하려는 새로운 연구들을 압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한국은 항상 중국 주변의 사소한 존재로 인식되어 현행 학습지도요령과 해설에서도 중국중심의 세계관이 반영된 전근대 동아시아 인식을 보여주고 있는데, 5종의 교과서 중에서 實敎出版의 世界史A 교과서가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학습지도요령?을 반영한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일본 역사 교과서의 한국사 왜곡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내용을 규정하는 ?학습지도요령?과 ?학습지도요령해설?의 내용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of pre-modern age in five Japanese world history textbooks authorized by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日本文部科學省) in 2007. In those textbooks, the autonomy of Korean history is ignored, and the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is neither sufficient nor accurate. Whenever new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in Japan, Korean scholars pointed out false or distorted accounts about Korean history in those textbooks. But the image of Korean history in world history textbooks of Japan has not changed since the 1960s. What accounts for this? This is related with the history curriculum of Japan. In Japanes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authors of world history textbooks have to write according to ‘Course of Study(學習指導要領)’.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in the present ‘Course of Study for High School: Geography and History(高等學校學習指導要領, 地理歷史編)’ and it’s ‘Teachin Guide(解說書)’(reformed in 1999) need to be scrutinized. According to present ‘Course of Study’ and it’s ‘Traching Guide’, the pre-modern history of East Asian world in world history subject is framed from the Sino-centered view. In the pre-modern East Asian world the hisory of Chinese empire and it’s investiture-tribute system are depicted as taking center stage, while Korea and Japan as periphery. The textbook of jitkyo shupan(實敎出判) is the extreme case of such viewpoint. To improve the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in Japanese historical textbook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urriculum, ‘Course of Study’ and it’s ‘Teaching Guide’ which restrain the description of textbooks.

      • KCI등재

        일본 음악교육의 변화-2017 학습지도요령을 중심으로-

        권혜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The new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of Japan were announced on February 14, 2017. The new guidelines include many changes in their format and conten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8th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and the new on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oals of the new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particularly as for music education, are characterized by a distinct and concrete content which has finally changed after 40 years of time. Secondly, the three goals of the music curriculum guidelines have an organic relation with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overall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These propose a content directly related to each category of the goals of the music curriculum guidelines. Thirdly, a word ‘cooperation’ first appears in the goal of the new music curriculum. It represents the fact that the education in Japan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Fourthly, a phrase of “to instruct students to become familiar with” is presented in the content of the new music guidelines. It is believed that this teaching method encourages teachers to help students fully understand and become proficient. Fifthly,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the new music guidelines is made by moving to another provision, not reducing and eliminating the existing content. What used to be described in a simple way is presented in detail under new subordinate-concepts. The change of the new paradigm in the curricula of the countries over the world is also found in the new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of Japan. The focus shifted from ‘knowledge transfer’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Japanes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also show the aspects of th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to nurture young talents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requirements of the 21 century. Just like Korea, Japan seems to be putting much effort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alternative for future education, with a microscopic perspective and deep introspection on social changes. 일본의 새로운 학습지도요령은 2017년 2월 14일에 고시되었고, 그 구성과 내용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8차 학습지도요령과 새로운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을 비교․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의 목표는 40여년 만에 변화로 확실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둘째, 신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의 목표 3가지는 전체 학습지도요령의 총칙과 유기적 관계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음악 편 목표의 각 항목과 직결하여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신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의 목표에는 ‘협동’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다. 이것은 일본의 교육에서도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신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의 내용에는 ‘몸에 익히도록 지도한다.’라는 제시가 있다. 이 지도법은 학생이 이해하고, 충분히 능숙하게 하도록 지도를 권장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신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의 내용의 변화에는 현행에 있던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외된 것이 아니라 다른 항목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현행은 간단하게 서술되어 있던 것이 신규에서는 하위개념을 두고 구체적으로 그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세계 각 국 교육과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본의 새로운 학습지도요령․음악 편에서도 엿볼 수 있었는데, 이는 그동안의 ‘지식 전수 중심의 교육’에서 ‘역량교육’에 주목하게 된 것이다.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에서도 21C가 요구하는 창의성과 인성을 가진 인재 양성을 위해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모습이 나타난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도 사회 변화에 거시적인 관점을 가지고 깊은 성찰로 미래 교육의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려는 노력이 보인다.

      • KCI등재

        일본의 역사교육에서 시민적 자질 형성과 그 변천 -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의 두 가지 교육론 -

        가쿠다 마사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4

        This research aims at clarifying two theories for teaching history and the feature of those by analyzing the Course of Study for the Social Studies in the Secondary School of Japan 1951 and 1958. In 1945, World War II ended and new education suitable for democratic society started in Japan. “Social Studies” was then born. The aim of “Social Studies” was that children acquire the knowledge, the skill, and the attitude needed for the citizen supporting democratic society as a result of social research. History and geography were positioned as a means of children’s problem solving as “geography for social studies”, and “history for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based on the Course of Study 1947 and 1951 were so. The subject “Japanese history” in the Course of Study 1951 is an eclectic curriculum with the traditional style of teaching history taking advantage of the idea of “history for social studies” and is especially interesting. On the other hand, there is rebounding to the educational reform of a U.S. style after the independent achievement in 1951, and the state of the education which thinks as important the activity of the children in the Course of Study 1947and 1951 have changed. Especially “Social Studies” was criticized. Against the background of such criticism, the Course of Study for the Social Studies 1958, it was changed to the full-scale systematic curriculum, and became a thing with legal binding force. It changed a lot, and the style of teaching history is also no longer a means of children’s social research, and became what transmits the defined historical knowledge. And the radical reform about teaching history has not been made by today. That is, especially about teaching history in Japan, if its attention is paid to changes of the Course of Study for the Social Studies, two theories have been shown. The following thing was clarified in this research. In the Course of Study for the Social Studies 1951, although it aimed at teaching history for developing citizenship, in the Course of Study 1958, it aimed at teaching history for developing national identity. 본 연구는 1951년판과 1958년판의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을 분석하여 2개의 역사교육론과 그 특질을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하고 일본이 민주주의 국가로 재출발을 도모하는 가운데 그때까지의 국가주의적인 교육 양상도 바뀌게 되었다. 그러한 전후 신교육의 핵심 교과로 탄생한 것이 「사회과」였다. 「사회과」가 교과로서 지향하는 목표는 아동들에게 「Social Studies=사회연구」를 실행하도록 하고 그를 통해 사회에 대한 관점·사고 방법을 획득시킴으로써, 민주 사회의 시민적 자질을 그들 중에 육성하려고 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역사를 비롯해 지리나 공민이라는 각 영역의 학습은 「사회과 역사」나 「사회과 지리」로서 아동들의 총합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947년판」과 「1951년판」의 학습지도요령은 이러한 생각에 토대를 둔 것으로, 이 학습지도요령들에 입각한 사회과는 특히 「초기 사회과」라고 불리어 일본 사회과의 발자취 중에서도 이채를 발하는 존재가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1951년판」 학습지도요령의 경우, 중학교에서는 과목으로서 「일반사회」와 「일본사」를 학습하게 되어 있고, 특히 「일본사」는 선술한 「사회과 역사」의 이념을 살리면서 일본 역사를 통사적으로 학습시키는 전통적인 역사교육의 형태를 절충한 것으로 독특한 커리큘럼이 되고 있다. 한편,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체결에 의한 독립 달성 등을 배경으로 미국을 모델로 한 전후의 교육 개혁에 대해 일본의 실정에 상반되는 것이라 해서 보수층을 중심으로 하여 재검토의 기운이 높아졌다. 또한, 계통적인 지식보다도 아동들의 경험을 소중히 하고 「조사해서 토론한다」는 제반 활동에 중점을 둔 경험주의적인 교육에 대해서는 기초 학력을 저하시키는 것이고, 특히 사회과에 대해서는 「기어다니는 사회과」라는 비판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비판을 받아들여 특히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의 경우는 「1958년판」에서 본격적인 계통주의 커리큘럼으로 개정이 시도되었고, 학습지도요령 자체도 그때까지의 「시안」이라는 문구가 없어지고 법적 구속력을 가진 것으로 위상이 강화되었다. 그런 중에 제기된 역사교육의 양상은 「초기 사회과」와는 크게 다른 것으로, 사회과의 한 영역이면서 사실상 역사는 역사로서 독립된 형태로 교수하려는 것이었다. 그 이후부터 학습지도요령이 제시하는 역사교육에 대해서는 발본적인 개혁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즉, 지금까지 일본에서의 역사교육에 대해서는 특히 학습지도요령의 변천에 초점을 맞추면 크게 두 가지의 생각이 제시되어 왔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2개의 학습지도요령을 분석해, 1951년판에서는 시민성 육성을 위한 역사교육이, 1958년판에서는 국민성 육성을 위한 역사교육이 지향되었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 KCI등재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을 통해 본 일본의 영토교육 -「개정 교육법」부터 「2018 고교 학습지도요령」까지-

        이우진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8 독도연구 Vol.- No.24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erritorial education from 2006 to 2018 in Japan, and the main analysis objects are passages specified in the Course of Study and the Guidebook on the Course of Study in Japan. The Abe administration revised the old education law based on the Peace Constitution for “the Education Regeneration” in Japan. And, they set two of the educational goals as ‘the respect for public spirit and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Therefore, the Abe administration secured the legal justification to lead Japanese education policy in the nationalistic and rightward direction. After two years, they formulated ‘the Basic Plan for Educational Promotion’ under the banner of ‘Japan's Education Revitalization.’ A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 the distorted territorial education in Japan had been gradually strengthened. ‘Japanese sovereignty of Dokdo’ was stipulated as indirect way In The Course of Study and the Guidebook on the Course of Study, which were revised in the first stage of the plan. But, in the second stage, Japan government directly specified ‘Japanese sovereignty of Dokdo’ in The Course of Study and the Guidebook on the Course of Study. And, ‘The Japanese Three Territorial Educational Logics regarding Dokdo’ were stipulated in 2014 the Guidebook on the Course of Stud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Those Logics are specified in the Course of Study in the third stage of the plan. So, the distorted territorial education regarding Dokdo have become a required educational contents in Al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Japan. ‘The Japanese Three Territorial Educational Logics regarding Dokdo’ was full of serious contradictions. Apart from these contradictions, the logics are not true. Because Dokdo is the obvious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geographical, historical and international law. The current territorial education in Japan is distorted, and it is only a device to help nationalist and militaristic movements of Abe administration. 이 논문은 아베 내각이 2006년 「개정 교육법」이래로 2018년 「고교 학습지도요령」을 공포할 때까지 시행해 온 영토교육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분석의 주 대상은 『학습지 도요령』과 『학습지도요령해설』에 있는 영토교육 관련 내용들이다. 아베 내각은 ‘일본의 교육 재생(再生)’을 위해 ‘평화헌법에 기초한 「구 교육기본법」을 개정’하고, ‘공공 정신 존중과 전통 계승’을 교육의 주요한 목표로서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아베 내각은 일본교육정책을 국가주의적이고 우경화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법적 정당성을 마련하였다. 아베 내각은 「교육기본법」을 개정한 2년 후 ‘일본 교육 재생’이라는 기치 아래 「교육진흥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이 계획에 따라 일본의 왜곡된 영토 교육도 강화되어 간다. 「교육진흥기본계획」제1기(2008~2012)에 개정된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 」에서는 ‘독도의 일본 영유권’을 직접 명기가 아닌 간접적인 방식으로 주장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육진흥기본계획」제2기(2013~2017)에 들어서자 ‘독도라는 표현을 직접 명 기’하여 영토교육을 통해 애국심 강화를 극대화하려는 방식을 취하고, 「2014 중⋅고등학 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에 ‘독도와 관련한 3가지 영토교육 논리’를 명기한다. 마지막 「교육 진흥기본계획」제3기(2018~2022)에 공포된 『2017 소⋅중학교 학습지도요령』과 「2018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에 ‘독도와 관련한 3가지 영토교육 논리’를 고스란히 명기한다. 그 리하여 일본 내 고등학교 이하의 모든 학생들이 ‘독도와 관련한 왜곡된 교육’을 반드시 받아 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 ‘독도와 관련한 3가지 영토교육 논리’는 심각한 논리적 모순을 지니고 있으며, 이 모순을 차치하더라도 그 논리는 사실이 아니다. 왜냐하면 독도는 지리적, 역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대한민국의 영토이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에서 진행되는 영토교육은 왜곡된 것이며, 아베 내각의 ‘국가주의적이고 군국주의적인 행보’를 도와주는 장치일 뿐이다.

      • KCI등재

        일본의 2017 개정 학습지도요령에 나타난 사고력의 성격 -사회과 지리 영역을 중심으로 -

        양병일(Yang, Byung Il) 한국지역지리학회 202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2017년 개정 사회과 학습지도요령 지리 영역에 나타난 사고력의 성격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영역특수적인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는 사회과 지리 영역의 사고력을 2017년 개정 학습지도요령에서 범용적 측면과 영역 특수적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은 일본의 2017 개정 학습지도요령 사회과 지리 영역에는 사고력이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측면은 사고력이 교과횡단적으로 육성해야 하는 능력으로서 영역일반적인 능력으로 정의되고 있다. 두 번째 측면은 사회과 지리 영역에 전통적으로 중요성을 가져온 지리적으로 보는 법과 생각하는 법(地理的な見方・考え方)이 영역 특수적 사고로서 추구되고 있다. The study aims at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oughts in geography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201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Japan. This study proceeds with analysing the thoughts of geography field based on the domain-general and domain- specific perspectives. The results are like below. The thoughts of geography field is educated in the two aspects which are domain-general thinking skills such as universal competency of all subjects and domain-specific thinking skills such as how to see and think geographically(Chiritekina-mikata-kangaekata).

      • KCI등재

        한일 비교의 관점에 근거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도학습의 특징

        양병일(梁炳逸)(Byung-Il Yang) 한국일본교육학회 2024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 비교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일본의 2017 개정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과 우리나라의 2022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의 내용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의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양국 모두 지도학습의 지역적 범위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에는 학습자의 생활권을 중심으로 환경확대법이 탄력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두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는 우리나라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지도학습이 약화 되었다. 세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은 객관성과 주관성이 동시에 고려되었다. 네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에는 디지털 영상 지도와 디지털 영상 지구본과 같은 디지털 공간 영상 정보의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本研究の目的は、韓日比較の観点から韓国の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に現れた地図学習の特徴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研究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本研究は日本の2017改訂小学校社会科学習指導要領と韓国の2022改訂初等学校社会科教育課程に現れた地図学習の内容を比較及び分析した。分析結果は次の4つにまとめることができる。まず、両国とも地図学習の地域的範囲を弾力的に運営しているが、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には学習者の生活圏を中心に環境拡大法が弾力的に適用されている。第二に、2022年改訂社会科教育過程には、韓国の領域を対象とする地図学習が弱まった。第三に、2022年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は、客観性と主観性が同時に考慮された。第4に、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には、デジタル映像地図とデジタル映像地球儀のようなデジタル空間映像情報の活用が強調されている。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ap learning in Korea's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Japan comparis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map learning presented in Japan's 2017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guidelines and Korea's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results can be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First, although both countries operate with flexible regional scopes for map learning, the expanding environments approach is flexibly applied to map learning in the 2022 revised Korean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the learners' living areas. Second, map learning targeting Korean territory has been weakened in the 2022 revised Korean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Third, both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were considered in the map learning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urth, the use of digital spatial image information such as digital image maps and digital image globe models is emphasized in the map learning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 비교 (Ⅰ)

        권혜근(Kwon Hye keun)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20 No.-

        본 연구는 해방 후부터 1970년대까지 한국 초등교육의 교육과정(敎育課程) 과 일본의 교육과정인 학습지도요령(學習指導要領) 을 비교·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음악교육이 변천·정착·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떻게 다른 모습으로 변천해 가는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은 해방 후 미군정기를 거쳐 1955년 제1차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1963년 제2차, 1973년 제3차 교육과정의 변천이 있었다. 교육과정 중 특히 한국 전통음악의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제1차부터 제3차까지의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한국 전통음악의 교과내용의 특징은 첫째, 서양음악에 비해 양적인 면에서 많이 미흡하지만, 전통음악의 내용 안에서는 서서히 증가 되어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제1·2차와 달리 제3차에서는 비록 적은 양이지만 학년마다 전통음악이 연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었다. 각 학년에 나온 전통음악의 내용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요구사항이 제시되거나, 내용이 복잡해지거나, 내용의 수가 증가되거나, 또는 앞 학년의 내용에 1~2개 추가되어 가는 모습이 보였다. 셋째, 전통음악은 약간의 양적증가가 있었으나, 영역별로는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가창과 감상 영역에만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1차에서 제3차까지는, 기악이나 창작 영역에서 전통음악의 내용을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다. 일본의 교육과정 분석을 위해서 1947년 제1차 학습지도요령부터 1951년 제2차, 1958년 제3차, 그리고 1968년 제4차 학습지도요령을 살펴 일본 교육과정의 처음 시안부터 고시까지의 정착과정을 고찰하였다. 학습지도요령을 통해 일본전통음악의 상황을 살펴본 결과 첫째, 전통음악이 각 영역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본의 경우도 한국과 같이 가창·기악·감상·창작 영역에서 골고루 전통음악이 교육되는 것이 아니라, 가창과 감상 영역에 한정되어 서양음악의 비교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는 아직까지 일본 전통음악에 대한 관심보다는 유럽음악에 관심이 집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학습지도요령 초기의 음악교육은 학년별 연계성이 없었다. 일본 전통음악의 내용이 미흡한 학년도 있었고, 다른 학년에 비해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학년도 있었다. 셋째, 학습지도요령 초기의 일본 음악교육은 유럽음악에 중심을 둔 교육이었다. 제1차 학습지도요령에는 유럽음악을 주체로 교육하는 것을 명시해 놓았다. 그 후에도 세계의 민요, 악기 등을 소개할 때 프랑스, 스페인을 제시하며 유럽음악에 치중하고 있었다. 이는 현재의 일본 음악교육의 방향이 국제이해관계로 흐르고 있는 것의 초석이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방 후,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어려움에서 각자 자국에 맞는 교육과정으로 변천해 왔다. 그 과정 안에서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 초기의 모습을 비교·분석하여, 정체성 혼란의 모습에서 차차 전통음악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그 내용이 증가되어 변천함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음악과 교육목표의 비교를 통해 해방 후 처음에는 완전한 독립은 아니었으나, 차차 우리나라의 자주적인 교육의 모습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비교·분석을 통하여 지금의 교육과정의 모습에서 음악교육이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한 재조명을 밝혀보는 것에 본고의 의의를 둔다. This is a comparative and analytic study on Elementary Curriculum in Korea and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as a curriculum in Japan, conducted from post-liberation to 1970. By examining the music educations in Korea and Japan in its transitio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I have studied how they influenced each other and varied on their paths. In Korea, there was three stages of transition in the curriculum, with the First one in 1955, the Second in 1963, and the Third in 1973 since the post-liberation and US military government. When examined particularly,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firstly, that there had been an increase in its contents though it was not enough in its quantity. Secondly, unlike the First and the Second Curriculum, the traditional music had been organized and interconnected with every grade, not very much though. Each grade was suggested of the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and, the higher the grade was, the more requirements or more complicated or increased contents it came to involve. Thirdly, there wasn t a variety in each field but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inclined to the field of singing and appreciation, although there had been a little increase in the quantity. To analyse the curriculum in Japan, I have examined the First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in 1947, the Second Guidelines in 1951, the Third Guidelines in 1958 and the Fourth Guidelines in 1968. The result is that, firstly, the traditional music was not treated diversely in each field. In Japan s case, like Korea s, the traditional music was not trained evenly among singing, instrumental music, appreciation and composing, but it was limited to singing and appreciation, in the role of comparing to western music, which reflects the fact that the interest was rather focused on European music than Japanese traditional music. Secondly, the early music education under the First Guidelines had no connection between the grades. That is, some grades had not enough contents of Japanese traditional music, while others had more of them. Thirdly, Japan s early music education under the First Guidelines had emphasis on European music. It is clearly stated in the First Guidelines to educate children with European music main. As mentioned above, Korea and Japan have developed their curriculums accordingly to their political·social·economical contexts, going through the chaotic and difficult period since the post-liberation. However, I could learn by comparing the music and educational goals in Korea and Japan, that Korea has gradually become more independent in education since the post-liberation, even though it was not completely independent at fir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